KR20110042022A - 미세 상해 시험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미세 상해 시험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022A
KR20110042022A KR1020100101115A KR20100101115A KR20110042022A KR 20110042022 A KR20110042022 A KR 20110042022A KR 1020100101115 A KR1020100101115 A KR 1020100101115A KR 20100101115 A KR20100101115 A KR 20100101115A KR 20110042022 A KR20110042022 A KR 2011004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area
microscopy
human skin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울로 알. 바르고
니키포로스 콜리어스
인석 서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4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8Confocal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1Detecting or monitoring allergy or intolerance reactions to an allergenic agent or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5Evaluating skin irritation or skin trauma, e.g. rash, eczema, wound, bed s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피부 및 다른 생물학적 조직을 시험하는 방법, 및 생체 내에서 그러한 조직에 대한 성분 및 조성물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 상해 시험 및 그의 용도{Micro-insult Test and Use Therefor}
본 발명은 인간 피부 및 다른 생물학적 조직을 시험하는 방법, 및 생체 내에서 그러한 조직에 대한 성분 및 조성물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 피부에 대한 화장용 제품의 시험은 언제나 기본 및 응용 연구 둘 모두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유해한 영향이 피부의 가시적인 변화, 예를 들어, 변색 또는 흉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 피부 시험에는 언제나 약간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물 시험이 전형적으로 인간 피부 시험에 선행되어 왔다. 인간 피부에 대한 대안적인 시험 시스템의 개발은 화장용 성분에 대한 동물 시험의 사용을 금지하는 최근의 유럽 연합 규제로 인해 우선순위가 증가하고 있다.
거대 도구(macroscopic tool)를 사용하여 생체 내에서, 생물학적 조직, 특히, (용이한 접근가능성으로 인해) 피부를 검사하기 위한 몇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피부에 대한 UV 방사선의 영향을 시험하는 데 대해 승인된 프로토콜은 1 ㎠ 면적의 피부를 UV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알레르겐(allergen)에 대한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단자 시험(prick test)이 또한 알레르기 클리닉에서 보통 실시된다.
표피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고 부작용, 합병증 및 다운타임(downtime)의 위험성을 감소시킨, 피부 노화의 치료, 즉, 주름의 감소를 위한 일부 미시적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술은 주변의 비손상 조직에 의해 신속하게 재-상피화되어 표피에 해를 입히지 않는, 피부 표면 상의 일련의 미세 상처(wound)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외선 파장을 갖는 레이저가 흔히 사용되며, 진피 깊이에서 치료 반응을 자극하는 제한 및 제어된 영역의 광응고술(photocoagulation)에 의해서 방사선이 조직 안쪽의 수성 구성요소에 의해서 흡수된다. 이는 네오-콜라겐의 생성 증가 및 피부 톤 및 감촉의 개선을 야기한다.
다양한 거시적 및 미시적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 피부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본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름과 같은 거대 특징의 처리가 아닌, 피부 분석을 위한 미세 상처의 적용은 이전에는 행해진 적이 없다.
피부에 대한 영구적인, 가시적 손상을 최소화하지만, 피부의 대사 활성 및 구조적 완결성(structural integrity)에 대한 효과를 예측하는 인간 피부 시험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출원인들은 인간 피부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미세 상해(micro-insult)를 적용하는 것과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그러한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것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피부를 시험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이제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인간 피부를 시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상기 인간 피부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상해를 야기하는 단계; 및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된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상기 인간 피부의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상해를 야기하는 단계;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차례대로 포함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된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상기 인간 피부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상해를 야기하는 단계; 상기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차례대로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
도 1a 및 도 1b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미세 상처의 교차 편광 이미지.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미세 상처의 30분 후의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
<도 2f>
도 2f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상에 대한 하나의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 스택의 상이한 세 부분: 처리 영역, 주변 영역 및 비처리 영역으로부터의 강도 깊이 프로파일.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처리 후 30분, 2일, 4일, 및 23일에 비디오 현미경법으로 얻어진 실시예 1에 기재된 미세 상처의 교차 편광 이미지.
<도 4>
도 4는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에 나타낸 미세 상처에 대한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 및 깊이 강도 프로파일.
<도 5a, 도 5b 및 도 5c>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처리 후 상이한 시점에서의 25세 대상, 53세 대상 및 30세 대상에 대한 정규화된(normalized) 깊이 강도 프로파일.
<도 6>
도 6은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COLIPA 표준과 비교한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의 분광 프로파일.
<도 7a 및 도 7b>
도 7a 및 7b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섬유 및 원형 슬릿을 통해 UV 조사된 부위의 교차 편광 이미지.
<도 8>
도 8은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상의 UV 조사 후 상이한 일자에 촬영된 교차 편광 현미경 (20x 내지 400x 배율) 이미지.
<도 9>
도 9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상의 UV 조사 후 0, 1, 6 및 10일에 촬영된 교차 편광 현미경 이미지.
<도 10a>
도 10a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표준 COLIPA-추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된 UV 광시험(phototest)의 교차 편광 이미지.
<도 10b>
도 10b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썬스크린을 도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표준 COLIPA-추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된 UV 광시험의 교차-편광 이미지.
본 발명은 인간 피부를 시험하는 데 적용가능한 것으로서 주로 기재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 및 시스템은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광섬유 또는 복강경/내시경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 및 동물의 다른 생물학적 조직, 예를 들어, 모발, 입술, 구강 점막, 및 내부 장기(식도, 정맥, 장, 간 등)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간 피부를 시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간 피부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상해를 야기하는 단계; 및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피부를 시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방법은 인간 피부에 대한 성분 또는 조성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방법은 알레르기 시험 또는 화장용 제품/약물 효능 시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드름방지 제품, 노화방지 제품, 썬스크린 제품, 또는 상처 치유 제품 등의 효과가 본 발명에 따라 시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된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간 피부의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상해를 야기하는 단계;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된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조성물의 도포는 피부에 미세 상해를 가하기 전 또는 후에 행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미세"라는 용어는 최대 치수가 약 1,000 마이크로미터 미만, 예를 들어, 약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 0.5 ㎛ 내지 약 5 ㎛의 범위의 치수가 세포미만(sub-cellular) 수준이며, 약 5 ㎛ 내지 50 ㎛의 치수가 전세포(whole cell)의 수준이고, 약 50 ㎛ 내지 약 1,000 ㎛의 치수가 다중 세포의 수준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미세 상해"라는 용어는 미세 크기의 상처 또는 손상(injury)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처 또는 손상은 예를 들어, 찔림(puncture), 베임(cut), 뎀(burn), 방사선 조사(irradiation) 또는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미세 상해의 예에는 레이저 미세 손상, UV 미세 조사, 미세주사, 및 미세 찔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 형태의 미세 상해는 알레르겐을 전달하는 모세관 또는 미세 바늘을 사용하여 가해질 수 있다. 뎀 형태의 미세 상해는 미세 가열 프로브 또는 고주파 발생기를 사용하여 가해질 수 있다. 찔림 또는 베임 형태의 미세 상해는 미세 바늘을 사용하여 가해질 수 있다.
미세 상해의 형상은 중요하지 않다. 미세 상해는 바람직하게는 불연속적이며 충분히 멀리 떨어져서 이격되어 각각이 개별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미세 상해들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약 10 um, 예를 들어, 약 10 um 내지 약 1,000 um일 수있으나, 또한 복수의 미세 상해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경우에는 더 작을 수 있다, 즉, 약 10 um 미만일 수있다. 간격은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간격은 규칙적이며, 즉, 고정된 균일한 간격이다.
미세 상해는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된다. 영상 기술은 미시적 또는 거시적 영상 기술일 수 있다. 영상 기술은 시험되는 조직의 형태학적 또는 생리학적 변화에 대한 미세 상해의 영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모니터링은 단일 이미지를 사용하는 조직의 영역의 단일 분석, 또는 하나의 영상 기술 또는 하나를 초과하는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다중 이미지를 사용하는 조직의 영역의 다중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은 소정 시간 간격에 걸쳐 수집된 조직의 영역의 다중의, 순차적인 이미지의 분석 또는 비교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영상 기술에는 공초점 현미경법(confocal microscopy), 디지털 영상법, 형광 현미경법, 광학 간섭 단층촬영법(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2광자 형광 현미경법, 2차 고조파 발생 현미경법(second harmonic generation microscopy), 간섭성 반스톡스 라만 산란 현미경법 (coherent anti-Stokes Raman scattering microscopy; CARS), 및 분광 영상법(spectral imaging)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기술은 미시적 영상 기술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피부(또는 다른 조직)에 대한 거대 상해(macro-insult)의 영향을 예측하지만 손상의 크기가 극히 작아 피부에 대한 유해한 영향이나 손상이 최소화되므로 유리하다. 본 방법은 시험 대상에게 빠른 회복 및 적은 불편함을 제공하며, 얼굴 및 입술의 민감한 영역을 포함한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또는 내부 기관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의 특히 적합한 용도는 피부 케어 제품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부의 한 영역을 썬스크린으로 처리하고 동일한 대상의 피부의 다른 영역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피부의 두 영역 모두를 UV 조사 형태의 미세 상해에 노출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두 영역 모두의 이미지를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고, 이어서 비교하여 썬스크린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처 치유 조성물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미세칼날(microblade)을 사용하여 찔림 상처 형태의 미세 상해를 대상의 피부의 두 영역에 만들 수 있다. 이어서, 한 영역은 상처 치유 조성물로 처리하고 다른 영역은 처리하지 않은 채로 둘 수 있다. 이어서, 각각의 영역에 대한 단일 이미지를 입수하고 비교하거나, 아니면, 치유 과정 동안 소정 기간에 걸쳐 촬영된 일련의 이미지를 입수하고 비교함으로써, 두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상처 치유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알레르기 시험에 유용할 수 있다. 작은 모세관을 사용하여 소량의 알레르겐을 피부의 영역에 적용하여 미세 상해를 생성할 수 있다. 미시적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알레르기 반응의 징후, 예를 들어, 팽윤, 홍반 등에 대해 피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 및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그의 상세한 내용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실시예 1
27세 내지 57세의, 피츠패트릭(Fitzpatrick) 피부 타입 II 내지 VI 범위의 8명의 건강한 대상을 모집하였다. 각 대상의 팔뚝 안쪽 (volar forearm)을 일련의 레이저 빔으로 처리하였다. 2개의 부위를 2가지 상이한 플루언스(fluence), 미세 상처당 각각 40 mJ 및 60 mJ로 처리하였다. 각 부위를 개별적인 미세 처리 구역의 중심으로부터 약 400 마이크로미터의 거리에서 길이가 1 ㎝인 피부 부분에 걸쳐 단일선으로 미세 노출시켰다. 얇은 층의 베이비 오일을 사용하여 레이저 헤드와 피부 표면 사이의 커플링을 보장하였다.
처리의 단기간 및 장기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0 mW 미만의 작동 출력 및 785 ㎚에서 약 1 마이크로미터의 수평 분해능 및 약 5 마이크로미터의 축방향 분해능을 갖는, 비디오 현미경법(KH-300, 일본 소재의 히록스(Hirox)) 및 반사율-모드 레이저 주사 공초점 현미경법(reflectance-mode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비바스캔(Vivascan) 1500, 미국 뉴욕주 로체스터 소재의 루시드(Lucid))을 포함한, 다중 모드의 미시적 및 거시적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처리 후 30분, 생체 내 처리 후 2일, 4일, 및 3주에 미세 상처 치유 과정의 동적 반응을 모니터링하였다.
도 1a 및 도 1b는 하나의 대상에 대한, 비디오 현미경을 사용한 교차 편광 이미지 및 상응하는 반사율 모드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다. 교차 편광은 표면 눈부심(glare) 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고 착색 및 맥관구조의 표면아래 특성을 두드러지게 하였다. 미세 상처가 진갈색 반점의 선으로 보이는 반면에 상응하는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에서는 피부 표면 아래로 약 80 마이크로미터에서의 상처 영역이 밝게 보였으며, 이는 미세 상처 영역에서의 보다 강한 산란을 나타낸다.
개별적인 미세 상처의 상처 치유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현미경 수준에서 치유 과정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로부터 각각의 미세 상처, 주변의 부수적 손상 구역 및 정상 영역에 대해 깊이에 따른 강도 프로파일을 수집하였다. 획득 동안 움직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먼저 동시 정합(co-register)시켰다. 각각의 깊이에서 관심 부위 내의 평균 강도를 사용하여 각 영역에 대한 강도 프로파일을 얻었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레이저 처리(미세 상처당 60 mJ) 후 약 30분에서의 27세 여성 코카서스인의 팔뚝 안쪽으로부터의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f는 상응하는 깊이 강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피부 표면 아래의 상부 10 내지 15 마이크로미터에서, 주변 영역 및 정상 영역과 비교하여, 처리된 미세열(microtherma) 구역의 반사가 단지 약간 증가하였고, 이는 표면에서의 피부에 대한 극히 적은 손상을 나타낸다. 피부 표면 아래 2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에서, 처리된 미세 구역 내의 반사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미세 구역 내의 증가된 강도는 얕은(superficial) 층으로부터의 굴절률 부정합을 야기하는 팽윤에 의한 것이었을 수 있다. 진피 내로 5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깊이에서는, 처리된 미세 상처에서 반사가 약간 감소되었고, 이는 레이저 처리가 진피에서 콜라겐을 변성시켰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깊이 강도 프로파일은 3개의 관심 영역을 확실하게 구별하였고 미세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서 변화를 평가하는 정량적 방법을 제공하였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각각 팔뚝 안쪽에 처리 후 30분, 2일, 4일 및 23일에서의, 미세 상처당 60 mJ에서의 미세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서 대상의 교차 편광 비디오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는 세포 구조 및 콜라겐 매트릭스의 동적 변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약간의 부종 및 염증을 갖는 미세 상처는 처리 직후에는 보이지 않았다. 미세구역은 처리 후 처음 48시간 내에 갈색을 띤 미세 상처로 보이기 시작하였다. 미세 상처는 점차로 치유되었고, 손상된 미세구역이 3주 후에는 보이지 않게 되었다.
도 4는 처리 후 30분, 2일, 4일 및 23일에서의, 동일한 대상에 대한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 및 상응하는 깊이 강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4a는 특정 시점에서의 처리된 미세 상처, 주변의 부수적 손상 구역 및 정상 영역의 대표적인 깊이 강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정상 피부로부터의 프로파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사한 패턴을 유지하였다. 정상 영역과 비교하여, 처리된 미세 상처의 깊이 강도 프로파일은 처리 후 4일까지 표면 아래 20 마이크로미터로부터 100 마이크로미터에서 강도의 진행적 증가를 나타내었고, 치료 후 3주 후에는 정상 피부와 유사한 패턴으로 되돌아왔다. 주변의 부수적 손상 구역은 치료 후 30분에서 정상 피부와 비교하여 변화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고, 2일 및 4일 후에는 강도의 상당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23일 후에는 정상으로 되돌아왔다. 깊이 강도 프로파일은 또한 피부 표면의 상부 20 마이크로미터 내의 얕은 피부에서 극히 적은 변화가 있었음을 나타내었고, 이는 얕은 표피에 대한 극히 적은 손상의 임상적 관찰을 확인하였다. 깊이 강도 프로파일은 관련 세포 구조 변화의 정량적 측정을 제공하였다.
공초점 현미경법에서 깊이 증가와 관련된 강도의 본질적인 지수적 감소를 보상하기 위하여, 처리된 미세 손상 구역의 깊이 강도 프로파일을 정상 영역의 것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도 5a, 5b, 및 5d는 처리(미세 상처당 60 mJ)후 상이한 시점에서의 상이한 연령의 대상의 정규화된 깊이 강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정규화된 깊이 강도 프로파일은 피크를 나타내었고 피크 위치가 처음에는 더 깊은 깊이로 이동하다가 그 후에 더 얕은 깊이로 되돌아갔다. 피크 위치가 더 얕은 깊이로 다시 이동하는 전환 시점은 연령에 따라 좌우되었다. 예를 들어, 25세 대상에 대해서는, 피크가 처리 후 4일에 더 얕은 깊이로 되돌아간 반면, 30세 대상에 대해서는, 피크가 처리 후 9일에 뒤로 이동하였고, 53세 대상에서는, 처리 후 13일에 뒤로 이동하였다. 이는 임상적 관찰과 일치하게, 더 젊은 개체가 더 나이든 개체보다 상처 치유 속도가 더 빠름을 시사한다. 정규화된 깊이 강도 프로파일은 미시적 세포 수준에서 상처 치유 속도를 평가하는 정량적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미세 직경의 주문제작 광섬유(다중모드) 또는 핀홀(미국 뉴햄프셔주 살렘 소재의 내셔널 애퍼쳐, 인크.(National Aperture, Inc.))을 사용하여 광원(라이트큐어(LightCure) 200, 하마마츠(Hamamatsu))으로부터의 자외선(UV) 방사선의 미세 상해를 대상의 피부에 가하였다. 50 마이크로미터, 200 마이크로미터 및 500 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시험하였다. 20 내지 50 mW/㎠ 범위의 광도 및 0.5 최소 홍반 선량(MED) 내지 3 MED 범위의 선량을 사용하여 대상을 솔라 시뮬레이터 방사선으로 조사하였다. 솔라 시뮬레이터 방사선(280 내지 400 ㎚)을 위해 1 ㎜ 두께 UG-11 및 2 ㎜ 두께 WG320 (스코트(Schott))로 광원을 필터링하였다. 분광 프로파일이 도 6에 나타나있다.
실험 내내 광섬유를 피부 상에 안전하게 위치시켜 방사선 조사를 섬유/슬릿의 직경으로 제한하였다.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섬유를 피부에 부착하였다. 다중-모드 미시적 및 거시적 영상 기술, 예를 들어, 교차 편광 디지털 영상, UV 여기 형광 영상(UV-excited fluorescence imaging), 분광 영상, 비디오 현미경법 (KH-300, 일본 소재의 히록스) 및 반사율-모드 주사 공초점 현미경법 (비바스캔 1500, 미국 뉴욕주 로체스터 소재의 루시드)을 사용하여 방사선 조사 후 치유 과정을 평가하였다. 미세 상해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광 프로브/슬릿을 일직선으로 정렬하였다.
도 7a는 솔라 시뮬레이터 노출 후 24시간(오른쪽) 및 48시간(왼쪽)에 촬영한 방사선 조사된 부위의 교차 편광 이미지를 나타내며, 홍반을 나타낸다. 괄호 사이 및 4개의 점 사이의 부위를 각각 152.5 mJ/㎠ 및 254.1 mJ/㎠에서 일직선의 200 um 직경 섬유들을 사용해 방사선 조사하였다. 2개의 점 내의 부위는 24.4 mJ/㎠에서 0.5 ㎜ 슬릿을 통해 방사선 조사하였다.
도 7b는 200 um 광섬유 프로브(위) 및 2 ㎜ 직경 원형 광섬유 프로브(아래)를 사용한 방사선 조사에 대한 홍반 수준을 나타낸다. 200 um 광섬유 프로브의 선량은 좌에서 우로 60, 120, 240 및 400 mJ/㎠였고, 2 ㎜ 직경 원형 광섬유 프로브에 대해서는 120 및 240 mJ/㎠였다.
피부 방사선 조사 후 상이한 일자에 촬영한 현미경 이미지 (하이스코프(HiScope))를 몇가지 광학 배율에서 장기간에 걸친 미세 손상의 진전을 추적하는 데 사용하였고 도 8에 나타낸다. 도 9는 방사선 조사 후 순차적인 시점에서 촬영된 유사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홍반과 같은 미세 손상의 다른 태양이 방사선 조사 후 직후 및 24시간에, 그리고 착색이 6일 및 11일에 나타난다.
실시예 3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자외선 차단 지수 SPF 48인 썬스크린의 성능을 생체 내 평가하였다.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유형의 솔라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UV 방사선의 미세 상해를 25% 증가율로 적용하였다. 먼저, 썬스크린이 없이 피부를 시험하여 대상에 대한 MED를 결정하였다. 도 10a는 그 결과를 나타낸다. 이 시험은 COLIPA 표준에 의해 추천되는 바와 같은 비교용의 8 ㎜ 직경 레귤러 광시험 섬유 및 미세 손상 섬유 둘 모두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부위 1 내지 부위 6에 대해 각각 15.5, 12.4, 9.9, 7.9, 6.3, 및 5.1 mJ/㎠의 선량을 적용하였다. MED를 결정하였는데 9.9 mJ/㎠ (부위 3)였다.
이어서 썬스크린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2 ml/㎟) 피부를 부위 1 내지 부위 3에 대해 각각 470, 381, 304.8, mJ/㎠의 선량으로 방사선 조사하였다 (도 10b). 부위 "1a", "2a", 및 "3a"는 8 ㎜ 직경 섬유를 사용하여 방사선 조사하였고 부위 "1b", "2b" 및 "3b"는 미세 상해 섬유를 사용하여 방사선 조사하였다. 썬스크린을 사용한 MED를 측정하였는데 470 mJ/㎠ (부위 1)였다. 생체 내 SPF는 470/9.9 = 47.5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공칭 값 48과 상관관계가 매우 크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썬스크린 조성물의 생체내 SPF 값을 정확히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인간 피부를 시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간 피부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상해(micro-insult)를 야기하는 단계; 및
    영상 기술(imag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피부를 시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술은 미시적 영상 기술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술은 공초점 현미경법(confocal microscopy), 디지털 영상법, 형광 현미경법, 광학 간섭 단층촬영법(optical coherence tomography), 2광자 형광 현미경법, 2차 고조파 발생 현미경법(second harmonic generation microscopy), 간섭성 반스톡스 라만 산란 현미경법(coherent anti-Stokes Raman scattering microscopy), 및 분광 영상법(spectral imag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상해는 최대 치수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0 마이크로미터만큼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미세 상해가 상기 영역에 적용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상해는 찔림(puncture), 베임(cut), 뎀(burn), 방사선 조사(irradiation) 및 알레르겐(allergen)에 대한 노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방법.
  7.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된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간 피부의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상해를 야기하는 단계; 및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차례대로 포함하는,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된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술은 공초점 현미경법, 디지털 영상법, 형광 현미경법, 광학 간섭 단층촬영법, 2광자 형광 현미경법, 2차 고조파 발생 현미경법, 간섭성 반스톡스 라만 산란 현미경법, 및 분광 영상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상해는 최대 치수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10 마이크로미터만큼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미세 상해가 상기 영역에 적용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상해는 찔림, 베임, 뎀, 방사선 조사 및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방법.
  12.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된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간 피부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상해를 야기하는 단계;
    상기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차례대로 포함하는,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된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술은 공초점 현미경법, 디지털 영상법, 형광 현미경법, 광학 간섭 단층촬영법, 2광자 형광 현미경법, 2차 고조파 발생 현미경법, 간섭성 반스톡스 라만 산란 현미경법, 및 분광 영상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상해는 최대 치수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10 마이크로미터만큼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미세 상해가 상기 영역에 적용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상해는 찔림, 베임, 뎀, 방사선 조사 및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방법.
KR1020100101115A 2009-10-16 2010-10-15 미세 상해 시험 및 그의 용도 KR20110042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80,819 US20110092844A1 (en) 2009-10-16 2009-10-16 Micro-insult test and use therefor
US12/580,819 2009-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022A true KR20110042022A (ko) 2011-04-22

Family

ID=4382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115A KR20110042022A (ko) 2009-10-16 2010-10-15 미세 상해 시험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92844A1 (ko)
EP (1) EP2324766A3 (ko)
KR (1) KR20110042022A (ko)
CN (1) CN102038492A (ko)
BR (1) BRPI1003932A2 (ko)
CA (1) CA2717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19240B2 (en) 2013-02-20 2018-12-20 Cytrellis Biosystem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kin tightening
KR20230146109A (ko) * 2013-05-03 2023-10-18 사이트렐리스 바이오시스템즈, 인크. 피부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클로져 및 관련 방법
WO2015021434A2 (en) 2013-08-09 2015-02-12 Cytrellis Bi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kin treatment using non-thermal tissue ablation
US10953143B2 (en) 2013-12-19 2021-03-23 Cytrellis Biosystem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anipulating subdermal fat
AU2015346141B2 (en) 2014-11-14 2021-07-22 Cytrellis Bio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blation of the skin
AU2017245174A1 (en) 2016-03-29 2018-10-04 Cytrellis Bio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smetic skin resurfacing
EP3515323A4 (en) 2016-09-21 2020-06-10 Cytrellis Biosystems, Inc. COSMETIC RESTRUCTURING DEVICES AND METHODS
CN109770853B (zh) * 2019-01-30 2022-01-14 上海师范大学 一种斑马鱼伤口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9860B1 (fr) * 1995-10-17 1998-01-02 Coletica Complexes amphiphil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en renfermant
CA2369792A1 (en) * 1999-04-27 2000-11-02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Phototherapy method for treatment of acne
DE10203377A1 (de) * 2002-01-29 2003-07-31 Zn Visi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bildgestützten Auswertung von Allergiefaktoren
US20060182323A1 (en) * 2005-02-17 2006-08-17 Nikiforos Kollias Device and method for demonstrating and quantifying skin texture
US20080214952A1 (en) * 2005-07-11 2008-09-04 Jose Mir Replaceable Cartridge for Allergy Testing System
US8568314B2 (en) * 2007-03-08 2013-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assessing subsurface irritation of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03932A2 (pt) 2015-10-27
CA2717710A1 (en) 2011-04-16
CN102038492A (zh) 2011-05-04
US20110092844A1 (en) 2011-04-21
EP2324766A3 (en) 2012-06-20
EP2324766A2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2022A (ko) 미세 상해 시험 및 그의 용도
Attia et al. Noninvasive real-time characterization of non-melanoma skin cancers with handheld optoacoustic probes
Wenande et al. Fundamentals of fractional laser-assisted drug delivery: an in-depth guide to experimental methodology and data interpretation
Longo et al. Laser skin rejuvenation: epidermal changes and collagen remodeling evaluated by in vivo confocal microscopy
Zhu et al. Recent progress in tissue optical clearing
Koenig Hybrid multiphoton multimodal tomography of in vivo human skin
Tsai et al. Multiphoton microscopy in dermatological imaging
González et al. Confocal imaging of sebaceous gland hyperplasia in vivo to assess efficacy and mechanism of pulsed dye laser treatment
König Clinical in vivo multiphoton FLIM tomography
US6275726B1 (en) Methods of enhanced light transmission through turbid biological media
Liu et al. Enhancement of skin optical clearing efficacy using photo‐irradiation
Stelzle et al. The impact of laser ablation on optical soft tissue differentiation for tissue specific laser surgery-an experimental ex vivo study
KR20140090184A (ko) 생체 조직에서의 멜라닌과 같은 내생적 형광단의 특정 3d 검출, 시각화 및/또는 정량화를 위한 비침습적 방법
Yang et al. Feasibility of ablative fractional laser-assisted drug delivery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oukas et al. Fluorescence Excitation Spectroscopy for the Measurement of Epidermal Proliferation¶
Tsai et al. Visualizing radiofrequency–skin interaction using multiphoton microscopy in vivo
Klyuchareva et al. Treatment of basal cell cancer with a pulsed copper vapor laser: a case series
Ekelem et al. The effect of melanin on in vivo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the skin in a multiethnic cohort
Wang et al. Quantitative multilayered assessment of skin lightening by photoacoustic microscopy
Medved et al. Facial microcirculatory and biomechanical skin properties after single high energy (Er): YAG laser application
Shiu et al. Non-invasive imaging techniques for monitoring cellular response to treatment in stable vitiligo
Alhallak et al. Skin, light, and their interactions
Wang et al. Monitoring skin trauma healing in mice using second-harmonic generation combined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tner et al. Confocal microscopy: innovative diagnostic tools for monitoring of noninvasive therapy in cutaneous malignancies
König et al. In vivo two-photon imaging of topically applied care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in human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