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992A - 무지부 전체가 절연보호되어 있는 젤리-롤형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무지부 전체가 절연보호되어 있는 젤리-롤형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992A
KR20110039992A KR1020090097095A KR20090097095A KR20110039992A KR 20110039992 A KR20110039992 A KR 20110039992A KR 1020090097095 A KR1020090097095 A KR 1020090097095A KR 20090097095 A KR20090097095 A KR 20090097095A KR 20110039992 A KR20110039992 A KR 20110039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tab
active material
negative electrode
je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681B1 (ko
Inventor
이관수
류덕현
구자훈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09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6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지부의 절연보호를 통해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극활물질, 양극집전체, 및 탭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집전체는 무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탭이 구비되는 양극; 음극활물질, 음극집전체, 및 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집전체는 무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탭이 구비되는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구비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탭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 말단의 실질적인 전체에 절연보호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극 탭이 구비된 무지부 상의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하고, 내부 단락 발생률을 저하시키므로, 종국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활물질, 집전체, 탭, 절연테이프, 무지부, 덴드라이트, 아일랜드, 젤리 롤, 이차 전지

Description

무지부 전체가 절연보호되어 있는 젤리-롤형 이차 전지{JELLY-ROLL TYP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BY THAT SUBSTANTIALLY TOTAL OF ACTIVE MATERIAL-NON-COATED PORTION IS INSULATED}
본 발명은 무지부의 절연보호를 통해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양극 도전 포일과 음극 도전 포일에 각각 활물질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고, 상기 양 도전 포일 사이에는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하여 대략 젤리 롤(jelly roll) 내지는 원통형태로 다수회 권취하여 제작한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또는 각형 캔, 파우치 등에 수납하고 이를 밀봉 처리하여 제작된다. 물론, 상기 도전 포일에는 전지 외부로부터 충전 전원이 인가되거나 또는 전지 외부로 방전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도전용 탭이 용접되어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즉, 양극 도전 포일에는 양극 도전 탭이, 음극 도전 포일에는 음극 도전탭이 용접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양극 도전 탭 및 음극 도전 탭의 표면에는 분리막의 파손을 방지하고, 각 도전 포일과의 직접적인 쇼트를 예방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의 절연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은 쇼트 방지를 목적으로 탭에 구비되는 절연 테이프를 가급적 최소한만 사용하였다. 이는 전지의 두께 및 활물질의 양을 고려한 것인데,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이다.
통상적으로 도전 포일은 대략 10㎛ 내외, 활물질은 대략 120㎛ 내외, 도전 탭은 대략 100㎛ 내외, 절연 테이프는 대략 40㎛ 의 두께를 가지는데, 상기 탭에 절연테이프가 구비되면 절연 테이프의 두께만큼 부피가 늘어나가게 된다. 즉, 늘어난 부피만큼 전지가 커질 수 있고, 같은 크기의 케이스라면 그만큼의 활물질을 적게 함유할 소지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전지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탭에 구비되는 절연테이프는 탭만을 겨우 감쌓을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으로만 구비되었다.
또한, 활물질 도포된 부분과 미도포된 부분(무지부) 사이에는 단차에 의한 활물질 탈리가 일어날 소지가 있어, 이 부분에 절연테이프가 구비된다. 절연테이프 역시 상기한 절연테이프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 최소한만 사용되고, 무지부 전체를 덮지 아니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전지의 안전성을 해치게 될 우려가 있다.
전극 호일(집전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과정은 통상적으로 활물질이 일정한 크기와 모양의 노즐을 통해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노즐이 도포를 원하는 부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한 두께로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 경우 활물질은 원하는 부위에만 도포되지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실공정상으로는 그렇지 않다. 실공정상에서는 노즐에서 토출된 활물질은 마이크로 스케일로 도포를 원하지 않는 부위에도 미세하게 날아가 증착하는 일이 일어난다. 이렇게 원하지 않는 부위에 마이크로 스케일로 활물질이 도포되는 현상은 거의 모든 활물질 도포공정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렇게 증착된 활물질의 미소단위를 아일랜드(island)라 부른다(이러한 아일랜드는 최근 전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과정에 새롭게 알려진 것으로 종래의 기술은 이러한 것에 대해 인식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원치않는 무지부에 형성된 아일랜드는 전지의 안전성에 큰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양극에 형성된 아일랜드가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음극탭이 구비한 무지부와 대면되게 되면, 충·방전 과정에서 양극에 형성된 아일랜드로 인해 음극에서 덴드라이트(dendrite)가 자라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덴드라이트는 종국적으로는 분리막으로 파괴할 수도 있고, 단락을 유발시킬 수도 있으므로, 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해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양극 탭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 전체를 절연테이프로 절연시켜 안정성이 높은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양극활물질, 양극집전체, 및 탭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집전체는 무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탭이 구비되는 양극;
음극활물질, 음극집전체, 및 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집전체는 무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탭이 구비되는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구비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탭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 말단의 실질적인 전체에 절연보호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보호층은 절연테이프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테이프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이미드(PI) 소재의 고분자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극집전체는 알루미늄호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극 탭이 구비된 무지부 상의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하고, 내부 단락 발생률을 저하시키므로, 종국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양극활물질, 양극집전체, 및 탭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집전체는 무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탭이 구비되는 양극;
음극활물질, 음극집전체, 및 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집전체는 무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탭이 구비되는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구비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탭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 말단의 실질적인 전체에 절연보호층 이 구비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양극이 종래로부터 구별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보호층은 상기 양극에 있을지 모르는 아일랜드 덮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보호층은 절연성이 있는 다양한 물질로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지만, 공정상 편의를 고려하면 절연테이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활물질과 집전체 무지부 간의 단차로 인한 활물질의 탈리가 일어나기 쉬운데,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 활물질과 무지부의 단차 부분에 테이프를 붙인다(상기 테이프를 절연테이프 또는 라미네이션테이프 등으로 부른다).
종래에는 활물질과 무지부 단차 부분에 짧게 절연테이프가 최소한으로 붙착되었고, 절연테이프가 붙착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 말단(탭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 말단임)을 그대로 방치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무지부 말단은 아일랜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아일랜드는 음극 무지부상에 덴드라이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극은 탭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 말단의 실질적인 전체에 절연보호층이 구비하여, 혹시 형성되었을지 모를 아일랜드를 전기적으로 절연하여 충·방전 과정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게끔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극 무지부에 형성되는 절연보호층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들로 형성될 수 있다.
우선 양극집전체에 양극활물질 도포 후 절연테이프를 활물질·집전체 단차부분에 붙인다. 이 때에, 절연테이프는 활물질의 일부분과 무지부의 일부분에 걸쳐서 접착되는데, 절연테이프가 붙착되지 않은 부분을 절단하여 절연보호층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를 절단·제거하면, 무지부 말단의 실질적 전체에 절연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테이프를 무지부 말단 끝까지 연장하여 무지부를 모두 덮게끔 붙착하는 방법으로도 절연보호층을 형상할 수 있다. 다만, 이 방법은 절연테이프가 첫번째 방법에 비해 많이 소요되므로 비용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절연테이프는, 두께에 있어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활물질 도포 부위와 무지부간의 단차가 형성된 부분은 집전체가 압력을 받는 경우에 집전체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원통형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전극과 분리막을 권취하는 경우, 무지부와 활물질 도포 부위간의 집전체에는 특히 다른 곳보다 많은 압력을 받을 수 있게 되고, 이 부분에 전기적 단선이 일어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절연테이프의 두께는 20 ~ 60 ㎛인 것이 적당하다. 20 ㎛ 미만에서는 절연테이프의 두께가 너무 얇아 절연효과가 미흡할 우려가 있을 수 있고, 60 ㎛ 초과에서는 절연테이프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절연테이프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이미드(PI) 소재의 고분자인 것인 것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무지부의 ‘실질적인 전체’(substantially total)를 덮는다는 의미는 양극에 형성된 아일랜드에 의해서 음극에서 덴드라이트가 자라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정도의 절연상태를 만들 정도로 무지부를 절연피복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무지부는 활물질이 도포되지 아니한 집전체의 영역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용어이다.
상기 양극집전체는 특별한 제한없이 종래에 리튬이차전지 양극제조 사용되는 집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탭이 구비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 무지부 말단 실질적 전체를 절연피복한다는 본 발명의 특징을 제외하고, 젤리-롤형 이차전지의 나머지 구성요소 및 제조방법은 종래의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하므로 본 명세서 상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Claims (4)

  1. 양극활물질, 양극집전체, 및 탭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집전체는 무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탭이 구비되는 양극;
    음극활물질, 음극집전체, 및 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집전체는 무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탭이 구비되는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구비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탭이 구비되지 않은 무지부 말단의 실질적인 전체에 절연보호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보호층은 절연테이프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테이프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이미드(PI) 소재의 고분자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롤형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집전체는 알루미늄 호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 이차전지.
KR1020090097095A 2009-10-13 2009-10-13 무지부 전체가 절연보호되어 있는 젤리-롤형 이차 전지 KR10106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095A KR101062681B1 (ko) 2009-10-13 2009-10-13 무지부 전체가 절연보호되어 있는 젤리-롤형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095A KR101062681B1 (ko) 2009-10-13 2009-10-13 무지부 전체가 절연보호되어 있는 젤리-롤형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992A true KR20110039992A (ko) 2011-04-20
KR101062681B1 KR101062681B1 (ko) 2011-09-06

Family

ID=4404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095A KR101062681B1 (ko) 2009-10-13 2009-10-13 무지부 전체가 절연보호되어 있는 젤리-롤형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68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098A1 (en) * 2012-01-20 2013-07-25 Sk Innovation Co.,Ltd.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WO2014088332A1 (ko) * 2012-12-07 2014-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테이프 처리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N104350640A (zh) * 2012-12-07 2015-02-11 株式会社Lg化学 具有带的电极组件和包含所述电极组件的电化学装置
KR20150041486A (ko) *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43016A (ko) * 2013-10-14 2015-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60062625A (ko) * 2014-11-25 2016-06-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 테이프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8204095A1 (en) * 2017-05-02 2018-11-08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features and components
CN112838189A (zh) * 2019-11-07 2021-05-25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锂离子电池高电压体系热滥用的极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5014B2 (ja) 1998-12-22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薄型電池
JP2004146222A (ja) 2002-10-25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非水二次電池
KR100911999B1 (ko) * 2008-01-28 200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특성이 향상된 전지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1857B2 (en) 2012-01-20 2017-09-12 Sk Innovation Co., Ltd.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WO2013109098A1 (en) * 2012-01-20 2013-07-25 Sk Innovation Co.,Ltd.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WO2014088332A1 (ko) * 2012-12-07 2014-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테이프 처리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N104350640A (zh) * 2012-12-07 2015-02-11 株式会社Lg化学 具有带的电极组件和包含所述电极组件的电化学装置
US10096856B2 (en) 2012-12-07 2018-10-09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with tap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50041486A (ko) *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43016A (ko) * 2013-10-14 2015-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60062625A (ko) * 2014-11-25 2016-06-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 테이프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8204095A1 (en) * 2017-05-02 2018-11-08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features and components
US10431853B2 (en) 2017-05-02 2019-10-01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features and components
US10446876B2 (en) 2017-05-02 2019-10-15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features and components
US11600865B2 (en) 2017-05-02 2023-03-07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features and components
CN112838189A (zh) * 2019-11-07 2021-05-25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锂离子电池高电压体系热滥用的极片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681B1 (ko) 201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681B1 (ko) 무지부 전체가 절연보호되어 있는 젤리-롤형 이차 전지
JP4424501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1183740B2 (en) Rolled-type battery
TWI589055B (zh) 含有絕緣層於陰極耳上之陰極及含有該陰極之二次電池
US7935445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1883536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23525847A (ja) 電池及び電子機器
KR100515833B1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US20140255778A1 (en) Cathode including insulation layer on cathode tab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cathode
JP2010003692A (ja) 電極組立体とこれを利用した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7785A (ko) 무지부에 절연테이프를 구비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966604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JP2022537227A (ja) 電極アセンブリ及び電池
KR100934465B1 (ko) 보호테이프로 외면을 감싼 구조의 젤리-롤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20070078853A (ko) 절연성 코팅의 전극 탭을 포함하고 있는 젤리-롤형이차전지
KR101252914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이차전지와 그 제조방법
TW201914085A (zh) 片材、二次電池及二次電池之製造方法
US20200373549A1 (en)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venting internal short circuit
KR101600605B1 (ko) 안전성이 개선된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29498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230253659A1 (en) Secondary battery
JP2014137883A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製造方法
KR20050096290A (ko)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
US20190013544A1 (en) Thin-film battery
KR100551397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