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931A - 변압기 철심 - Google Patents

변압기 철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931A
KR20110041931A KR1020090098973A KR20090098973A KR20110041931A KR 20110041931 A KR20110041931 A KR 20110041931A KR 1020090098973 A KR1020090098973 A KR 1020090098973A KR 20090098973 A KR20090098973 A KR 20090098973A KR 20110041931 A KR20110041931 A KR 20110041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transformer
primary
present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남표
장순흥
조동호
조규형
임춘택
김종우
허진
손영동
최주영
김윤호
장지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9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931A/ko
Publication of KR2011004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Abstract

본 발명의 변압기 철심은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다수개의 금속복합부재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대향하는 변압기내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표면이 절연 처리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를 설치하여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이 상호간에 근접한 거리에서 절연됨으로써 절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압기내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 상호간의 거리가 절연 처리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에 의해 근접하게 됨으로써 전력변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변압기, 절연, 철심, 메탈 파이버, 금속복합섬유

Description

변압기 철심{TRANSFORMER IRON CORE FOR INSULATION}
본 발명은 변압기 철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절연 처리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를 설치하여 공극 간격을 줄인 절연 특성이 우수하고 저항이 크지 않은 변압기 철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권선에 의해 또는 탭을 가진 단일 권선에 의해 두 전기회로를 유도 결합하는 장치를 말하며, 절연물에 따라 유입 변압기와 건식 변압기 및 가스절연 변압기로 분류되고, 냉각 방식에 따라 자냉식과 풍냉식 및 액냉식으로 분류되며, 권선의 개수에 따라 단권, 2권선, 3권선, 다권선 등으로 분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1차측 철심(10)과 2차측 철심(30)이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1차측 철심(10)과 2차측 철심(30)간에 절연이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압기내 철심 구조는 절연효율은 우수하지만 전력변환효율이 저하되 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대향하는 변압기내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표면이 절연 처리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를 설치하여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이 상호간에 근접한 거리에서 절연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철심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철심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다수개의 금속복합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금속복합부재의 표면은 절연 재료로 피막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복합부재는 상기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삽착되어 상대측 철심과 소정의 이격된 거리를 두고 근접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대향하는 변압기내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표면이 절연 처리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를 설치하여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이 상호간에 근접한 거리에서 절연됨으로써 절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압기내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 상호간의 거리가 절연 처리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에 의해 근접하게 됨으로써 전력변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변압기용 철심에 설치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압기용 철심은 1차측 철심(50)과, 2차측 철심(70) 및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대향하는 1차측 철심(50)과 2차측 철 심(70)에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90)를 포함한다. 변압기내 1차측 철심(50)과 2차측 철심(70)에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90)의 표면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연 재료로 피막이 형성되어 절연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90)는 1차측 철심(50)과 2차측 철심(70)에 각각 삽착되어 상대측 철심과 소정의 이격된 거리를 두고 근접하게 설치됨으로써 1차측 철심(50)과 2차측 철심(70)이 근접한 거리를 갖게 되어 전력변환효율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변압기용 철심에 설치된 다수개의 메탈 파이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3)

  1. 변압기 철심으로서,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다수개의 금속복합부재가 형성된 변압기 철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복합부재의 표면은 절연 재료로 피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철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복합부재는 상기 1차측 철심과 2차측 철심에 각각 삽착되어 상대측 철심과 소정의 이격된 거리를 두고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철심.
KR1020090098973A 2009-10-16 2009-10-16 변압기 철심 KR20110041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973A KR20110041931A (ko) 2009-10-16 2009-10-16 변압기 철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973A KR20110041931A (ko) 2009-10-16 2009-10-16 변압기 철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931A true KR20110041931A (ko) 2011-04-22

Family

ID=4404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973A KR20110041931A (ko) 2009-10-16 2009-10-16 변압기 철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9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505B1 (ko) 전력용 변압기
JP2009088422A (ja) 三相用誘導電器
KR20130076930A (ko) 변압기의 철심
KR101088171B1 (ko) 냉각 파이프를 구비하는 주상변압기
US8471664B1 (en) Transformer without coil racks
KR20110041931A (ko) 변압기 철심
JP2013191623A (ja) リアクトル
CN104737247A (zh) 用于冷却的装置
KR20130076934A (ko) 변압기
CN203760299U (zh) 一种逆变焊机变压器
JP2013162009A (ja) モールド変圧器
JP2015065263A (ja) 変圧器
US20210398741A1 (en) Medium frquency transfomer
CN104040651A (zh) 变换器芯
JP2016157915A (ja) 巻線の渦電流損失が低減される変圧器
US20160293324A1 (en) Bobbin structure of transfomer
CN103680857A (zh) 新结构的三相五柱电抗器
CN202230846U (zh) 一种绕组及设置该绕组的变压器和电抗器
JP2006100513A (ja) リアクトル
JP2016207845A (ja) 静止誘導電器
KR101373689B1 (ko) 중소형 ac, dc 고주파리액터
CN203706807U (zh) 新结构的三相五柱电抗器
CN203950661U (zh) 立式变压器
CN204257355U (zh) 变压器及其绕线结构
KR20130066216A (ko) 돌극형 발전기의 회전자 코일 지지 플레이트 및 회전자 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