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02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025B1
KR101101025B1 KR1020090043948A KR20090043948A KR101101025B1 KR 101101025 B1 KR101101025 B1 KR 101101025B1 KR 1020090043948 A KR1020090043948 A KR 1020090043948A KR 20090043948 A KR20090043948 A KR 20090043948A KR 101101025 B1 KR101101025 B1 KR 10110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substrate
sli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635A (ko
Inventor
데츠 우라노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3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27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택트의 접촉부가 파손될 우려가 없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인버터 기판의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에 콘택트가 보유되어 있다. 콘택트는 인버터 기판의 판두께 방향에 따라 수용부 내의 삽입부에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가진다. 미끄러짐에 의해 콘택트의 접촉부를 인버터 기판의 삽입부에 대하여 접촉 및 격리시키는 슬라이더(slider)를 하우징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했다.
커넥터, 콘택트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이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램프와 인버터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램프 보유 구조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2004-335227호 공보 참조). 램프 보유 구조는 콘택트(contact)와 램프 보유 부재와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는 압접부(壓接部)와 접촉 스프링부와 보유부와 연결부를 가진다. 압접부는 커버 부재에 보유된 램프의 램프 단자에 압접한다. 접촉 스프링부는 램프 보유 부재의 상단면(上端面)에 배치된 보유판에 그 판두께 방향으로 대향한다. 또한, 접촉 스프링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접촉 스프링부의 선단부는 상방(上方)으로 젖혀져 있다. 보유부는 램프 보유 부재에 압입(壓入)된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는 램프 보유 부재에 보유된다. 연결부는 압접부와 접촉 스프링부를 연결한다.
램프 보유 부재는 커버 부재와 콘택트의 연결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를 가진다.
커버 부재는 램프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램프 수용부와 램프의 램프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부를 가진다.
램프 보유 구조에서 램프를 보유하기 위해서는, 우선, 콘택트의 보유부를 램프 보유 부재에 압입해서 콘택트를 램프 보유 부재에 보유시킨다. 콘택트가 램프 보유 부재에 보유될 때, 콘택트의 연결부는 램프 보유 부재의 제1수용부에 수용된다.
이어서, 커버 부재의 단자 삽입부에 램프의 램프 단자를 삽입함과 더불어, 커버 부재의 램프 수용부에 램프의 일단부를 수용한다.
최후에, 램프 보유 부재의 제1수용부에 커버 부재를 수용한다. 제1수용부에 커버 부재가 수용될 때, 콘택트의 압접부가 램프의 램프 단자에 압접한다.
램프 보유 구조에 의해 램프와 인버터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램프 보유 부재의 상단면에 배치된 보유판과 콘택트의 접촉 스프링부의 사이에, 인버터 기판의 일단부를 램프 보유 부재의 상단면을 따라 삽입하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의 접촉 스프링부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젖혀지므로, 인버터 기판의 일단부가 램프 보유 부재의 상단면을 따라 보유판과 콘택트의 접촉 스프링부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접촉 스프링부가 인버터 기판의 상면에 부드럽게 올라앉는다.
상기의 램프 보유 구조에서는, 인버터 기판의 일단부를 램프 보유 부재의 상단면을 따라 보유판과 콘택트의 접촉 스프링부의 사이에 삽입할 때, 접촉 스프링부가 정상적으로 인버터 기판에 놓이지 않고, 접촉 스프링부가 인버터 기판에 압압되 어, 꺽여질 우려가 있다.
이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콘택트의 접촉부가 파손될 우려가 없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있어서는, 기판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기판의 일부에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보유된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접촉부를 상기 기판의 일부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접촉 및 격리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에 따르면, 슬라이더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콘택트의 접촉부가 기판의 일부에 대하여 기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접촉 및 격리되므로, 기판의 일부를 수용부에 수용할 때, 접촉부가 기판의 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는 기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기판의 일부에 접촉가능하므로, 접촉부는 기판의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압압될 위험성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접촉부를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cam)면을 가지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캠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트는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가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양태에 있어서는, 발명의 커넥터는, 기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이 기판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의 일부에 접촉가능한 접촉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접촉부에 누르는 끼움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보유된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 상기 하우징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끼움부에 의한 상기 기판의 일부의 끼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끼움부에 의한 상기 기판의 일부의 끼움 상태를 해제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 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에 대한 상기 기판 일부의 삽입(揷入) 및 발출(拔出)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가진다.
이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의 접촉부가 파손될 우려가 없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근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더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섀시(23)에 장착되어, 인버터 기판(21)과 백라이트의 냉음극관(2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커넥터(1)는 하우징(3)과 콘택트(5)와 슬라이더(7)를 구비한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은 하우징 본체(31)와 플랜지부(32)를 가지고,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31)는 각기둥 형상이며, 정면판(311)과 배면판(312)과 2개의 측면판(313)을 가진다. 하우징 본체(31)의 횡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다.
정면판(311)의 상단부에는 개구(311a)가 형성되고, 정면판(311)의 하단부에는 개구(311b)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판(312)의 상단면은 정면판(311)의 상단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 다. 배면판(312)의 내면의 양측부에 각각 돌출편(314)이 설치되어 있다. 돌출편(314)은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3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편(314)의 선단부가 측면판(313)에 결합됨으로써, 돌출편(314)의 선단부에는 보유 홈(314a)이 형성된다. 보유 홈(314a)은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3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측면판(313)은 동일한 형상이다. 측면판(313)의 외면의 거의 중앙부에는 쐐기 모양의 돌기(313a)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판(313)의 내면의 상부에는 볼록부(가이드부)(3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판(313)의 내면의 상부에는 2개의 오목부(313c, 313d)가 형성되어 있다.
정면판(311)과 배면판(312)과 2개의 측면판(313)으로 둘러싸인 공간(하우징 본체(31)의 내부 공간)이, 인버터 기판(21)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수용부)(315)이다.
플랜지부(32)는 하우징 본체(31)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3에서 플랜지부(32)는 돌기(313a)의 조금 아래에 위치한다.
플랜지부(32)의 상면에는 오삽입(誤揷入) 방지 볼록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5)는 몸통부(51)와 기판 접속부(52)와 냉음극관 접속부(53)와 2개의 각부(脚部)(54)를 가진다. 콘택트(5)는 1매(枚)의 금속판에 펀칭 가공(punching work) 및 벤딩 가공(bending work)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51)는 정면판(511)과 2개의 측면판(512)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측면판(512)은 정면판(511)의 양측부에 각각 이어진다. 측면판(512)의 높이 치수는 정면판(511)의 높이 치수보다도 크고, 측면판(512)의 상단은 정면판(511)의 상단보다도 위쪽에 위치한다. 측면판(512)의 상단부는 거의 직각으로 안쪽으로 접혀 구부려져서 레일(가이드부)(512a)을 구성한다. 레일(512a)의 후단부에는 볼록부(512b)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52)는 접촉부(521)와 스프링부(522)와 지지부(523)를 가진다. 접촉부(521)는 거의 L자형으로 접혀 구부려져 있다. 접촉부(521)는 2개의 걸림부(521a)를 가진다. 걸림부(521a)는 거의 J자형으로 형성되어, 접촉부(521)의 선단부(일단부)에 위치한다. 스프링부(522)의 일단부는 거의 U자형으로 접혀 구부려져 있고, 접촉부(521)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부(522)는 콘택트(5)의 높이 방향 H5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지지부(523)는 평판상이며, 지지부(523)의 일단부는 스프링부(522)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지지부(523)의 타단부는 정면판(51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523)는 스프링부(522)를 지지한다.
냉음극관 접속부(53)는 2개의 접촉부(531)와 관보유부(532)를 가진다. 2개의 접촉부(531)는 각각 거의 J자형으로 접혀 구부려져 있다. 각 접촉부(531)는 콘택트(5)의 폭방향 W5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각 접촉부(531)의 상단부는 측면판(5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접촉부(531)의 하단부끼리는 서로 접촉한다. 관보유부(532)의 아래쪽 부분은 두 갈래로 갈라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보유부(532)의 아래쪽 부분에는 노치(532a)가 형성되고, 냉음극관(22)을 삽입하기 쉽도록 모따기(532b)가 실시되어 있다. 관보유부(532)의 위쪽 부분은 거의 띠 형상이고, 크랭크(crank) 형상으로 접혀 구부려져, 정면판(51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 다.
2개의 각부(54)는 각각 거의 L자형이며, 정면판(5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6,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7)는 2개의 측벽부(71)와 뚜껑부(72)와 후벽부(73)를 가지고, 합성 수지로 일체(一體)로 성형되어 있다. 각 측벽부(71)의 외면에는, 제1홈(71a)과 제2홈(7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홈(71a)과 제2홈(71b)은 서로 평행하다. 제2홈(71b)의 중앙부에는 오목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제1홈(71a)에는 하우징(3)의 측벽판(313)의 볼록부(313b)가 상대적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홈(71b)에는 콘택트(5)의 레일(512a)이 상대적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7)는 하우징(3)의 전후 방향 B3(도 2 참조)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하우징(3)에 부착된다.
또한, 각 측벽부(71)의 외면에는 쐐기 모양의 볼록부(71d)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7)가 전후 방향 B3으로 미끄러질 때, 볼록부(71d)는 측면판(313)의 오목부(313c, 313d)(도 2 참조)에 가볍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각 측벽부(71)의 하부에는 캠면(71e)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71e)은 콘택트(5)(도 4, 도 5 참조)의 접촉부(521)의 걸림부(521a)와 걸려서, 하우징(3)의 수용 공간(315)에 삽입된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의 판두께 방향으로 접촉부(521)를 이동시킨다.
뚜껑부(72)는 2개의 측벽부(71)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후벽부(73)은 측벽부(71)의 후부(後部)에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커넥터(1)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3)(도 2, 도 3 참조)의 아래쪽의 개구(311b)로부터 콘택트(5)(도 4, 도 5 참조)를 삽입한다. 이때, 콘택트(5)의 측면판(512)의 후부(512c)를 하우징(3)의 보유 홈(314a)(도 3 참조)에 삽입한다. 측면판(512)의 후부(512c)가 하우징(3)의 보유 홈(314a)에 삽입됨으로써 콘택트(5)는 하우징(3) 내에 보유된다.
이어서, 하우징(3)의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더(7)를 하우징(3) 및 콘택트(5)에 조립한다. 이때, 도 2, 도 7,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의 볼록부(313b)가 슬라이더(7)의 제1홈(71a)에, 콘택트(5)의 레일(512a)이 슬라이더(7)의 제2홈(71b)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최후에, 슬라이더(7)를 전방으로(하우징(3)의 정면판(311)쪽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도 6에 나타내는 슬라이더(7)의 볼록부(71d)를 도 2에 나타내는 하우징의 오목부(313c)나 오목부(313d)에 끼워 넣는다. 볼록부(71d)를 오목부(313c)에 끼워 넣으면, 슬라이더(7)는 개방 위치에서 멈춘다. 이 개방 위치에서는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를 하우징(3)의 전후 방향 B3(도 2 참조) 및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3(도 3 참조)으로 삽입·발출 가능하다. 볼록부(71d)를 오목부(313d)에 끼워 넣으면, 슬라이더(7)는 접속 위치에서 멈춘다. 슬라이더(7)가 접속 위치에서 멈추면, 하우징(3)의 수용 공간(315)의 개구(315a)(도 2 참조)가 슬라이더(7)의 뚜껑부(72)로 완전히 가로막힌다.
이상의 작업에 의해, 커넥터(1)의 조립이 완료된다. 커넥터(1)가 완성된 후에, 오조작 등에 의해 슬라이더(7)가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미끄러졌을 때, 콘택 트(5)의 볼록부(512b)가 슬라이더(7)의 오목부(71c)(도 7 참조)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슬라이더(7)가 걸려, 슬라이더(7)의 하우징(3)로부터의 탈락(脫落)이 방지된다.
완성된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섀시(23)에 부착된다. 커넥터(1)를 섀시(23)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섀시(23)의 하방(下方)으로부터 섀시(23)의 구멍(23a)에 커넥터(1)를 삽입하고, 커넥터(1)의 하우징(3)의 플랜지부(32)(도 2 참조)를 섀시(23)에 맞닿게 하면 좋다. 플랜지부(32)가 섀시(23)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하면, 커넥터(1)의 하우징(3)의 돌기(313a)는 탄성 변형하면서 섀시(23)의 구멍(23a)을 통과하고, 통과 후, 돌기(313a)의 하면이 섀시(23)의 상면에 접촉한다. 이 결과, 플랜지부(32)와 돌기(313a)에 의해 섀시(23)가 끼워지므로, 커넥터(1)는 섀시(23)에 보유된다.
커넥터(1)를 섀시(23)의 구멍(23a)에 삽입할 때, 커넥터(1)의 방향이 잘못되면, 커넥터(1)의 하우징(3)의 오삽입 방지 볼록부(33)가 섀시(23)의 구멍(23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23b)(도 1 참조)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커넥터(1)의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아차린다.
인버터 기판(21)을 커넥터(1)의 하우징(3)의 수용 공간(315)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냉음극관(22)의 일단부를 커넥터(1)의 콘택트(5)의 관보유부(532)에 보유시켜 둠(도 1 참조)과 더불어, 냉음극관(22)의 핀 형상의 단자부(도시하지 않음)를 2개의 접촉부(53)로 끼워 둔다.
인버터 기판(21)을 커넥터(1)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슬라이더(7)의 볼록부(71d)(도 6 참조)를 하우징(3)의 오목부(313c)에 끼워 넣어 슬라이더(7)를 개 방 위치에 둔다. 슬라이더(7)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7)의 캠면(71e)은 콘택트(5)의 접촉부(521)의 걸림부(521a)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있으므로, 콘택트(5) 스프링부(522)가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521)가 낮은 위치(개구(311a)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를 하우징(3)의 전후 방향 B3 또는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3에 따라 하우징(3)의 수용 공간(315)에 삽입한다. 이때, 콘택트(5)의 접촉부(521)는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에 접촉하지 않는다.
최후에, 슬라이더(7)를 하우징(3)의 전후 방향 B3에 따라 전방으로(정면판(311)쪽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그 결과, 슬라이더(7)의 볼록부(71d)(도 6 참조)가 하우징(3)의 오목부(313d)에 끼워 넣어지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7)가 폐쇄 위치에서 멈춘다. 슬라이더(7)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까지 미끄러질 때, 콘택트(5)의 접촉부(521)의 걸림부(521a)가 슬라이더(7)의 캠면(71e) 위를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면서 상승하므로, 스프링부(522)의 변형량이 서서히 감소하고, 접촉부(521)는 스프링부(522)의 스프링력에 의해 인버터 기판(21)의 판두께 방향으로 서서히 상승하여, 최종적으로 삽입부(21a)에 접촉한다. 콘택트(5)의 접촉부(521)가 스프링부(522)의 스프링력에 의해 삽입부(21a)에 눌려지면, 콘택트(5)를 통해서 인버터 기판(21)과 냉음극관(2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슬라이더(7)가 폐쇄 위치까지 미끄러지면, 하우징(3)의 수용 공간(315)의 개구(315a)가 슬라이더(7)의 뚜껑부(72)에 의해 막혀, 인버터 기판(21)의 삽입 부(21a)를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3으로 빼낼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 형태에 의하면, 콘택트(5)의 접촉부(521)는 인버터 기판(21)의 판두께 방향으로 이동해서 인버터 기판(21)에 접촉하므로, 콘택트(5)와 인버터 기판(21)의 접속 작업시에 먼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더(7)가 폐쇄 위치까지 미끄러지면, 하우징(3)의 수용 공간(315)의 개구(315a)가 슬라이더(7)의 뚜껑부(72)에 의해 막히므로, 외부로부터 먼지가 수용 공간(315)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의 외면에 돌기(313a)를 설치했으므로, 커넥터(1)를 직접 섀시(23)에 부착할 수 있고, 커넥터(1)의 섀시(23)에의 부착 작업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이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201)의 하우징(203) 일부의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201)의 콘택트(205) 일부의 사시도, 도 13은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201)의 슬라이더(207)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1실시 형태와의 주된 상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3)의 하우징 본체(231)는 정면판(2311)과 배면판(2312)과 2개의 측면판(23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판(2313)의 상부에는 창문구멍(2313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판(2313)의 상단부에는 오목부(2313f)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3)의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구조는 제1실시 형태의 하우징(3)과 동일하다.
정면판(2311)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207)의 2개의 볼록부(가이드부)(271a)(도 13, 14 참조)가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2개의 가이드 홈(2313b)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205)는 몸통부(251)와 기판 접속부(252)와 끼움부(255)를 가지고 있다.
몸통부(251)는 정면판(2511)과 2개의 측면판(25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252)는 접촉부(2521)와 스프링부(2522)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부(2522)의 일단부는 접촉부(2521)에 연결되고, 스프링부(2522)의 타단부는 정면판(2511)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부(2522)는 수용 공간(315)(도 16 참조)에 수용된 인버터 기판(21)(도 16 참조)의 판두께 방향 H21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끼움부(255)는 볼록부(2551)와 스프링부(2552)로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2551)는 수용 공간(315)에 수용된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의 폭방향 W21a(도 16 참조)으로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를 끼운다. 스프링부(2552)의 일단부는 볼록부(2551)에 연결되고, 스프링부(2552)의 타단부는 측면판(2512)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부(2552)는 수용 공간(315)에 수용된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의 폭방향 W21a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콘택트(205)의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구조는 제1실시 형태의 콘택트(5)와 동일하다.
슬라이더(207)는 2개의 측벽부(271)와 개폐 뚜껑부(272)과 후벽부(273)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07)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각 측벽부(271)의 상부의 외면에는 제1돌출편(271f)이 형성되고, 각 측 벽부(271)의 상부의 내면에는 제2돌출편(271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271)의 외면에는 제1볼록부(271h)와 제2볼록부(271i)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벽부(271)의 전부(前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271a)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뚜껑부(272)는 2개의 돌출편(272a)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돌출편(272a)은 측벽부(271)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양 돌출편(272a)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개구(315a)(도 14 참조)를 폐쇄한다. 각 돌출편(272a)은 그 고정단을 중심으로 해서 거의 9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가능하다. 2개의 돌출편(272a)이 탄성 변형했을 때 개구(315a)(도 14 참조)가 열린다. 후벽부(273)는 측벽부(271)의 후부(後部)에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201)에 인버터 기판(21)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슬라이더(207)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세트한다. 이때, 슬라이더(207)의 제1볼록부(271h)가 하우징(203)의 오목부(2313f)의 저면에 맞닿아서, 슬라이더(207)가 개방 위치에 보유된다. 또한, 슬라이더(207)를 위쪽으로 끌어당겨도, 제2볼록부(271i)가 창문구멍(2313e)의 내주면에 맞닿아서, 슬라이더(207)가 하우징(203)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어서,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를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 H203에 따라 수용 공간(315)(도 16 참조)에 삽입한다. 이때, 삽입부(21a)는 개폐 뚜껑부(272)을 밀어서 열고, 개폐 뚜껑부(272)를 통과한다. 2개의 볼록부(2551)끼리의 간격은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지만, 스프링부(2552)가 삽입부(21a)의 폭방향 W21a으로 탄성가능하므로, 인버터 기판(21)의 삽 입부(21a)는 2개의 볼록부(2551)를 밀어 젖혀서 볼록부(2551)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를 볼록부(2551) 사이를 경유시키지 않고, 하우징(3)의 전후 방향 B203에 따라 수용 공간(315)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도 15,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07)를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그 결과, 슬라이더의 제1돌출편(271f)이 하우징(203)의 오목부(2313f)에 들어감과 더불어, 제1볼록부(271h)가 하우징(203)의 창문구멍(2313e)에 들어간다. 또한, 슬라이더(207)의 측벽부(271)가 콘택트(205)의 스프링부(2552)와 하우징(203)의 측면판(2313)의 사이에 들어가, 스프링부(2552)가 삽입부(21a)의 폭방향 W21a으로 탄성 변형할 수 없게 되고, 2개의 볼록부(2551)의 간격이 확장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는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 H203에서 수용 공간(315)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수용 공간(315) 내의 삽입부(21a)는 볼록부(2551)에 의해 접촉부(2521)에 눌려진다. 그 결과, 콘택트(205)의 기판 접속부(252)와 인버터 기판(2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실시 형태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제1실시 형태에서는,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는 두 방향으로부터 수용 공간(315)에 삽입가능하지만, 삽입부(21a)는 하우징의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수용 공간(315)에 삽입가능하면 좋다.
또한, 상기의 제2실시 형태에서는, 인버터 기판(21)의 삽입부(21a)는 두 방향으로부터 수용 공간(315)에 삽입가능하지만, 삽입부(21a)는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H203으로부터 수용 공간(315)에 삽입가능하면 좋다.
또한 제1, 제2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7, 207)로서 수지제(樹脂製)의 것이 이용되고 있지만, 인버터 기판(21)의 상면과 콘택트(5, 205)의 사이에서 절연을 유지할 수 있으면, 슬라이더(7, 207)를 금속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콘택트를 비스듬하게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콘택트를 비스듬하게 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슬라이더를 비스듬하게 아래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슬라이더를 비스듬하게 측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슬라이더와 하우징과 콘택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슬라이더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에 미끄러지게 하여 인버터 기판의 삽입부를 커넥터의 하우징의 수용 공간의 개구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슬라이더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에 미끄러지게 하여 인버터 기판의 삽입부에 콘택트의 접촉부를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하우징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콘택트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이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이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에 인버터 기판을 접속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인버터 기판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인버터 기판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인버터 기판을 접속한 상태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Claims (14)

  1. 기판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기판의 일부에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보유된 콘택트; 및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로부터 상기 기판의 판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격리시키고,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의 일부에 상기 기판의 판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접촉시키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접촉부를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cam)면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캠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있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 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2. 기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이 기판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의 일부에 접촉가능한 접촉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접촉부에 누르는 끼움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보유된 콘택트; 및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 상기 하우징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끼움부에 의한 상기 기판 일부의 끼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끼움부에 의한 상기 기판 일부의 끼움 상태를 해제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를 그 미끄럼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에 대한 상기 기판 일부의 삽입(揷入) 및 발출(拔出)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090043948A 2008-06-18 2009-05-20 커넥터 KR101101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9027A JP4632322B2 (ja) 2008-06-18 2008-06-18 コネクタ
JPJP-P-2008-159027 2008-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635A KR20090131635A (ko) 2009-12-29
KR101101025B1 true KR101101025B1 (ko) 2011-12-29

Family

ID=4143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948A KR101101025B1 (ko) 2008-06-18 2009-05-2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07326B2 (ko)
JP (1) JP4632322B2 (ko)
KR (1) KR101101025B1 (ko)
CN (1) CN1016099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27740U (zh) * 2010-06-14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灯管连接器
CN111082243A (zh) * 2018-10-18 2020-04-28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低成本、高可靠性滑动电源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2426A (ja) 2003-05-14 2004-12-02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07059217A (ja) 2005-08-25 2007-03-08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9234A (en) * 1974-03-20 1975-08-12 Amp Inc Low insertion force cam actuate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JP3932285B2 (ja) 2003-05-06 2007-06-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ランプ保持構造
KR100832178B1 (ko) * 2003-10-16 2008-05-2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평면 회로 커넥터
JP4262665B2 (ja) * 2004-10-25 2009-05-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バー体付き電気コネクタ
US7637625B2 (en) * 2006-05-23 200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fix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61547B1 (ko) * 2006-06-27 2013-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7347705B1 (en) * 2006-10-23 2008-03-25 Cvilux Corporation Adapter for a fluorescent tube
KR101234100B1 (ko) * 2006-11-07 2013-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2426A (ja) 2003-05-14 2004-12-02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07059217A (ja) 2005-08-25 2007-03-08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8006A1 (en) 2009-12-24
US8007326B2 (en) 2011-08-30
JP4632322B2 (ja) 2011-02-16
CN101609950A (zh) 2009-12-23
KR20090131635A (ko) 2009-12-29
JP2010003441A (ja) 2010-01-07
CN101609950B (zh)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0138B2 (en) Card connector
US6976879B2 (en) Card connector
KR101406883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US7244130B2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US20100136841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60115914A (ko) 카드용 커넥터
WO2004105190A1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EP1037392A1 (en) Sim card reader and mobile telephone equipped with it
US7399190B2 (en) Connecting device
CN112817383B (zh) 扩充卡安装结构及电路组件
US7198498B2 (en) Card connector
US20160178856A1 (en) Engaging assembly for 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TW201345055A (zh) 連接器
US8136734B2 (en) Card reader using the push-push system
KR101101025B1 (ko) 커넥터
US7372136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EP3309906A1 (en) Card connector
US20110151695A1 (en) Card Connector
CN111092317B (zh) 电路基板用连接器装置
JP2008021511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TW200533016A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KR101164362B1 (ko)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
JP4504919B2 (ja) カード保持機構を有する装置
JP3982371B2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20100053916A1 (en) Card hold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