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086A -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086A
KR20110038086A KR1020117002387A KR20117002387A KR20110038086A KR 20110038086 A KR20110038086 A KR 20110038086A KR 1020117002387 A KR1020117002387 A KR 1020117002387A KR 20117002387 A KR20117002387 A KR 20117002387A KR 20110038086 A KR20110038086 A KR 2011003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ranch
segment
bifurcation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친 쿠프르야크
미할 로지키에비치
마르친 비알라스
라도슬라우 크미엘레브스키
Original Assignee
텔레 아틀라스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 아틀라스 비. 브이. filed Critical 텔레 아틀라스 비. 브이.
Priority to KR102011700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8086A/ko
Publication of KR2011003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분기점 뷰 (view)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분기점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분기점을 획득하는 단계로,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단계; -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 사이의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특성을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상기 특성이 미리 정의된 조건에 적합하면: -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여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결과를 얻는 단계; 및 - 상기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시각화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두 개의 결정 포인트들, 즉, 두 분기점들을 통해서 주행할 때에 두 결정 포인트들이 서로 이어서 있는 두 결정 포인트들을 하나의 이미지 내에서 시각화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Method of and computer implemented system for generating a junction view image}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분기점 뷰를 생성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로 구현된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그리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되는, 프로세서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특히 더 관련된다.
차량들에서 내비게이션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것은 점점 더 많이 유행하고 있다. 보통 온 보드 (on board) 내비게이션 컴퓨터 시스템이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그리고 있을 수 있는 추가의 모션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리고 그것을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데이터와 결합하며, 그럼으로써 차량의 실제의 위치 및 속도를 결정한다.
몇몇 내비게이션 시스템들은, 도로 교차점 근방의 오브젝트들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3차원적인 투시 뷰 (perspective view)로, 즉, 분기점 뷰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을 제공하며, 이는 많은 사용자들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분기점 뷰들은 간략화되어 있으며, 도로 상황들의 3D 표현들은 궤도 수정하는 상황에 있는 운전자들을 도와준다. 분기점 뷰는 원하는 목적지를 향한 분기점을 통해서 지나가는데 있어서 운전자가 해야만 하는 궤도 수정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분기점 뷰는 도로 전방에서 그리고 분기점 이전에 좀 높은 곳에서 보이는 상기 분기점 그리고 연결 도로들을 표시한다. EP 1681537A1 그리고 EP 1681538A1의 출원들은 애니메이션 분기점 뷰들을 갖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시한다. 분기점 뷰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특정 위치, 즉, 분기점에 또한 링크될 수 있다.
US 6611753는 개선된 투시 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지상"에 상대적인 각도에서 교차점에 대한 투시 뷰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된 교차점의 복잡성을 기반으로, "머리 위에서의" 뷰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각도는 증가된다. 상기 투시 뷰의 증가되는 각도는 교차점에서의 도로들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한다.
EP 1681537A1 EP 1681538A1 US 6611753 PCT/NL2008/050471
본원의 본문에 같이 설명되어 있음.
본 발명은 복합 분기점들에 대한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려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기점은 두 개의 분기점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시 (perspective) 이미지들에서의 시각적인 결과들을 만족시키는 분기점 뷰 생성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의 문제점은 독립의 청구항들의 청구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들은 유리한 실시예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분기점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분기점을 획득하는 단계로,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단계;
-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 사이의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특성을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상기 특성이 미리 정의된 조건에 적합하면:
-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여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결과를 얻는 단계; 및
- 상기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시각화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의 몇몇 모드들에서는, 상기 시스템은 분기점의 투시 뷰 그리고 권장된 경로를 따라서 운전자가 수행해야 하는 궤도 수정 명령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은 상기 권장 경로가 짧은 시간 구간 내에 가로질러갈 두 개의 분기점들을 통해서 지나가지만 하나의 단일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는 분명하게 상상될 수는 없을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그런 상황의 예들은 고속도로 출구들 및 접속 도로들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고속도로 출구는 첫 번째 분기점인 것이 보통이며 그리고 300 미터 이내에서 두 번째 분기점은 운전자에 의해서 수행될 대응 궤도 수정 명령과 함께 자주 보일 것이다. 120 km/h의 운전 속도에서, 첫 번째 분기점에서 두 번째 분기점까지 주행하기에는 약 10초 정도 걸릴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다음의 궤도 수정 명령을 위해서 디스플레이에서 볼 수 있는 시간을 최대 9초만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운전자가 접속 도로에 익숙하지 않으며 그리고 안전의 이유 때문에 대개의 시간을 도로에 주의해야만 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에 이는 짧은 시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런 상황이 발생하면, 두 분기점들을 시각화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가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분기점들이 하나의 이미지에서 시각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두 분기점들을 연결하는 도로 세그먼트가 조절되며, 즉, 짧아지며, 그래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이해되며 더 나은 결정 포인트에서의 가시성을 제공하기 쉽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형성하는 도로 세그먼트들의 도로 외형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는 것은, 조절된 도로 외형을 얻기 위해, 상기 제2 분기점 그리고 상기 제1 분기점으로 향하는 연관된 진출 (outgoing) 세그먼트들을 이동시키는 것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 경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절된 도로 외형에 대응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는 것은, 각각이 대응하는 제1 구간 길이, 제2 구간 길이 및 제3 구간 길이를 구비한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 상에 상기 도로 외형을 매핑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분기점은 상기 제1 구간 및 제2 구간 사이의 제1 경계선에 매핑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분기점은 상기 제2 구간 및 제3 구간 사이의 제2 경계선에 매핑된다.
이런 구간들은 상기 도로 외형의 위치를 결정하고 조절하기 위한 간단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투시 뷰 (perspective) 이미지가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두 분기점을 모두 다 시각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는 것은 해당 구간들에 상기 도로 외형을 매핑한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도로 외형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필터링 동작을 더 포함한다. 이런 특징들은 상기 투시 뷰 이미지에서의 시각적인 불균일성들의 영향을 줄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수정된 외형에 따라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통해서 지나가는 궤도 수정 명령어 (maneuver instruction)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시각화한 것 위에 상기 궤도 수정 명령어의 뷰 (view)를 겹치도록 또한 수행된다. 이런 특징들은 상기 투시 뷰 이미지를 더욱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상기 특성은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 사이의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길이이며 그리고 상기 조건은 상기 길이가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의된 범위는 20 - 300 미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특성은, 상기 제1 분기점과 제2 분기점 사이의 도로 세그먼트와 연관되어 정의된 주행 속도로 상기 제1 분기점에서 제2 분기점까지의 주행에 필요한 주행 시간 또는 온-보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 것과 같은 차량의 실시간 속도와 연관되어 측정된 주행 속도로 상기 제1 분기점에서 제2 분기점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이동 시간이며, 그리고 상기 조건은 상기 이동 시간이 미리 정의된 값보다 더 짧은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의된 값은 10 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연속적인 분기점들을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그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 내의 대응 분기점들과 링크시키거나 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본문에 같이 설명되어 있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이용해서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점 뷰 생성 프로세스의 흐름 도면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외형 조절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수정되지 않은 정사 (orthorectified) 도로 표면 이미지 그리고 대응 분기점 뷰 이미지들의 첫 번째 예를 보여준다.
도 4a 내지 도 4c는 수정되지 않은 정사 (orthorectified) 도로 표면 이미지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대응 분기점 뷰 이미지들의 첫 번째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예시의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외형 조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수정되지 않은 정사 도로 표면 이미지 및 대응 분기점 뷰 이미지들의 두 번째 예를 보여준다.
도 8a 내지 도 8c는 수정되지 않은 정사 도로 표면 이미지 및 본 발명에 따른 대응 분기점 뷰 이미지들의 두 번째 예를 보여준다.
가능하다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들을 통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들을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흐름의 일반적인 개괄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점 뷰 이미지는, 도로 위에서 약간 높으면서 첫 번째 분기점 이전에 있는 포인트에서 보이는 제1 및 제2 분기점 연결 도로들의 조절된 도로 외형을 표시한다. 상기 방법은 동작 100에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획득하면서 시작된다. 상기 방법은 디지털 데이터베이스에서 또는 디지털 데이터베이스와 결합하여 사용될 분기점 뷰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분기점 뷰들은 복합 분기점 상황들에서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콘텐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생성된다. 그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내비게이션 기기는 상기 복합 분기점 상황의 의사-실제 뷰를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복합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복합 분기점 상황은 사용자가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에 두 가지 결정을 해야만 하는 상황으로, 즉, 계획된 경로를 따라서 주행하는 동안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시간 간격에 두 분기점들을 통해서 지나갈 것이다. 두 분기점 사이의 주행 시간이 짧으면, 예를 들면, 10초 미만이며, 사용자는 도로 그리고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두 가지 모두에 주의할 충분한 시간을 가지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가 도로 상에 너무 오래 주의하고 있으면, 그는 두 번째의 결정 포인트에서 제시된 분기점 뷰를 놓칠 것이며 그리고 아마도 틀린 경로로 들어설 것이다. 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너무 오래 보고 있으면, 그 사용자는 다음의 분기점에서 궤도 수정을 위해서 안전하게 준비할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가 충분한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그 내비게이션 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고 일회성으로 복합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가 접근하고 있는 각 분기점에 대해 그것이 복합 분기점으로서 또는 단일 분기점로서 시각화될 것인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분기점 뷰들은 미리 계산되어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나 다른 적절한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작 102에서,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 사이의 도로 세그먼트(들)의 특성이 판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성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길이이다. 그 길이는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로부터 결정된다.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도로 세그먼트를 통한 최대 주행 속도 또는 평균 주행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특성은 상기 제1 분기점에서 상기 제2 분기점까지 주행하기 위한 최소 시간 또는 평균 시간일 수 있다. 상기 특성이 미리 정의된 조건을 만족시키면, 이어지는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조건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길이는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범위는 20 - 300 미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조건은 상기 도로 세그먼트를 가로지르기 위한 시간이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런 범위는 1 - 10초이다.
상기 특성이 상기 미리 정의된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도로 외형은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다 (도 1의 동작 104). 상기 도로 외형은 상기 제1 분기점 그리고 제2 분기점로부터의 모든 진입 (incoming) 도로 세그먼트들 및 진출 (outgoing) 도로 세그먼트들을 포함한다. 동작 104는 동작 100에서의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 획득에서 수행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것에 주목해야만 한다.
도 2의 왼쪽 그래프는 도로 외형의 간단한 시야를 보여주며 그리고 도 3a는, 각 차로들을 보여주는, 도로 세그먼트들의 정사 뷰 (orthorectified view)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연속적인 동작들 106 - 112을 도시하기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도 2는 왼쪽에서 제1 분기점 (210) 및 제2 분기점 (220)를 포함하는 도로 외형을 보여준다. 진입 도로 세그먼트 (212)가 존재한다. 이 세그먼트는 사용자가 현재 그 위로 운전하고 있는 도로인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1 분기점 (210)는 사용자의 전방의 위치로, 그곳에서 상기 진입 도로 세그먼트 (212)가 두 개의 다른 도로 세그먼트들 (214, 216)로 분기된다. 왼쪽으로의 도로 세그먼트 (214)는 나가는 도로 세그먼트이며 그리고 오른쪽으로의 도로 세그먼트 (216)는 상기 제1 분기점 (210)를 상기 제2 분기점 (220)와 연결시키는 중간 도로 세그먼트이다. 상기 제2 분기점 (220)에서,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 (216)는 두 개의 진출 세그먼트들 (218, 222)로 분기된다. 상기 외형 그래프에서 도시된 도로 외형에 관한 모든 정보는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기점 뷰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전방 도로를 시각화하며 그리고 도로나 지상 표면 위의 특정 높이에서 그리고 지상이나 도로 표면에 대해서 특정한 시야각으로 카메라에 의해 찍힌 이미지에 대응한다.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각 제조자는 상기 높이 및 시야 각도에 관하여 자신 스스로의 요구 사항들을 구비한다. 또한, 제조자들은 상기 카메라 앞에서의 특정 위치, 즉, 상기 제1 분기점이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 즉, 이미지가 놓여있는 곳에서 어디에 투사되는가를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요구 사항들은 도로 외형, 즉, 지상 표면의 어느 부분이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 시각화될 수 있는가를 정의한다.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 오브젝트의 너비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의 상세한 부분의 레벨은 뷰 포인트트와 상기 오브젝트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현재의 설명에서, 250미터 전방의 지상 표면 (250)이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 시각화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도 2는 전방 250 미터 특정 폭 영역의 도로 외형 그래프를 보여주며, 상기 폭은 분기점 뷰 이미지 내의 인공적인 수평선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250 미터 전방의 상기 영역은, 50 미터의 제1 구간 (200), 25 미터의 제2 구간 (202) 그리고 175 미터의 제3 구간 (204)인,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진다. 이 영역에 대해서 투시 (perspective)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다. 상기 제3 구간 (204)의 탑 (top) 라인 (205)은 상기 투시 뷰 이미지에서 수평 라인으로서 행동한다. 상기 탑 라인 너머로 확대되는 로드 세그먼트들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탑 라인 (205)은 장면 절단기로서 행동한다. 상기 제1 구간 (200) 및 제2 구간 (202)의 사이에는 제1 경계선 (201)이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간 (202) 및 상기 제3 구간 (204) 사이에는 제2 경계선 (203)이 존재한다.
동작 106에서, 상기 제1 분기점 (210)는 상기 제1 경계선 (201) 상으로 매핑되며, 더 나아가 상기 도로 외형 그래프는 회전되어 상기 진입 세그먼트 (212)가 상기 제1 구간 (200)으로 매핑된다. 도 2에서 제시된 예에서, 상기 진입 세그먼트가 상기 제1 경계선 (201)에 수직이면서 중심이도록 상기 매핑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수평으로 보는 방향이 상기 진입 섹션 (212)의 방향에 평행이며, 그래서 상기 도로 세그먼트가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방향을 따라서 보이는 분기점 뷰 이미지의 결과가 될 것이다. 250 미터의 상기 영역 내의 수직 라인이, 상기 수직으로 보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구비한 지상 표면 상에서의 라인으로서 상기 투시 뷰 이미지에서 표현될 것이라는 것에 주목해야만 한다.
도 3a는 도 2의 왼쪽 그래프에서 도시된 도로 외형에 비교할만한 도로 외형을 구비한 도로망의 일부의 예를 보여준다. 보이는 것은 4개 차로의 고속도로의 도로 표면의 정사 시야 (orthorectified view)이다. 50 미터 이후에 상기 4개의 차로는 두 개의 두 개 차로들로 분기되고 그리고 두 개의 오른쪽 차로는 상기 첫 번째 분기 이후 200 미터에서 두 개의 개별 차로들로 분기한다. 도 3b 및 도 3c는 내비게이션 기기에서 사용할 용도의 분기점 뷰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상기 이미지는 수평선을 포함하며, 그 수평선 아래에 도 3a에서 보여진 도로 외형의 투시 뷰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수평선 위에는 지평선의 표시가 있다. 도 3b 및 도 3c는 도로 표면에 중첩된 화살표를 포함하여 궤도 수정 명령을 나타내며, 이 경우 운전자는 도 3b에서는 오른쪽으로부터 첫 번째 차로를 따라야 하며 도 3c에서는 오른쪽으로부터 두 번째 차로를 따라야 한다. 비록 두 개의 분기점들, 즉, 결정 포인트들은 서로 상대적으로 근접해 있으며, 이는 도 3b 및 도 3c에서 분기점 뷰 이미지들을 보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도로 외형은 특정한 요구 사항들을 맞추기 위해서 조절된다.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 (216)는 실제에서보다 더 짧게 만들어져서, 두 분기점들 그리고 대응하는 도로 세그먼트들이 이해하기 쉬운 시야 (view)로 시각화될 수 있다. 도 1의 동작 (108)에서, 상기 제2 분기점 (220)는 상기 두 번째 경계선 상에 또는 가까이에 매핑된다. 이 동작은 도 2의 오른쪽 도로 외형 그래프에 도시된다. 상기 제2 분기점 (220)의 위치는 이동 벡터 (224)를 따라서 이동되며, 상기 이동 벡터 (224)는 상기 진입 세그먼트 (212)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이동 벡터가 상기 두 번째 경계선 (203)을 가로지르는 장소 (220')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분기점 (210) 그리고 제2 분기점 (220')가 상기 제1 분기점 (201) 및 제2 분기점 (203)에 각각 매핑된 이후에,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 (216) 그리고 두 개의 진출 도로 세그먼트들 (218, 222)은 원래의 도로 외형을 나타내기 위해서 조절되어야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 (216)는 상기 조절된 중간 도로 세그먼트 (216')를 얻기 위해 상기 이동 벡터 (224)에 평행한 방향에서 크기 조절된다. 상기 두 진출 세그먼트들 (218, 222)은 도 2의 오른쪽 그래프에서 상기 이동 벡터 (224)를 따라서 움직이며 상기 도로 세그먼트들 (218', 222')에 의해 시각화된다. 동작 (110)의 결과는 조절된 도로 외형 그래프이다.
상기에서 선언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분기점 (220) 및 두 개의 진출 세그먼트들 (218, 222)은 상기 이동 벡터 (224)를 따라서 움직인다. 상기 조절된 중간 도로 세그먼트 (216')는 원래의 중간 도로 세그먼트 (216')의 크기 조절된 버전이다. 결과적으로, 제1 분기점 (210)와 제2 분기점 (220)에 대한 중간 세그먼트 그리고 상기 분기점들에 연결된 다른 세그먼트들의 방위 (orientation)는 변할 것이다. 이는 불가능한 도로 외형의 결과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진입 도로 세그먼트와 진출 도로 세그먼트들 중의 임의 세그먼트 사이의 각도는 너무 크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된 도로 외형을 필터링하기 위해서 옵션으로 필터링 동작이 제공된다. 이것은 분기점의 진입 세그먼트로부터 진출 세그먼트로의 매끄러운 변이 (transition)로 귀결될 것이다. 상기 필터링 동작 (112)은 진입 세그먼트와 진출 세그먼트의 각도가 비현실적일 때에만 수행되어야 한다. 고속도로들은 설계 규칙들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 규칙들은 차량들의 허용 가능한 속도를 기반으로 하며 그리고 몇몇의 안전의 면모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고속도로와 고속도로 출구 사이의 각도가 예를 들면 45도보다 더 크다는 것을 비현실적으로 만든다. 그런 경우들에 도로 외형을 필터링함으로써, 고속도로로부터 출구로의 변이는 매끄럽게 될 것이며 그리고 변이에 있어서의 비현실적인 각도는 제거될 것이다. 필터링된 도로 외형은 더욱 현실적인 분기점 뷰를 제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동작 114에서 투시 복합 분기점 뷰 이미지가, 상기 조절된 도로 외형에 대해서 또는 상기 조절된 도로 외형의 옵션으로 필터링된 버전에 대해서 생성된다. 상기 생성은 이미지 내에서의 제1 분기점의 시야의 높이, 시야 각도 그리고 위치와 같은 파라미터들에 종속적이다.
중심선, 도로 세그먼트들의 모습, 차로 개수들 그리고 x, y로의 높이 정보에 관하여 도로 표면을 기술하는 도로 외형으로부터, 도로 레이어 (layer) 이미지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분기점과 상기 제2 분기점을 통해서 취하는 바람직한 궤도 수정 (maneuver)들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용어 "궤도 수정"은 상기 제1 분기점 이전의 도로 세그먼트 (차로),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도로 세그먼트 (차로) 그리고 상기 제2 분기점 이후의 도로 세그먼트 (차로)의 연속을 의미한다. 각 궤도 수정에 대해서 화살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화살표는 도로 레이어 이미지 상에 중첩된다. 상기 화살표는 운전자에게 상기 제1 분기점과 제2 분기점을 통해서 지나가기 위한 최적의 도로 위치, 즉, 차로 또는 차로 시퀀스를 표시할 것이다. 동작 114의 실시예는 사인보드 레이어 (layer)를 생성하도록 또한 구성되어, 표준화된 방식으로 사인보드들을 시각화시킨다. 미공개의 동시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PCT/NL2008/050471 는 상기 사인보드 레이어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사인보드들 상의 정보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나 지리적인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정보를 임포트하고 상기 사인보드 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서 XML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경 레이어 그리고 지평선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일단 모든 레이어들이 준비되면, 합성 3D 장면, 즉, 분기점 뷰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각 레이어들을 결합하기 위해, 소위 "블루-박스 (blue-box)" 기술이 사용된다.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는 나무들, 빌딩들 그리고 충돌 방지물, 가로등, 교통 신호들, 도로 표지등과 같은 다른 도로 시설물을 이용하여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게이밍 산업으로부터 알려진 스프라이트 (sprite)들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라이트는 더 큰 장면으로 통합되는 2차원/3차원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이며 그리고 평면 이미지들이 어떻게 복잡한 3차원적인 장면들로 심리스 (seamlessly)하게 통합되는가에 대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 기술은 나무들 그리고 다른 객체들을 3D-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모델링할 필요도 없이 아주 실제와 같은 효과들을 생성한다. 스프리트들은 도로 근방에 2D 객체들을 자동적으로 위치시켜서 아주 실제와 같은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a는 도 3a에도 도시된 도로망의 조절된 도로 외형의 일 예를 보여준다. 이 조절된 도로 외형에서, 50 미터 이후에 4개의 차로들이 두 개의 두 개 차로들로 분기된다. 이제, 오른쪽의 두 개의 차로들은 상기 첫 번째 분기 이후에 약 25미터에서 두 개의 개별 차로들로 분기한다. 도 4b 및 도 4c는 내비게이션 기기에서 사용되는 용도의 분기점 뷰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도 4b 및 도 4c는 도로 표면 상에 중첩된 화살표를 포함하며, 이는 운전자가 오른쪽으로부터는 첫 번째 차로를 그리고 오른쪽으로부터는 두 번째 차로를 각각 선택하도록 궤도 수정 명령을 나타낸다. 상기 두 개의 연속적인 분기들, 즉, 결정 포인트들은 분기점 뷰 이미지들에서 매우 명확하게 시각화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분기점들을 따라서 바람직한 궤도 수정명령이 표시되도록 하나의 화살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원래의 도로 외형의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는 가능하지 않으며 그리고 다른 분기점이 바로 다음에 뒤따라 존재하는 분기점에 그 운전자가 접근하고 있다는 정보를 그 운전자에게 최소한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다.
동작 108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2 분기점 (220)는 상기 제1 분기점 (210)과 제2 분기점 사이의 직선이 제2 경계선 (203)과 교차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 실시예의 유리한 점은, 상기 제1 분기점 (210) 그리고 상기 제2 분기점 (220)의 상기 제2 경계선 (203) 상의 새로운 위치 사이에 들어맞도록 상기 중간 세그먼트 (216)가 크기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2 분기점 그리고 두 개의 진출 세그먼트들 (218, 222)의 이동으로 인해서,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에 관한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방위는 변화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조절된 도로 외형에 대한 상기 필터링 동작 (112)은 그러면 생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분기점 (220)는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가 상기 제2 경계선 (203)과 교차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2 경계선 (203)을 구비한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교차점까지의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외형만이 상기 복합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에서,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특성이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위치할 때에만 복합 분기점 뷰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라는 것이 설명되었다. 상기 미리 정의된 범위 그리고 상기 구간들의 길이는 상기 복합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뷰 포인트의 높이, 뷰 각도, 그리고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의 상기 제1 분기점의 위치와 같은 파라미터들에 종속된다. 이런 파라미터들은 어느 영역이 투시 뷰에서 시각화될 수 있는가 그리고 결국에는 상기 3개의 구간들 (200, 202, 204)을 정의한다. 각 세트의 파라미터들에 대해, 하나의 투시 뷰에서 분기점들 둘 다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최적 세트의 범위 그리고 구간 길이들이 결정될 수 있다. 각 길이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학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잘 알려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간의 길이는 상기 미리 정의된 범위의 하한 값을 정의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의 길이의 합은 상기 미리 정의된 범위의 상한 값을 정의한다. 상기 도로 외형이 조절되어야만 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상기 특성은, 상기 제1 분기점과 라인이 상기 진입 세그먼트와 일치하고 그리고 상기 라인에 수직인 상기 제2 분기점을 통과하는 라인이 있는 위치 사이의 거리, 즉, 상기 제1 분기점으로의 진입 도로 세그먼트와 같은 방향을 구비한 벡터를 따르는 상기 제1 분기점과 제2 분기점 사이의 거리이며, 그러면 상기 범위의 하한 값은 상기 제2 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며 그리고 상기 상한 값은 상기 제2 구간 그리고 제3 구간 두 구간 모두의 길이에 대응한다. 상기 중간 도로의 특성이 거리와 속도의 두 가지 모두에, 즉,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를 통해서 지나가기에 필요한 운행 시간에 종속되면, 상기 범위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두 분기점 뷰들의 표시 사이의 최소한의 허용 시간에 의해서 정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분기점으로부터 상기 제2 분기점까지의 운행에 필요한 운행 시간이 상기 최소의 허용 시간보다 더 짧으면, 복합 분기점 뷰가 생성될 것이다. 상기 운행 시간은 최대의 허용 가능 속도,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 상에서의 평균 속도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기기의 실제의 속도에 종속될 수 있을 것이다.
주어진 예들에서,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 (216)의 방향은 상기 진입 세그먼트 (212)와 다소 동일한 방향이다. 상기 중간 섹션이 오른쪽으로 뾰족하게 굽어져서 상기 제1 분기점과 제2 분기점 사이의 거리가 200 미터보다 작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에, 상기 제2 분기점 (220)은 상기 제1 구간 (200), 제2 구간 (202) 그리고 제3 구간 (204)을 내어놓고 그리고 그 결과 상기 제2 분기점은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는 보이지 않을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제2 분기점 (220)를 상기 제2 경계선 (203)의 미리 정의된 일부 상에 매핑하도록 하기 위해 동작 (108)이 적응될 수 있을 것이다. 두 개의 진출 도로 세그먼트들 (218, 222)의 시작 부분이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일부는 선택되어야만 한다. 도 6은 이전에 설명된 동작 (108)에 비추어 상기 동작 (108)의 설명된 적응의 원칙을 보여준다. 도 6은 제1 구간 (200), 제2 구간 (202) 그리고 제3 구간 (204)을 보여준다. 동작 (106) 이후에, 상기 구간들은 상기 제1 분기점 (210) 그리고 진입 도로 세그먼트 (212)에 관하여 위치가 정해진다. 제2 분기점 (220)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간의 영역 외부에 있는 위치를 가진다. 진입 섹션의 방향에 평행한 변환 벡터만이 사용될 수 있다면, 상기 변환 벡터는 상기 제2 경계선 (203)과 교차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분기점 (220) 그리고 상기 제2 경계선 (203)의 일부 (203') 사이의 최단 거리에 대응하는 벡터가 결정된다. 이 벡터는 상기 원래의 도로 외형으로부터 상기 조절된 도로 외형으로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6은 조절된 제2 분기점 (220") 그리고 조절된 중간 세그먼트 (216")를 보여준다. 그렇게 얻어진 조절된 도로 외형에 대해 분기점 뷰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이해할 수 있으며 그리고 해석하기 쉬운 방식으로, 두 분기점들 모두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분기점들을 따르는 궤도 수정 명령어들을 나타내는 하나의 화살표를 시각화한다. 이 실시예는 제2 분기점이 제1 분기점의 오른쪽이나 왼쪽에 위치하여 도로 외형을 조절하지 않고서는 분기점 뷰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인 상황에서 복합 분기점 뷰들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분기점은 두 개의 벡터 성분들에 따라서 이동하며, 제1 벡터 성분은 운행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가지며 그리고 제2 벡터 성분은 운행 거리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갖는다. 상기 제2 벡터는 운행 방향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분기점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7a는 도 6의 그래프에서 보이는 도로 외형에 비교할 수 있는 도로 외형을 가진 도로망의 일부의 예를 보여준다. 4개의 차로들을 구비한 고속도로의 도로 표면의 정사 (orthorectified) 뷰가 보인다. 50 미터 이후에 상기 4개의 차로들은 두 개의 2개 차선들로 분기되고 그리고 오른쪽의 두 개의 차로들은 상기 첫 번째 분기 이후에 200 미터에서 두 개의 개별 차로들로 분기된다. 도 7b 및 도 7c는 내비게이션 기기에서 사용되는 용도의 분기점 뷰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도 7b 및 도 7c는 도로 표면 상에 중첩된 화살표를 포함하며, 이는 궤도 수정 명령을 표시하며, 이 경우에 운전자가 도 7b의 오른쪽으로부터 첫 번째 차로를 취해야 하며 그리고 도 7c 에서는 오른쪽으로부터 두 번째 차로를 취해야만 한다. 비록, 두 분기들, 즉, 결정 포인트들 사이의 도로 세그먼트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위치하지만, 도로 세그먼트의 상대적으로 뾰족하게 굽어진 것으로 인해서, 상기 제2 분기가 도 7b 및 도 7c의 분기점 뷰 이미지들에서 보이지 않는다. 상기 두 번째 분기 또는 분기점의 위치는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 창의 밖에 위치한 것이다.
도 8은 도 7a에 보이는 도로망의 조절된 도로 외형의 일 예를 보여준다. 상기 조절된 도로 외형에서, 50 미터 이후에 4개의 차로들이 두 개의 2차로들로 분기된다. 이제, 두 개의 오른쪽 차로들이 상기 첫 번째 분기 이후에 약 25 미터에서 두 개의 개별 차로들로 분기된다. 도 8b 및 도 8c는 내비게이션 기기에서 사용되는 분기점 뷰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도 8b 및 도 8c는 도로 표면 상에 중첩된 화살표를 포함하여, 운전자가 오른쪽으로부터 첫 번째 차로를 그리고 오른쪽으로부터 두 번째 차로를 각각 취하라는 궤도 수정 명령을 표시한다. 상기 두 개의 연속 분기들, 즉, 결정 포인트들은 상기 중간 세그먼트의 구부러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들에서 아주 분명하게 보인다. 또한, 두 개의 분기점들을 지나는 바람직한 궤도 수정 명령을 표시하는 하나의 화살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원래의 도로 외형에서의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는 가능하지 않았으며 그리고 다른 분기점이 바로 다음에 뒤따라 존재하는 분기점에 그 운전자가 접근하고 있다는 정보를 그 운전자에게 최소한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다. 운전자는 자신이 뾰족하게 굽어진 도로 세그먼트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만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제시된 실시예들은 두 연속적인 분기점들을 짧은 시간 구간 내에 가로질러갈 것이지만 하나의 단일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는 두 분기점들이 분명하게 보이지 않을 수 있을 경우에 그 두 연속적인 분기점들을 시각화하는 분기점을 생성한다. 3개의 분기점들을 상기 짧은 시간 구간 내에 가로질러 가는 경우가 또한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이런 경우에 대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3 분기점을 획득하며, 이 경우 상기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 사이의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특성 그리고/또는 제1 분기점과 제3 분기점 사이의 중간 도로 세그먼트들의 특성이 판별된다. 상기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 사이의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특성 그리고/또는 제1 분기점과 제3 분기점 사이의 중간 도로 세그먼트들의 특성이 미리 정의된 조건에 적합하면, 상기 제1 분기점과 제3 분기점 사이의 도로 외형은 조절되어야만 한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상기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 사이의 중간 도로 세그먼트는 짧아지고 그리고 상기 제3 분기점은 상기 제1 분기점의 진입 도로 세그먼트에 관하여 위치가 정해져서, 상기 제3 분기점 그리고 진출 도로 세그먼트들은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 명확하게 시각화된다. 그러면, 분기점 뷰 이미지는 상기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분기점, 제2 분기점 그리고 제3 분기점을 시각화하면서 생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3개의 분기점들의 도로 외형은 3개 대신에 4개의 구간들로 매핑되어야만 한다. 상기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은 미리 정의된 크기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의 전체 길이가 미리 정의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구간들의 각각의 크기는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들 각각의 특성에 대응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런 방식에서,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에서 상기 제1 분기점과 제2 분기점 사이의 중간 도로 세그먼트 그리고 상기 제2 분기점과 상기 제3 분기점 사이의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비율을 시각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구간에 3번의 결정들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운전자가 가까이 가고 있다는 것을 그 운전자에게 알리는 바람직한 궤도 수정 명령을 나타내는 하나의 화살표를 상기 세 개의 분기점들을 따라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컴퓨터로 구현된 시스템 또는 컴퓨터 설비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5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적합한 컴퓨터 설비 (500)의 개괄적인 모습이 주어지다. 상기 컴퓨터 설비 (500)는 알고리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511)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511)는 복수의 메모리 컴포넌트들에 연결되며, 이 메모리 컴포넌트들은 하드디스크 (512), ROM (Read Only Memory) (513), EEPROM (Electrical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14) 그리고 RAM (Random Access Memory) (515)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들은 데이터, 즉, 상기 프로세서 (511)가 본 발명에 따라서 복합 분기점 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런 메모리 유형들의 모두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런 메모리 컴포넌트들은 상기 프로세서 (511)와 물리적으로 근접하게 위치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프로세서 (511)로부터 원격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들과 연관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컴퓨터 설비 (500)의 일부로서 저장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웹 서비스들을 경유하여 액세스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511)는 키보드 (516) 또는 마우스 (517)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명령어들, 데이터 등의 입력을 위한 수단에 또한 연결된다. 터치 스크린, 트랙볼 및/또는 음성 변환기와 같은 당 업계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입력 수단들 역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 수단은 교차하는 도로들을 이해하는 것에 관련하여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 그리고 접속 도로의 모습을 더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도로 외형이나 분기점 뷰 이미지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511)에 연결된 리딩 유닛 (519)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딩 유닛 (519)은 플로피 디스크 (520 또는 CDROM (521)과 같은 탈부착 가능한 데이터 캐리어 또는 탈부착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가능하다면 데이터를 쓰도록 구성된다. 다른 탈부착 가능 데이터 캐리어들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테이프, DVD, CD-R, DVD-R, 메모리 스틱들,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SD 카드들, USB 스틱들), 컴팩트 플래시 카드들, HD DVD, 블루레이 등일 수 있을 것이다. 탈부착 가능한 데이터 캐리어들 그리고 메모리 컴포넌트들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로세서 독출 가능 매체이다.
상기 프로세서 (511)는 출력 데이터를 종이에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터 (523)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디스플레이 (518), 예를 들면, 모니터 또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스크린, (앞의 창으로 투사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또는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임의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511)는 라우드스피커 (529)에 그리고/또는 그래픽한 문서 그리고 다른 문서들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웹 캡이나 스캐너와 같은 광학 리더기 (531)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 (511)는 I/O 수단 (525)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 (527), 예를 들면, 공중 교환 전화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로컬 영역 네트워크 (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 (Wide Area Network (WAN)), 무선 LAN (Wireless LAN (WLAN)), GPRS, UMTS, 인터넷 등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511)는 네트워크 (527)를 통해서 다른 통신 설비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데이터 캐리어 (520, 521)는 프로세서에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와 명령어들의 모습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대안으로, 상기 전화통신 네트워크 (527)를 경유하여 메모리 컴포넌트로 다운로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511)는 스탠드 얼론 시스템으로서 또는 각각의 프로세서들이 더 커다란 컴퓨터 프로그램의 서브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오퍼레이팅 프로세서들로서 또는 여러 개의 서브-프로세서들을 구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인 프로세서들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의 일부들은 심지어는 상기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 (527)를 통해서 프로세서 (511)와 통신하는 원격 프로세서들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의 컴퓨터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컴포넌트들은 범용의 컴퓨터 시스템들에서 보통 발견되는 것이며, 당 업계에서 잘 알려진 그런 컴퓨터 컴포넌트들의 넓은 카테고리를 나타내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러므로, 도 5의 컴퓨터 시스템은 PDA, 내비게이션 기기,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미니 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상이한 버스 구성, 네트워크 플랫폼, 멀티-프로세서 플랫폼 등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운영 시스템들이 UNIX, Solaris, Linux, Windows, Macintosh OS 그리고 다른 적합한 운영 시스템들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공간-데이터-변화 (spatial-data-change)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또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기기에서 구현되기에 아주 적합하다. 그런 내비게이션 시스템들은 차량 (예를 들면, 자동차, 밴, 트럭, 모토바이크)이나 모바일 기기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 (PDA), 모바일 전화기, 핸드헬드 컴퓨터 또는 개인용 내비게이션 기기)를 위해서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경우에, 상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부품들을 구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는 디지털 지도를 운반한다. 상기 컴퓨터 구현 시스템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계획하기 위해 목적지를 입력하고 그리고 상기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실제의 위치 정보를 인출하기 위한 입력 기기를 또한 포함한다. 계획된 경로를 따라서 운행할 때에, 상기 시스템은 분기점, 즉, 결정 포인트에 접근할 때에 정의된 회수만큼 분기점 뷰를 보여줄 것이다. 다음의 결정 포인트가 미리 정의된 시간이나 거리 내에서 예상될 때에, 상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여, 두 분기점들, 즉, 결정 포인트들 모두를 시각화하는 분기점 뷰, 그리고 대응하는 궤도 수정 명령들을 하나의 분기점 뷰 이미지에 일회성으로 생성하고 그리고 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출력할 것이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실제의 운전 속도는 첫 번째 분기점부터 두 번째 분기점까지의 운행 시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복합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는가 또는 아닌가를 탐지하기 위한 특성을 추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빠르게 운전하면, 상기 사용자가 동일한 경로를 따라서 느리게 운전할 때보다 복합 분기점들로서 식별될 상황들이 더 많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연속적인 분기점들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하나의 복합 분기점로서 또는 두 개의 개별적인 단순 분기점 뷰들로서 시각화될 것인가의 여부는 실제의 운전 속도에 종속할 것이다.
본 발명이 복합 분기점 뷰들을 이용하여 현존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복합 분기점 뷰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고 그리고 그 복합 분기점 뷰를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내의 제1 분기점에 링크시키는 동작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분기점 뷰들이 저장된 곳인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일부 또는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연관된 사이드 (side) 파일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점 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제품은 상기 분기점 뷰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베이스의 형상, 프로세서 독출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지도와 연관된 사이드 파일일 수 있다. 그런 미리-계산된 분기점 뷰들을 위해, 실시간 차량 속도는 알려져 있지 않고 그리고 추정된 속도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스트된 속도 제한들로부터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기능적인 도로 분류로부터 또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상기 예들은 분기들만을 보여주며, 본 발명은 3개 분기들에 대해서도 그리고 심지어는 더욱 복잡한 분기들에 대해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 총 망라하거나 또는 본 발명을 개시된 정밀한 형상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명백하게 많은 수정들 및 변형들이 상기에서의 교시를 참조하여 가능하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칙들을 최선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선택되었으며 그리고 그럼으로써 본 발명의 실제의 응용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숙고된 특정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들을 구비하여 최선으로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되려고 의도된 것이다.

Claims (18)

  1. 분기점 뷰 (view)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분기점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분기점을 획득하는 단계로,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단계;
    -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 사이의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특성을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상기 특성이 미리 정의된 조건에 적합하면:
    -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여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결과를 얻는 단계; 및
    - 상기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시각화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형성하는 도로 세그먼트들의 도로 외형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는 것은, 조절된 도로 외형을 얻기 위해, 상기 제2 분기점 그리고 상기 제1 분기점으로 향하는 연관된 진출 (outgoing) 세그먼트들을 이동시키는 것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 경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절된 도로 외형에 대응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적응된,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는 것은, 각각이 대응하는 제1 구간 길이, 제2 구간 길이 및 제3 구간 길이를 구비한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 상에 상기 도로 외형을 매핑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분기점은 상기 제1 구간 및 제2 구간 사이의 제1 경계선에 매핑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분기점은 상기 제2 구간 및 제3 구간 사이의 제2 경계선에 매핑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외형은 상기 제1 분기점에서 종료하는 진입 (incoming) 세그먼트, 상기 제1 분기점과 제2 분기점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 그리고 상기 제2 분기점에서 시작하는 둘 이상의 진출 (outgoing)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진입 섹션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변환하여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상기 제2 구간에 매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중간 세그먼트 변환으로 인한 상기 제2 분기점의 이동과 동등한 벡터를 따라서 둘 이상의 진출 세그먼트들을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는 것은 해당 구간들에 상기 도로 외형을 매핑한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도로 외형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필터링 동작을 더 포함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수정된 외형에 따라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통해서 지나가는 궤도 수정 명령어 (maneuver instruction)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을 시각화한 것 위에 상기 궤도 수정 명령어의 뷰 (view)를 겹치도록 또한 수행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제1 분기점 및 제2 분기점 사이의 상기 도로 세그먼트의 길이이며 그리고 상기 조건은 상기 길이가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인,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범위는 20 - 300 미터인,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제1 분기점과 제2 분기점 사이의 도로 세그먼트와 연관되어 정의된 주행 속도로 상기 제1 분기점에서 제2 분기점까지의 주행에 필요한 주행 시간 또는 온-보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 것과 같은 차량의 실시간 속도와 연관되어 측정된 주행 속도로 상기 제1 분기점에서 제2 분기점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이동 시간이며, 그리고 상기 조건은 상기 이동 시간이 미리 정의된 값보다 더 짧은 것인,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값은 10 초인,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합 분기점 뷰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방법은 상기 복합 분기점 뷰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복합 분기점 뷰를 상기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제1 분기점에 링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3 분기점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이 경우 상기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에 의해 연결되는, 획득 단계;
    - 상기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 사이의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특성을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 사이의 상기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상기 특성이 미리 정의된 조건에 적합하면:
    - 상기 도로 외형을 조절하여 상기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 사이의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의 결과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더 짧은 중간 도로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분기점, 제2 분기점 및 제3 분기점을 시각화하는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적응되는, 분기점 뷰 이미지 생성 방법.
  15. 복합 분기점 뷰를 생성하는 컴퓨터로 구현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프로세서 (511);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512; 513; 514; 515)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511)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시스템
  16. 컴퓨터 설비에 의해 로딩될 수 있는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설비가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7. 컴퓨터 설비에 의해 로딩될 수 있는 데이터와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구비한, 프로세서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설비가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8.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복합 분기점 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제품.
KR1020117002387A 2008-07-30 2008-07-30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KR20110038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7002387A KR20110038086A (ko) 2008-07-30 2008-07-30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7002387A KR20110038086A (ko) 2008-07-30 2008-07-30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086A true KR20110038086A (ko) 2011-04-13

Family

ID=4404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387A KR20110038086A (ko) 2008-07-30 2008-07-30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80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916A (ko) * 2012-11-02 2020-07-15 톰톰 네비게이션 비.브이. 지능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에서 사용하기 위한 호라이즌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916A (ko) * 2012-11-02 2020-07-15 톰톰 네비게이션 비.브이. 지능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에서 사용하기 위한 호라이즌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458B2 (en) Method of and computer implemented system for generating a junction view image
US9403483B2 (en) Vehicl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vehicle image processing method
US10502955B2 (en) Head-up display device, navig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US11842447B2 (en) Loc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JP4679182B2 (ja) 地図表示方法、地図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地図表示装置
US7920966B2 (en) Navig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programs
US20200269759A1 (en) Superimposed-image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8630801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graphic output of navigaton instructions
JP425766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60003636A1 (en) Multi-level navigation monitoring and control
WO2006092853A1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JP2015068831A (ja) 機能拡張された3次元(3−d)ナビゲーション
US20060152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two-dimensional building data to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in real ti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ly visualizing two-dimensional building data in real time
JP7365594B2 (ja) 表示システム
JP200812882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6177498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
JPWO2007142084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9879A (ja) 前方画像表示装置
JPH09330022A (ja) 3次元cg技術を利用した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KR20110038086A (ko) 분기점 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시스템
JP7253720B2 (ja) 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13661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6244217A (ja) 三次元地図表示方法、三次元地図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三次元地図表示装置
WO2024066881A1 (zh) 地图导航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1104794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