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113A - 기재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기재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113A
KR20110040113A KR1020090097258A KR20090097258A KR20110040113A KR 20110040113 A KR20110040113 A KR 20110040113A KR 1020090097258 A KR1020090097258 A KR 1020090097258A KR 20090097258 A KR20090097258 A KR 20090097258A KR 20110040113 A KR20110040113 A KR 2011004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liding door
case
recess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9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113A/ko
Publication of KR2011004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서랍, 여행가방 등의 가방, 각종수납장, 미닫이문 등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미닫이문의 경우, 수납부 등에 수납된 미닫이문을, 그 수납부 등으로부터 끌어 내는데도 사용되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피 장착부의 피 장착면과 거의 동일평면 이내에서, 동시에 요부내에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어져,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 조작에 의해 양 다리부의 적어도 한 방향이 이동하고, 전기 요부에서 출입하는 핸들을 구비한 것이다.
피 장착부, 피 장착면, 압압, 조작, 다리부, 핸들, 도어

Description

기재의 손잡이 {a Handle of basic materials}
본 발명은 책상 서랍, 여행가방 등의 가방, 각종수납장, 미닫이문 등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미닫이문의 경우, 수납부 등에 수납된 미닫이문을, 그 수납부 등으로부터 끌어 내는데도 사용되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그 손잡이를 손가락으로 잡고 미닫이문의 문의 면과 평행한 방향 (이하, 개방 방향 혹은 폐쇄 방향이라고 한다)에 눌러 빼는 것으로, 미닫이문이 문지방 상부를 이동해서 개구(開口)가 개폐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그 개구(開口) 개방시에 있어서의 미닫이문은, 미닫이문의 수납부 또는 당김차이로 문지방위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미닫이문과 겹친 상태에서, 동시에, 그 미닫이문의 단면이 수납부의 단면이나 다른 미닫이문의 단면과 거의 동일평면이 되게 수납되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개구(開口) 을 폐쇄하기 위 해서, 미닫이문을 수납부 등으로부터 끌어 낼 때에는, 일본 실용공개공보 평 2-47161호 공보로 공개되어 있는 것 같은 핸들을 사용해서 끌어 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즉, 도14의 도시와 같이, 이 핸들(104)은 평면시 거의 반원 반달 모양으로 형성되어, 미닫이문(100)의 단면(100A)으로부터 문의 면(100B)에 걸쳐서 마련되어진 정면에서 거의 반원 반달 모양의 요부(102)안에 회동이 자유롭게 추지(樞支) 되어 있다.
또, 그 핸들(104)안에는 평면에서 거의 반원 반달 모양의 절결요부(106)가 마련되어져 있다.
그리고, 용도 설명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도시의 화살표 X방향으로 부세(付勢) 되는 동시에, 요부(102)의 상부에 마련되어진 스톱퍼(stopper)로 쓰이는 계지부(108)에 계합되는 단차부(110)가 마련되어져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미닫이문(100)을 끌어 낼 때에는, 우선, 그 핸들(104)의 상부를 압압하며, 스프링의 부세력에 저항하고, 핸들(104)의 하부를 도시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 시켜, 절결요부(106)을 단면(100A)으로부터 밀어 내게 한다.
그리고, 그 절결요부(106)안에 손가락을 삽입해서 핸들(104)을 인장시키는 것에 의해, 미닫이문(100)을 끌어 내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핸들(104)의 상부를 압압하면서, 핸들(104)의 하부에 있어서의 절결요부(106)안에 손가락을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편수 조작이 어렵운 문제가 있다.
게다가, 그 핸들(104)을 회동 시킬 때, 상부를 압압해야 할지, 하부를 압압해야 할지 한눈에는 판단하기가 어려우며, 동시에 핸들(104)을 밀어 내게 하기 위해서 압압하는 무리 삽입 스트로크도 길다.
또, 스프링이 필요하게 되므로, 조립 작업이 번거로워진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간단한 구성이면서, 한쪽 손으로 간단히 서랍 조작을 할 수 있는 기재의 손잡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의 손잡이는, 피 장착부의 피 장착면과 거의 동일 평면 이내에서, 동시에 요부내에 수납가능하게 마련되어져,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 조작에 의해 양 다리부의 적어도 한 방향이 이동하고, 전기 요부에서 출입하는 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의 손잡이는, 전기 핸들이,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 조작에 의해 휨 변형하고, 전기 요부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의 손잡이는, 전기 핸들이, 이동하는 추지(樞支)부를 통해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 조작에 의해 전기추지(樞支)부가 회동 하며, 전기 요부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청구항 4에 기재의 손잡이는, 전기 핸들이, 돌출 방향과 역방향의 압압에 의해, 전기 요부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청구항 5에 기재의 손잡이는, 전기 핸들이,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 조작에 의해, 핸들은, 그 양 다리부의 적어도 한 방향이 이동하고, 간단히 요부에서 돌출한다.
그러나, 그 밀어 낸 핸들을 파지해서 당기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미닫이문의 경우에는, 수납부 등으로부터 한쪽 손으로 간단히 미닫이문을 끌어 낼 수 있다.
또, 핸들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양을 휨 변형량으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핸들을 밀어 내게 하기 위하여 짧은 억지삽입 스트로크로 가능해진다.
그리고, 핸들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양을 추지(樞支)부의 회동양으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짧은 삽입 스트로크로 핸들을 밀어 낼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미닫이문의 경우, 그 미닫이문을 닫는것 만으로, 핸들을 요부내에 수납시킬 수 있다.
즉, 미닫이문을 닫으면, 핸들은 개구(開口)의 단면에 의해 돌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압압되어지므로, 자동적으로 요부내에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핸들을 수납시키기 위한 스프링 기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단순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예를 들면 미닫이문의 경우, 그 미닫이문을 닫았을 때, 돌출되어있는 핸들이 개구(開口) 의 단면에 충돌하여도, 그 단면에 손상이 없으며,동시에, 그 때의 충돌 소리도 저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도1에 있어서, 미닫이문(10)의 전방의 문의 면을 표면으로 해서 그 반대측의 문의 면을 미닫이문(10)의 이면으로 하지만, 실제로는 특별한 표면과 이면의 구별은 없다.
또, 이 미닫이문(10)은, 당김 실수로 문지방(11)위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미닫이문(12)을 향해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개구(開口)(16)를 개방하는 것으로서 미닫이문(12)가 도6, 도7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벽(수납부)(14)의 내측에 이미 수납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미닫이문(12)과 벽(14)의 사이에 수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는 도 5에서의 도시와 같이, 미닫이문(10)의 단면(10A)에는 거의 구형상의 혈부(穴部)(10B)가 관통 설치되어 있어, 그 혈부(10B)내에 손잡이(20)이 마련되어진다.
손잡이(20)는, 피 장착부로서의 케이스(22)를 갖추고, 그 케이스(22)의 둘래면(22A)가 미닫이문(10)의 단면(10A)와 거의 동일 평면 이내가 되게 혈부(10B)내에 매설되어 있다. 또, 케이스(22)의 외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설치부(24)가 일체로 연장설치 되어 있고, 이 설치부(24)에는, 케이스(22)를 혈부(10B)내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18)가 삽통 가능한 나사 구멍(24A)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부(24)의 기단(基端)측에는 정면에서 거의 반원 반달 모양으로, 측단면에서 거의 원호상의 곡면요부(2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22)의 설치부(24)를 제외하는 외측에는, 핸들(5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요부(30)가 형성되고 있어, 그 수납 요부(30)안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베이스판(4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요부 32가 더욱 형성되어 있다. 설치 요부 32의 각 중앙에는 원형요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원형요부(34)의 중앙에는 나사(28)를 삽입 관통시키는 나사 구멍(34A)가 관통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원형요부(34)의 근방에는 탄합 구멍(36)이,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2개씩 관통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판(40)은, 케이스(22)의 설치 요부(32)안에 장착 가능한 각 구형판형상에 형성되어있어, 그 외면에는 핸들(50)의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을 장착하는 지지부(42)가 일체로 돌출설치 되어 있다. 이 지지부(42)은, 베이스판(40)의 외면에 일체로 돌출설치 되는 지지대(42A)와, 그 지지 대(42A)의 첨단에 일체로 횡설되는 각 원기둥형상의 지지 축(42B)와 구성되고 있으며, 평면에서 대략 'T'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판(40)의 내면에는 원형요부(34)에 감합 가능한 원형凸부(44)가 형성되어 있어, 이 원형凸부(44)의 중앙에서 지지대(42A)의 내측에 걸쳐서 나사(28)가 나사 체결되는 비관통의 나사 구멍(44A)가 관통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원형凸부(44)의 근방에는, 감합 구멍(36)에 삽착 가능한 감합 돌기(46)가 2개 돌출설치 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판(40)은, 케이스(22)의 설치 요부(32)에 형성된 원형요부(34)에 원형凸부(44)을 감합하는 동시에 감합구멍(36)에 감합돌기(46)을 삽입체결 하고, 케이스(22)내부측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요부(38)측에서 나사(28)을 나사 구멍(34A) 및 나사 구멍(44A)에 삽통해서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22)에 설치 고정된다.
한편, 핸들(50)은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가늘고 긴 평판상에, TPE(열가소성 고무)등의 연질재료로 형성되고 있어, 그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에 관통설치된 축 구멍부(54)에, 베이스판(40)의 지지 축(42B)를 삽통 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22)의 수납 요부(30)안에 수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이 핸들(50)의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중앙에 요부(48)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요부(48)의 양측에 설치부(52)이 형성되고 있어, 이 설치부(52)에는 측면에서 거의 타원형상의 축 구멍부(54)가 관통설치 되어 있다.
이 축 구멍부(54)는, 도 3C에서의 도시와 같이, 측면에서 상단부(50A) 측은 상단이, 하단부(50B)측은 하단이, 각각 내부측 (도 2에 있어서 케이스(22)측)에 적합하게, 소정각도α(예를 들면, 약(10)ㅀ)경사져 있어, 베이스판(40)의 지지 축(42B)가 요부(48)측으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베이스판(40)에 핸들(50)의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가 설치 지지되게 되고 있다.
한편, 이 때, 지지축(42B)은, 축 구멍부(54)가 측면에서 거의 타원형상에 관통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진다.
그리고, 도 4의 도시와 같이, 핸들(50)이 수납 요부(30)안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그 핸들(50)의 외면이 케이스(22)의 둘래면(22A) (미닫이문(10)의 단면(10A)와 거의 동일 평면이거나, 또는 그 둘래면(22A) (단면10A)보다도 내측에 수납되어, 지지축(42B)가 축 구멍부(54)의 상하 방향내측(상단부(50A)는 하단측, 하단부(50B)은 상단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그렇지만, 수납 요부(30)의 깊이는, 핸들(50)의 두께와 거의 같거나, 그것보다도 약간 큰 정도이며 , 케이스(22)의 깊이(매설되는 부분의 높이)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미닫이문(10)의 단면(10A)에 관통 설치하는 혈부(10B)의 깊이가 종래에 비교해서 얕게 된다.
즉, 미닫이문(10)의 단면(10A)에 마련하는 손잡이(20)의 깊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의 삭감이 가능하다.
한편, 핸들(50)을 케이스(22)의 둘래면(22A) (미닫이문(10)의 단면(10A)로부터 밀어 내게 하는 때는, 그 상단부(50A) 또는 하단부(50B)을 핸들(50)의 길이 방향으로 압압한다.
다시 말해, 예를 들면 핸들(50)의 상단부(50A)를 하방을 향해서 압압하며, 축 구멍부(54)안에 있어서의 지지축(42B)을 상하 방향내측에서 외측(상단측)을 향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그 축 구멍부(54)는 소정각도α로 경사져 있으므로, 핸들(50)은 외 측을 향해서 압압되며, 동시에, 이것에 따라, 핸들(50)의 하단부(50B)에 있어서의 지지축(42B)도 축 구멍부(54)내부를 상하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하단측)을 향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핸들(50)이 측면에서 거의 원호형으로 휨 변형하고, 케이스(22)의 둘래면(22A) (미닫이문(10)의 단면(10A)보다 돌출한다.
또, 도 2의 도시와 같이, 이 핸들(50)의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에는 커버((60))가 장치되어 있다.
이 커버((60))는, 측면에서 각 'D'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50A)의 윗쪽 및 하단부(50B)의 하방에서 각각 피 장치 가능하도록, 그것들과 상대하는 측면이 개구되어있다.
또, 커버((60))의 양측부 내면에는, 축 구멍부(54)와 거의 동일형상의 감합 요부(62)가 형성되어있어, 축 구멍부(54)를 통해서 설치부(52)의 외방으로 돌출되어있는 지지축(42B)의 선단부가 삽입가능 하도록 되어있다.
더욱이, 그 커버((60))의 양측부 내면에 있어서의 개구측의 단부에는, 핸들(50)의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의 양측방에 각각 형성된 홈부(56)(도 3참조)에 계합되는 계합돌기(64)가 돌출설치 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60))의 내부측의 벽부에는, 지지대(42A)를 허용하는 절결부(68)이 형성되어있으며, 그 벽부의 내면, 개구 측의 단부에는 계합돌기(66)이 돌출설치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커버((60))를 핸들(50)의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에 장치 하는 때는, 그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의 양측방에 형성된 홈부(56)에 계합돌기(64)을 계합시키면서 개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그 홈부(56)안에 돌출설치 된 계지돌기(58)에, 그것을 타고 넘은 계합돌기(64)가 계지됨과, 동시에 계합돌기(66)가 설치부(52)의 내면측에 형성된 단차부(53)에 계지되어, 커버(60)이 핸들(50)의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에 각각 장착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손잡이(20)에 대하여, 다음에, 그 일련의 작용에 대하여 도 6 내지는 도 8을 기초로 설명을 한다.
개구(16)를ㄹ 폐쇄하는 때는, 케이스(22)의 둘래면(22A) (미닫이문(10)의 단면(10A)와 거의 동일 평면 이내에 수납되어 있는 핸들(50)을 그 둘래면(22A) (단면10A)로부터 끌어 낸다.
다시 말해, 핸들(50)은 TPE(열가소성 고무)등의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상단부 (커버(60)의 상단부)을, 도 6의 도시와 같이, 손가락으로 하방을 향해서 압압하며, 측면에서 거의 원호형상으로 휨 변형시킨다.
한편, 핸들(50)의 하단부를 상방을 향해서 압압시켜도 핸들(50)을 동일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해서, 핸들(50)을 측면에서 거의 원호형상으로 휨 변형시켜, 케이스(22)의 수납 요부(30)의 내부, 즉 케이스(22)의 둘래면(22A) (미닫이문(10)의 단면(10A)로부터 돌출시키면, 손가락으로 그 핸들(50)을 파지해서 미닫이문(10)을 당긴다.
그러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미닫이문(10)이 미닫이문(12)과 벽(14)의 사이에서 당겨져서, 도 8로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70)이 출현된다.
손잡이(70)이 출현하면, 이번은 그 손잡이(70)을 사용해서 미닫이문(10)을 닫지만,
이 때, 핸들(50)이 측면에 서로 미닫이문(10)의 단면(10A)로부터 밀어 낸 상태인 채로 있어도, 개구(16)의 폐쇄가 가능하다.
도 8의 도시와 같이, 핸들(50)이 밀어 낸 상태인 채로 , 미닫이문(10)을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개구(16)를 형성하는 단면(16A)에 그 단면(10A)를 당접시켜도, 핸들(50)은 연질재료이므로, 그 단면(16A)를 손상시키는 일은 없으며, 동시에, 그 핸들(50)은 돌출하는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압력에 의해 간단히 휨 변형하여 케이스(22)의 수납 요부(30)안에 수납되므로, 미닫이문(10)을 닫는것 만으로 간단히 케이스(22)안에 수납된다.
따라서, 핸들(50)을 케이스(22)의 수납 요부(30)안에 수납시키지 않아도, 안심하고 미닫이문(10)을 닫을 수 있다.
게다가, 이 핸들(50)은, 미닫이문(10)의 단면(10A) (케이스(22)의 둘래면(22A))와 거의 동일 평면 이내, 다시 말해 그 단면(10A) (둘래면(22A)와 거의 동일 평면이거나, 또는 그 단면(10A) (둘래면(22A)보다도 내측이 되게 수납요부(30)안에 수납되므로, 미닫이문(10)을 닫아서 개구(16)를 폐쇄했을 때에, 그 개구(16)의 단면(16A)에 미닫이문(10)의 단면(10A)를 빈틈 없이 당접 시킬 수 있으므로, 개구(16)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미닫이문(10)을 열 때에는, 핸들(50)은 수납 요부(30)안에 수납된 그대로의 상태이므로, 방해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핸들(50)은 연질재료로 형성되고, 동시에, 그 상하 양 다리부가 경사각도α의 축 구멍부(54)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에 의해 간단히 휨 변형하며, 더욱이 수납 요부(30)의 깊이가 핸들(50)의 두께와 거의 같거나, 그것 보다도 약간 큰 정도이므로 케이스(22)의 수납 요부(30)안, 즉 케이스(22)의 둘래면(22A) (미닫이문(10)의 단면(10A)로부터 측면에서 거의 원호형상으로 용이하게 밀어 내진다.
그리고, 그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역방향)의 압압에 의해 간단히 휨 변형되어 케이스(22)의 수납 요부(30)안에 수납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수납을 위한 스프링 기구 등이 불필요하므로,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 핸들(50)은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16)의 단면(16A)에 충돌시켜도, 그 충돌 소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케이스(22)에는 곡면요부(2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은 핸들(50)의 단부를 스무스하게 압압 가능하고, 동시에, 그 단부의 압압양이 핸들(50)의 휨 변형량으로 변환되는 것 뿐이므로, 짧은 삽입 스트로크로 돌출 가능해진다.
상기한 손잡이(20)에 있어서, 다음에 그 변형의 예에 대해서 도 9 내지는 도 13을 기초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 예와 동등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매겨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 변형 예에 있어서의 일련의 작용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예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이 변형 예에서는, 핸들(50)의 축 구멍부(54)안의 형상이 상단부(50A)와 하단부(50B)와는 다르다.
즉, 이 도시의 내용은 상단부(50A)를 압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압압되어지지 않는 하단부(50B)의 축 구멍부(54)내부에, 상단부(50A)를 압압했을 때에, 지지 축(42B)이 축 구멍부(54)안을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벽(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압압되어지지 않는 쪽의 핸들(50)단부의 축 구멍부(54)안에 규제벽(55)을 마련하고, 지지축(42B)이 축 구멍부(54)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면, 타방의 핸들(50)단부의 압압에 의해, 간단하게 핸들(50)을 변형시킬 수 있다.
즉, 도 11, 도 12의 도시와 같이, 핸들(50)의 상단부(50A)를 하방을 향해서 압압하면, 하단부(50B)에 있어서 지지 축(42B)은 (축 구멍(孔)부 54안을 슬라이드 이동할 필요 없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단부(50A)에 한정되게, 지지 축(42B)이 축 구멍부(54)안을 상하 방향내측에서 외측(상단측)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러면, 핸들(50)의 상단부(50A)가 그 만큼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핸들(50)은 외측에 향해서 스무스하게 휨 변형시켜진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 예의 경우에 비해서, 핸들(50)을 간편하게 케이스(22)의 수납 요부(30)의 내측, 즉 케이스(22)의 둘래면(22A) (미닫이문(10)의 단면(10A)로부터 측면에서 거의 원호형상으로 돌출시 킬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면, 도 13의 도시와 같이, 예를 들면 상단부(50A)의 근방에서 핸들(50)을 분할하고, 그 분할한 부분을, 축부(57)을 통해서 자유 회동하도록 연결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핸들(50)이 연질재료인 필요는 없지만, 연질재료인 쪽이 바람직하다.
또, 이 핸들(50)에 있어서도 압압 되지 않는 하단부(50B)의 축 구멍부(54)내부에는, 상기 변형 예와 같은 규제벽(5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핸들(50)은, 상기 변형 예와 같이, 상단부(50A)를 하방을 향해서 압압 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히 핸들(50)을 케이스(22)의 둘래면(22A)에서 미닫이문(10)의 단면(10A)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즉, 핸들(50)의 상단부(50A)를 하방을 향해서 압압하면, 하단부(50B)에 있어서 지지축(42B)은 축 구멍부(54)안을 슬라이드 이동 없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단부(50A)에 있어서만, 지지축(42B)이 축 구멍부(54)안을 상하 방향내측에서 외측(상단측)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러면, 핸들(50)의 상단부(50A)가 그만큼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핸들(50)은, 도 13A의 도시와 같이, 축부(57)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추지부가 반시계방향, 하측이 시계방향의 상하 역방향으로 회동 하고, 그 추지 연결 부분이 외측에 돌출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 예의 경우에 비해 핸들(50)을 간편하게 케이스(22)의 수 납 요부(30)내부, 즉 케이스(22)의 둘래면(22A) (미닫이문(10)의 단면(10A)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 예 및 변형 예에 있어서, 도 13B의 도시와 같이, 상측(압압시키는 측)의 곡면요부(26)을 하측(압압되지 않는 측)보다도 넓게 형성하고, 그 면에 압압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69)을 표시하면, 사용자가 손잡이(20), 즉 핸들(50)의 사용방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변형 예에 있어서, 하단부(50B)의 축 구멍부(54)를 측면에서 거의 원형형상으로 해서, 규제벽(55)을 마련하지 않아도 무관하나, 축 구멍부(54)를 측면에서 거의 타원형상으로 해서, 규제벽(55)을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 지지 축(42B)를 축 구멍부(54)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누구라도, 본 발명에 관계된 손잡이(20)은, 상기 실시 예 및 변형 예로 설명한 미닫이문(10)이외에, 책상 서랍이나 여행가방 등의 가방, 각종 수납장 등의 손잡이로서 우수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적용 범위는 넓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의 핸들을 한쪽 손으로 간단히 요부에서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미닫이문에 이용했을 경우, 한쪽 손으로 간단히 미닫이문을 수납부 등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를 구비한 미닫이문 전체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의 핸들 단부의 배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의 핸들 단부의 평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의 핸들 단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의 핸들 수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의 핸들 인출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를 구비한 미닫이문을 예의 미닫이문과 벽면의 사이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를 구비한 미닫이문을 예의 미닫이문과 벽면의 사이에서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손잡이를 구비한 미닫이문에 의하여 개구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 별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 별 손잡이의 핸들 단부의 배면도.
도 10B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 별 손잡이의 핸들 단부의 평면도.
도 10C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 별 손잡이의 핸들 단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 별 손잡이의 핸들 수납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 별 손잡이의 핸들 인출상태를 나타낸 개략측 단면도.
도 13A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 별 손잡이의 핸들 인출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
도 13B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 별 손잡이의 핸들의 개략 정면도.
도 14는 종래의 손잡이를 구비한 미닫이문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미닫이문 20 - 손잡이
22 - 케이스(피 장착부) 50 - 핸들

Claims (5)

  1. 피 장착부의 피 장착면과 거의 동일평면 이내에서, 동시에 요부내에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어져,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 조작에 의해 양 다리부의 적어도 한 방향이 이동하고, 전기 요부에서 출입하는 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 조작에 의해 휨 변형하고, 전기 요부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손잡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이동하는 추지부를 통해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서의 압압 조작에 의해 전기 추지부가 회동하고, 전기 요부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손잡이.
  4. 청구항 1 내지는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돌출 방향과 역방향의 압압에 의해, 전기 요부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손잡이.
  5. 청구항 1내지는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손잡이.
KR1020090097258A 2009-10-13 2009-10-13 기재의 손잡이 KR20110040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58A KR20110040113A (ko) 2009-10-13 2009-10-13 기재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58A KR20110040113A (ko) 2009-10-13 2009-10-13 기재의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113A true KR20110040113A (ko) 2011-04-20

Family

ID=4404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58A KR20110040113A (ko) 2009-10-13 2009-10-13 기재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01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357B2 (en) Automatic locking apparatus used in guide rail for drawer
US5997056A (en) Locking devices
KR101161972B1 (ko) 커넥터 포트
US7740289B2 (en) Housing of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07765785B (zh) 具有免工具开启装置的机箱
KR20180016643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JP3325003B2 (ja) 鞄 錠
EP1870793A3 (en) Fixing mechanism for data storage device
US20200281086A1 (en) Pull-out aiding device
CN111578607A (zh) 门组件及储物柜
EP2746509A1 (en) Damping device for hinge assembly
KR20110040113A (ko) 기재의 손잡이
CN113314908B (zh) 转接器
KR200158700Y1 (ko) 잠금장치와 잠금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
KR200489085Y1 (ko) 잠금장치용 창문 손잡이
US7815186B2 (en) Cartridge
EP2570884A2 (en) Docking station
JP4175804B2 (ja) 把手
KR101101025B1 (ko) 커넥터
JP2016089546A (ja) 引戸用施錠装置
CN111577004A (zh) 拉手组件、门组件及储物柜
CN219711270U (zh) 一种一体式卡扣反弹器
CN211459285U (zh) 一种用于柜门的门锁装置
JP2020119986A (ja) 電子機器
JP3062931U (ja) 開閉用の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