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921A - 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 - Google Patents

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921A
KR20110041921A KR1020090098957A KR20090098957A KR20110041921A KR 20110041921 A KR20110041921 A KR 20110041921A KR 1020090098957 A KR1020090098957 A KR 1020090098957A KR 20090098957 A KR20090098957 A KR 20090098957A KR 20110041921 A KR20110041921 A KR 2011004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teel sheet
polyester
we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4937B1 (en
Inventor
전성수
이만우
이원영
이광기
이상혁
Original Assignee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937B1/en
Publication of KR2011004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9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9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URPOSE: A coated steel plate for an exterior material is provided to enhance process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since a middle coated layer is formed, which has tight contact performance with priming and finishing coated layers. CONSTITUTION: A coated steel plate(100) for an exterior material comprises a base steel plate(110), a priming coated layer(120), a middle coated layer(130), and a finishing coated layer(140). The priming coated layer is formed on the base steel plate. The priming coated layer contains epoxy-modified or polyester-modified primer. The middle coated layer is formed on the priming coated layer. The middle coated layer contains two or more kinds of polyester resin as main resin, and melamin resin as cross-linking resin, and blocked isocyanate. The polyester resin has mean molecular weight of 5,000~20,000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50°C. The finishing coated layer contains two or more kinds of oil-free polyester resin and melamin resin.

Description

외장재용 도장강판{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지붕재 등의 외장재에 사용되기 위한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가공성, 내구성 등 도막물성이 우수한 도장강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ted steel sheet excellent in coating properties such as workability and durability while having a beautiful appearance for use in exterior materials such as roofing materials.

종래의 건축 지붕재용 소재는 외관이 미려하고 거친 질감을 가진 천연 아스팔트싱글 시트 또는 금속기와 형태로 프레스 처리한 용융도금강판에 돌가루를 뿌린 제품을 사용하였으나 가격이 높아 대중화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의 대체품으로 제품수명이 우수하면서도 경제적인 가격의 금속기와형 칼라도장강판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표면의 매끄러움으로 인하여 지붕재 설치 작업중 낙반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단조로움으로 인하여 수요가의 외면을 받아왔다.Conventional building roofing materials used natural asphalt single sheet with a beautiful appearance and rough texture, or a product sprayed with stone o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pressed in the form of metal, but it was difficult to popularize due to its high price. Although the product lifespan is excellent and the metal sheet-type color coated steel sheet of economical price is widely used, it also causes the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 and fall during roofing installation work due to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Has been given away.

그리고 지붕재의 특성상 농색계열의 색상이 대부분 적용되는 관계로 담색 계열에 비하여 태양광의 적외선 흡수율이 높아 지붕재용 소재 자체의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건축물 내부 온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 material, the color of the deep color series is mostly applied, and thu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uilding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roofing material itself due to the high infrared absorption rate of the solar light as compared to the pale color series.

햇빛은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으로 구성되며 이중 700 ~2500 nm사이의 긴파장의 적외선은 태양에너지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열을 가지고 있어 열선이라 불리기도 한다. 또한, 전구등의 전자제품에서도 열이 적외선의 형태로 발산된다. 따라서, 외부 또는 내부의 열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근적외선을 차단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다.Sunlight is composed of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infrared rays. Among them, long-wave infrared rays between 700 and 2500 nm have heat that is almost half of the solar energy, which is also called a hot ray. In addition, heat is emitted in the form of infrared rays in electronic products such as light bulbs. Therefore, in order to block external or internal heat, it is important to block near infrared rays and emit far infrared rays.

현재 건축 내외장재에 사용되는 자재의 재료 및 표면의 색상 선택에 따라 건축물 내부 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외장재의 색은 외부의 햇빛 또는 열을 차단하거나 흡수하기도 한다. 또한, 금속 지붕재는 기와 또는 슬레트 등의 천연 지붕재에 비하여 열전달율이 높아서 외부의 열이 그대로 전도 복사되어 실내의 내부 온도를 높이기도 한다. 따라서 건축용 지붕재에서는 외부의 열을 차단시키는 데 그 재료 및 색의 선택은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The choice of materials and the color of the surface of materials currently used for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buildings. The color of the exterior material may block or absorb external sunlight or heat. In addition, the metal roofing material has a higher heat transfer rate than natural roofing materials such as roof tiles or slits, so that the external heat is radiated as it is, thereby increa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oom. Therefore, in building roofing, the choice of materials and colors is an important factor in blocking external heat.

또한, 열에 의한 외장재의 팽창과 수축은 칼라강판의 도막박리, 변색, 광택저하, 가공부위의 도막크랙 등의 변형을 가져오게 한다. 따라서 외부의 열을 차단시킴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한층 더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장재의 열차폐성은 에너지 절감효과 및 제품의 라이프사이클(life cycle)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xterior material due to heat causes deformation of the coating film of the color steel sheet, discoloration, gloss reduction, coating film cracks on the processed portion, and the lik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heat shielding of the exterior material has the effect of saving energy and extending the life cycle of the product since the external life can be used to further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그뿐 아니라 외장재에서는 내후성, 내식성, 내자외선성, 내스크래치성 및 가공성 등의 기능성이 요구된다. 또한, 지붕재 등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도장강판의 경우 시각적인 미려함, 열 차폐 기능 뿐만 아니라 장기간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 가공성이 저하되고 그 결과 도금강판 자체에 녹발생이 발생하는 등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exterior material requires functionality such as weather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UV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workabili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painted steel used as an exterior material such as a roofing material, the visual beauty, heat shielding function as well as long-term durability should be ensured. However, if the durability is improved, workability is lowered, and as a result, there is a fear that adverse effects such as rusting occur in the plated steel sheet itself.

이에, 본 발명은 시각성, 열차폐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기본 물성 및 가공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외장재용 도장강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ating steel sheet for exterior materials having excellent durability while exhibiting visual properties, heat shielding function while minimizing the effects on basic phys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or exhibit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일 측면에 따르면, 외장재로 사용되는 도장강판으로서, 하기 층들을 포함하는 외장재용 도장강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as a coated steel sheet used as an exterior material, it provides a coated steel sheet for the exterior material comprising the following layers.

a. 소지강판; a. Steel plate;

b. 상기 소지강판 상에 형성되고, 에폭시변성 또는 폴리에스테르변성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하도도막층; b.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and including an epoxy-modified or polyester-modified primer;

c. 상기 하도도막층 상에 형성되고, 주수지로서 수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5~50℃이며 OH값이 0~3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2 종 이상, 가교수지로서 멜라민 수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하는, 중도도막층; 및c. 2 or more types of polyester resins which are formed on the said undercoat layer, whos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s are 5,000-20,000 as a main resi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5-50 degreeC, and an OH value 0-30, and a crosslinking resin. A middle coating layer comprising a melamine resin and a blocked isocyanate; And

d.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2종 이상과 멜라민 수지를 포함하는 상도도막층.d. A top coat film layer comprising two or more oil-free polyester resins and a melamine resin.

상기 중도도막층에서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i)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12,000 이고, OH 값이 25 ~ 50 이며, 유리전이온도가 15 ~ 25인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ii) 수평균 분자량이 7,000 내지 15,000 이고, OH 값이 25 ~ 35 이며, 유리전이온도가 5 ~ 10인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olyester resin which is the main resin in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is (i) a first polyester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12,000, an OH value of 25 to 50,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5 to 25, and (ii The second polyester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7,000 to 15,000, an OH value of 25 to 35,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 to 10;

상기 멜라민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1000인 메톡시형 또는 메톡시 부톡시 혼합형 멜라민 수지일 수 있다. The melamine resin may be a methoxy type or methoxy butoxy mixed melamine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 to 1000.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이하의 해리온도를 갖는 블록킹제(Blocking agent)로 블록화 된 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The blocked isocyanate may be an isocyanate blocked with a blocking agent having a dissociation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of the main resin, polyester.

상기 블록킹제는 해리온도가 80 ~ 200℃이고, 페놀형 화합물, 옥심(oxime) 화합물, 알코올 화합물, 알킬페놀 화합물, 활성 메틸렌 화합물, 머캡탄 화합물, 산 아미드 화합물, 산 이미드 이미다졸 화합물, 우레아 화합물, 옥심 화합물, 아민 화합물, 이미드 화합물, 파라졸 화합물, 및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TDI(Toluenediisocyanate), MDI(Diphenylmethanediisocyanate), IPDI(Isoporondiisocyanate), NDI(Naphthalenendiisocyanate), HDI(Hexamethylene diisocyanat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blocking agent has a dissociation temperature of 80 to 200 ° C., a phenolic compound, an oxime compound, an alcohol compound, an alkylphenol compound, an active methylene compound, a mercaptan compound, an acid amide compound, an acid imide imidazole compound, and a urea.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pound, an oxime compound, an amine compound, an imide compound, a parasol compound, and an ester compound. In addition, the isocyanat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luenediisocyanate (TDI), Diphenylmethanediisocyanate (MDI), Isoporondiisocyanate (IPDI), Naphthalenendiisocyanate (NDI),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상기 전체 중도도막층의 중량 대비,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1 ~ 5 중량%로 포함되고, 멜라민 수지는 1 ~ 10 중량%로 포함되며, 멜라민 수지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 가교 수지의 총량은 3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Block isocyanat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melamine resin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and a total amount of crosslinked resin including melamine resin and block isocyanate is 3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It may be included as.

상기 중도도막층은 유기용제 10 ~ 30 중량%; 수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5~30℃이며 OH값이 0~30인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2 종 이상 10 ~ 85 중량%; 멜라민 수지 3 ~ 10 중량%;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2 ~ 5 중량%; 및 유기안료, 무기안료, 체질안료, 디포밍제, 레벨링제, 경화 촉진제, 색분리 방지제, 블록킹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 0 ~ 4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is 10 to 30%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Two or more oil-free polyester resins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20,000,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5 to 30 ° C, and an OH value of 0 to 30; Melamine resin 3-10 wt%; 2 to 5 weight percent of blocked isocyanates; And 0 to 40% by weight of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ganic pigments, inorganic pigments, extender pigments, deforming agents, leveling agents, curing accelerators, color separation agents, and antiblocking agents. Can be formed.

상기 하도도막층과 중도도막층의 두께 합은 10~20 ㎛이고, 상도도막층의 두께는 30 ㎛ 이하일 수 있다. The total thickness of the undercoat layer and the intermediate coat layer may be 10 to 2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top coat layer may be 30 μm or less.

상기 상도도막층은 수평균 분자량이 6,000~15,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1~40℃이며, OH값은 25~50인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멜라민 수지를 반응시킨 변성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무기안료, 세라믹 안료 또는 주름형성제 중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p coat layer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15,000,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1 to 40 ° C, an OH value of 25 to 50, an oil-free polyester resin, and a modified oil-free poly-reacted melamine resin. Ester resins; And it may include an additive selected from inorganic pigments, ceramic pigments or wrinkle forming agents.

상술한 외장재용 도장강판은 지붕재용 칼라강판으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표면에 주름 또는 요철이 형성된 지붕재용 칼라강판에 적용될 수 있다. The coated steel sheet for the exterior material may be used as the color steel sheet for the roofing material, and in particular, may be applied to the color steel sheet for the roofing material having wrinkles or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들이 하기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언급한 실시예들로만 한정되어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performing the same will be understood more readily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장강판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예시에 따른 도장강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참고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부분에는 동일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ach layer constituting the co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For reference,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in the drawings are give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In addition, the dimension ratio of drawing is not limited to the ratio shown.

도 1을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외장재용 도장강판(100)은 하기 층들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ated steel sheet 100 for an exterior material includes the following layers.

a. 소지강판(110); a. Holding plate 110;

b. 상기 소지강판 상에 형성되고, 에폭시변성 또는 폴리에스테르변성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하도도막층(120); b. It is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including an epoxy-modified or polyester-modified primer, the undercoat layer 120;

c. 상기 하도도막층 상에 형성되고, 수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5~30℃이며 OH값이 0~30인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2 종 이상, 및 멜라민 수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ocyanate)로 이루어진 가교수지를 포함하는, 중도도막층(130); 및c. Two or more oil-free polyester resins formed on the undercoat lay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20,000,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5 to 30 ° C, and an OH value of 0 to 30, and a melamine resin; A middle coating layer 130 including a crosslinked resin made of blocked isocyanate; And

d.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2종 이상과 멜라민 수지를 포함하는,상도도막층(140).d. A top coat layer 140 comprising two or more oil-free polyester resins and a melamine resin.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도장강판(100)은 2 코팅-2 베이킹 시스템이 아니라 3 코팅-3 베이킹 시스템으로 하도(120), 중도(130), 상도(140)의 3층 구조를 갖는다. 즉, 하도(120)와 상도(140)의 사이에 이들과 밀착성이 우수한 중도(130)를 도입하였다. 이에, 최종 사용자의 다양한 가공에도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우수한 가공성을 발휘할 수 있다. The coated steel sheet 100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layer structure of the undercoat 120, the midway 130, and the top coat 140 as the three coating-3 baking system, not the two coating-2 baking system. That is, the midway 130 with excellent adhesiveness between the lower road 120 and the upper road 140 was introduced. As a result, adhesion can be maintained even for various processing of the end user, and excellent workability can be exhibited.

상기 각 층들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요가의 요구 및 도장강판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each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demand and the use of the coated steel sheet.

하나의 예에서, 하도도막층(120)과 중도도막층(130)의 두께의 합이 10~20 ㎛가 되도록 한 후 상도도막층(140)의 두께를 3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30 ㎛로 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 우수하다. 상도도막의 두께가 15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표면주름이 미세하게 형성되며, 30㎛ 이상에서는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In one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op coat layer 140 is 30 μm or less, preferably 15 to 30 after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bottom coat layer 120 and the middle coat layer 130 is 10-20 μm. When it is set to 탆,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When the thickness of the top coat is 15 μm or less, fine surface wrinkles are formed, and at 30 μm or more,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이러한 도장강판은 가혹한 가공에 대해서도 우수한 가공성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질감 및 외관을 나타내는 주름, 요철 등을 형성시킨 칼라강판에 적용시 다양한 수요가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다. Since the coated steel sheet can exhibit excellent processability even in harsh processing, it can meet various demands when applied to color steel sheets having wrinkles, irregularities, etc., which exhibit excellent texture and appearance.

상술한 외장재용 도장강판에서 각각의 도막층은 단일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층을 추가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oated steel sheet for the exterior material, each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and various layers may be added as necessary.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도 2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용 도장강판(101)은 상기 소지강판과 하도도막층(120) 사이에 소정의 전처리층(1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층(111)은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층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2, the coated steel sheet 101 for the exterior material may form a predetermined pretreatment layer 111 between the base steel plate and the undercoat layer 120. . The pretreatment layer 111 may be a chromate or non-chromate layer.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도 3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용 도장강판(102)은 상도도막층(140) 상에 소정의 클리어 도막층(141)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3, the coated steel sheet 102 for the exterior material may additionally form a predetermined clear coating layer 141 on the top coat layer 140.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도 4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용 도장강판(103)은 소지강판(110)의 하부에 제 2 하도도막층(121)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제 2 하도도막층(121)의 하부에 다양한 층(150)을 부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4, the coated steel sheet 103 for the exterior material may further form a second undercoat layer 121 under the base steel plate 110, and is optional. Accordingly, various layers 150 may be ad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ndercoat layer 121.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예시에 따른 도장강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1 looks at each of the layers constituting the pain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in detail.

1.One. 소지강판Steel plate

상기 소지강판으로는 예를 들어, 아연-알루미늄-실리카 합금도금강판, 전기/용융아연도금처리한 도금강판 등 아연 또는 아연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구리판, 알루미늄판, 스테인레스 원판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As the base steel sheet, for example, a zinc-aluminum-silica alloy plated steel sheet or a plated steel sheet having a zinc or zinc alloy plated layer formed thereon, such as an electroplated / hot dip galvanized plated steel sheet, may be used. Alternatively, a copper plate, an aluminum plate, a stainless disc, or the like can also be used.

하나의 예에서, 0.4~0.5t 의 G/L, GI Al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one example, 0.4 to 0.5t of G / L, GI Al,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필요에 따라 상기 소지강판 상에는 내식성을 높이거나 하도도막층(12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처리층으로서 논-크로메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는 한편, 크로메이트에 비해 내식성, 가공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수요가의 요구 및 용도에 맞게 크로메이트 또는 3가 크롬을 전처리층으로 선택할 수 있다. If necessary, a pre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in order to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or improve adhesion to the undercoat layer 120. In the case of using non-chromate as a pretreatment lay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whil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are somewhat inferior to chromate. Therefore, chromate or trivalent chromium may be selected as a pretreatment layer in accordance with demand and use of the demand.

2.2. 하도도막층Undercoat

하도도막층(120)은 일반적인 내식성, 상도와 엠보스된 강판과의 부착성 강화 등 이외에도 연신율을 부여하여 소재와 상도 사이 계면에서 충분한 완충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가공시 발생되는 소재의 균열이 상도층까지 발전되지 않고 하도층에서 흡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o the general corrosion resistance, strengthening the adhesion between the top and embossed steel sheet, the undercoat layer 120 is provided with an elongation to provide a sufficient buffering ac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top coat, so that the cracks of the material generated during processing to the top coat layer It does not develop and plays a role in being absorbed in the lower layer.

이러한 하도도막층(120)의 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하도, 에폭시계 하도, 아크릴계 하도, 아크릴계 프라이머 또는 이를 변성한 계의 하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material of the undercoat layer 120 may be, for example, polyester, undercoat, epoxy undercoat, acrylic undercoat, acrylic primer, or undercoat of modified typ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업적으로 수득가능한 폴리에스테르계 하도로는 고려화학(주)의 FP 1800 series, 삼성정밀(주)의 Y005 series, DCC(주)의 HDP 600,삼화페인트(주)W003 등이 있다.Commercially obtainable polyester-based roadways include FP 1800 series of Korea Chemical Co., Ltd., Y005 series of Samsung Precision Co., Ltd., HDP 600 of DCC Co., Ltd., and W003 of Samwha Paint Co., Ltd.

상기 하도도막층(120)에는 선택적으로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내식성을 위하여 방청안료를 사용할 수 있는 바, PCM용 도료에 사용되는 유기, 무기안료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The undercoat layer 120 may optionally include a pigment. The pigments can be used for the corrosion resistance bar to prevent corrosion,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used in PCM paint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방청안료는 독성 안료 또는 납이나 크롬이 배제된 무독성 방청안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방청안료는 납 및 크롬이 함유된 레드 리드(Red Leed), 징크 포타슘 크로메이트(Zinc Potassium Chremate), 징크 테트라옥시 크로메이트(Zinc Tetra Chromate), 스트론티움 크로메이트(strontium Chromate)가 있으며, 무독성 방청안료로는 대표적인 Borate계는 바륨 메타보레이트(Barium Metaborate), Molybdate계는 징크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칼슘징크몰리브데이트(Calcium Zinc Molybdate), Phosphate계는 징크 포스페이트(Zinc Phosphate), 알루미늄 트리포스페이트(Aluminum Triphosphate), silicate계는 칼슘 보로실리케이트(Calcium Borosilicate), 포스포실리케이트(Phosphosilicate), 칼슘 이온-교환 실리케이트(Calcium Ion-exchanged Silicate), 마그네슘 이온-교환 실리케이 트(Magnecium Ion-exchanged Silicate) 등이 있다.Anti-rust pigments may optionally be used as toxic pigments or non-toxic anti-rust pigments free of lead or chromium. Existing rust preventive pigments include Red Leed, Zinc Potassium Chremate, Zinc Tetra Chromate and Strontium Chromate containing lead and chromium. Typical pigments include barium metaborate, barium metaborate, zinc molybdate, zinc zinc molybdate, zinc zinc phosphate and zinc phosphate. Phosphate (Aluminum Triphosphate), silicate based calcium borosilicate (Calcium Borosilicate), Phosphosilicate (Calcium Ion-exchanged Silicate), Magnesium Ion-exchanged Silicate (Calcium Ion-exchanged Silicate) ).

3.3. 중도도막층Middle coating layer

도장강판의 가공성의 측면을 고려할 때, 상도도막층(140)의 가교밀도가 높을 경우 강직성으로 인해 층간 밀착력이 낮아지고 가공시 도막에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가교화 정도가 너무 낮으면 충분한 내구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In view of the workability of the coated steel sheet, when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top coat layer 140 is high, the adhesion between the layers is lowered due to the rigidity, and defects such as cracks are likely to occur in the coating film during processing. However, when the degree of crosslinking is too low, it is difficult to exhibit sufficient durability.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가공성 및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상도도막층(140)에 비해 가교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중도도막층(130)을 하도도막층(120)과 상도도막층(140)의 사이에 형성한다. Thu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iddle coat layer 130 and the top coat layer 120 and the top coat layer 140 having a relatively low crosslinking density compared to the top coat layer 140 to satisfy both processability and durability. Form between.

상기 중도도막층(130)의 가교밀도를 상도도막층(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추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첫째로 주쇄(backbone)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 가지형(Branch) 비율을 줄이고 선형(linear Structure) 비율을 높인다. 이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5~50℃이며 OH값이 0~30인 수지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2 종 이상일 수 있다. In order to lower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30 relative to the upper coating layer 140, the present inventors first reduce the branch ratio in the backbone polyester resin and linear structure. Increase the ratio Thus, as the polyester resin, a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20,000,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5 to 50 ° C., and an OH value of 0 to 30 may be preferably applied. Such polyester-based resin may be 2 or more types.

둘째로, 가교수지로서 통상 사용되는 멜라민 수지 이외에 소정의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도막의 유연성을 높인다. Second, in addition to the melamine resin usually used as a crosslinking resin, a predetermined block isocyanate is added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coating film.

이러한 도막설계를 통해 하도도막층(120)과 상도도막층(140) 사이에서 중도도막층(130)이 완충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가공성 및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도 장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중도도막층(130)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Through the coating design,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30 plays a buffer role between the lower coating layer 120 and the upper coating layer 140, thereby manufacturing a coating steel sheet that satisfies both processability and durability. Hereinafte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주수지Main resin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중도도막층(130)에는 상도도막층(140)에 사용되는 주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형 비율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수지로 사용할 수 있다. In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ester resin having a relatively high linear ratio compared to the main resin used for the upper coating layer 140 may be used as the main resin.

건자재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PCM 도료용 레귤러 폴리에스테르(Regular Polyester) 수지는 주쇄(Backbone)에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 카르복실 그룹(Carboxyl Group)등과 같은 관능기가 가지(Branch)를 이루고 있는 가교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이는, 가교제(경화제)로 사용되는 멜라민 수지와 가교형성시 망상구조를 갖게 됨으로서 도막형성 후에 도막의 연신(Elongation)이 극히 제한적이었다. Regular polyester resins for PCM paints, which are commonly used for building materials, have branched functional groups such as hydroxyl groups and carboxyl groups in the backbone. It is a crosslinking polyester resin. This has a network structure at the time of crosslinking with the melamine resin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curing agent), so that the elongation of the coating film after the coating film formation is extremely limited.

반면, 주쇄가 선형구조(linear Structure)인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도막의 연신율은 매우 우수하나 내후성, 내자외선성, 내식성 부문이 취약하다. On the other hand, linear polyester resins having a linear structure of the main chain have excellent elongation of the coating film but are weak in weather resistance, ultraviole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하기 항목 4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도도막층(140)에는 가지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수지로서 이용한다. 이에, 중도도막층(130)의 주수지는 상도도막층(140)에 비해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을 높임으로써 상도도막층(140)에 비해 낮은 가교밀도를 가질 수 있다. 선형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지는 바, 본 발명의 예에서는, 중도도막층(130)에 유리전이온도 가 낮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상대적으로 다량 첨가한다. As described later in Item 4, a branched polyester resin is used as the main resin for the top coat layer 140. Thus, the main resin of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30 may have a lower crosslink density than the upper coating layer 140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linear polyester resin compared to the upper coating layer 140. As the content of the linear polyester increase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owered.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polyester resin having a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added to the middle coating layer 130.

하나의 예에서,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12,000 이고, OH 값이 25 ~ 50 이며, 유리전이온도가 15 ~ 25인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A), 및 수평균 분자량이 7,000 내지 15,000 이고, OH 값이 25 ~ 35 이며, 유리전이온도가 5 ~ 10인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B);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polyester resin as the main resin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12,000, an OH value of 25 to 50,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5 to 25 as shown in Table 1 below. A),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s 7,000 to 15,000, the OH value is 25 to 35, the second polyester resin (B)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 to 10;

분자량Molecular Weight OH값OH value TgTg A.VA.V 주수지 합성 성분Main resin compound 수지AResin A 6000~120006000-12000 25~5025-50 15~2515-25 10↓10 ↓ 이소프탈릭산,
2-디메틸-1
Isophthalic Acid,
2-dimethyl-1
수지BResin B 7000~150007000 ~ 15000 25~3525-35 5~105 to 10 10↓10 ↓ 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3-프로판 디올
Phthalic anhydride,
3-propane diol

[표 1]TABLE 1

이러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수지로서 사용하는 경우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도도막층(140)과 하도도막층(120) 사이의 층간 부착성이 증대될 수 있다.  When the two kinds of polyester resins are used as the main resin, not only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but also the interlayer adhesion between the top coat layer 140 and the bottom coat layer 120 may be increased.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상기 가교수지로 사용되는 멜라민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멜라민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멜라민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1000인 메톡시형 또는 메톡시 부톡시 혼합형 멜라민 수지일 수 있다. 부톡시 멜라민 단독이나 메톡시 멜라민과 부톡시 멜라민의 혼합물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와의 상용성이 급격히 떨어져, 멜라민이 도료의 상층부로 이전되어 표면주름형성에 방해가 되거나 작업성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e melamine resin used as the crosslinking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lamine resin can be used. In one example, the melamine resin may be a methoxy type or methoxy butoxy mixed type melamine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 to 1000. When the butoxy melamine alone or a mixture of methoxy melamine and butoxy melamine is used, the compatibility with the polyester resin is drastically reduced, and the melamine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nt, which may interfere with surface wrinkle formation or cause poor workability. Because it can.

시판 멜라민 수지의 예로는 RRESIMINE 755(SOLUTIA사), RESIMINE 757(SOLUTIA사), RESIMINE 751(SOLUTIA사), CYMEL 1168(CYTEL사), CYMEL 1170(CYTEL사), CYMEL325(CYTEL사), CYMEL 232(CYTEL사), CYMEL 303(CYTEL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멜라민 수지의 함량은 1 ~ 5 중량%일 수 있다.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melamine resins include RRESIMINE 755 (SOLUTIA company), RESIMINE 757 (SOLUTIA company), RESIMINE 751 (SOLUTIA company), CYMEL 1168 (CYTEL company), CYMEL 1170 (CYTEL company), CYMEL 325 (CYTEL company), CYMEL232 CYTEL company), CYMEL 303 (CYTEL company),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ent of the melamine resin may be 1 to 5% by weight.

블록 이소시아네이트Block isocyanate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ocyanate)는 상온에서는 다른 수지와 반응을 하지 않고 해리온도 이상 승온하면 해리돠어 반응, 가교에 참여하는 가교 반응형 수지이다. Blocked isocyanate is a crosslinking reaction resin that does not react with other resins at room temperature but rises above the dissociation temperature and participates in the reaction and crosslinking.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하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에 블록킹제(blocking agent)가 반응하여 형성되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성이 제한된다. Block isocyanate is formed by reacting a blocking agent with a compound having an isocyanate group as in Scheme 1 below, and the reactivity of the isocyanate group is limited.

[반응식 1]Scheme 1

Figure 112009063627210-PAT00001
Figure 112009063627210-PAT00001

이러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는 경우 상온에서 폴리에스테르에 포함된 수산기와 반응하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블록킹제의 해리온도 이 상으로 가열시에는 하기 반응식 2에서와 같이 블록킹제가 해리되면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수산기가 신속하게 반응하여 가교화될 수 있다. When the block isocyanate is added, it is maintained at a stable state without reacting with the hydroxyl group included in the polyester at room temperature, while when the blocking agent is heated above the dissociation temperature of the blocking agent, the blocking agent dissociates as shown in Scheme 2 below, and the isocyanate group and the hydroxyl group Can react rapidly and crosslink.

[반응식 2]Scheme 2

Figure 112009063627210-PAT00002
Figure 112009063627210-PAT00002

이러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중도도막층에 첨가함으로써, 상도도막층 및 하도도막층 간의 층간 부착을 증진시키고, 심가공에 대한 완충역할을 할 수 있다. By adding such blocked isocyanate to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interlayer adhesion between the top coating layer and the undercoat layer, and to act as a buffer against deep processing.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이하의 해리온도를 갖는 블록킹제(Blocking agent)로 블록화 된 것일 수 있다. The block isocyanate may be blocked with a blocking agent having a dissociation temperature of less than or equal to the melting point of the main resin, polyester.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구조 내에 NCO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The isocyanate is a generic name for a compound having an NCO functional group in its molecular structure, and both aliphatic and aromatic isocyanates may be used.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메틸렌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릭 MDI), 톨릴렌디아소시아네이트(TDI),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LDI), 수첨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수첨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바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드,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TIDI), 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TO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 아네이트(HMDI),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HDI), 1,12-디이소시아네이토도데칸(DDI),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NBDI), 2,4-비스-(8-이소시아네이토옥틸)-1,3-디옥틸시클로부탄(OCDI), 2,2,4(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DI)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such isocyanates include methylene phenyl diisocyanate (MDI), polymeric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polymeric MDI), tolylene diisocyanate (TDI), lysine diisocyanate (LDI),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 Isocyanate (HMDI), xylene diisocyanate (XDI), hydrogenated xylene diisocyanate, naphthalene diisocyanate (NDI), biphenylenedi isocyanide, 2,4,6, -triisopropylphenyl diisocyanate (TIDI), Diphenyl ether diisocyanate, tolidine diisocyanate (TODI),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4,4'-dicyclohexyl methane diisocyanate (HMDI), 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TMXDI), 2, 2,4-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TMHDI), 1,12-diisocyanatododecane (DDI), norbornane diisocyanate (NBDI), 2,4-bis- (8-isocy Anatooctyl) -1,3-dioctylcyclobutane (OCDI), 2,2,4 (2,4,4,)-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TMDI), and the like. Or two or more types can be mixed and used.

블록킹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블록킹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온에서 용이하게 수산기와 반응하지 않지만, 가열시 해리(unblock)되어 반응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blocking agent may use various blocking agents known in the art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do not easily react with hydroxyl groups at room temperature, but may be unblocked and react when heated.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블록킹제는 수지인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이하의 해리온도를 갖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해리온도가 80 ~ 200℃인 것일 수 있다. In one preferred example, the blocking agent may have a dissociation temperature of less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ster, which is a resin, and a specific example may be a dissociation temperature of 80 to 200 ° C.

블록킹제의 예로는 다양한 페놀형 화합물, 옥심(oxime) 화합물, 알코올 화합물, 알킬페놀 화합물, 활성 메틸렌 화합물, 머캡탄 화합물, 산 아미드 화합물, 산 이미드 이미다졸 화합물, 우레아 화합물, 옥심 화합물, 아민 화합물, 이미드 화합물, 파라졸 화합물,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블록킹제는 페놀, 3-메톡시페놀, 4-메톡시페놀, 노닐페놀(nonylphenol), 메타-크레졸(meta-cresol), 파라크레졸(paracresol), 4-클로로페놀, 메타-히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hydroxybenzaldehyde), 오르토-히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파라히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하이드로퀴논, 1-히드록시-2-프로파논, 3-히드록시아세토페논,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에틸 아세테이트, 카프로락탐, 이미다졸, 피라졸, 피라졸리논, 1.2.4-트리아졸, 디케토피페라진, 말로네이트, 옥심, 시클로헥사논 옥심, 아세토옥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Examples of blocking agents include various phenolic compounds, oxime compounds, alcohol compounds, alkylphenol compounds, active methylene compounds, mercaptan compounds, acid amide compounds, acid imide imidazole compounds, urea compounds, oxime compounds, amine compounds , Imide compounds, parasol compounds, ester compounds and the like. In specific examples, the blocking agent is phenol, 3-methoxyphenol, 4-methoxyphenol, nonylphenol, meta-cresol, paracresol, 4-chlorophenol, meta-hydrate Hydroxybenzaldehyde, ortho-hydroxybenzaldehyde, parahydroxybenzaldehyde, hydroquinone, 1-hydroxy-2-propanone, 3-hydroxyacetophenone, 4-hydroxyacetophenone, ethyl acetate, Caprolactam, imidazole, pyrazole, pyrazolinone, 1.2.4-triazole, diketopiperazine, malonate, oxime, cyclohexanone oxime, acetooxime, and the like.

또한,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가열건조 공정 중 해리된 블록킹제가 기화되지 않음으로써 휘발성 유기 물질의 배출이 최소화되어야 하고, 이로 인한 도막에 악영향이 없고 저독성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ed isocyanate should minimize the release of volatile organic substances by the evaporation of the blocking agent dissociated during the heat drying process, it can be used that has no adverse effect on the coating film and low toxicity.

시판 중인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바이엘로부터 시판중인 Desmodur B1 3175, Desmodur B1 3272, Desmodur B1 3370, Desmodur B1 3475 및 Desmodur B1 4265 및, Baxsenden LLC로부터 시판중인 Trixene BI 7982, Trixene 7983, Trixene BI 7984, Trixene BI 7980, Trixene BI 7960, Trixene BI 7950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block isocyanates include Desmodur B1 3175, Desmodur B1 3272, Desmodur B1 3370, Desmodur B1 3475 and Desmodur B1 4265 available from Bayer, and Trixene BI 7982, Trixene 7983, Trixene BI 7984, Trixene BI 7984 from Baxsenden LLC. 7980, Trixene BI 7960, Trixene BI 7950,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높을수록 도막이 연질이 됨으로써 가공성이 높아지게 되지만,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도막이 너무 연질이 되어 전체 경화도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도막경도가 저하된다. The higher the content of the block isocyanate, the higher the processability of the coating due to the soft film, but if the content is too high, the coating becomes too soft and the overall curing degree is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coating hardness.

이에,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전체 중도도막층(130)의 중량 대비 1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멜라민 수지의 함량이 비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block isocyanat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entir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30, and the content of the melamine resin is preferably low.

또한, 멜라민 수지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 가교 수지의 총량은 전체 중도도막층(130)의 중량 대비 3 ~ 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수지의 총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주름무늬가 지나치게 조밀해지고, 3 중량% 미만이면 경화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the crosslinked resin including the melamine resin and the block isocyanate is preferably 3 to 10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entir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30. If the total amount of the crosslinked resin exceeds 10% by weight, the wrinkled pattern becomes excessively dense, and if the total amount of the crosslinked resin is less than 3% by weight, the curing degree is lowered, which is not preferable.

첨가제additive

중도도막층(130)에는 선택적으로, 유기안료, 무기안료, 체질안료 등의 안료, 디포밍제, 레벨링제, 경화 촉진제, 색분리 방지제, 블록킹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차폐 성능 및 무늬 형성능이 필요 없으므로 열차폐 안료 또는 무늬형성조절제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층간부착을 결여시킬 수 있는 왁스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들에 대해서는 하기 항목 5에서 상술한다.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30 optionall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gments such as organic pigments, inorganic pigments and extender pigments, deforming agents, leveling agents, curing accelerators, color separation inhibitors, and antiblocking agents. can do. However, since the heat shielding performance and the pattern forming ability is not necessary, the heat shielding pigment or pattern forming agent may not be included. Moreover, it is preferable not to contain the wax component which may lack interlayer adhesion. The additiv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section 5 below.

4.4. 상도도막층Top coat layer

상도도막층(14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우수한 가공성, 내후성, 내자외선성, 내식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유지시키도록 주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가교수지로서 멜라민 수지를 반응시킨 변성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The top coat layer 1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modified polyester obtained by reacting a polyester resin as a main resin and a melamine resin as a crosslinking resin can be used to maintain excellent processability, weather resistance, ultraviole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have.

하나의 예에서, 상기 상도도막층(140)은 수평균 분자량이 6,000~15,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1~40℃이고 OH값은 25~50인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2종 및 통상의 멜라민 수지를 반응시킨 변성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하기 표 2에서와 같은 제 3 폴리에스테르 수지(C) A 및 제 4 폴리에스테르 수지(D)일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top coat layer 140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15,000, two or more oil-free polyester resins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1 to 40 ° C. and an OH value of 25 to 50. It may be made of a modified oil-free polyester resin reacted with the melamine resin. The polyester resin may be a third polyester resin (C) A and a fourth polyester resin (D) as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분자량Molecular Weight OH 값OH value TgTg A.VA.V 수지 합성 주성분Synthetic Resin 수지 AResin A 6,000-10,0006,000-10,000 35~5035-50 35~40ㅀ35-40 ㅀ 10↓10 ↓ 이소프탈릭 산(Iso Phthlic Acid),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Iso Phthlic Acid,
2,2-Dimethyl-1,3-propanediol (2,2-Dimethyl-1,3-Propanediol)
수지 BResin B 7,000-15,0007,000-15,000 25~3525-35 1~5ㅀ1 ~ 5 ㅀ 10↓10 ↓ 1,4-디칼르복실릭산(1,4-Dicarboxylic Acid), 프탈릭 안히드라이드(Phthalic Anhydride)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1,4-Dicarboxylic Acid, Phthalic Anhydride
2,2-Dimethyl-1,3-propanediol (2,2-Dimethyl-1,3-propanediol)

또한, 도막표면에 요철 또는 주름을 형성하여 표면촉감성을 부여하거나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상도도막층(140)의 형성을 위한 조성물에 주름형성제를 부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nkle form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top coat layer 140 so that irregularities or wrinkl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to impart surface feel or cause visual interest.

상기 주름형성제로는 순수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순수아민은 주름 형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주성분으로서, 도료를 구성하는 수지의 가교를 촉진하는 보조 경화촉진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도막의 소부 경화시 PMT 170~190℃ 정도에서 표면으로 부상하여 도막의 표면 경화속도를 내부 경화속도보다 빠르게 하고, 이러한 표면과 내부의 경화 속도 차이로 인한 부피 축소에 의하여 서서히 주름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촉진제(주름형성제)로 사용되는 아민들로는 1급, 2급, 3급 아민 모두 사용가능하며 이중 2급 아민이 바람직하다. 1급 아민은 도막에 황변 등 색상의 변화를 가져오고 3급 아민은 표면에 강한 수축을 가져오나 2급 아민의 경우에는 무황변성과 적당한 표면수축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2급 아민 중 트리에틸아민(tri ethyl amine)이 바람직하다. Pure amine may be used as the wrinkle forming agent. The pure amine may serve as a main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size of wrinkle formation, and serves as an auxiliary curing accelerator for promoting crosslinking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paint. Thus, during baking of the coating film, it floats to the surface at about 170 ~ 190 ℃ of PMT to make the surface curing speed of the coating film faster than the internal curing speed, and gradually forms the wrinkles by volume redu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uring speed between the surface and the inside. will be. As the amines used as such co-promoter (wrinkle forming agent), both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amines can be used, and the secondary amine is preferable. This is because primary amines bring about a change in color such as yellowing in the coating film, and tertiary amines bring about strong shrinkage on the surface, but secondary amines have no yellowing and proper surface shrinkage. Of the secondary amines, triethylamine is preferred.

상기 아민의 사용량은 0.5~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표면과 내부의 경화가 동시에 이루어져 주름의 형성이 곤란하며 1.0중 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경화가 너무 급격히 일어나서 도막 표면의 소프트한 질감을 나타내기 어렵다. 그 조절량에 따라 주름의 형성 정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사용목적에 따라 첨가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mount of the amine used is preferably 0.5 to 1.0 parts by weight. If it is less than 0.5 parts by weight,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and the inside of the curing at the same time difficult to form wrinkles,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of the coating film hardly occurs so hard to show the soft texture of the coating film surface. Since the degree of formation of wrinkles varies depending on the adjustment amount, it is prefera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addition amou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상기 상도도막층(140)에는 또한 열차폐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열차폐 안료를 첨가하고, 표면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유기 또는/및 무기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top coat layer 140 may further include a heat shielding pigment for excellent heat shielding properties, and may optionally use organic or / and inorganic fillers to improve surface feel.

상술한 아민에 의한 주름형성과 유·무기필러에 의한 요철로 나타난 도막표면의 주름 및 요철 형태의 입체감은, 상대적으로 빛의 산란을 일으킴으로써 도막의 광택저하를 가져와 무광(보통 20%이하)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통상 도료에 있어 무광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소광제를 약 7~10 %(중량%)정도 과량 사용하는데, 이 경우 수지에 대한 소광제의 PVC(Pigment Volume Content)수치가 높아 도막의 가공성, 내후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저하를 가져오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칼라도장강판의 도막은 주름형성 및/또는 열차폐안료의 흡유량에 의한 자연적인 소광효과로 인하여 소광제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의 무광이나 극무광 도막보다 물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wrinkles formed by the amine and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of the wrinkles and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exhibited by the irregularities caused by the organic and inorganic fillers are relatively light scattering, resulting in the glossiness of the coating film. Effect. In general, an excessive amount of matting agent is used in the paint to about 7-10% (wt%). In this case, the PVC (Pigment Volume Content) value of the matting agent is high for the resin. On the other hand, the coating film of the color coat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atural matting effect due to the natural matting effect due to wrinkle formation and / or oil absorption of heat shielding pigment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physical properties than the ultra matt coating film.

하나의 예에서, 상기 상도도막층(140)에 주름형성 클리어(CLEAR) 도막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top coat layer 140 may further include a CLEAR coating layer.

수요가의 요구에 따라 최상부 도막층을 형성하는 클리어(CLEAR) 도막층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도막층은 안료를 제외한 상도도막층(140) 조성물 기본 베이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도와의 부착성 및 고내후성, 가공성 외에 도막의 표면에서 상도도막층(140) 대비 한층 더 거친 질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펄 및/또는 메탈릭 계열의 안료를 일부 첨가하기도 한다.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ustomer, a CLEAR coating layer forming the top coating layer may be added. The clear coating layer is composed of a base coating composition of the top coat layer 140 excluding the pigment.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rougher texture than the top coat layer 140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in addition to the adhesion with the top coat, high weather resistance, and workability, a pearl and / or metallic pigment may be partially added.

또한, 상기 상도도막층(140)(클리어 도막층이 형성된 경우 클리어 도막층)의 표면에는 스터커(stucco) 등의 요철무늬가 새겨진 양면엠보스롤을 강판에 압하 처리하여 표면에 입체무늬를 형성시켜 의장성을 한층 더 부가할 수도 있다. Also, on the surface of the top coat layer 140 (a clear coat layer when a clear coat layer is formed), a double-sided embossing roll having an uneven pattern such as a stucco is pressed on a steel sheet to form a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surface. It can also add designability further.

상도도막층(140)는 선택적으로, 유기안료, 무기안료, 체질안료 등의 안료, 디포밍제, 레벨링제, 경화 촉진제, 색분리 방지제, 블록킹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에 대해서는 하기 항목 5에서 상술한다.The top coat layer 140 optionally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gments such as organic pigments, inorganic pigments and extender pigments, deforming agents, leveling agents, curing accelerators, color separation inhibitors, and antiblocking agents. can do. The additiv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section 5 below.

5.5. 도장강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ated steel sheet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외장재용 도장강판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ated steel sheet for an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i. 소지강판을 제공하는 단계;i. Providing a steel sheet;

ii. 소지강판 상에, 하도도막층을 이루는 물질을 유기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이하, 하도도막용 조성물'이라고도 함)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하도도막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ii. Applying a composi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omposition for undercoat') in which a material constituting the undercoat layer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on a base steel sheet, followed by drying to form a undercoat layer 120;

iii. 하도도막층(120) 상에, 중도도막층을 이루는 물질을 유기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이하, 중도도막용 조성물'이라고도 함) 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중도도막층(130)을 형성하는 단계;iii. Forming a middle coat layer 130 by applying a composi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omposition for middle coat ') in which a material constituting the middle coat layer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on the undercoat layer 120;

iv. 중도도막층(130) 상에, 상도도막층을 이루는 물질을 유기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이하, 상도도막용 조성물'이라고도 함) 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상도도막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iv. Forming a top coat layer 140 by applying a composi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omposition for a top coat ') in which a material constituting the top coat layer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on the middle coat layer 130.

상기 단계i에서 소지강판은 전기도금 또는 용융도금 처리한 아연 또는 아연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또는 50 ~ 120 mpm의 라인스피드(line speed)로 크롬산염 또는 논-크롬산염 처리하고 60 ~ 140℃에서 건조시켜 전처리층(3)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층은 20~80 ㎎/m2의 크롬산염층 또는 100~250㎎/㎡의 non-크로메이트층일 수 있다. The steel sheet in the step i to form a zinc or zinc alloy plating layer electroplating or hot-dip treatment; And / or chromate or non-chromate treatment at a line speed of 50 to 120 mpm and drying at 60 to 140 ° C. to form the pretreatment layer 3. The pretreatment layer may be a chromate layer of 20-80 mg / m 2 or a non-chromate layer of 100-250 mg / m 2 .

상기 단계 ii 내지 iv에서 각각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롤 코팅법, 바코팅법, 플로어(Floor) 코팅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PMT 100 ~ 240℃ 정도로 수행할 수 있다. The method of applying the respective compositions in the above steps ii to iv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roll coating method, bar coating method, floor coating method, or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the drying may be performed to about 100 ~ 240 ℃ PMT.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iv에서 상도도막층(140)을 형성한 후 클리어 도막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도도막층(140) 또는 클리어도막층에 양면엠보스롤을 사용하여 엠보스 입체무늬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Optionally, after forming the top coat layer 140 in step iv, a clear coat layer may be further formed. In addition, the method may include providing an embossed three-dimensional pattern by using the double-sided embossing roll on the top coat layer 140 or the clear coat layer.

상기 중도도막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기용제 10 ~ 30 중량%; 수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5~30℃이며 OH값이 0~30인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2 종 이상 10 ~ 85 중량%; 멜라민 수지 3 ~ 10 중량%;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2 ~ 5 중량%; 및 안료, 디포밍제, 레벨링제, 경화 촉진제, 색분리 방지제, 블록킹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 0 ~ 4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 is, for example, 10 to 30%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Two or more oil-free polyester resins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20,000,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5 to 30 ° C, and an OH value of 0 to 30; Melamine resin 3-10 wt%; 2 to 5 weight percent of blocked isocyanates; And 0 to 40% by weight of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gments, deforming agents, leveling agents, curing accelerators, color separation inhibitors, and antiblocking agents.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중도도막용 조성물은 하기 표 3과 같은 성분 및 함량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one preferred example, the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 may have a component and a content ratio as shown in Table 3 bel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표 3][Table 3]

구 분division 성분ingredient 함량(무게비) %Content (weight ratio)% 수 지 Suzy 폴리에스테르 수지A(Polyester resin)Polyester resin A 25~4525-45 폴리에스테르 수지B(Polyester resin)Polyester resin B 5~155-15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Melamine resin 3~83 ~ 8 블록 이소시아네이트Block isocyanate 2~52 ~ 5 안 료Fee 유기안료Organic Pigments 0~30-3 무기안료Inorganic pigments 2~302-30 체질안료Sieving pigment 0~50-5 첨 가 제additive 디포밍제Deforming Agent 0.1~1.00.1-1.0 레벨링제Leveling agent 0.3~1.00.3 ~ 1.0 경화촉진제Hardening accelerator 0.1~0.50.1-0.5 색분리방지제Color Separation Agent 0.1~1.00.1-1.0 블록킹방지제Antiblocking Agent 0.1~1.00.1-1.0 용 제Solvent 탄화수소(Hydrocarbon 계)Hydrocarbon 15-2515-25 에스터(Ester 계)Ester (Ester system) 15-2515-25 아세테이트계Acetate 15-2515-25

(원료별 고형분 100%(wt) 기준한 함량치)(Content based on 100% (wt) of solid content per raw material)

또한, 상기 상도도막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기용제 10 ~ 30 중량%; 수평균분자량이 6,000~15,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1~40℃이고 OH값은 25~50인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2종과 멜라민 수지를 반응시킨 변성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화합물 10 ~ 85 중량%; 주름형성제 0.5 ~ 10 중량%; 및 안료, 디포밍제, 레벨링제, 경화 촉진제, 색분리 방지제, 블록킹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 0 ~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p coat composition, for example, 10 to 30%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Modified oil-free polyester compound obtained by reacting two oil-free polyester resins with melamine resin with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15,000,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1 to 40 ° C and OH value of 25 to 50 weight%; Wrinkle forming agent 0.5 to 10% by weight; And 0 to 40 wt% of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gments, deforming agents, leveling agents, curing accelerators, color separation agents, and antiblocking agents.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상도도막용 조성물은 하기 표 4과 같은 성분 및 함량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topcoat composition may have a component and content ratio as shown in Table 4 bel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표 4][Table 4]

구 분division 성분ingredient 함량(무게비) %Content (weight ratio)% 수 지 Suzy 폴리에스테르 수지A(Polyester resin)Polyester resin A 20-4020-40 폴리에스테르 수지B(Polyester resin)Polyester resin B 10-3010-30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Melamine resin 3-103-10 안 료Fee 유기안료Organic Pigments 2-52-5 무기안료Inorganic pigments 5-355-35 열차폐 안료Heat shield pigment 25-3525-35 필 러filler 유기필러Organic filler 0.5-3.00.5-3.0 무기필러Inorganic filler 0.3-1.00.3-1.0 첨 가 제additive 디포밍제Deforming Agent 0.1-1.00.1-1.0 레벨링제Leveling agent 0.1-1.00.1-1.0 경화촉진제Hardening accelerator 0.04-0.10.04-0.1 색분리방지제Color Separation Agent 1.0-3.01.0-3.0 블록킹방지제Antiblocking Agent 0.1-1.00.1-1.0 용 제Solvent 탄화수소(Hydrocarbon 계)Hydrocarbon 15-2515-25 에스터(Ester 계)Ester (Ester system) 15-2515-25 아세테이트계Acetate 15-2515-25 주름형성제Wrinkle Forming Agent 2급아민Secondary amine 0.5-1.00.5-1.0

(원료별 고형분 100%(wt) 기준한 함량치)(Content based on 100% (wt) of solid content per raw material)

이하, 중도 또는 상도 도막용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해서 상술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composition for intermediate or top coat films is explained in full detail.

유기용제Organic solvent

용제로는 균일한 표면주름 및 롤마크 방지 등을 위하여 가능한 한 탄화수소(Hydrocarbone)계와 에스테르계, 아세테이트계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hydrocarbon, ester, and acetate systems as much as possible for uniform surface wrinkle and roll mark prevention.

안료Pigment

중도도막층(130) 및 상도도막층(140)에는 유기 또는 무기안료가 첨가될 수 있는 바, 가공 및 시공 과정에서 도막층이 벗겨지거나 탈리되더라도 색상을 보강하기 위해 중도도막층(130)의 안료와 상도도막층(140)에 사용된 안료는 색상과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Organic or inorganic pigments may be added to the middle coat layer 130 and the top coat layer 140. Even when the coat layer is peeled off or detached during processing and construction, the pigment of the coat layer 130 may be reinforced. And the pigment used in the top coat layer 140 may be used similar to the color.

또한, 내후성을 감안하여 특별한 농색 계열이 아닌 이상은 유기 안료는 지양 하고, 도막층의 내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기 또는 세라믹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view of weather resistance, an inorganic or ceramic pigment may be used in order to avoid organic pigments and to increase weather resistance of the coating layer, unless it is a special deep color series.

하나의 예에서, 상도도막층(140)에 열차폐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적외선 반사율이 우수한 전용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적외선의 흡수, 전도, 복사에 의한 열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In one example, a dedicated pigment having excellent infrared reflectance may be used to provide heat shielding to the top coat layer 140. In this case,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keep the room temperature constant by blocking heat by absorption, conduction and radiation of external infrared rays.

이러한 열차폐 안료는 현재 상업적으로 수득이 가능하며, Ferro사(미국), Shepherd(미국), Isihara(일본)의 열차폐 안료계열이 있다. 표 5는 시판되고 있는 미국 Ferro 사의 대표적인 열차폐 안료에 대한 안료별 태양에너지 반사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Such thermal barrier pigments ar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and include thermal barrier pigments from Ferro (USA), Shepherd (USA) and Isihara (Japan). Table 5 shows the pigment-specific solar energy reflectivity of the typical thermal barrier pigments of Ferro, USA.

[표 5]TABLE 5

안료의 종류(시판되는 안료의 No)Kind of pigment (No of commercial pigment) 태양에너지 반사율(solar Ref)Solar Ref 노란색(V-9415)Yellow (V-9415) 66.5%66.5% 황금색(10415)Golden (10415) 58.0%58.0% 갈색(10364)Brown (10364) 39.2%39.2% 녹색(V-9248)Green (V-9248) 30.0%30.0% 밝은 파랑(V-9250)Light blue (V-9250) 29.2%29.2% 빨간색(V-13810)Red (V-13810) 39.0%39.0% 검정(V-799)Black (V-799) 25.1%25.1% 검정(10203)Black (10203) 27.4%27.4%

상기 열차폐 안료는 적외선을 60%이상 반사하여 흡수율이 아주 낮다. 이러한 열차폐 안료를 사용할 경우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열차폐 안료는 전체 안료 첨가량 100 중량부 대비 단일 안료의 경우 25 내지 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 사용시 15~30 중량부가 적당하다. 2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열차폐 기능이 미비하고 은폐율이 떨어지며,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고 안료의 흡유량이 높아져 도료제조 및 도장작업성이 떨어진다.The heat shield pigment reflects more than 60% of the infrared rays, the absorption is very low. The use of such thermal barrier pigments allows the internal temperature to be cooled. The heat shielding pigment is preferably 25 to 35 parts by weight in the case of a single pigmen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igment addition amount, and 15 to 30 parts by weight is appropriate for mixed use. If it is less than 25 parts by weight, the heat shielding function is insufficient and the concealment rate is lowered. If it exceeds 35 parts by weight, it is economically burdened and the oil absorption of the pigment is increased, resulting in poor paint production and paintability.

또한, 상기 상도도막층(140)에 열차폐 안료 외에 외관을 미려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펄입자 또는 메탈릭 입자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펄 또는 메탈릭 입자를 추가하는 경우, 열차페 색상 안료로의 열차폐 기능에 펄 혹은 메탈릭 입자 고유의 특성인 빛 반사 기능이 더해져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바 전체적인 열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heat shielding pigment, the top coat layer 140 may further use pearl particles or metallic particles in order to show a beautiful appearance. In the case of adding such pearl or metallic particles, the heat shielding function of the thermal barrier color pigment is added to the light reflection function inherent in the pearl or metallic particles, and thus synergistic effects can be improved to improve the overall thermal shielding performance.

또한, 상기 중도도막층(120)에는 층간 부착 및 도막의 살 오름성, 도장 작업성 등을 좋게 하기 위해 체질안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체질안료는 색상을 띄지 않으나 자체 흡유량이 높아 적은 부피 비중에도 도료 자체의 점도를 높이고, thixo성을 부여하여 롤 코팅 작업시 도막의 살 오름성을 좋게하여 양호한 도장 외관을 시현할 수 있다. 체질안료의 예로는 정형 실리카(Sio2) 사일로이드(Sylod)244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체질 안료를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면 최종 제품의 가공성을 저해 할 우려가 있어 최소한의 작업성과 연계한 수준에서 사용함을 기본으로 한다. 수지에 대한 안료의 함량(P/B: pigment/binder)은 색상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농색일수록 그 수치는 더 낮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120 may be added to the extender pigment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interlaminar film and the coating properties, coating workability. The extender pigment does not have a color, but its own oil absorption increases the viscosity of the paint itself even at a small specific gravity, and it gives thixo property to improve the paintability of the roll coating work, so that a good appearance can be achieved. Examples of extender pigments include standard silica (Sio2) siloid (244). However, too much use of extender pigment may impair the processability of the final product, so it should be used at the level associated with minimum workability. The content of the pigment (P / B: pigment / binder) to the resi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lor, but is preferably set to 1 or less, and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lower value as the color becomes deeper.

필러filler

상기 각각의 도막형성용 조성물에는 도장강판의 표면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기 또는/및 무기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In each of the coating film forming compositions, organic or / and inorganic fillers may be used to improve the surface feel of the coated steel sheet.

유기필러는 안정한 물질로 뛰어난 내구력과 화학적인 내성, 윤활성 및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어 도막의 물리, 화학적인 성능을 형성시켜 준다. 사용가능한 유기필러로는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필러(일명 나일론(NYLON)필러라 불린다)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organic filler is a stable material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lubricity and high hardness to form the physical and chemical performance of the coating film. The usable organic filler may be selected from plastic fillers (called nylon (NYLON) fillers) such as polyacryl, polyamide,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첨가된 유기필러는 도료의 소부과정에서 100℃이상에 도달하면 고체상의 유기필러 표면에서 약간의 용융(Melting)이 진행되어 수지와 유기필러의 표면에서 융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도막외관에 천연소재 촉감이 느껴지는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유색 유기 필러를 첨가하면 선택된 유기필러의 색상에 따라 표면의 시각적 감성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료의 색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순히 요철만의 특성을 부여하고자 한다면 투명 유기필러를 사용하면 된다. When the added organic filler reaches 100 ° C or more during the baking process, a slight melt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olid organic filler, and fusion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resin and the organic filler. It will form the irregularities felt. In this case, when the colored organic filler is added as necessary, the visual sensitivity of the surface may be variously express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elected organic filler. In addition, a transparent organic filler may be used if it is to simply give the characteristics of irregularities without affecting the color of the paint.

따라서, 적용 용도별로 그에 적합한 시각적 효과를 위하여 투명이나 유색 유기필러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도 있는바 이러한 유기필러의 첨가량 변화 및 입자크기 선정에 따라 요철이 형성되는 정도도 달라지므로 적용용도에 따라 0.5~3.0%의 범위가 적정하며 바람직하게는 1~2%이다. 첨가되는 유기필러가 0.5% 미만일 경우에는 요철의 효과가 미비하고 3.0% 초과할 경우에서는 내후성이 약해진다. 입자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건조도막두께가 10~30㎛인 경우 20~40㎛ 정도인 투명 또는 유색의 구(球)형 유기필러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ransparent or colored organic fill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for application purpose. For this reason, the degree of unevenness is also form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addition of the organic filler and the selection of particle size. The range of 3.0% is appropriate, Preferably it is 1-2%. If the added organic filler is less than 0.5%, the effect of unevenness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3.0%, the weather resistance becomes weak. Although the particle siz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use a transparent or colored spherical organic fill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to 40 µm when the dry coating thickness is 10 to 30 µm.

무기필러는 일반적으로 소광제로 알려진 비정형 코팅 실리카를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소광목적보다는 주로 표면촉감 부여외에 광택 안정성 및 작업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Inorganic fillers generally use amorphous coating silica, known as a matting ag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rganic filler may be used to improve gloss stability and workability, in addition to providing surface feel, rather than matting purpose.

이러한 실리카는 0.3~1.0%중량부가 적당하고, 1% 이상 사용하면 주름무늬가 적어면서 골 간격이 촘촘해지며, 시각적으로도 지저분해진다.Such silica is 0.3 ~ 1.0% by weight is suitable, when used more than 1% wrinkles less bone gap, the bone gap becomes visually messy.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기, 무기필러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필러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색 또는/및 무색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무기 필러의 첨가에 의하여 도막의 표면 전면에 균일한 입체감과 천연소재와 같은 촉감효과의 도막을 한층 더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organic and inorganic fillers may be optionally used alone or mixed as needed, and organic fillers may be selected and used as colored or / and colorless as described above. By the addition of such an organic inorganic filler, a coating film having a uniform three-dimensional appearance and a tactile effect such as a natural material can be further obtain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필요에 따라, 내자외선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UV필러를 첨가할 수 있다.If necessary, a UV filler may be added to enhance UV resistance.

경화촉진제Hardening accelerator

상기 경화촉진제는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와 가교수지와의 가교를 촉진시켜 치밀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아민으로 블로킹시켜 마스크된 산으로서 p-톨루엔 설폰산(Toluene Sulfonic Acid), 디니노닐나프탈렌설폰산(Dinonylnaphthalene Sulfonic Acid), 도데실벤젠설폰산(DDBSA, Dodesyl Benzene Sulfonic Acid) 또는 블록킹 되지 않은 도데실벤젠설폰산(DDBSA, Dodesyl Benzene Sulfonic Acid)등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에폭시로 마스킹된 설폰산(Epoxy Masking Sulfonic Acid)이나, 유기수지로 마스킹된 설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은 열에 의하여 해리될 수 있는 물질로서 상도도막의 소부시에 앞서 설명한 주름형 성제인 순수아민과 함께 도막의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때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은 0.04~0.1중량부가 추천된다. 0.04% 미만의 경우 경화도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0.1% 초과하면 무늬가 조밀하게 된다.The curing accelerator is to increase the density by promoting the crosslinking of the main resin polyester and the crosslinking resin. For example, p-toluene sulfonic acid, Dinonylnaphthalene Sulfonic Acid, dodecylbenzenesulfonic acid (DDBSA, Dodesyl Benzene Sulfonic Acid) or blocking as an acid masked by amine Non-dodecylbenzenesulfonic acids (DDBSA, Dodesyl Benzene Sulfonic Acid). In addition, epoxy masking sulfonic acid or epoxy resin masked sulfonic acid may be used. The amine is a material that can be dissociated by heat, and may form wrinkles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together with the pure amine, which is the aforementioned wrinkle-forming agent, when the top coat is baked. At this time, the usage amount of the curing accelerator is recommended 0.04 ~ 0.1 parts by weight. If it is less than 0.04%,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egree of curing, and if it exceeds 0.1%, the pattern becomes dense.

상기 디포밍제, 레벨링제, 색분리 방지제, 블록킹 방지제 등 기타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Other additives such as deforming agent, leveling agent, color separation inhibitor, antiblocking agent and the like can be used in the art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실시예><Examples>

이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paration Examples,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Experimental Examples, and the like.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

[실시예 1]Example 1

0.4t의 논 크로메이트 전처리된 GI 소지강판 상에 폴리에스테르변성 프라이머 하도도막층을 바코팅한 후 건조하여 5 ㎛ 두께의 하도도막층을 형성하였다. The polyester-modified primer undercoat layer was bar-coated on a 0.4 ton non-chromate pretreated GI substrate, followed by drying to form a undercoa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 μm.

그런 다음, 수평균 분자량이 각각 12,000, 15,000인 오일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5: 5)를 로 35 중량부, 경화제 역할로 멜라민 수지 Cymel325 와 Cymel 303을 각각 3 중량부, 블록화된 톨릴렌디아소시아네이트(TDI)를 3 중량부, 색분리 방지제로 변형된 알킬 에폭시(modified alkyl epoxy) 2.00 중량부, 소포제로서 아크릭 수지계 0.42 중량부, 경화촉진제로서 블록킹되지 않은 도데실벤젠 술로닉산(dodesylbenzene sulfonic acid) 0.06 중량부, 블록킹 방지제로서 PTFE와 PE 왁 스 중합체 0.17 중량부, 무정형 실리카(SiO2) 사일로이드(Sylod)244 원료 0.5 중량부, 및 용제로서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자일렌 및 아코솔브 디피엠을 포함하는 중도도막용 조성물을 하도도막층 상에 바코팅한 후 건조하여 10 ㎛ 두께의 중도도막층을 형성하였다.Then, 35 parts by weight of an oil-modified polyester resin (5: 5)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2,000 and 15,000, respectively, 3 parts by weight of the melamine resins Cymel325 and Cymel 303 each as a curing agent, and a blocked tolylenediaocyanate 3 parts by weight of (TDI), 2.00 parts by weight of modified alkyl epoxy modified with a color separation agent, 0.42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as an antifoaming agent, and unblocked dodesylbenzene sulfonic acid 0.06 as a curing accelerator. Parts by weight, 0.17 parts by weight of PTFE and PE wax polymers as antiblocking agents, 0.5 parts by weight of amorphous silica (SiO2) silod244 raw material, and intermediates comprising cellosolve acetate, xylene and acosolve DPM as solvents The coating composition was bar-coated on the undercoat layer and dried to form a middle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마지막으로,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42 중량부, 멜라민 수지 5.6, 소광제 0.45 중량부, 색분리방지제로 변형된 알킬 에폭시(modified alkyl epoxy) 2.00 중량부, 소포제로서 아크릭 수지계 0.42 중량부, 경화촉진제로서 블록킹 안된 도데실벤젠 술로닉산(dodesylbenzene sulfonic acid) 0.06중량부, 블록킹 방지제로서 PTEE와 PE 왁스 중합체 0.17중량부, 무늬형성조절제로서 트리메틸아민을 0.70 중량부, 용제로서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자일렌 및 아코솔브 디피엠을 18.8 중량부 및 흑색계 열차폐안료(Cr2O3와 Fe2O3를 1:1의 비율) 등을 포함하는 상도도막용 조성물을 중도도막층 상에 바코팅한 후 건조하여 20 ㎛ 두께의 상도도막층을 형성하여, 소지강판/하도도막층/중도도막층/상도도막층 적층구조의 도장강판을 제조하였다. Finally, 42 parts by weight of oil-free polyester resin, 5.6 of melamine resin, 0.45 part by weight of matting agent, 2.00 parts by weight of modified alkyl epoxy modified with color separation agent, 0.42 part by weight of acrylic resin as antifoaming agent, as a curing accelerator. 0.06 parts by weight of unblocked dodesylbenzene sulfonic acid, 0.17 parts by weight of PTEE and PE wax polymer as antiblocking agent, 0.70 parts by weight of trimethylamine as a pattern forming agent, cellosolve acetate, xylene and acosolve as solvent A topcoat film composition comprising 18.8 parts by weight of DPM and black heat shielding pigment (Cr2O3 and Fe2O3 in a ratio of 1: 1), etc., is coated on a middle coat layer and dried to coat a top coa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To form a coated steel sheet having a base steel sheet / coated film layer / middle coated layer / top coat layer laminated structure.

[실시예 2][Example 2]

중도도막층의 두께가 15 ㎛ 가 되도록 형성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넌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지강판/하도도막층/중도도막층/상도도막층 적층구조의 도장강판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was formed to 15 ㎛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steel plate / coating film layer / coating film layer / top coating layer of a coated steel sheet was prepared.

[실시예 3]Example 3

중도도막층의 두께가 20 ㎛ 가 되도록 형성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지강판/하도도막층/중도도막층/상도도막층 적층구조의 도장강판을 제조하였다. A coated steel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wa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20 μm.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중도도막층을 형성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지강판/하도도막층/상도도막층 적층구조의 도장강판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was not formed, a coated steel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ith the steel sheet / coating layer / top coating layer layered structur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하도도막층의 두께가 10 ㎛ 가 되도록 형성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지강판/하도도막층/상도도막층 적층구조의 도장강판을 제조하였다. A coated steel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undercoat layer wa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 μm.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제조된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도장강판 샘플에 대하여 물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1차 lab test 검증 후 2차 pilot test를 통한 확인까지 진행하였으며 최종 물성 검증은 2차 실험을 토대로 한 데이터이다.Physical property verific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he coated steel sheet sampl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The experiment proceeded from the first lab test verification to the second pilot test, and the final physical property verification was the data based on the second experiment.

1차 lab 실험은 일반적으로 실시 할 도료를 준비하고 동일한 코팅 방법(bar coater), 동일한 건조 경화 방법(자동 배출형 OVEN)을 통해 최종 샘플 작업 완료하였으며, 물성 실험 또한 모두 동일 실험 기기 및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즉, GI소 재 소지강판 상에 하도, 중도, 상도에 대한 각각의 조성물을 바코팅하여 샘플시편을 제작하고 이를 동일 규격으로 절단하여 항목별로 물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시편은 제조 후 1일 경과 후 동일 시간, 동일 실험자가 평가 함)In the first lab experiment, paints were generally prepared, and final sample work was completed through the same coating method (bar coater) and the same dry curing method (automatic discharge type OVEN). . In other words, bar coating the composition for each coat, medium, and top coat on a GI material steel sheet to prepare a sample specimen and cut it to the same standard to perform a physical property test for each item. (All specimens were evaluated by the same experimenter at the same time after 1 day of manufacture)

도막 물성의 평가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Evaluation method of the coating film properties is as follow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1. 작업성: 현장 롤 코팅 작성시의 도료 픽업(pick up)성을 의미하고, : 2차 pilot test에서 도료에 대한 roll coating 작업 용이성을 육안으로 평가함 예) 도료의 점도 조정이 불량하여 소재에 코팅 외관이 불량하거나 표면 요철이 불균일하게 발생하는 현상의 유.무 확인1. Workability: Means paint pick-up when making on-site roll coating, and visually evaluates the ease of roll coating work on paint in the second pilot test. Poor coating appearance or irregularities in surface irregularities

2. 표면 주름 및 요철: 건조도막의 표면 주름 및 요철의 정도를 의미한다. 2. Surface wrinkles and irregularities: Means the surface wrinkles and irregularities of the dry coating film.

3. 내용제성 : MEK Rubbing법으로서, 일반적인 의학용 거즈에 MEK를 헝건히 적셔 1kg의 하중으로 왕복 rubbing을 실시하여 하도 도막이 벗겨져 나가는 순간까지의 횟수 측정함3. Solvent resistance: MEK Rubbing method, which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until the undercoat is peeled off by performing reciprocating rubbing with a load of 1kg after MEK is wet with general medical gauze.

4. 연필경도: 일본 미쯔비시 제품인 '유니펜슬'을 사용하고 500kg의 하중을 준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도막 표면을 긁은 후 지우개로 지워 도막에 잔흔이 남아 있는 정도 측정함(통상적으로 낮은 경도 2B B HB F H 2H 3H 높은 경도 임)4. Pencil hardness: Measure the degree of traces left on the coating film by using the 'Uni Pencil', a Mitsubishi product manufactured by Japan and applying a 500kg load, scraping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at a constant speed and then erasing it with an eraser (typically low hardness 2B B HB FH 2H 3H is high hardness)

5. 가공성: 실온에서 T굽힘 후 도막의 크랙 발생 정도 수준으로서, 실온에서 2T bending 후 스카치테이프로 붙여 도막의 박리 발생 유무를 확인함.(1점~5점 평가 : 1점 모두 벗겨진는 수준, 5점 완전히 벗겨지지 않는 수준)5. Processability: The degree of cracking of the coating film after T bending at room temperature, and after the 2T bending at room temperature, it is attached with scotch tape to confirm the peeling of the coating film. (1 ~ 5 points evaluation: the level at which one point is peeled off, 5 Point not fully peeled off)

6. 부착성: 도막 표면에 가로x세로 10mm에 칼로 그어 스카치 테이프로 도막 박리 테스트 함. 6mm 간격으로 cross cut 후 스카치 테이프 박리 실험6. Adhesiveness: Cut the coating film with scotch tape by knife on the surface x 10mm width. Scotch tape peeling test after cross cut at 6mm interval

7. 내충격성: 1/2" x 1kg x 50cm 자유 낙하 후 도막 크랙 발생 유.무7. Impact resistance: 1/2 "x 1kg x 50cm free fall after film fall

8. 내약품성: 해당 용액(내산성: 5% 황산, 내알칼리성 5% 가성소다)에 24 시간 침지 후 도막 부풀음 및 변색 정도를 확인함8. Chemical resistance: Check the degree of swelling and discoloration of the film after immersion in the corresponding solution (acid resistance: 5% sulfuric acid, alkali resistant 5% sodium hydroxide) for 24 hours.

9. 내식성 : SST(Salt spray test) 35'C 5%NaCl, 500 시간 측정 후 도막의 녹 발생 정도를 확인함9. Corrosion resistance: SST (Salt spray test) 35'C 5% NaCl, after 500 hours of measurement, confirmed the degree of rust of the coating film

10. 내UV성 : 20W X 20cm X 500hrs 후 ΔE값 측정10. UV resistance: ΔE value measurement after 20W X 20cm X 500hrs

11. 내후성 : 제논 아크(Xenon arc)램프 500시간 조사 후 ΔE값 측정11. Weather resistance: Measure ΔE after 500 hours of Xenon arc lamp

[표 6]TABLE 6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4Example 4 1. 작업성1. Workability 2. 표면 주름 및 요철2. Surface wrinkles and irregularities 3. 내용제성3. Solvent resistance 4. 연필 경도4. pencil hardness 5. 가공성5. Processability T-bendingT-bending 6~7T6 ~ 7T 6T6T 5T5T 4T4T 3T3T S-cuppingS-cupping OO OO O~◎O ~ ◎ 6. 부착성6. Adhesiveness 7. 충격성7. Impact 8. 내약품성8. Chemical resistance 5% NaOH5% NaOH 5% HCl5% HCl 9. 내식성(500h)9. Corrosion resistance (500h) 10. 내 UV성10. UV resistance 500hr500hr 0.680.68 0.770.77 0.620.62 0.640.64 0.580.58 11. 내후성11. Weather resistance 0.420.42 0.660.66 0.550.55 0.590.59 0.530.53

◎: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ㅧ: 불량◎: very good, ○: good, △: normal, ㅧ: poor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 따른 도장강판 시편의 표면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따른 도장강판 시편의 단층 사진을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350 배율)하였고, 그 결과를 도 6 내지 7에 나타내었다. Surfaces of the coated steel sheet specimen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2 were photograph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In addition, tomographic pictures of the coated steel sheet specimen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1 were photograph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350 magnific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6 to 7.

도 5 내지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들에 따른 도장강판의 경우에는 도막에 크랙 또는 찢겨짐이 발생(도 6의 A, B 참조)한 반면에, 실시예에 따른 도장강판은 터진 부위가 전혀 없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to 7, in the case of the co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s, cracks or tears occur in the coating film (see A and B of FIG. 6), whereas the co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broken portion. You can see that it's connected seamlessly at all.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장용 도장강판은 내구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가공성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가혹한 가공 환경에서도 도막의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주름 또는/및 요철을 형성시킴으로써 우수한 질감 및 미려한 미관을 나타내고, 지붕재용의 외장재로서 열차폐성이 탁월하여 별도의 에너지를 적용시키지 않고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xterior coat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not only durability but also excellent workability, so that defects of the coating film can be minimized even in a harsh processing environment. In addition, by forming wrinkles and / or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it exhibits excellent texture and beautiful aesthetics, and is excellent in heat shielding property as an exterior material for roofing materials, and thu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internal temperature without applying additional energ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용 도장강판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ed steel sheet for an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용 도장강판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ed steel sheet for an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용 도장강판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ed steel sheet for an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용 도장강판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ed steel sheet for an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표면 촬영 사진이다;5 is a surface photographing image according to Example 2;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비교예 1의 시편에 대한 SEM 사진이다;6 is a SEM photograph of the specimen of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Example 2;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실시예 1의 시편에 대한 SEM 사진이다.7 is an SEM photograph of the specimen of Example 1 according to Example 2. FIG.

Claims (6)

외장재로 사용되는 도장강판으로서, 하기 층들을 포함하는 외장재용 도장강판: A coated steel sheet used as an exterior material, the exterior coating steel sheet comprising the following layers: a. 소지강판; a. Steel plate; b. 상기 소지강판 상에 형성되고, 에폭시변성 또는 폴리에스테르변성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하도도막층; b.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and including an epoxy-modified or polyester-modified primer; c. 상기 하도도막층 상에 형성되고, 주수지로서 수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5~50℃이며 OH값이 0~3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2 종 이상, 가교수지로서 멜라민 수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하는, 중도도막층; 및c. 2 or more types of polyester resins which are formed on the said undercoat layer, whos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s are 5,000-20,000 as a main resi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5-50 degreeC, and an OH value 0-30, and a crosslinking resin. A middle coating layer comprising a melamine resin and a blocked isocyanate; And d. 오일프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2종 이상과 멜라민 수지를 포함하는,상도도막층.d. A top coat layer comprising two or more oil-free polyester resins and a melamine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도도막층에서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i)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12,000 이고, OH 값이 25 ~ 50 이며, 유리전이온도가 15 ~ 25인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ii) 수평균 분자량이 7,000 내지 15,000 이고, OH 값이 25 ~ 35 이며, 유리전이온도가 5 ~ 10인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외장재용 도장강판. The polyester resin which is the main resin in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is (i) a first polyester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12,000, an OH value of 25 to 50,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5 to 25, and (ii 2) The second polyester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7,000 to 15,000, an OH value of 25 to 35,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 to 1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멜라민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1000인 메톡시형 또는 메톡시 부톡시 혼합형 멜라민 수지인, 외장재용 도장강판. The melamine resin is a methoxy-type or methoxy butoxy mixed type melamine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 ~ 1000, the coated steel sheet for exterior material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이하의 해리온도를 갖는 블록킹제(Blocking agent)로 블록화 된 이소시아네이트인, 외장재용 도장강판. The said block isocyanate is the coated steel sheet for exterior materials which is an isocyanate blocked with the blocking agent which has a dissociation temperature below melting | fusing point of polyester which is a main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체 중도도막층의 중량 대비,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1 ~ 5 중량%로 포함되고, 멜라민 수지는 1 ~ 10 중량%로 포함되며, 멜라민 수지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 가교 수지의 총량은 3 ~ 10 중량%로 포함되는, 외장재용 도장강판. Block isocyanat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melamine resin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and a total amount of crosslinked resin including melamine resin and block isocyanate is 3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termediate coating layer. Painted steel sheet for exterior materials, included as. 제 1 항에 있어서, 주름 또는 요철이 형성된 지붕재용 칼라강판인, 외장재용 도장강판. The coated steel sheet for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claim 1, which is a color steel sheet for roofing material having wrinkles or irregularities.
KR1020090098957A 2009-10-16 2009-10-16 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 KR1011049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957A KR101104937B1 (en) 2009-10-16 2009-10-16 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957A KR101104937B1 (en) 2009-10-16 2009-10-16 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921A true KR20110041921A (en) 2011-04-22
KR101104937B1 KR101104937B1 (en) 2012-01-12

Family

ID=4404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957A KR101104937B1 (en) 2009-10-16 2009-10-16 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93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02B1 (en) * 2012-08-22 2014-04-17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Solid dot-pattern color steel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22375A (en) * 2016-08-24 2018-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Color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65981A (en)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케이씨씨 Coating Composition
KR20220039412A (en) * 2020-09-22 2022-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Out plat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WO2024039059A1 (en)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Textured urethane powder coating exterior material for home appliances,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747B1 (en) 2012-07-20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Resin-coated steel sheet having superior formability and resin composition use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363B1 (en) * 2005-01-05 2007-03-23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Single side embossed color steel sheet with 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02B1 (en) * 2012-08-22 2014-04-17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Solid dot-pattern color steel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22375A (en) * 2016-08-24 2018-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Color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65981A (en)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케이씨씨 Coating Composition
KR20220039412A (en) * 2020-09-22 2022-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Out plat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WO2024039059A1 (en)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Textured urethane powder coating exterior material for home appliances,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937B1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937B1 (en) Steel Plate for Exterior material
US7244511B2 (en) Color steel sheet with embossed patterns on one side thereof
KR20070025223A (en) Self-cleaning color coated steel plate for use in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198879A (en) Coated steel sheet excellent in weathe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KR100661532B1 (en) Color coating steel plate in roof material
JP4730688B2 (en) Painted metal plate
US2005001960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ly weather resistant colored steel plate
KR101197965B1 (en) Black Colored Resin Coated Steel with Improved Worka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Anti-Fingerprint
KR100668175B1 (en) Self-cleaning color coated steel plate for use in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222709A (en) Coating steel plate
KR101795032B1 (en) Multilayered coating for dry plat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plastic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KR100999472B1 (en) Under coating material composite for pre-coated metal
KR20120006587A (en) Color steel sheet having photo-curing resin layer
JP4851904B2 (en) Fluorine resin coated steel sheet
KR102343917B1 (en) Incombustible coating composition for pre-coated metal color steel sheet
JP2004034591A (en) Coated steel sheet with high designability excellent in wear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KR20020091603A (en) Colored steel sheet with single side embossed
KR20170132555A (en) The Primer Painting Composition Applied To The Surface Of Chromium Coating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for
KR100668176B1 (en) Board for aqua pen combinable as surface-scattering type screen
JP2009274379A (en) Pre-coated meta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039489B1 (en) High-end color steel shee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54595B1 (en) Under coating compositions for pre-coated metal color steel sheet and pain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KR20200065981A (en) Coating Composition
JP4280658B2 (en) Clear painted stainless steel sheet with excellent coating adhesion
KR102298984B1 (en) Matt texture type pre-coated color metal sheet having improved heat blocking perform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