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901A - 입체형 태그 - Google Patents

입체형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901A
KR20110037901A KR1020100097191A KR20100097191A KR20110037901A KR 20110037901 A KR20110037901 A KR 20110037901A KR 1020100097191 A KR1020100097191 A KR 1020100097191A KR 20100097191 A KR20100097191 A KR 20100097191A KR 20110037901 A KR20110037901 A KR 2011003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ttern
reading device
dimensional tag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172B1 (ko
Inventor
손용석
김형근
김수진
박필연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손용석
김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석, 김형근 filed Critical 손용석
Publication of KR2011003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multilayered, e.g. laminat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32B37/185Laminating sheets, panels or inserts between two discrete plastic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5Mounting details of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입체형 태그가 제공된다. 입체형 태그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1 시트,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의 사이에 밀착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문양 형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은, 리딩 기기에서 상기 문양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입체형 태그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3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의 사이에 밀착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문양 형성체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층의 문양에 기초하여 상기 다층의 문양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한다.

Description

입체형 태그{CUBICAL TAG}
본 발명은 입체형 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시트에 형성된 문양,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문양 형성체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문양을 갖는 입체형 태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코드(Bar Code) 기술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원의 선의 굵기와 선의 간격의 불규칙하게 배열하고, 하단의 고유 숫자 및 문자를 프린팅하여 부여하고, 2차원의 선을 인식하여 DB의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로서, 누구나 복사 등이 가능하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할 사물의 정보가 들어있는 DB와 연결할 수 있는 ID를 저장하거나, 정보를 직접 저장한 메모리 칩과 정보를 무선 방출할 수 있는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 방출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로서, 송신되는 전파를 도용할 경우 무한 복사가 가능하다.
큐브 태그(Cube Tag)기술은 고형물 제작 등에서 내부에 수많은 특수 미립자들을 무작위 혼합하여 위치, 모양, 크기 등의 특성 데이터를 부여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하여 대량 생산 및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미립자들이 내부에 무작위로 분산, 제작되어 있으나, 실제로 큐브를 인식하는 정확도가 낮고, 인식 과정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에는 통상적으로 소매점이나 렌탈점에서의 상품의 관리에 있어서, 바코드나 IC칩과 안테나를 구비한 RFID 태그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RFID 태그를 상품에 부착하고, 전용의 데이터 판독 기록 장치에 의해 상품 데이터를 판독 기록하여, 상품의 입출고 관리, 재고관리, 대출 관리 등을 행한다.
RFID 태그는 IC칩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품 코드뿐만 아니라, 입하일, 담당자 등의 풍부한 정보를 상품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현재는 2.45GHz가 이용되고 있다)를 사용한 전파 방식의 RFID 태그는, 정전 결합이나 전자 유도를 사용한 RFID 태그에 비해 통신 거리가 1~2m로 길기 때문에, 물품 관리 등, 다방면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RFID 태그는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나 휘어짐에 매우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복제가 상당히 간편하며, 자기장의 노출시 에러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PA(폴리아크릴), PC(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태그를 생산하였으나 섬세한 가공이 어렵고 스크래치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시트 내부에 분산시킨 인식체를 투영하는 복제 방지 기술은 표면의 상태나 인식체의 위치에 따라 인식률이 현저히 떨어져 에러 발생률이 높고 특정 문양이나 다른 임의의 가공은 하지 못하고, 태그의 구분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고, 탈부착 시에는 내부의 입자가 유동되지 않아 재사용 등 복제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태그의 재질이 고분자 물질로 열에 대하여 매우 취약하여 외부 조건에 따라 태그의 변형이 발생하여 내부의 입자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비틀림 현상으로 인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RFID 칩, 바코드와 같은 기존 방식은 외부 자기장 과 외부의 온도와 같은 외부 조건 등에 의한 고장률이 높고 복제가 가능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기 설정된 문양이 형성되도록 태그 시트를 가공하고, 가공된 시트를 중첩하는 과정에서 시트 사이에 문양 형성체를 삽입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보안성을 갖는 입체형 태그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1 시트,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의 사이에 밀착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문양 형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은, 리딩 기기에서 상기 문양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입체형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는 서로 밀착되며, 상기 문양 형성체는 상기 밀착되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 사이에서 랜덤하게 퍼져 상기 문양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3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의 사이에 밀착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문양 형성체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층의 문양에 기초하여 상기 다층의 문양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문양 형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은 상기 리딩 기기에 의해 촬영되며,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에 저장된 기 설정된 문양과 비교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하거나 상기 입체형 태그의 복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시트를 적층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태그의 스크래치 또는 휘어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시트와 문양 형성체를 조합하여 다차원 위치 값과 특정 값을 갖는 문양을 포함하는 입체형 태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태그 시트의 탈부착 시 시트의 유동으로 인해 재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정 문양, 제품 로고 등을 새길 수 있어 회사의 홍보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시트와 시트 사이에 랜덤하게 퍼져서 삽입된 문양 형성체의 복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태그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바코드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RFID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가 3 겹의 시트로 적층된 일례를 도시한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 겹의 시트가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 입체형 태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태그를 리딩 기기로 일정 각도 투영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태그의 반사판으로부터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입체형 태그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를 확인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두 개의 시트와 그 사이에 굴절체를 포함하는 입체형 태그에 광선이 조사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는 복수의 시트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는 고가의 제품용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시트를 다중 중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저가 제품용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시트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가 3 겹의 시트로 적층된 일례를 도시한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는 제 1 시트(10), 제 2 시트(20), 문양 형성체(15) 및 반사판(30)을 포함한다.
제 1 시트(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으로서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에는 레이저 기기 또는 그 밖의 절삭 기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문양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시트(10)에는, 예를 들어, 레이저 기기를 이용하여 표면 절삭함으로써, 수 cm ~ 수 ㎛ 단위의 깊이 및 너비를 가지는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양은 시트의 외부 또는 내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시트(10)는 기 설정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예를 들어, RF 태그 등)를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시트(2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으로서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10)와 마찬가지로 제 2 시트(20)에는 레이저 기기 또는 그 밖의 절삭 기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문양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문양은 시트의 외부 또는 내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시트(20)는 기 설정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예를 들어, RF 태그 등)를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시트(10) 또는 제 2 시트(2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식별력있고 다양한 문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유 마크, 도형 또는 글자 등의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에는 광고를 위한 문양 또는 제품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종 광고주들을 홍보하는 효과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10) 또는 제 2 시트(2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글라스(glass) 또는 투명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 재질이거나, 한지 또는 표면 가공 및 각종 처리를 거친 다양한 재질을 포함하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문양 형성체(15)는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 사이에 삽입되어, 특정 형상의 문양을 형성한다. 문양 형성체(15)는 젤과 같은 점성 또는 반점성의 액상 물질 또는 액상 시트일 수 있으며, 문양 형성체(15)를 제 1 시트(10)와 제 2 시트(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 1 시트(10)와 제 2 시트(20)를 밀착시키는 경우에 문양 형성체(15)가 랜덤하게 퍼져 제 1 시트(10)와 제 2 시트(20) 사이에서 고유의 문양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액상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은 랜덤하게 퍼져서 형성되기 때문에 복제가 힘들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양 형성체(15)는 밀도 또는 굴절률이 상이한 고상 물질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 설정된 형상을 띄고 있는 문양 형성체(15)가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문양 형성체(15)는, 예를 들어, 카본 또는 흑연(graphite)을 포함하는 탄소 화합물과,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과, 규소, 규소 산화물 또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규소 화합물과, 기타 무기 화합물과,머리카락, 나뭇잎 또는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사판(30)은 후술할 리딩 기기(10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한다. 반사판(30)은 반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의 물질로서, 금속 재질이나 반사할 수 있는 물질이 코팅 처리된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사판(30)은 후술할 리딩 기기(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90도 이하의 일정 각도, 예를 들어, 5도 내지 90도의 각도)로 광선이 조사되는 경우에, 제 1 시트(10)의 문양, 제 2 시트(20)의 문양 및 문양 형성체(15)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그림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조사된 광선을 반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밀착되는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 사이에 문양 형성체(15)가 삽입되기 때문에,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의 외부 면이 파손 또는 변형되거나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의 외부 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내부에 형성된 문양 형성체(15)는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태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에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문양과 랜덤하게 형성되는 문양 형성체(15)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태그의 복제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술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 사이에는 굴절체(14)가 삽입될 수 있다.
굴절체(14)는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와는 굴절률이 상이한 재질의 물질일 수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또한, 굴절체(14)는, 점성 또는 반점성의 액상 물질 및 고상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가 밀착되는 경우에 굴절체(14)는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 사이에서 랜덤으로 퍼져 고유의 문양을 형성하고 후술할 리딩 기기(100)로부터 조사된 빛을 굴절시키며, 조사된 빛을 하나 이상의 빛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시트(10)에 형성된 문양, 제 2 시트(20)에 형성된 문양, 문양 형성체(15) 또는 굴절체(1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리딩 기기(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에 대하여 다양한 형상의 그림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입체형 태그에 다양한 정보를 삽입하는 동시에 태그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에서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가 밀착되면서 문양 형성체가 랜덤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를 분리하더라도 입체형 태그를 복제할 수 없으며,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를 탈부착하여 입체형 태그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 겹의 시트(10, 20, 30, 40, 50, 60)가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 입체형 태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트(10, 20, 30, 40, 50, 60) 사이에는 문양 형성체(15, 25, 35, 45, 55)가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시트(10, 20, 30, 40, 50, 60) 사이에 문양 형성체, 굴절체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될 수도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시트를 이용하여 입체형 태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시트 사이에 위치한 문양 형성체(15, 25, 35, 45, 55)에 의하여 입체형 태그에 다층 구조의 고유 문양이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입체형 태그에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문양을 형성시킬 수가 있게 된다.
문양 형성체는 카본, 흑연(graphite), 폴리머를 포함하는 탄소 및 유기 화합물과, 규소, 규소 산화물, 실리카를 포함하는 규소 화합물 및 기타 무기 화합물과, 머리카락, 나뭇잎 및 천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입체형 태그는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거나 고가의 물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된 입체형 태그의 최하부면에는 반사판이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는 상품 또는 박스의 외측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입체형 태그에 가공된 문양에 대응되는 정보를 읽기 위하여, 리딩 기기(10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딩 기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 장치(101) 및 검출 장치(10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생 장치(101)는 입체형 태그에 기 설정된 각도로 광선을 조사하며, 발생 장치(101)로부터 조사된 광선이 입체형 태그를 통하여 반사되고 반사된 광선이 검출 장치(103)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리딩 기기(100)는 검출된 반사 광선(그림자를 포함)을 해석하여 입체형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리딩 기기(100)는, 입체형 태그에 포함된 제 1 시트(10)에 형성된 문양, 제 2 시트(20)에 형성된 문양, 문양 형성체(15) 및 굴절체(14)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양한 문양의 그림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그림자를 구성하는 점, 선, 면 등의 형상 및 농도 등을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매칭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딩 기기(100)는 상기 매칭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입체형 태그가 복제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입체형 태그가 복제되지 않은 경우에 확인된 그림자에 기초하여 입체형 태그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어, 제품의 고유 ID 정보 등)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미도시)에는 다양한 그림자의 형상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리딩 기기(100)는 검출 장치(103)에 의해 검출된 그림자 값을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상기 검출된 그림자 값에 기초한 입체형 태그의 복제 여부에 관한 정보 또는 입체형 태그에 대응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물품의 고유 ID 정보, 물품 가격, 생산자 정보 등)를 수신할 수도 있다.
리딩 기기(100)는 입체형 태그에 포함된 다차원의 형상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다양한 그림자에 기초하여 제품의 고유 번호 및 복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입체형 태그에 대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으며 태그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딩 기기는 입체형 태그에 형성된 문양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문양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 선, 면 등의 형상 및 농도 등을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일치하는 정도(매칭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딩 기기는 촬영된 문양 이미지를 직각 좌표 값으로 분석하고, 서버에 저장된 특정 문양의 데이터 값와 비교할 수 있으며, 촬영된 문양 이미지와 서버에 저장된 문양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매칭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 입체형 태그가 복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리딩 기기(100)는 상기 서버 저장 문양에 대응되는 각종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입체형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ID 정보, 물품 가격, 생산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리딩 기기(100)가 광원을 이용하여 입체형 태그 내의 문양을 인식하는 광학 기기이거나, 입체형 태그 내의 문양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촬영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음파(파장)를 인식하는 음파 기기 등과 같이 입체형 태그에 포함된 문양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이 리딩 기기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딩 기기는 입체형 태그의 정보를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으로 읽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는 상술한 시트 중에 하나 만을 사용하여 저가 제품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데, 이 경우 레이저 가공으로 시트의 내부에 문양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문양을 리딩 기기(100)로 인식할 수 있어 보안성 향상과 재료비 절감을 동시에 이룰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태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투명하고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시트를 마련한다.
이후, 상기 제 1 시트의 내부 또는 외부를 레이저 가공 기기를 이용하여 레이저 가공하거나 절삭 기기를 이용하여 절삭 가공을 한다. 이때, 제 1 시트에 고유 마크뿐만 아니라 도형, 글자 등의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에 광고를 위한 문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상기 제 1 시트에 대응되는 너비와 폭으로 이루어진 제 2 시트를 마련하며, 제 2 시트를 상술한 레이저 또는 절삭 가공 방법으로 가공한다.
이후,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에 점성 또는 반점성을 갖는 액상 물질을 위치시키고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밀착하여 접착한다.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는 중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들이 겹쳐지면서 상기 시트들 사이의 액상 물질이 랜덤으로 퍼져 고유의 문양을 생성할 수가 있다.
이후, 제 2 시트의 하면에 일정한 빛을 반사하여 반사 광선을 발생시키는 반사판을 접착한다. 제 2 시트 및 반사판은 중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는 상품 또는 박스의 외측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입체형 태그에 가공된 문양에 대응되는 정보를 읽기 위하여, 리딩 기기(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에 형성된 문양에 대응하는 정보를 리딩 기기(100)를 이용하여 읽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태그를 리딩 기기로 일정 각도 투영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태그의 반사판(70)으로부터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입체형 태그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를 확인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입체형 태그에 형성된 문양을 읽기 위해서는 리딩 기기(100)의 광선이 일정 각도 이내로 입체형 태그에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딩 기기(100)인 발생 장치(101) 및 검출 장치(103)의 배치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입체형 태그 내의 문양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 장치(101)와 검출 장치(103)를 포함하는 리딩 기기(100)를 제 1 시트(10)에 근접시켜, 발생 장치(101)로부터 광선을 제 1 시트(10)에 조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생 장치(101)로부터 입체형 태그로 임의의 각도로 조사된 광선이 반사판(70)에 의해 반사되며, 검출 장치(103)는 반사광을 검출하여 입체형 태그에 의해 형성된 그림자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두 개의 시트와 그 사이에 굴절체(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입체형 태그에 광선이 조사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에 굴절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1 시트의 하단의 2개의 문양 형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그림자가 굴절체에 의해 총 4개의 그림자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보다 다양한 그림자 문양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에는 시트에 형성된 가공 문양, 시트 사이의 문양 형성체 및 굴절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다층 구조의 다양한 고유 문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리딩 기기에서는 이러한 문양을 인식하고 인식된 문양을 미리 저장된 특정 문양과 비교하여, 그 매칭도에 따라 복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복제가 힘든 입체형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태그는, 동일하게 제작할 수 없는 특성을 이용하여 복제가 불가능한 태그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위-변조가 불가능한 보안 인식 시스템 등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며, 태그 가격이 저렴하고, 농축산물 명품 인증 및 생산물 이력 추적제 등에 적용 가능하여 이력 추적제에 이용되는 최적의 기술로서, 네트워크를 통한 인증 기술(네트웍 + 모바일 인증)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 1 시트 14: 굴절체
15: 문양 형성체(15) 20: 제 2 시트
30: 반사판 100: 리딩 기기

Claims (12)

  1.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1 시트,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의 사이에 밀착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체
    를 포함하며,
    상기 문양 형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은, 리딩 기기에서 상기 문양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입체형 태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는 서로 밀착되며,
    상기 문양 형성체는 상기 밀착되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 사이에서 랜덤하게 퍼져 상기 문양을 형성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형성체는 점성을 갖는 액상 물질인 것인, 입체형 태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형성체는, 카본 또는 흑연을 포함하는 탄소 화합물과,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과, 규소, 규소 산화물 또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규소 화합물과, 머리카락, 나뭇잎 또는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 또는 상기 제 2 시트 중 적어도 하나는, 가공된 홈에 의한 문양을 포함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6.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 3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의 사이에 밀착되어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문양 형성체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층의 문양에 기초하여 상기 다층의 문양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형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은 상기 리딩 기기에 의해 촬영되며,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에 저장된 기 설정된 문양과 비교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에 저장된 기 설정된 문양과 비교하여, 상기 입체형 태그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형성체는 상기 리딩 기기에서 조사된 광선에 의해 그림자를 형성하며,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형성된 그림자를 서버에 저장된 기 설정된 문양과 비교하여, 상기 형성된 그림자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확인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형성된 그림자를 서버에 저장된 기 설정된 문양과 비교하여, 상기 입체형 태그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 사이에 위치하며, 입체형 태그로 조사되는 광선을 굴절시키는 굴절체를 더 포함하는, 입체형 태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 태그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입체형 태그에 조사되는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딩 기기는 상기 반사된 광선을 수신하여 상기 문양 형성체에 의해 형성된 그림자를 확인하는 것인, 입체형 태그.
KR1020100097191A 2009-10-06 2010-10-06 입체형 태그 KR101166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10 2009-10-06
KR1020090094810A KR20100057485A (ko) 2009-10-06 2009-10-06 입체형 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901A true KR20110037901A (ko) 2011-04-13
KR101166172B1 KR101166172B1 (ko) 2012-07-18

Family

ID=422812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810A KR20100057485A (ko) 2009-10-06 2009-10-06 입체형 태그
KR1020100097191A KR101166172B1 (ko) 2009-10-06 2010-10-06 입체형 태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810A KR20100057485A (ko) 2009-10-06 2009-10-06 입체형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574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710B1 (ko) * 2014-11-04 2015-06-15 염호진 진품 인식용 복제 방지 태그 및 이를 이용한 진품 인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7003B (zh) * 2011-07-21 2017-09-05 天津阿波罗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二维条码的激光刻印方法
CN109117912B (zh) * 2017-06-22 2024-02-27 杭州沃朴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密码的球形防伪标签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710B1 (ko) * 2014-11-04 2015-06-15 염호진 진품 인식용 복제 방지 태그 및 이를 이용한 진품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172B1 (ko) 2012-07-18
KR20100057485A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2773B2 (en) Label for product authentication, method for generating authentication code of label,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label, portable terminal for authenticating labe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henticating label
WO2016101760A1 (zh) 一种防伪方法及系统
US9563831B2 (en) Method of, and system and label for, authenticating objects in situ
US7900837B2 (en) Optical fiber paper reader
JP5235868B2 (ja) オブジェクト識別方法並びに読み取りデバイス
US9950553B2 (en) Process of forming an identification marking, and an identification marking formed by way of such a process
US8820639B2 (en) Security feature RFID card
JP2007528522A (ja) ランダムタイプの識別材料、3d識別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CN104428798A (zh) 用于明确标记对象的方法
US201103091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card security
KR101166172B1 (ko) 입체형 태그
TW202234271A (zh) 使用微型轉發器的裝置、系統和方法
KR101528710B1 (ko) 진품 인식용 복제 방지 태그 및 이를 이용한 진품 인식 방법
JPH11224319A (ja) 識別カード及びその読み取り方法
US20200065827A1 (en) Projection screen anticounterfeiting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thereof
KR101077307B1 (ko) 칩리스 알에프아이디용 인증서 및 그를 인증하는 방법
KR20100057537A (ko) 지아이알 태그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US11188722B2 (en) Mechanically stamped unique features for authenticity and provenance tracking
RU2608259C2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защитных свойств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ой ПАВ-метки
KR20140033885A (ko) 정품 인증용 라벨, 그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 방법, 그 라벨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그 라벨을 인증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라벨의 인증을 위한 컴퓨터 가독성 기록매체
CN116577854B (zh) 一种防伪标签
KR101007147B1 (ko) 3차원 입체구조물을 구비한 보안카드 및 상기 보안카드의인식방법
RU2714789C1 (ru) Система идентификации объекта на основе оптического элемента
JP2005190179A (ja) 物体認識方法および物体認識装置
KR20140121000A (ko)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