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419A - 중국어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중국어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419A
KR20110039419A KR1020107026977A KR20107026977A KR20110039419A KR 20110039419 A KR20110039419 A KR 20110039419A KR 1020107026977 A KR1020107026977 A KR 1020107026977A KR 20107026977 A KR20107026977 A KR 20107026977A KR 20110039419 A KR20110039419 A KR 20110039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code source
alphabet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첸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유아이 글로벌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유아이 글로벌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유아이 글로벌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적어도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별코드원을 입력하는 절차와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을 구성한 전체 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이상 서술한 입력법을 통하여 중국어초보자로 하여금 한자를 입력하는 동시에 해당 한자의 독음을 복습할 수 있고 한자의 첫획과 마지막획에 대한 기억을 통하여 한자의 글자형을 복습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억율을 높여 한자의 습득진도를 높일수 있다.

Description

중국어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dapting for Chinese Teaching}
본 발명은 한자입력방법에 관련된것이며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음형조합코드의 한자입력방법이다.
종래기술중 코드입력법은 대체로 음코드, 형코드, 음형조합코드 및 수자코드등 4가지로 나뉘여 진다. 음코드의 장점은 배우기 쉬우며 문자 규범과 사고습관에 부합되지만 단점은 글자의 코드중복율이 높고 입력속도가 늦으며 읽을수 없는 글자는 입력할 수 없다는 점이다. 형코드의 장점은 중복율이 낮고 입력속도가 빠르며 모르는 글자도 입력할 수 있으나 단점은 규칙이 복잡하고 배우기 어려우며 문자규범에서 이탈하기 쉽다는 점이다. 음형조합코드는 형코드에 비해 기억난이도가 낮고 음코드에 비해 글자중복율이 낮아 일부 코드연구가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형조합코드 코드편집방법은 한자 초보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초보자에게 있어서 정확하게 한자를 쓰고 명확하게 한자의 독음을 기억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때문에 종래 기술중 아래와 같은 수요가 있다. 즉 음과 형의 결합을 통하여 정확하게 한자를 입력하고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한 한자의 독음을 기억하게끔 도와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자입력방법을 제공하여 한자를 더욱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을 뿐더러 한자를 입력하는 동시에 한자의 글자형과 독음에 대한 기억을 강화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 입력방법으로서,
적어도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별코드원 혹은 필획코드원을 입력하는 절차와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을 구성한 전체 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별코드원 혹은 필획코드원을 입력하는 절차이후,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을 구성한 전체 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절차전에 입력하려는 한자의 마지막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별코드원 혹은 필획코드원을 입력하는 절차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서술한 코드원의 입력은 손으로 타이핑하거나 터치로 대응되는 코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코드원을 클릭 혹은 쓰기방식으로 실현할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상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가로형의 필획코드원, 세로형의 필획코드원, 삐침형의 필획코드원, 점-파임형의 필획코드원, 꺾음형의 필획코드원, 총 5가지유형으로 나눈다. 그중 가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알바벳J로, 전-파임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A로, 꺾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바벳S로 분배되며, 따라서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한자리의 알파벳이다.
바람직하게는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001
"; 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002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003
";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004
",삐침꺽음"
Figure pct00005
"과 삐침점"
Figure pct00006
";점-파임형필획은 좌점"
Figure pct00007
",우점"
Figure pct00008
",파임"
Figure pct00009
"과 평파임"
Figure pct00010
";꺾음형필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011
";가로꺾음갈구리"
Figure pct00012
",가로꺾음올림"
Figure pct00013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014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015
",가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016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017
",가로갈구리"
Figure pct00018
",가로삐침"
Figure pct00019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020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021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022
",가로기움갈구리"
Figure pct00023
",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024
",세로꺾음"
Figure pct00025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026
",세로올림"
Figure pct00027
",세로굽음"
Figure pct00028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029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030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031
",기움갈구리"
Figure pct00032
",굽음갈구리"
Figure pct00033
"와 눕힘갈구리"
Figure pct00034
"로 나뉜다.
바람직하게는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가로형의 필획코드원, 세로형의 필획코드원, 삐침형의 필획코드원, 점형의 필획코드원, 파임형의 필획코드원, 꺾음형의 필획코드원 6가지유형으로 나눈다. 그중 가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알바벳J로, 점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A로, 파임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K로, 꺾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바벳S로 분배되며, 따라서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한자리의 알파벳이다.
바람직하게는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035
";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036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037
";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038
",삐침꺽음"
Figure pct00039
"과 삐침점"
Figure pct00040
"; 점형필획은 좌점"
Figure pct00041
",우점"
Figure pct00042
";파임형은 파임"
Figure pct00043
"과 평파임"
Figure pct00044
";꺾음형필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045
";가로꺾음갈구리"
Figure pct00046
",가로꺾음올림"
Figure pct00047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048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049
",가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050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051
",가로갈구리"
Figure pct00052
",가로삐침"
Figure pct00053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054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055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056
",가로기움갈구리"
Figure pct00057
",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058
",세로꺾음"
Figure pct00059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060
",세로올림"
Figure pct00061
",세로굽음"
Figure pct00062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063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064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065
",기움갈구리"
Figure pct00066
",굽음갈구리""와 눕힘갈구리"
Figure pct00068
"로 나뉜다.
바람직하게는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가로형의 필획코드원, 세로형의 필획코드원, 삐침형의 필획코드원, 점형의 필획코드원, 파임형의 필획코드원, 가로꺾음평형의 필획코드원, 가로꺾음굽음형의 필획코드원, 세로꺾음형의 필획코드원과 기타 필획코드원 총 9가지유형으로 나눈다. 그중 가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알바벳J로, 점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A로, 파임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K로, 가로꺾음평형의 필획코드원은 알바벳G로, 가로꺾음굽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D로, 세로꺾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L로, 기타유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S로 분배되며, 따라서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한자리의 알파벳이다.
바람직하게는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069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F 플러스 숫자1,알파벳F 플러스 숫자2에 대응되며,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070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071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H 플러스 숫자1, 알파벳H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되며,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072
",삐침꺾음"
Figure pct00073
"과 삐침점"
Figure pct00074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J 플러스 수자1,알파벳J 플러스 수자2,알파벳J 플러스 수자3에 대응되며,점형필획은 좌점"
Figure pct00075
"과 우점"
Figure pct00076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A플러스 수자1,알파벳A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되며,가로꺾음평형필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077
",가로꺾음올림"
Figure pct00078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079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080
",가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081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082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G 플러스 수자1,알파벳G 플러스 수자2,알파벳G 플플러스 수자3,알파벳G 플러스 수자4,알파벳G 플러스 수자5,알파벳G 플러스 수자6,알파벳G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되며,가로꺾음굽음형필획은 가로갈구리"
Figure pct00083
",가로삐침"
Figure pct00084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085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086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087
",가로기움갈구리"
Figure pct00088
",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089
"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 D 플러스 수자1,알파벳D 플러스 수자2,알파벳D 플러스 수자3,알파벳D 플러스 수자4,알파벳D 플러스 수자5,알파벳D 플러스 수자6,알파벳D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되며, 세로꺾음형필획은 세로꺾음"
Figure pct00090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091
",세로올림"
Figure pct00092
",세로굽음"
Figure pct00093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094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095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096
"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L 플러스 수자1, 알파벳L 플러스 수자2, 알파벳L 플러스 수자3,알파벳L 플러스 수자4,알파벳L 플러스 수자5,알파벳L 플러스 수자6,알파벳L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되며, 기타필획은 기움갈구리"
Figure pct00097
",굽음갈구리"
Figure pct00098
"와 눕힘갈구리"
Figure pct00099
"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S 플러스 수자1,알파벳S 플러스 수자2,알파벳S 수자3에 대응되며,따라서 서술한 각종 필획코드원은 한자리의 알파벳 플러스 한자리의 수자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여러개의 선택할 수 있는 글을 생성하며 수자로 선택할 수 있는 글을 표시하는 절차와 수자키보를 이용하여 입력하려는 글자를 선택할 수 있는 글중에서 선택하는 절차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이상 서술한 입력법을 통하여 중국어초보자로 하여금 한자를 입력하는 동시에 해당 한자의 독음을 복습할 수 있고 한자의 첫획과 마지막획에 대한 기억을 통하여 한자의 글자형을 복습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억율을 높여 한자의 습득진도를 높일수 있다.
표1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방식에 의한 한자입력방법의 필획유형코드원과 키보드원 대조표;
표2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방식에 의한 한자입력방법의 필획유형코드원과 키보드원 대조표;
표3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방식에 의한 한자입력방법의 필획유형코드원과 키보드원 대조표;
표4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방식에 의한 한자입력방법의 필획유형코드원과 키보드원 대조표;
도1 본 발명의 한자입력방법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 구조도;
도2 본 발명의 한자입력방법에 의한 휴대폰 키보드 구조도.
본 발명은 <<한자병음대안>>의 26개 병음자모에 대응되는 영어키보드의 26개 알파벳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한자필획을 5가지 유형으로 나눌수 있다.즉, 가로형 필획, 세로형 필획, 삐침형 필획, 점-파임형 필획, 꺾음형 필획이다.이런 5가지 필획유형의 코드원을 필획의<<유형코드원>>이라 부르며 일반적인 영어키보드의 임의5개 영어알파벳 키보드에 분배한다. 실행할 수 있는 분배방법은 가로형필획코드원은 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J로, 점파임형필획코드원은 A로, 꺾음형필획코드원은 S로 분배할 수 있다. 표1은 이러한 대응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100
";
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101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102
";
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103
", 삐침꺽음"
Figure pct00104
"과 삐침점"
Figure pct00105
";
점-파임형은 좌점"
Figure pct00106
"우점"
Figure pct00107
", 파임"
Figure pct00108
"과 평파임"
Figure pct00109
"
꺾음형필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110
" 가로꺾음갈구리"
Figure pct00111
" 가로꺽음올림"
Figure pct00112
",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113
",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114
", 가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115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116
",가로갈구리"
Figure pct00117
",가로삐침"
Figure pct00118
",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119
",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120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121
", 가로기움갈구리"
Figure pct00122
", 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123
",세로꺾음"
Figure pct00124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125
",세로올림"
Figure pct00126
", 세로굽음"
Figure pct00127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128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129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130
",기움갈구리"
Figure pct00131
",굽음갈구리"
Figure pct00132
"와 눕힘갈구리"
Figure pct00133
"나뉜다.
또는 한자의 필획을 6가지 유형으로 나눌수 있다. 즉, 가로형의 필획, 세로형의 필획, 삐침형의 필획, 점형의 필획, 파임형의 필획, 꺾음형의 필획이다. 이런 6가지 필획유형의 코드원을 필획의<<유형코드원>>이라 부르며 일반적인 영어키보드의 임의6개 영어알파벳 키보드에 분배한다. 실행할 수 있는 분배방법은: 가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알바벳J로, 점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A로, 파임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K로, 꺾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바벳S로 분배할 수 있다. 표2은 이러한 대응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134
";
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135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136
";
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137
", 삐침꺽음"
Figure pct00138
"과 삐침점"
Figure pct00139
";
점형은 좌점"
Figure pct00140
"우점"
Figure pct00141
";
파임형은 파임"
Figure pct00142
"과 평파임"
Figure pct00143
";
꺾음형필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144
";가로꺾음갈구리"
Figure pct00145
",가로꺽음올림"
Figure pct00146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147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148
",가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149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150
",가로갈구리"
Figure pct00151
",가로삐침"
Figure pct00152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153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154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155
",가로기움갈구리"",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157
", 세로꺾음"
Figure pct00158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159
",세로올림"
Figure pct00160
",세로굽음"
Figure pct00161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162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163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164
",기움갈구리"
Figure pct00165
",굽음갈구리"
Figure pct00166
",눕힘갈구리"
Figure pct00167
"로 나뉜다.
혹은 한자의 필획을 9가지로 나눌수 있다. 즉, 가로형의 필획, 세로형의 필획, 삐침형의 필획, 점형의 필획, 파임형의 필획, 가로꺾음평형의 필획, 가로꺾음굽음형의 필획, 세로꺾음형의 필획과 기타 필획이다. 이런 9가지 필획유형의 코드원을 필획의<<유형코드원>>이라 부르며 일반적인 영어키보드의 임의9개 영어알파벳 키보드에 분배한다. 실행할 수 있는 분배방법은:
가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알바벳J로, 점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A로, 파임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K로, 가로꺾음평형의 필획코드원은 알바벳G로, 가로꺾음굽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D로, 세로꺾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L로, 기타유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S로 분배할 수 있다. 표3은 이러한 대응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나아가서 위의 9가지필획을 더욱 세분화하여 35개 유형의 최종필획으로 분배할 수 있다. 매최종필획의 필획코드원은 해당 필획이 속하고 있는 필획유형의 필획코드원에 순서배열작용을 하는 한자리 수자코드를 더한것으로 구성된다. 표4는 이러한 대응관계를 표시하고 있으며 그중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168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F 플러스 수자1, 알파벳F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된다.
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169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170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H 플러스 수자1, 알파벳H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된다.
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171
", 삐침꺽음"
Figure pct00172
"과 삐침점"
Figure pct00173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J 플러스 수자1, 알파벳J 플러스 수자2와 알파벳J 플러스 수자3에 대응된다.
점형은 좌점"
Figure pct00174
"과 우점"
Figure pct00175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A 플러스 수자1, 알파벳A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된다.
파임형은 파임"
Figure pct00176
"과 평파임"
Figure pct00177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K 플러스 수자1, 알파벳K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된다.
가로꺾음평형은 가로꺾음"
Figure pct00178
"가로꺾음갈구리"
Figure pct00179
",가로꺽음올림"
Figure pct00180
",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181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182
",가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183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184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G 플러스 수자1, 알파벳G 플러스 수자2, 알파벳G 플러스 수자3, 알파벳G 플러스 수자4, 알파벳G 플러스 수자5, 알파벳G 플러스 수자6과 알파벳G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된다.
가로꺾음굽음형은 가로갈구리"
Figure pct00185
",가로삐침"
Figure pct00186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187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188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189
",가로기움갈구리"
Figure pct00190
",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191
"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D 플러스 수자1, 알파벳D 플러스 수자2, 알파벳D 플러스 수자3, 알파벳D 플러스 수자4, 알파벳D 플러스 수자5, 알파벳D 플러스 수자6과 알파벳D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된다.
세로꺾음형은 세로꺾음"
Figure pct00192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193
",세로올림"
Figure pct00194
", 세로굽음"
Figure pct00195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196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197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198
"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L 플러스 수자1, 알파벳L 플러스 수자2, 알파벳L 플러스 수자3, 알파벳L 플러스 수자4, 알파벳L 플러스 수자5, 알파벳L 플러스 수자6과 알파벳L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된다.
기타유형은 기기움갈구리"
Figure pct00199
",굽음갈구리"
Figure pct00200
",눕힘갈구리"
Figure pct00201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S 플러스 수자1, 알파벳S 플러스 수자2, 알파벳S 플러스 수자3에 대응된다.
본발명의 입력방법은 이하 방식중 임의의 한가지를 참조할 수 있다. 즉 첫번째: 5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입력하려는 한자의 마지막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의 전체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두번째: 5가지필획첫획전병음입력.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의 전체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세번째: 6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입력하려는 한자의 마지막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의 전체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네번째: 6가지필획첫획전병음입력.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의 전체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다섯번째: 9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입력하려는 한자의 마지막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의 전체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여섯번째: 9가지필획첫획전병음입력.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의 전체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일곱번째: 35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 플러스 한자리 수자)을 입력한다.
입력하려는 한자의 마지막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 플러스 한자리 수자)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의 전체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여덟번째: 35가지필획첫획전병음입력.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코드원(한자리 알파벳 플러스 한자리 수자)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의 전체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예를 들면 한자"
Figure pct00202
"의 첫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203
"이고 말획은 파임"
Figure pct00204
"이며 전체병음자모코드는 순서대로 "Z","H","A","N","G"이다.
따라서 만약 첫번째인 <<5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 방법을 사용할시 타이핑해야 할 키보드는 "S","A","Z","H","A","N","G"이다.
두번째인 <<5가지필획첫획전병음입력>>방법을 사용할시 타이핑해야 할 키보드는
"S","Z","H","A","N","G"이다.
세번째인 <<6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을 사용할시 타이핑해야 할 키보드는 "S","K,"Z","H","A","N","G"이다.
네번째인 <<6가지필획첫획전병음입력>>방법을 사용할시 타이핑해야 할 키보드는 "S","Z","H","A","N","G"이다.
다섯번째인 <<9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을 사용할시 타이핑해야 할 키보드는"G","K","Z","H","A","N","G"이다.
여섯번째인 <<9가지필획첫획전병음입력>>방법을 사용할시 타이핑해야 할 키보드는 "G","Z,"H","A","N","G"이다.
일곱섯번째인 <<35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을 사용할시 타이핑해야 할 키보드는 "G","1,"K","1","Z","H","A","N","G"이다.
여덟섯번째인 <<35가지필획첫획전병음입력>>방법을 사용할시 타이핑해야 할 키보드는 "G","1,"Z","H","A","N","G"이다.
이상 여덟가지방법은 모두 입력할 한자"
Figure pct00205
"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한자에서 한획인 된 두글자"ㅡ"와"
Figure pct00206
"말획이 없고 그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특별히 이 두글자를 위하여 <<특별추가코드>>--알파벳I를 말획의 대체코드원으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ㅡ"의<<5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은"FIyi"
"ㅡ"의<<6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은"FIyi"
"ㅡ"의<<9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은"FIyi"
"ㅡ"의<<35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은"F1IIyi"
"
Figure pct00207
"의<<5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은"SIyi"
"
Figure pct00208
"의<<6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은"SIyi"
"
Figure pct00209
"의<<9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은"DIyi"
"
Figure pct00210
"의<<35가지필획첫말획전병음입력>>방법은"D7IIyi"
이외 주목해야 할것은 본발명의 음형코드한자입력방법은 간자체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번자체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번자체와 간자체는 독음이 동일하므로 그 차이는 다만 글자형이 다를 뿐이기때문에 입력상 첫획필획코드원, 첫획필획유형코드원과 말획필획코드원, 말획필획유형코드원에서만 그 차이점이 표현된다.
도1은 우리가 흔히 볼수 있는 104개키보드로 구성된 표준키보드구조도이다. 도1를 보면 표준키보드의 구도는 보통 알파벳항과 수자항으로 나뉘여져 있다. 따라서 본 영역내의 기술인원들은 이러한 형식을 가진 다른 유형의 키보드를 사용하여도 입력가능하다는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외 수자키보드, 휴대폰키보드, 터치스크린으로 된 키보드도 입력가능하다는 것이다. 코드원의 입력은 손으로 타이핑하거나 터치로 대응되는 코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코드원을 클릭 혹은 쓰기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는 휴대폰키보드구조도이다. 해당 휴대폰키보드위에서 수자 1부터 9는 9가지 필획의 필획유형코드원 F, H, J, A, K, G, D, L, S를 대체하는 것으로 휴대폰에서의 입력을 실현할 수 있다.
앞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한 설명은 다만 사례와 설명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각종 실시방식을 제한 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미 계시된 실시방식이나 어떤 한가지의 고정 방식에 국한시키려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우의 서술은 사례성이고 비국한성이라 볼수 있다. 분명한것은 본 영역내의 기술인원은 다양한 수정 및 변화를 예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각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선정하고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원리와 최적의 실제응용방식을 제일 명확하게 해석함으로써 본 영역내의 기술인원으로 하여금 본 발명이 예정의 특수용도 혹은 실현한 각종 실시사례 및 각종변화를 이해하게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에 대응되는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중 별도로 제시하지 않는 한 모든 용어는 제일 광번한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본 영역내의 기술인원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구체적인 실시방법에 대하여 변화를 시킬수 있다는 것을 의식해야 한다. 그외 청구항중 어떤 요소나 구성에 대하여 명확하게 묘사했든 하지 않았든간에 공개중인 이런 요소나 구성은 공지영역에 표출하지 말아야 한다.

Claims (13)

  1.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적어도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별코드원 혹은 필획코드원을 입력하는 절차와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을 구성한 전체 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절차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
  2. 청구항1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입력하려는 한자의 첫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별코드원 혹은 필획코드원을 입력하는 절차이후, 입력하려는 한자의 병음을 구성한 전체 병음자모코드원을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절차전에 입력하려는 한자의 마지막획에 대응되는 필획유형별코드원 혹은 필획코드원을 입력하는 절차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3. 청구항2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서술한 코드원의 입력은 손으로 타이핑하거나 터치로 대응되는 코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코드원을 클릭 혹은 쓰기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4. 청구항3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여러개의 선택할 수 있는 글을 생성하며 수자로 선택할 수 있는 글을 표시하는 절차와 수자키보를 이용하여 입력하려는 글자를 선택할 수 있는 글중에서 선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5. 청구항1부터 4중의 임의의 항에서 서술한 수업에 적용된 한자입력방법으로서,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가로형의 필획코드원, 세로형의 필획코드원, 삐침형의 필획코드원, 점-파임형의 필획코드원, 꺾음형의 필획코드원, 총 5가지유형으로 나누어지며, 그중 가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알바벳J로, 전-파임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A로, 꺾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바벳S로 분배되며, 따라서 서술한 필획유형별코드원은 한자리의 알파벳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6. 청구항5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211
    ";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212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213
    " 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214
    ", 삐침꺽음"
    Figure pct00215
    "과 삐침점"
    Figure pct00216
    "; 점-파임형필획은 좌점"
    Figure pct00217
    ",우점"
    Figure pct00218
    ", 파임"
    Figure pct00219
    "과 평파임"
    Figure pct00220
    ",꺾음형필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221
    "가로꺾음갈구리"
    Figure pct00222
    "가로꺽음올림"
    Figure pct00223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224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225
    ",가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226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227
    ",가로갈구리"
    Figure pct00228
    ",가로삐침"
    Figure pct00229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230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231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232
    ",가로기움갈구리"
    Figure pct00233
    ",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234
    ",세로꺾음"
    Figure pct00235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236
    ",세로올림"
    Figure pct00237
    ",세로굽음"
    Figure pct00238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239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240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241
    ",기움갈구리"
    Figure pct00242
    ",굽음갈구리"
    Figure pct00243
    ",눕힘갈구리"
    Figure pct00244
    ",로 나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7. 청구항5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한자"ㅡ"와"
    Figure pct00245
    "의 말획대체코드원은 알파벳I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8. 청구항1부터 4중의 임의의 항에서 서술한 수업에 적용된 한자입력방법으로서,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가로형의 필획코드원, 세로형의 필획코드원, 삐침형의 필획코드원, 점형의 필획코드원, 파임형의 필획코드원, 꺾음형의 필획코드원 6가지유형으로 나누어지며, 그중 가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알바벳J로, 점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A로, 파임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K로, 꺾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바벳S로 분배되며, 따라서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한자리의 알파벳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9. 청구항8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246
    ";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247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248
    " 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249
    ", 삐침꺽음"
    Figure pct00250
    "과 삐침점"
    Figure pct00251
    "; 점형필획은 좌점"
    Figure pct00252
    "우점"
    Figure pct00253
    "; 파임형은 파임"
    Figure pct00254
    "과 평파임"
    Figure pct00255
    "꺾음형필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256
    ",가로꺾음갈구리"
    Figure pct00257
    ",가로꺽음올림"
    Figure pct00258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259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260
    ",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261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262
    ",가로갈구리"
    Figure pct00263
    ",가로삐침"
    Figure pct00264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265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266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267
    ",가로기움갈구리"
    Figure pct00268
    "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269
    ",세로꺾음"
    Figure pct00270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271
    ",세로올림"
    Figure pct00272
    ",세로굽음"
    Figure pct00273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274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275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276
    ",기움갈구리"
    Figure pct00277
    ",굽음갈구리"
    Figure pct00278
    ",눕힘갈구리"
    Figure pct00279
    " 나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10. 청구항9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한자"ㅡ"와"
    Figure pct00280
    말획대체코드원은 알파벳I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11. 청구항1부터 4중의 임의의 항에서 서술한 수업에 적용된 한자입력방법으로서,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가로형의 필획코드원, 세로형의 필획코드원, 삐침형의 필획코드원, 점형의 필획코드원, 파임형의 필획코드원, 가로꺾음평형의 필획코드원, 가로꺾음굽음형의 필획코드원, 세로꺾음형의 필획코드원과 기타 필획코드원으로 나누어지며, 그중 가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F로, 세로형필획코드원은 알파벳H로, 삐침형필획코드원은 알바벳J로, 점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A로, 파임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K로, 가로꺾음평형의 필획코드원은 알바벳G로, 가로꺾음굽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D로, 세로꺾음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L로, 기타유형의 필획코드원은 알파벳S로 분배되며, 따라서 서술한 첫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과 마지막획의 필획유형별코드원은 모두 한자리의 알파벳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12. 청구항11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가로형필획은 가로"ㅡ"와 올림"
    Figure pct00281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F 플러스 수자1, 알파벳F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되며,
    세로형필획은 세로"
    Figure pct00282
    "와 세로올림"
    Figure pct00283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H 플러스 수자1, 알파벳H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되며,
    삐침형필획은 삐침"
    Figure pct00284
    ",삐침꺽음"
    Figure pct00285
    "과 삐침점"
    Figure pct00286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J 플러스 수자1, 알파벳J 플러스 수자2, 알파벳J 플러스 수자3에 대응되며,
    점형필획은 좌점"
    Figure pct00287
    "과 우점"
    Figure pct00288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A 플러스 수자1, 알파벳A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되며,
    파임형필획은 파임"
    Figure pct00289
    "과 평파임"
    Figure pct00290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K 플러스 수자1, 알파벳K 플러스 수자2에 대응되며,
    가로꺾음평형필획은 가로꺾음"
    Figure pct00291
    ",가로꺾음갈구리"
    Figure pct00292
    ",가로꺽음올림"
    Figure pct00293
    ", 가로꺾음굽음"
    Figure pct00294
    ",가로꺾음꺾음"
    Figure pct00295
    ",가로꺾음꺾음꺾음"
    Figure pct00296
    ",첫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297
    "으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G 플러스 수자1, 알파벳G 플러스 수자2, 알파벳G 플러스 수자3, 알파벳G 플러스 수자4, 알파벳G 플러스 수자5, 알파벳G 플러스 수자6, 알파벳G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되며,
    가로꺾음굽음형필획은 가로갈구리"
    Figure pct00298
    ",가로삐침"
    Figure pct00299
    ", 가로꺾음꺾음삐침"
    Figure pct00300
    ", 가로꺾음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301
    ",가로삐침굽음갈구리"
    Figure pct00302
    ",가로기움갈구리"
    Figure pct00303
    ",두번째가로꺾음굽음갈구리"
    Figure pct00304
    "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D 플러스 수자1, 알파벳D 플러스 수자2, 알파벳D 플러스 수자3, 알파벳D 플러스 수자4, 알파벳D 플러스 수자5, 알파벳D 플러스 수자6, 알파벳D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되며,
    세로꺾음형필획은 세로꺾음"
    Figure pct00305
    ",세로굽음꺾음"
    Figure pct00306
    ",세로올림"
    Figure pct00307
    ",세로굽음"
    Figure pct00308
    ",세로꺾음꺾음"
    Figure pct00309
    ",세로꺾음삐침"
    Figure pct00310
    ",세로꺾음꺾음갈구리"
    Figure pct00311
    "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L 플러스 수자1, 알파벳L 플러스 수자2, 알파벳L 플러스 수자3, 알파벳L 플러스 수자4, 알파벳L 플러스 수자5, 알파벳L 플러스 수자6, 알파벳L 플러스 수자7에 대응되며,
    기타필획은 기움갈구리"
    Figure pct00312
    ",굽음갈구리"
    Figure pct00313
    ",와 눕힘갈구리"
    Figure pct00314
    "로 나뉘며 그 필획코드원은 각기 알파벳S 플러스 수자1, 알파벳S 플러스 수자2, 알파벳S 플러스 수자3에 대응되며,.
    따라서 서술한 각종 필획코드원은 한자리의 알파벳 플러스 한자리의 수자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13. 청구항12에 서술한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으로서, 한자"ㅡ"와"
    Figure pct00315
    "말획대체코드원은 알파벳I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KR1020107026977A 2008-06-02 2008-06-02 중국어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KR20110039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8/071162 WO2009146581A1 (zh) 2008-06-02 2008-06-02 适用于中文教学的汉字输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419A true KR20110039419A (ko) 2011-04-18

Family

ID=4139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977A KR20110039419A (ko) 2008-06-02 2008-06-02 중국어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48769A1 (ko)
JP (1) JP2011522492A (ko)
KR (1) KR20110039419A (ko)
CN (1) CN101952790B (ko)
AU (1) AU2008357252A1 (ko)
CA (1) CA2726923A1 (ko)
WO (1) WO2009146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0474A (zh) * 2010-09-14 2010-12-29 闫卫 汉字简易笔划检索方法
CN105929973A (zh) * 2016-04-11 2016-09-07 贾撑 汉字笔顺编码表示法及输入法
CN112991122A (zh) * 2021-05-10 2021-06-18 北京世纪好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汉字教学的规划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377B2 (ja) * 1988-10-20 1995-07-19 長春郵電学院 中国語入力装置
CN1219701A (zh) * 1997-12-09 1999-06-16 王仁富 汉字笔划笔顺拼音部首数字输入法
CN1655100A (zh) * 2004-02-10 2005-08-17 秦永久 数字声韵输入法及其编码
KR100641838B1 (ko) * 2004-11-10 2007-02-28 이병환 심벌문자를 이용한 다국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시스템
US7508373B2 (en) * 2005-01-28 2009-03-24 Microsoft Corporation Form factor and input method for language input
CN1804768A (zh) * 2006-01-15 2006-07-19 任文 一种声韵笔画相结合的电脑汉字输入法
JP4277903B2 (ja) * 2006-12-27 2009-06-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6923A1 (en) 2009-12-10
WO2009146581A1 (zh) 2009-12-10
AU2008357252A1 (en) 2009-12-10
AU2008357252A8 (en) 2011-02-24
CN101952790A (zh) 2011-01-19
US20110148769A1 (en) 2011-06-23
CN101952790B (zh) 2012-11-21
JP2011522492A (ja)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27510A (ja) テンキー・キーボードのための多言語入力方法エディタ
JP2009501963A (ja) 3列4行のキーパッドを利用して漢字を入力する方法
KR20110039419A (ko) 중국어수업에 적용되는 한자입력방법
CN102830809B (zh) 汉字编码输入法
CN105045410B (zh) 一种形式化拼音和汉字对应识别的方法
CN106201007A (zh) 集拼音和字形编码多种方式于一体的汉字输入系统
KR101777545B1 (ko)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US7032175B2 (en) Collision-free ideographic character 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al languages
CN102023717A (zh) 三五首次音码及其键盘
CN113253853B (zh) 一种计算机和手机的汉字输入方法
CN108459735A (zh) 声韵双击触摸屏汉语拼音输入方法
CN104536590B (zh) 基于西夏文声韵字根输入法的嵌入式软键盘系统
CN103809770A (zh) 优拼码汉字输入法
CN109766015A (zh) 汉字拉丁码输入法
Joshi et al. Input Scheme for Hindi Using Phonetic Mapping
CN1027839C (zh) 中华双拼汉字编入的计算机键盘
CN101082838A (zh) 音顺码汉字输入法
CA2270956A1 (en) Method for converting non-phonetic characters into surrogate words for inputting into a computer
CN115525160A (zh) 一种汉字输入方法和系统以及键盘
Ojha Computing in Indian Languages for Knowledge Management: Technology Perspectives and Linguistic Issues
CN102637077A (zh) 用于计算机汉字输入的音、形、调混合编码方法
CN103488309A (zh) 汉字简拼加部件数字输入法
CN117917621A (zh) 汉字输入方法和系统以及键盘
CN101320293A (zh) 计算机拼音编码快速键盘录入法
CN101650601A (zh) 52键位超大字符集汉字输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