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961A -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 - Google Patents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961A
KR20110040961A KR1020117004892A KR20117004892A KR20110040961A KR 20110040961 A KR20110040961 A KR 20110040961A KR 1020117004892 A KR1020117004892 A KR 1020117004892A KR 20117004892 A KR20117004892 A KR 20117004892A KR 20110040961 A KR20110040961 A KR 20110040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off
power amplifier
subband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074B1 (ko
Inventor
아모드 칸데카
알렉세이 고로코브
라자트 프라카쉬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4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에서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비-선형 왜곡의 효과를 완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론들이 설명된다. 전력 제한 표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하는데 분석될 수 있다. 전력 제한들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이너 서브밴드들에 스케줄링된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상기 서브밴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고 수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SUBBAND SCHEDULING AND ADJUSTING POWER AMPLIFIER BACKOFF}
다음의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련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와 관련된다.
관련된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출원일은 2006년 9월 11일이고, 출원번호가 제 60/843,893이며, 제목은 "A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OWER AMPLIFIER(PA) BACKOFF"인 미국 특허 가출원 및 출원일은 2007년 9월 10일이고, 출원번호가 제 11/852,565이며, 제목은 "DYNAMIC POWER AMPLIFIER BACKOFF"인 미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위에서 언급한 출원들의 전체는 여기서 참조로써 통합된다.
무선 네트워킹 시스템들은 널리 퍼진 수단이 되었고, 이 수단에 의해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소비자의 요구들을 만족시키고 휴대성과 편의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더 작고, 더 강력해졌다. 소비자들은 신뢰성 높은 서비스, 커버리지의 확장된 영역들 및 향상된 기능성이 필요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들, 개인 휴대용 단말(PDA)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지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터미널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터미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을 통한 전송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터미널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터미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무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컨대, 대역폭 및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 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대체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섹터로서 참조되는 특정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위치한 터미널들을 지원한다. 특정 터미널을 지원하는 섹터는 서빙 섹터로 지칭된다. 특정한 터미널을 지원하지 않는 다른 섹터들은 비-서빙 섹터들로 지칭된다. 섹터 내에 있는 터미널들은 복수의 터미널들의 동시 지원을 허용하기 위해 특정 리소스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웃 섹터들에서 터미널들에 의한 전송들은 조정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섹터 에지(edge)들에서 터미널들에 의한 전송들은 간섭 및 터미널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다음은 실시예들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개시된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나타낸다. 이러한 요약들은 모든 예상한 실시예들의 광범위의 개요(overview)가 아니고, 키 또는 중요한 요소들을 식별하거나 이러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서술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요약의 단 하나의 목적은 이후에 나타내는 더욱 상세한 설명의 전조로서 간략화된 형식으로 개시된 실시예들의 몇몇의 개념들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일 양상에 따라서,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에서 비-선형 왜곡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여기서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이너(inner) 서브밴드에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 1 그룹을, 상기 제 1 그룹으로부터의 전력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이너 서브밴드를 스케줄링한 후에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에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후속 그룹을, 상기 후속 그룹으로부터의 전력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들에 전력 제한들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그리고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들에 전력 제한들을 가지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과 관련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에 포함되는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다른 양상은, 동적인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장치는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에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상기 제 1 그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그룹으로부터의 전력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에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후속 그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후속 그룹으로부터의 전력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밴드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은, 컴퓨터가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들에 전력 제한들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와 관련된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가 상기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들에 전력 제한들을 가지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라 장치는,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에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 1 그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그룹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하고, 그리고 상기 이너 서브밴드를 스케줄링한 후에 상기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에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후속 그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후속 그룹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다른 양상에 따라,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여기서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서브밴드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신된 서브밴드 할당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백오프에 따라서 전력 증폭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다른 양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신된 서브밴드 할당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는 것, 그리고 상기 평가된 백오프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련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되는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다른 양상은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에서 비-선형 왜곡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장치는, 서브밴드 할당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신된 서브밴드 할당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결정된 백오프에 따라서 전력 증폭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은, 컴퓨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브밴드 할당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와 관련된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가 상기 평가된 백오프에 따라서 전력 증폭기를 구성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추가적인 양상은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집적회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브밴드 할당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적회로는 상기 결정된 전력 증폭기 백오프에 따라서 전력 증폭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그리고 관련된 목표의 달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여기서 충분히 설명되는 특성들 및 청구항들에서 특히 지적되는 특성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들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상세하고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몇몇의 다양한 방식들을 나타내고,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동등물들을 포함하고자 의도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내용의 양상에 따라서 동적인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여기서 나타낸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서 서브밴드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채널 트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여기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서브밴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동적인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실시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여기서 나타낸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전력 제한들에 대한 고려에 기초하여 서브밴드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서브밴드 스케줄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전송들에 대한 스케줄링된 서브밴드 할당을 획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역방향 링크를 통한 정보 시그널링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전력 증폭기 백오프 값을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전력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밴드 스케줄을 생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서브밴드 스케줄링을 생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여기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기 설명에서, 예시를 위해, 다양한 특정한 상세한 설명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는 이러한 특정한 상세한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제시된다.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컨대,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한,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컨대,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여기서 설명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터미널, 사용자 터미널, 터미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로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단말기(PDA), 연결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지국과 관련하여 여기서 설명된다. 기지국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와 통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디바이스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들(예컨대, CD, DVD 등), 스마트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컨대,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그리고/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들, 방송 시스템들,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시스템들" 및 "네트워크들"은 종종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다중-액세스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화 액세스(CDMA), 시 분할 다중화 액세스(TDMA),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DMA), 직교 FDMA(OFDMA), 단일-캐리어 FDMA(SC-FDMA) 등과 같은 다중-액세스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중-액세스 시스템은 예컨대, 다운 링크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다중-액세스 방식들 및 업링크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다중-액세스 방식인 다중-액세스 방식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OFDMA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A)를 이용하고, 이는 멀티-캐리어 다중화 방식이다. SC-FDMA는 로컬화된 주파수 분할 다중화(LFDM), 인터리빙된 FDM(IFDM), 인핸스드 FDM(EFDM)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은 단일-캐리어 FDM(SC-FDM)으로 총괄적으로 지칭되는 상이한 단일-캐리어 다중화 방식들이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을 다수(K)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고, 상기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와 함께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OFDM으로 전송되고, 시간 도메인에서 SC-FDM으로 전송된다. LFDM은 데이터를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 전송하고, IFDM은 시스템 대역폭의 전체에 걸쳐 분산되는 서브캐리어들로 전송하며, 그리고 EFDM은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의 그룹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OFDM은 특정한 바람직한 특성들을 가지고, 상기 특성들은 지구상의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퍼진 다중경로 효과들을 제거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한다. 그러나 OFDM의 주된 약점은 OFDM 파형에 대한 높은 피크-대-평균 전력비(PAPR)이며, 즉 OFDM 파형에 대한 피크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가 높을 수 있다. 높은 PAPR은, 모든 서브캐리어들이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변조될 때 모든 서브캐리어들의 가능한 동위상(in-phase)(또는 코히어런트) 가산으로부터 초래된다. OFDM 파형에 대한 높은 PAPR은 바람직하지 않고,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컨대, OFDM 파형에서의 큰 피크들은 전력 증폭기가 매우 비-선형 영역에서 동작하거나, 또는 커트될 가능성이 높게 동작하도록 하고, 그 후 상기 큰 피크들은 신호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상호 변조 왜곡 및 다른 부산물들을 유발할 수 있다. 비-선형성을 회피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는 피크 전력 레벨보다 낮은 평균 전력 레벨에서 백오프되어 동작하여야 한다. 전력 증폭기를 피크 전력으로부터 백오프시켜 동작함으로써, 여기서 상기 백오프는 4 내지 7 dB의 범위일 수 있으며, 전력 증폭기는 과도한 왜곡을 발생하지 않고 파형에서 큰 피크들을 처리할 수 있다.
SC-FDM(예컨대, LFDM)은 OFDM과 유사한 다중경로 효과들에 대한 강건함(robustness)과 같은 특정한 바람직한 특성들을 가진다. 또한, SC-FDM은 변조 심볼들이 시간 도메인에서 SC-FDM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높은 PAPR을 가질 수 없다. SC-FDM 파형의 PAPR은 사용하기 위해 선택되는 신호 배치(예컨대, M-PSK, M-QAM 등)에서 신호 포인트들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SC-FDM에서 시간-도메인 변조 심볼들은 비-평면 통신 채널로 인해 심볼간 간섭하기 쉽다. 동등화는 심볼간 간섭의 해로운 효과들을 완화하기 위해 수신된 심볼들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OFDM 및 SC-FDM(예컨대, LFDM)은 주어진 링크(예컨대, 업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OFDM 파형의 링크 효율은 SC-FDM 파형의 링크 효율을 초과한다. OFDM의 더 높은 링크 효율이 SC-FDM보다 OFDM에 대한 더 큰 전력 증폭기 백오프에 의해 오프셋 된다. 따라서 SC-FDM은 OFDM에 비해 낮은 PAPR 이점을 가진다. 높은 신호-대-잡음비(SNR)들을 가진 UE들에 대해, OFDM의 링크 레벨 이득은 SC-FDM의 PAPR 이점을 초과한다. OFDM 및 SC-FDM 모두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은 낮은 SNR 시나리오들에 대한 SC-FDM의 PAPR 이점뿐만 아니라 높은 SNR 시나리오들에 대한 OFDM의 더 높은 링크 효율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SC-FDM 방식은 OFDM과 공동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OFDM 및 SC-FDM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를 위해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명확함을 위해, 다음의 설명들의 다수는 업링크를 통한 OFDM 및 LFDM의 공동의 사용을 위한 것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동적 전력 증폭기 백오프(backoff)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설명된다.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02) 및 기지국(102)의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용어 섹터는 문맥에 따라서,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커버링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단일 기지국 및 모바일 디바이스는 간결함을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104)의 서브밴드 스케줄을 명백하게 제어할 수 있다. 서브밴드 스케줄링은 다른 것들 중에 채널 조건들에 따라서 시스템 주파수 밴드의 제한된 영역들을 통해 적응할 수 있게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 함으로써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들을 가능하게 한다. 서브밴드 사이즈는 서비스 스케줄링의 동등한 등급을 가진 섹터 스루풋에서의 저하(degradation)뿐만 아니라 빠르게 이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해야 한다. 작은 서브밴드들은 또한 서브밴드 스케줄링(예컨대, 서브 밴드가 더 작을수록 선택하기 위한 서브밴드 당 후보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더 적어짐)의 전신 중계 회선(trunking) 효율의 손실(loss)을 발생할 수 있다.
잠시 도 2로 돌아가면, 로컬 호핑(hopping)을 가진 예시적인 채널 트리가 설명된다. 특정 서브밴드에서 스케줄링 되고, 전체 서브밴드보다 적은 대역폭 할당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는 채널 간섭 다이버시티를 최대화하기 위해 서브밴드의 전역에 걸쳐 국부적으로 호핑한다. 도 2에서, 각각의 베이스 노드는 주파수에서 16개의 연속적인 톤들로 매핑된다. 8개의 베이스 노드들의 집합은 128개의 연속적인 톤들로 구성된 서브밴드로 매핑된다. 서브밴드 내에서, 16개의 톤들의 그룹들(즉, 베이스 노드들)은 의사-랜덤 방식으로 호핑한다. 서브밴드 스케줄링 모드에 더하여, 다이버시티 모드가 유익할 수 있다. 섹터(예컨대, 고속도로를 커버링하는 섹터)는 주로 빠르게 이동하는 사용자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채널의 베이스 노드들은 전체 밴드의 전역에 걸쳐 호핑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서브밴드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이한 서브밴드들에 관하여 순방향 링크 채널 특성들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피드백의 양은 서브밴드 스케줄링에 대한 피드백 채널들에 의해 초래된 역방향 링크 오버헤드로 인해 순방향 링크 성능에서의 이득들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적절한 트레이드오프는 서브밴드 스케줄링 피드백을 제외하고 다른 역방향 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 역방향 링크 제어 채널의 부하에 의존한다.
본 명세서의 주제의 일 양상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4)는 기지국(102)으로 전력 제한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102)은 서브밴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4)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수신된 전력 제한 정보를 이용한다. 전력 제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04)의 전력 증폭기 사이즈 또는 특성들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한 정보는 상이한 유형들의 할당들에 이용될 수 있는 상이한 전력 레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04)는 이너(inner) 서브밴드에서 이용 가능한 하나의 전력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에지(edge) 서브밴드에서 이용 가능한 다른 전력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4)는 또한 자신의 할당이 전체 대역폭, 이너 서브밴드 또는 단일 베이스 노드의 범위를 차지한다면, 자신이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리포트할 수 있다. 또한, 정보는 만약에 있다면 간섭 제약들의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한 정보는 주어진 섹터 내에서의 로케이션 또는 하나 이상의 섹터 또는 셀과 관련한 셀 및/또는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4)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 제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04)에 의해 경험되는 캐리어-대-간섭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이 기지국(102)으로 전력 제한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4)를 묘사하는 동안,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104)와의 통신들 및 그것의 링크로부터 그러한 정보를 추측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104)에 부과되는 임의의 전력 제약을 추측하기 위해 수신된 전력 레벨 또는 수신된 피드백을 평가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시스템(100)에 이용 가능한 서브밴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4)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전력 제한 정보를 이용한다. 본 명세서의 주제의 일 양상에 따라, 기지국(102)은 전력 제한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주로 이너 서브밴드들에 스케줄링한다. 전력 제한들을 가지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나머지 스펙트럼에 스케줄링된다. 기지국(102)은 서브밴드들을 선택할 때 서브밴드들의 전역에 걸쳐 채널 선택도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04)의 전력 제한들을 고려한다.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104)에 의해 이용될 서브밴드를 표시하는 스케줄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4)로 전송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서 나타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300)이 설명된다. 시스템(300)은 복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302)을 포함한다. 예컨대,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304 및 306)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308 및 310)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312 및 314)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안테나들은 각각의 안테나 그룹으로 설명되나;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그룹에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302)은 송신기 체인(chain) 및 수신기 체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본 기술분야에 속한 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차례로 신호 전송 및 수신과 관련되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예컨대,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302)은 모바일 디바이스(316) 및 모바일 디바이스(32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으나; 기지국(302)은 모바일 디바이스들(316 및 322)과 유사한 임의의 개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충분히 통신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들(316 및 322)은 셀룰러 전화기들, 스마트 폰들, 랩톱들,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위성 무선들, GPS,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3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묘사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316)는 안테나들(312 및 314)과 통신하고 있고, 여기서 안테나들(312 및 314)은 순방향 링크(318)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16)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32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322)는 안테나들(304 및 306)과 통신하고 있고, 여기서 안테나들(304 및 306)은 순방향 링크(324)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22)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326)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318)는 역방향 링크(320)에 의해 사용되는 밴드와는 상이한 주파수 밴드를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순방향 링크(324)는 역방향 링크(326)에 의해 사용되는 밴드와는 상이한 주파수 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 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318) 및 역방향 링크(320)는 공통 주파수 밴드를 사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324) 및 역방향 링크(326)는 공통 주파수 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그룹 안테나들 및/또는 상기 안테나들이 통신하기 위해 지정된 영역은 기지국(302)의 섹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302)에 의해 커버링되는 영역들의 섹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318 및 324)을 통한 통신에서, 기지국(302)의 송신 안테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316 및 3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318 및 324)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빔 형성(beamforming)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302)이 관련된 커버리지를 통해 랜덤하게 분산된 모바일 디바이스들(316 및 322)로 전송하기 위해 빔 형성을 이용하는 동안, 이웃 셀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단일 안테나로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비교하여 덜 간섭받을 수 있다. 일예에 따라서, 시스템(300)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300)은 통신 채널들(예컨대, 순방향 링크, 역방향 링크 등)을 분할하기 위해 FDD, TDD 등의 임의의 유형의 듀플렉싱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도 4로 돌아가면, 전력 제한들 고려들에 기초하여 서브밴드 스케줄링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400)이 설명된다. 시스템(400)은 모바일 디바이스(404)(및/또는 임의의 개수의 이종 모바일 디바이스들(미도시))과 통신하는 기지국(40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02)은 순방향 링크 채널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404)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기지국(402)은 역방향 링크 채널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404)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400)은 MIMO 시스템일 수 있다.
시스템(400)은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에서 비-선형 왜곡의 효과를 줄이는 완화(mitigation) 기술을 이용한다. 비-선형 왜곡은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의 입력 및 출력 사이의 비-선형 관계의 현상과 관련된다. 일 양상에 따라, 관련된 비-선형 관계는 전력 증폭기와 관련된다.
모바일 디바이스(404)는 전력 제한 표시기(410), 백오프 평가기(412) 및 전력 증폭기(414)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4)의 전력 제한 표시기(410)는 모바일 디바이스(404)에 부과되는 전력 제약들을 반영하는 전력 제한 표시를 결정한다. 모바일 디바이스(404)는 전력 제한 표시를 기지국(402)으로 전송한다. 기지국(402)이 그것의 링크 및 모바일 디바이스(404)와의 통신들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추측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402)은 모바일 디바이스(404)에 부과되는 임의의 전력 제약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전력 레벨 또는 수신된 피드백을 평가할 수 있다. 전력 제한 표시는 모바일 디바이스(404)의 전력 증폭기 사이즈 및 특성들과 관련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기는 만약 있다면, 간섭 제약들의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한 정보는 주어진 섹터 내의 로케이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섹터 또는 셀에 관한 로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404)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 제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404)에 의해 경험된 캐리어-대-간섭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02)은 모바일 디바이스(404)로부터 전력 제한 표시를 수신하고, 그리고 서브밴드 스케줄링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표시를 이용한다. 기지국(402)은 서브밴드 선택기(406) 및 서브밴드 스케줄러(408)를 포함한다. 서브밴드 선택기(406)는 모바일 디바이스(404)의 전력 제한 표시의 고려들 및 서브밴드들의 전역에 걸쳐 채널 선택도에 기초하여 서브밴드를 선택한다. 서브밴드 스케줄러(408)는 기지국(402)에 의해 서비스되는 모바일 디바이스(404)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한다. 본 명세서의 주제의 일 양상에 따라서, 서브밴드 스케줄러(408)는 전력 제한들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주로 이너 서브밴드들에 스케줄링한다. 예컨대, 섹터 또는 셀 에지에서 제한된 전력 증폭기 사이즈를 가진 높은 서비스 품질(QoS) 사용자들은 이너 서브밴드들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간섭 제어(예컨대, 이웃 섹터들로부터의 비지(busy) 비트에 의해 제한된 사용자들의 전송 전력)에 의해 제한되지 않은 섹터 또는 셀 에지에서의 최선 노력 유저들은 또한 스펙트럼 할당(allocation)의 이너 서브밴드들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또한, 서브밴드 스케줄러(408)는 전력 제한들을 가지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나머지 스펙트럼에 스케줄링한다. 예컨대, 간섭 제어(예컨대, 이웃 섹터들로부터의 비지 비트에 의해 제한된 사용자들의 전송 전력)에 의해 제한되지 않은 섹터 또는 셀 에지에서의 최선 노력 유저들은 전력 제한된 사용자들을 스케줄링한 후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들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또한, 큰 전력 증폭기 사이즈들을 가진 사용자들은, 높은 캐리어-대-간섭(C/I) 비를 가진 사용자들과 마찬가지로 할당된 나머지 스펙트럼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높은 C/I를 가진 사용자들은, 할당된 스펙트럼의 중앙 영역들에 스케줄링되는 것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C/I의 추가적인 증가로부터 단지 한계(marginally)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너 서브밴드들은 스펙트럼 할당의 에지들 또는 전체 대역폭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서브밴드들이다. 대역 외 방출(out-of-band emission)들은 변조 프로세스로부터 초래되는 대역폭 바깥쪽의 인접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을 통한 방출들이다. 대역 외 방출 레벨은, 할당에 의해 확보된 전체 대역폭 및 스펙트럼 할당의 에지에 대한 이러한 범위의 근접도 또는 시스템의 전체 대역폭에 따라 좌우된다. 대체로, 할당 폭 더 크면 클수록(즉, 넓은 할당), 대역 폭 방출 레벨이 더 높아진다. 또한, 에지에서 멀리 떨어진 할당은 대역 폭 방출 레벨을 낮춘다. 대역 폭 방출 레벨은 채널 할당에 인접하는 1 ㎒를 통한 전체 전력의 함수로서 측정될 수 있다. 일예에 따라서, 1 ㎒에 걸쳐 집적된 전체 전송 전력은 -13 dBm을 초과해선 안된다. 또한, 대체로 23 dBm의 평균 전송 전력을 위해, 스펙트럼 마스크(spectral mask)는 인접한 1 ㎒에서 30 dB 감쇄도를 필요로 한다.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은 할당된 방출 레벨 및 실제 방출 레벨 사이의 차이로서 정의된다.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 Lmask는 다음에 따라 묘사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
이 설명에 따르면, Pmask는 마스크 한계이다. 일예에 따라서, Pmask는 -13 dBm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PTX는 전체 전송된 전력이다.
Figure pat00002
양은 전력 증폭기 출력에서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양은 채널 할당에 인접한 1 ㎒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이다. 양의 값은 허용된 그리고 실제 방출 레벨 사이의 마진을 나타낸다. 음의 값은 허용된 방출 레벨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낸다.
만약 사용자들이 큰 백오프를 이용하거나, 사용자들에게 작은 할당이 주어지면, 사용자들은 OFDMA 및 LFDMA 시스템 모두의 에지 서브밴드에서의 적절한 마진을 가진다. 사용자들이 작은 백오프를 이용하는 경우에, LFDMA 사용자들은 중간의 할당을 가진 작은 양의 마진을 경험하는 동안에 OFDMA 사용자들은 중간의 그리고 큰 할당들을 가진 음의 마진을 경험한다. 중앙 또는 이너 서브밴드에 스케줄링된 사용자들에 대해, 사용자들은 OFDMA 시스템 및 LFDMA 시스템들 모두에서 낮은 백오프에서의 양의 마진을 경험한다. 중앙 서브밴드에서 사용자들을 스케줄링함으로써, OFDMA 및 LFDMA 모두는 OFDMA 및 LFDMA 모두가 낮은 백오프에서 동작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0 dB 백오프에서도 충분한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을 가진다. 따라서, OFDMA의 PAPR 불이익들은, 사용자들이 스펙트럼 할당의 에지로부터 떨어져 스케줄링될 때, LFDMA에 관한 OFDMA의 전력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기지국(402)은 모바일 디바이스(404)로 할당 및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404)는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414)에 대한 백오프를 결정하기 위해 백오프 평가기(412)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404)에 의해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가 에지 서브밴드에서 스케줄링된 중간 또는 큰 할당을 나타내는 경우에, 백오프 평가기(412)는 큰 백오프를 결정할 것이다. 대체로, 이러한 백오프는 스펙트럼 마스크로의 비슷한 마진을 유지하기 위해 LFDMA 시스템들에 대한 것보다 OFDMA 시스템들에 대한 것이 약 2 dB 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약 서브밴드 스케줄러(408)가 모바일 디바이스가 중간 또는 인테리어 서브밴드에서 스케줄링됨을 나타내면, 백오프 평가기(412)는 스펙트럼 마스크로의 적절한 마킹(marking)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낮은 백오프를 결정한다. 본 명세서의 주제의 일 양상에 따라, 백오프 평가기(412)는 모바일 디바이스(404)가 이너 서브밴드에서 스케줄링될 때 더 낮은 백오프(즉, 더 높은 전송 전력)를 이용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414)를 조절한다. 에지 서브밴드에서 스케줄링될 때, 전력 증폭기(414)는 더 높은 백오프(즉, 더 낮은 전송 전력)에서 동작한다. 또한, 할당의 폭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404)가 단지 16개의 캐리어들(즉, 하나의 베이스 노드)을 통해 스케줄링될 때, 대역 외 방출들은 할당이 연속적이고 전체 대역폭의 좁은 부분에 걸쳐있는 것처럼 낮다. 이러한 상황에서, 낮은 백오프 및 높은 전송 전력이 허용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여기서 나타낸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500)이 설명된다. 시스템(500)은 무선 통신 신호들을 서로에게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504)에게 수신하고, 전송하며, 반복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50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502)은 예컨대 각각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를 위한 복수의 송신기 체인들 및 수신기 체인들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신호 전송 및 수신과 관련되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예컨대,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차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터미널들(504)은 셀룰러 폰들, 스마트 폰들, 랩톱들,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위성 라디오들, GPS, PDA들 및/또는 무선 시스템(500)을 통한 통신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터미널(504)은 하나 이상의 송신기 체인들 및 수신기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을 위해 이용된다. 각각의 송신기 및 수신기 체인은, 본 기술분야에 속한 자에게 인식될 것처럼 신호 전송 및 수신과 관련되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예컨대,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특정한 지리적(geographic) 영역(506)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용어 "셀(cell)"은 문맥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시스템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 커버리지 영역은 복수의 더 작은 영역들(예컨대, 3개의 더 작은 영역들(508A, 508B 및 508C))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더 작은 영역은 각각의 베이스 송수신기 서브시스템(BTS)에 의해 서비스된다. 용어 "섹터"는 문맥에 따라 BTS 및/또는 BTS의 커버리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섹터화된 셀에 대해, 셀의 모든 섹터들의 베이스 송수신기 서브시스템은 대체로 셀의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코-로케이트된다.
터미널들(504)은 대체로 시스템(500)의 전체에 걸쳐 분산된다. 각각의 터미널(504)은 고정형이거나 이동형일 수 있다. 각각의 터미널(504)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502)과 통신할 수 있다.
집중화된 아키텍쳐를 위해, 시스템 제어기(510)는 액세스 포인트들(502)에 연결되고, 액세스 포인트들(502)의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분산된 아키텍쳐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들(502)은 필요하다면 서로와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510)를 통한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통신 등은 백홀(backhaul) 시그널링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섹터화되지 않은 셀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섹터화된 셀들을 포함하는 시스템(500)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명확함을 위해, 다음의 설명은 섹터화된 셀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용어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셀을 서비스하는 고정형 스테이션뿐만 아니라 섹터를 서비스하는 고정형 스테이션에 대해 사용된다. 용어들 "터미널" 및 "사용자"는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되고, 용어들 "섹터" 및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된다. 서빙 액세스 포인트/섹터는 터미널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섹터이다. 이웃 액세스 포인트/섹터는 터미널과 통신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섹터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방송된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역방향 링크 전력 조절에 관련되는 방법론들이 개시된다. 설명의 간결화를 목적으로 방법론들이 일련의 행동들로 나타내지고 설명되더라도, 몇몇의 행동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여기서 나타내지고 설명된 바와 상이한 순서들 및/또는 상이한 행동들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듯이, 방법론들은 행동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고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본 기술분야에 속한 자는, 방법론이 상태 다이어그램에서처럼 일련의 상호 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선택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인식해야할 것이다. 또한, 모든 설명된 행동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서 방법론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가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한 표시기들의 고려들에 기초하여 서브밴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론(600)이 설명된다. 참조 번호(602)에서, 전력 제한 표시자들이 수신된다. 전력 제한 표시자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전력 증폭기 사이즈 또는 특성들에 관련된 정보, 간섭 제약들의 존재, 만약 있다면 주어진 섹터 내에서의 로케이션 또는 하나 이상의 섹터 또는 셀과 관련된 셀 및/또는 로케이션 정보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경험된 캐리어-대-간섭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번호(604)에서, 서브밴드들이 선택된다. 상기 선택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전력 제한, 서브밴드의 전역에 걸친 채널 선택도 등에 기반할 수 있다. 참조 번호(606)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서브밴드들에서 스케줄링된다. 스케줄링은 수신된 전력 제한 표시자들에 기반한다. 예컨대, 전력 제한된 사용자는 이너 서브밴드들에서 스케줄링되고, 전력 제한들을 가지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스펙트럼 할당의 나머지 부분들에서 스케줄링된다.
도 7로 돌아가면, 전력 제한들의 고려들 및 서브밴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론(700)이 설명된다. 참조 번호(702)에서, 전력 제한 표시자들은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다. 전력 제한 표시자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전력 증폭기 사이즈 또는 특성들에 관련된 정보, 간섭 제약들의 존재, 만약 있다면 주어진 섹터 내에서의 로케이션 또는 하나 이상의 섹터 또는 셀과 관련된 셀 및/또는 로케이션 정보 및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터미널에 의해 경험된 캐리어-대-간섭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번호(704)에서, 서브밴드 스케줄링 정보는 수신된다. 서브밴드 스케줄링 정보는 이용될 할당된 스펙트럼 내의 서브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케줄링 정보는 이용될 이너 서브밴드들을 표시할 수 있다. 참조 번호(706)에서, 스케줄링 정보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할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컨대, 만약 스케줄링 정보가 이너 서브밴드의 이용을 표시하면, 낮은 백오프가 결정될 수 있다. 역으로, 만약 정보가 에지 서브밴드가 이용될 것임을 표시하면, 적절한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이 유지되도록 높은 백오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된 서브밴드 할당을 획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업링크를 통한 정보 시그널링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론(800)이 설명된다. 802에서, 전력 제한들을 포함하는 정보가 역방향 링크를 통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일예에 따라, 정보는 요청의 부분으로서 전송될 수 있으나; 청구항으로 주장된 내용들은 그렇게 한정되지는 않는다. 804에서, 서브밴드 할당은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여기서 할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그널링된 정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시그널링된 정보는 사용자들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들을 결정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서브밴드 할당을 양도(yield)하는 것과 관련하여 그러한 마진들을 고려할 수 있다. 806에서, 트래픽은 서브밴드 할당을 이용함으로써 역방향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역방향 링크 전송은 서브밴드 할당에서 지정된 주파수, 시간, 레이트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서, 전력 제한들을 결정하는 것, 어떤 사용자들을 이너 밴드들에서 스케줄링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 적절한 전력 증폭기들 백오프들을 결정하는 것 등에 관하여 추측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추측하다(infer)" 또는 "추측(inference)"은,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획득되는 것으로서 관찰들의 세트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들에 관한 추측 또는 그들의 상태들을 추측하는 절차를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예컨대 추측은 특정한 배경 또는 행동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상태들을 통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측은 개연론적일 수 있으며-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에 대한 고려에 기반한 관심있는 상태들을 통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 있다. 추측은 또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더 높은-레벨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술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추측은 관찰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액션들을 구성하도록 하고, 이벤트들이 가까운 시간 인접도에 상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몇몇의 이벤트 및 데이터 리소스들로부터 기인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일례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력 제한 정보의 고려들에 기초하여 할당된 스펙트럼의 서브밴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 하는 것에 관련하여 추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설명으로써, 서브밴드 스케줄의 고려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추측될 수 있다. 다음의 예들은 현실적으로 실례가 되고, 추측들의 수를 제한하거나, 또는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방법들과 관련하여 추측들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인식해야할 것이다.
도 9는 방송된 간섭 정보의 고려들에 기초하여 역방향 링크 전력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예컨대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해 전형적인 행동들을 수행(예컨대, 필터링, 증폭, 다운 컨버팅 등)하며,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수신기(902)를 포함한다. 예컨대, 수신기(902)는 MMSE 수신기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할 수 있고, 상기 복조된 심볼들을 채널 추정을 위한 프로세서(906)로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9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6)는 수신기(9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그리고/또는 송신기(916)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용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수신기(90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916)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며,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프로세서(906)에 효과적으로 연결되고, 전송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이용 가능한 채널들과 관련되는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관련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과 관련되는 정보, 그리고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90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08)는 채널을 추정 그리고/또는 채널을 이용(예컨대,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하는 것과 관련되는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듬들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데이터 저장소(예컨대, 메모리(908))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하여,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 가능한 ROM(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처럼 행동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하여,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인핸스드 SDRAM(E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DRRAM)과 같이 많은 형태들로서 이용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908)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이러한 메모리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06)는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대한 전력 제한들을 결정하는 전력 제한 표시기(910)와 효과적으로 연결된다. 전력 제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전력 증폭기 사이즈 또는 특성들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기는 만약 있다면 간섭 제약들의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한 정보는 주어진 섹터 내에서 로케이션 또는 하나 이상의 섹터 또는 셀과 관련한 셀 및/또는 로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902)에 의해 전송된 전력 제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902)에 의해 경험된 캐리어-대-간섭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한 표시기(910)는 송신기(916)를 통해 기지국으로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 전력 제한들을 전송한다. 또한, 수신기(902)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전력 증폭기에 대한 적절한 백오프를 결정하기 위해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서브밴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백오프 평가기에 연결된다.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변조기(914) 및 예컨대 기지국,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 등으로 신호(예컨대, 전력 제한 표시들)를 전송하는 송신기(916)를 더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6)로부터 분리되어 설명되었더라도, 전력 제한 표시기(910), 백오프 평가기(912) 및/또는 변조기(914)는 프로세서(906)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10은 PGRC 방식을 구현하는 MIMO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피드백의 양을 감소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000)의 도면이다. 시스템(1000)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1006)을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는 수신기(1010)를 지닌 기지국(1002)(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하고, 송신 안테나(1008)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04)로 전송하는 송신기(1020)를 포함한다. 수신기(1010)는 수신 안테나들(10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1012)와 효과적으로 관련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9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는 프로세서(1014)에 의해 분석되고, 상기 프로세서(1014)는 신호(예컨대, 파일럿) 강도 및/또는 간섭 강도를 추정하는 것과 관련되는 정보, 모바일 디바이스(들)(1004)(또는, 이종의 기지국(미도시))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그(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또는 여기서 설명한 다양한 행동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16)에 연결된다. 프로세서(1014)는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서브밴드 선택기(1018)에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서브밴드 선택기(1018)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전력 제한 표시의 고려들 및 서브밴드들의 전체에 걸친 채널 선택도에 기초하여 서브밴드를 선택한다.
서브밴드 선택기(1018)는 서브밴드 스케줄러(1020)에 연결된다. 서브밴드 스케줄러(1020)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004)로부터 수신되는 전력 제한 정보의 고려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1004)을 스케줄링한다. 예컨대, 전력 제한들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이너 서브밴드들에서 스케줄링되고, 전력 제한들을 가지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할당되는 나머지 스펙트럼의 부분들에 스케줄링된다. 변조기(1022)는 안테나(1008)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들)(1004)로의 송신기(1024)에 의한 전송을 위해 제어 정보를 다중화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04)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900)와 유사할 수 있고,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조절하기 위해 서브밴드 스케줄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내용과 관련하여 다른 기능들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프로세서(1014)와 독립하여 묘사되었더라도, 서브밴드 선택기(1018), 서브밴드 스케줄러(1020) 및/또는 변조기(1022)는 프로세서(1014)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은 간결함을 위해 하나의 기지국(1100) 및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150)를 묘사한다. 그러나 시스템(1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하고, 여기서 추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기지국(11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1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110)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150)는 양측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들(도 1, 3 내지 5, 9 내지 10) 및/또는 방법들(도 6 내지 8)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기지국(11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11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1114)로 제공된다. 일예에 따라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한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하고, 코딩하고, 그리고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로 다중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 분할 다중화(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대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모바일 디바이스(1150)에서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되는 특정한 변조 방식(예컨대, BPSK, QPSK, M-PSK, M-QAM 등)에 기초하여 변조(예컨대, 심볼 매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130)에 의해 수행되거나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1120)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변조 심볼들(예컨대, OFDM에 대한)을 추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1120)는 그 후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수신기들(TMTR/RCVR, 1122a 내지 1122t)로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1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로, 그리고 상기 심볼들이 전송되어진 안테나로 빔포밍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송수신기(11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며,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컨디셔닝(예컨대, 증폭, 필터링 및 업 컨버팅)한다. 또한, 송수신기(1122a 내지 11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의 안테나들(1124a 내지 1124t)로부터 전송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150)에서, 전송된 변조된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1152a 내지 11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11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송수신기(TMTR/RCVR, 1154a 내지 1154r)로 제공된다. 각각의 송수신기(1154)는 각각의 신호를 컨디셔닝(예컨대, 필터링, 증폭 및 다운 컨버팅)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그리고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샘플들을 추가적으로 처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는,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상기 NR개의 송수신기들(1154)로부터의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하고, 디인터리빙하며, 디코딩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에 의한 프로세싱은, 기지국(1110)에서 TX MIMO 프로세서(11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114)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과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170)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matrix)를 이용할 것인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하여 정보의 다양한 유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138)에 의해 처리될 수 있고, 여기서 TX 데이터 프로세서(1138)는 또한 데이터 소스(11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며, 변조기(1180)에 의해 변조될 수 있고, 송수신기들(1154a 내지 1154r)에 의해 컨디셔닝될 수 있으며, 그리고 기지국(1110)으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11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50)에 의해 전송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1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1124)에 의해 수신되고, 송수신기들(11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114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142)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프로세서(1130)는 빔 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130 및 1170)은 각각 기지국(11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150)에서 동작을 지시(예컨대,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130 및 11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32 및 1172)와 관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130 및 1170)은 또한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값들을 얻기 위해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프로세싱 유닛들은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 또는 그들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직접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다른 전기 유닛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될 때, 그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머신-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절차,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지시들의 임의의 조합,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스테이트먼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다른 코드 세그먼트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정보, 데이터, 아규먼트(argument)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컨텐츠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함으로써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아규먼트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되고, 포워딩되며,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컨대, 절차들, 기능들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수단들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방송되는 간섭 표시를 생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200)이 설명된다. 예컨대, 시스템(1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지국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200)은 기능적인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더라도, 시스템(12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컨대,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표현하는 기능적인 블록들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시스템(1200)은 자신과 관련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핑(1202)을 포함한다. 예컨대, 논리적인 그룹핑(1202)은 전력 제한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2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제한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할당된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들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또한, 논리적인 그룹핑(1202)은 전력 제한되지 않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2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제한들을 가지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전력 제한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한 후에 할당된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으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논리적인 그룹핑(1202)은 서브밴드들을 선택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2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에 따라서, 서브밴드들은 서브밴드들의 전체에 걸친 채널 선택도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전력 제한들에 대한 고려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200)은 전기 컴포넌트들(1204, 1206 및 1208)과 관련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2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1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되더라도, 하나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1204, 1206 및 1208)은 메모리(1210)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3으로 돌아가면, 역방향 링크를 통해 전력을 조절하는 시스템(1300)이 설명된다. 예컨대, 시스템(1300)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묘사된 바와 같이, 시스템(13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컨대,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300)은 순방향 링크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핑(1302)을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 그룹핑(1302)은 서브밴드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3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밴드 스케줄은 이너 서브밴드 또는 에지 서브밴드로의 할당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핑(1302)은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3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증폭기 백오프는 수신된 서브밴드 스케줄에 기초하여 평가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서, 높은 전력 백오프는 서브밴드 스케줄이 에지 서브밴드 할당을 표시할 때 결정될 수 있다. 낮은 백오프는 서브밴드 스케줄이 중앙 서브밴드 할당을 표시할 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핑(1302)은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변경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308)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밴드 스케줄을 분석하고 백오프를 평가한 후에, 전력 증폭기는 수용 가능한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을 유지하는 동안 전력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300)은 전기 컴포넌트들(1304, 1306 및 1308)과 관련되는 기능들을 실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13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1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되더라도, 전기 컴포넌트들(1304, 1306 및 1308)은 메모리(1310)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컴포넌트들 및 방법론들의 모든 착상 가능한 조합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본 기술분야에 속한 자는 더 많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조합들 및 치환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이러한 개조들, 변경들 및 변화들을 포함하기 위해 의도된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include)"는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점에서, 이러한 용어는 청구항에서 변천하는(transitional) 단어로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이 해석되는 것처럼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의도된다.

Claims (19)

  1.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서브밴드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브밴드 할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백오프에 따라 전력 증폭기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제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한 정보는 QoS 레벨 또는 전력 증폭기 사이즈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한 정보는, 할당되는 스펙트럼, 이너(inner) 서브밴드, 에지 서브밴드 또는 단일 베이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걸치는 할당을 위한 최대 달성 가능한 전송 전력을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밴드 할당이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로의 할당을 표시할 때 낮은 백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밴드 할당이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에지 서브밴드로의 할당을 표시할 때 높은 백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장치로서,
    수신된 서브밴드 할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는 것 및 상기 평가된 백오프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되는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에 보유되는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집적 회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스펙트럼 마스크 마진에서 비-선형 왜곡을 완화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서브밴드 할당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신된 서브밴드 할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된 백오프에 따라 전력 증폭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력 제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한 정보는 QoS 레벨 또는 전력 증폭기 사이즈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한 정보는, 할당되는 스펙트럼, 이너 서브밴드, 에지 서브밴드 또는 단일 베이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걸치는 할당을 위한 최대 달성 가능한 전송 전력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서브밴드 할당이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로의 할당을 표시할 때 낮은 백오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서브밴드 할당이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에지 서브밴드로의 할당을 표시할 때 높은 백오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서브밴드 할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평가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평가된 백오프에 따라 전력 증폭기를 구성하게 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백오프는, 상기 서브밴드 할당이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로의 지정을 표시할 때 낮은 백오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백오프는, 상기 서브밴드 할당이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에지 서브밴드로의 지정을 표시할 때 높은 백오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브밴드 할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 백오프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전력 증폭기 백오프에 따라 전력 증폭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백오프는, 상기 서브밴드 할당이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이너 서브밴드로의 지정을 표시할 때 낮은 백오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백오프는, 상기 서브밴드 할당이 할당되는 스펙트럼의 에지 서브밴드로의 지정을 표시할 때 높은 백오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는 장치.
KR1020117004892A 2006-09-11 2007-09-11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 KR101101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389306P 2006-09-11 2006-09-11
US60/843,893 2006-09-11
US11/852,565 2007-09-10
US11/852,565 US9949278B2 (en) 2006-09-11 2007-09-10 Dynamic power amplifier backoff
PCT/US2007/078099 WO2008033796A2 (en) 2006-09-11 2007-09-11 Subband scheduling and adjusting power amplifier backof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436A Division KR101068737B1 (ko) 2006-09-11 2007-09-11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961A true KR20110040961A (ko) 2011-04-20
KR101101074B1 KR101101074B1 (ko) 2011-12-30

Family

ID=391844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892A KR101101074B1 (ko) 2006-09-11 2007-09-11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
KR1020097007436A KR101068737B1 (ko) 2006-09-11 2007-09-11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436A KR101068737B1 (ko) 2006-09-11 2007-09-11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49278B2 (ko)
EP (2) EP2400669B1 (ko)
JP (2) JP5231422B2 (ko)
KR (2) KR101101074B1 (ko)
CN (2) CN103428842B (ko)
BR (1) BRPI0716606A2 (ko)
CA (1) CA2661186A1 (ko)
RU (1) RU2414057C2 (ko)
TW (2) TWI385945B (ko)
WO (1) WO20080337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8473B1 (en) * 2006-09-25 2018-09-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pilot arrangement method
WO2009081580A1 (ja) * 2007-12-25 2009-07-02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移動局装置および伝搬路推定方法
US8824600B2 (en) * 2008-10-29 2014-09-02 Sharp Kabushiki Kaisha Multiuser MIMO system, receiver, and transmitter
US8812040B2 (en) * 2008-12-22 2014-08-19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er equipment, base station, transmit power deciding method, and program
US8331254B2 (en) * 2009-07-29 2012-12-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ference-aware resource assign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JP2011097367A (ja) * 2009-10-29 2011-05-12 Sharp Corp 送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基地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1113198A1 (en) * 2010-03-17 2011-09-2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itigation
WO2012044102A2 (en) * 2010-09-30 2012-04-0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reporting power headroo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457953B (zh) * 2010-10-22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载波hsupa功率受限的指示方法、系统和终端
CN104144447B (zh) 2013-05-08 2018-06-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设备
US9717098B2 (en) * 2013-05-20 2017-07-25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avoidance schem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over unlicensed spectrum
EP3117676B1 (en) * 2014-03-14 2019-04-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 wireless device and a radio network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38318B1 (ko) * 2014-10-10 2022-08-30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에서 동적 자원 할당
JP2020144533A (ja) * 2019-03-05 2020-09-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516756B2 (en) 2021-03-29 2022-11-29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cheduler optimization for OFDMA downlink transmissions
US20220338126A1 (en) * 2021-04-16 2022-10-20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power amplifier backoff
IL292300A (en) * 2022-04-15 2023-11-01 Qualcomm Inc Techniques for managing non-linear distortion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8082C (en) * 1992-02-07 1999-01-19 John Hartung Dynamic bit allocation for three-dimensional subband video coding
US6061568A (en) * 1996-10-01 2000-05-09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modulation effects in multiple-signal transmission systems
KR100326313B1 (ko) 1996-12-30 2002-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합성선형증폭장치및방법
US6493331B1 (en) * 2000-03-30 2002-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of a communications systems
ES2275824T3 (es) * 2002-09-27 2007-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stema de telecomunicaciones con diversidad de transmision y diversidad multi-usuario.
US8179833B2 (en) * 2002-12-06 2012-05-15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TDM/OFDM/CDM reverse link transmission
US6898249B2 (en) 2002-12-17 2005-05-24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M digital audio broadcasting with amplitude scaled tertiary subcarriers
US20040147276A1 (en) * 2002-12-17 2004-07-29 Ralph Gholmieh Reduced signaling power headroom feedback
US6879813B2 (en) * 2003-01-30 2005-04-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Link-quality estimation method and components for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22434B2 (en) 2003-02-18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Peak-to-average power ratio management for multi-carrier modu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0316975D0 (en) * 2003-07-19 2003-08-27 Doucet Rejean Air turbulence gene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8526963B2 (en) * 2003-10-30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Restrictive reus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64820B2 (en) * 2003-11-21 2009-07-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and scheduling
JP4418377B2 (ja) 2004-01-29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RU2254590C1 (ru) 2004-02-11 2005-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Нижегород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адиотехники" Радиолокац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с большим динамическим диапазоном по интермодуляции третьего порядка
US8014781B2 (en) * 2004-06-08 2011-09-06 Qualcomm Incorporated Intra-cell common reus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452316B2 (en)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JP4447416B2 (ja) * 2004-09-22 2010-04-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バンド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機
WO2006077842A1 (ja) 2005-01-19 2006-07-27 Nec Corporation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アンテナ指向性・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IL169418A (en) * 2005-06-27 2010-11-30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manage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s
US20070097962A1 (en) * 2005-11-03 2007-05-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maximum transmit power of a mobile terminal
US7701910B2 (en) * 2005-11-28 2010-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verse link load estimation using reference signal
JP2007274042A (ja) * 2006-03-30 2007-10-18 Fujitsu Ltd 通信装置
US20070232349A1 (en) * 2006-04-04 2007-10-04 Jones Alan E Simultaneous dual mode operation in cellular networks
US8081698B2 (en) * 2006-06-29 2011-1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mechanism between OFDM-MIMO and LFDM-SIMO
US20080025254A1 (en) * 2006-07-25 2008-01-31 Motorola Inc Spectrum emission level variation in schedul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045255A1 (en) * 2006-08-21 2008-02-21 Motorola, Inc. Method of transmitting scheduling information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16606A2 (pt) 2013-10-08
CA2661186A1 (en) 2008-03-20
KR20090057112A (ko) 2009-06-03
CN101513107B (zh) 2013-07-24
WO2008033796A3 (en) 2008-11-20
TWI441467B (zh) 2014-06-11
EP2074848B1 (en) 2012-08-01
TW200830757A (en) 2008-07-16
JP2010503360A (ja) 2010-01-28
JP5628259B2 (ja) 2014-11-19
RU2414057C2 (ru) 2011-03-10
US20080096574A1 (en) 2008-04-24
EP2074848A2 (en) 2009-07-01
JP5231422B2 (ja) 2013-07-10
RU2009113549A (ru) 2010-10-20
TW201225559A (en) 2012-06-16
EP2400669B1 (en) 2016-01-06
CN103428842A (zh) 2013-12-04
CN103428842B (zh) 2016-09-28
CN101513107A (zh) 2009-08-19
WO2008033796A2 (en) 2008-03-20
TWI385945B (zh) 2013-02-11
US9949278B2 (en) 2018-04-17
EP2400669A1 (en) 2011-12-28
KR101101074B1 (ko) 2011-12-30
JP2013048439A (ja) 2013-03-07
KR101068737B1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074B1 (ko) 서브밴드 스케줄링 및 전력 증폭기 백오프 조절
KR101146812B1 (ko) 전력 증폭기 백오프의 조절 및 부대역 스케쥴링
JP5102298B2 (ja) サービングセクタ干渉ブロードキャスト及び対応する逆方向リンクトラヒック電力制御
KR200901238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일채널 간섭의 특징화
JP2013500659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における自己干渉を減らす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EP207834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of fast other sector interference (osi) with slow osi
WO2011121926A1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TWI444051B (zh) 利用標頭空間資訊之動態功率放大器後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