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000A -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000A
KR20140121000A KR1020130036547A KR20130036547A KR20140121000A KR 20140121000 A KR20140121000 A KR 20140121000A KR 1020130036547 A KR1020130036547 A KR 1020130036547A KR 20130036547 A KR20130036547 A KR 20130036547A KR 20140121000 A KR20140121000 A KR 2014012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reflection
image
code
authent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재욱
조한용
Original Assignee
(주)링스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링스텔레콤 filed Critical (주)링스텔레콤
Priority to KR102013003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1000A/ko
Publication of KR2014012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083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86Constructional details with markings consisting of randomly placed or oriented elements, the randomness of the elements being useable for generating a unique identifying signature of the record carrier, e.g. randomly placed magnetic fibers or magnetic particles in the body of a credit c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복제 방지를 위한 보안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방법은,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와, 우연적으로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를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이미지를 일직선(X-축선) 상에 배치된 세 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X-축선 상에 배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를 각각 정규화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X-축선 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의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의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방향 코드값을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METHOD FOR PRODUCING AUTHENTICATION CODE OF A LABEL AND SYSTEM FOR REGISTRATION OF AUTHENTICATION CODE OF THE LABEL}
본 발명은 물품의 복제 방지를 위한 보안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 방법 및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폐나 신용카드 또는 고가의 상품의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 중에는 복제를 방지하고자 하는 물품에 복제가 어려운 라벨(LABEL)을 부착하고, 라벨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여 물품이 복제된 것인지 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고가의 물품이나, 신용카드, 화폐, 여권 등에 특수 잉크로 인쇄된 라벨이나 홀로그램이 인쇄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부착된 라벨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여 신용카드 등 물품의 진위 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한다. 또한, 부착된 라벨은 물품에서 분리될 경우 파손되도록 되어 있어서 라벨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라벨이 부착된 물품의 진품 여부를 보증한다. 이러한 용도로 쓰이는 라벨을 정품 인증용 라벨이라고 한다.
물품의 정품 인증용 라벨은 물품의 복제보다 라벨의 복제가 더 어려운 경우에 사용 가능한 방법이다. 실제로 이제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라벨은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복제가 어려운 보안용 라벨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물품의 복제 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보안용 라벨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각각의 라벨은 다른 라벨과 구별 가능한 실질적으로 유일한 물리적 특징(UNIQUE PHYSICAL FEATURES)을 구비하여야 한다. 라벨이 유일한 물리적 특징을 구비한 경우에 라벨이 부착된 물품의 유일성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라벨의 물리적 특징은 용이하게 추출되고, 추출된 물리적 특징은 진위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디지털 식별 코드로 용이하게 변환이 가능하여야 한다. 장치에 따라서 라벨의 물리적 특징을 추출하는(읽어내는) 조건이 일정한 범위에서 변화되더라도, 변환된 디지털 식별 코드는 라벨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로 유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3. 라벨의 제조 공정에서도 동일한 물리적 특징을 구비한 라벨을 제조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워서, 제조자도 이미 제조된 것과 동일한 라벨을 복제하는 것을 포기할 정도로 복제가 어려워야 한다. 라벨이 부착된 물건의 유일성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한다.
4. 라벨의 복제가 어려워서 복제 비용이 대단히 많이 소요되어야 한다. 복제에 소요되는 비용이 복제로 얻는 이익보다 대단히 커서 라벨을 복제하고 자 하는 시도를 포기하도록 할 정도로 복제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어야 한다.
5. 라벨의 물리적 특징을 읽어내는 방법에 신뢰성이 있고, 물리적 특징을 읽어내는 장치는 저렴하여야 한다. 라벨의 제조 및 복제 여부 판단에 들어가는 비용이 대단히 낮아서, 보안용 라벨을 사용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손해보다 라벨을 부착할 경우의 이익이 커야 한다.
영국 특허 공개 GB 2 304 077 A호에는 상기와 같은 라벨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을 일부 만족하는 라벨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공개된 라벨(보안 장치, Security Device)은, 합성수지로 된 기판(Substrate)이나 코팅층에 임의로 분포된(RANDOMLY DISTRIBUTED) 복수의 반사 입자(REFLECTIVE PARTICLES)를 포함한다. 반사 입자들은 금속으로 된 박편(FLAKES)이나 반사 코팅이 된 알갱이들(GRANULES)로 복수의 반사면(REFLECTIVE SURFACES)을 구비하고 있다. 반사 입자들은 타원체(spheroid)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라벨에 일정한 방향에서 입사된 빛은 광 반사 입자들이 분포된 위치와 자세에 따라서 정해진 방향으로 반사되고, 카메라나 광센서를 이용하여 반사 패턴이나 반사 신호를 입력받는다. 광 반사 입자들은 벌크 형태의 합성수지에 투입되고 저어져서 임의로 혼합된 상태에서 사출되어 카드 형태로 제작된다. 그러므로 반사 입자들의 분포 위치와 자세는 우연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볼 수 있고, 입자들의 위치와 자세가 동일한 라벨이 만들어질 확률은 극히 낮다. 따라서, 제조되는 각각의 라벨은 확률적으로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반사 입자들의 위치와 자세가 유일한 라벨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의 패턴도 유일하다. 유일한 반사광의 패턴이 라벨의 식별 코드로 이용된다.
그러나, 영국 특허 문헌 GB 2 304 077에 공개된 라벨은, 라벨이 갖추어야 할 두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특허 문헌에 공개된 라벨은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입자를 포함하고, 입자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서 특정 방향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되거나 반사되지 않는 물리적 특징을 구비한다. 그러나 그러한 라벨은 물리적 특징을 읽어내는 조건(예를 들면 입사광의 방향 또는 세기, 반사광을 받아들이는 카메라나 광센서의 위치)에 대단히 민감하여, 조건이 약간만 변화하여도 완전히 다른 반사 특징을 나타낸다. 즉, 카메라에 찍힌 광 반사 패턴이나 광센서를 통하여 얻어진 신호는, 동일한 라벨라고 하더라도 약간의 광 조사 각도의 변화나 카메라 또는 광센서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상당히 큰 변화를 보이게 된다. 특히, 라벨이 신용카드나 물건에 부착된 경우, 동일한 라벨라도 여러 장소에 설치된 리더 장치에 설치된 광원이나 카메라의 위치가 약간만 달라도, 서로 다른 반사패턴이 얻어져서 라벨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없게 된다. 각이진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는 입자를 이용한 보안 라벨들은 모두 광원이나 카메라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반사 패턴의 형태가 대단히 민감하게 변하여 진위 판단의 신뢰성 보장이 어려워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영국 공개 특허 공보 GB 2 324 065 A에는 합성수지로 된 매트릭스(MATRIX)에 시각적으로 구별가능한 복수의 유리 구슬(visually distingushable beads)이 임의로 분포된(RANDOMLY DISTRIBUTED) 라벨이 공개되어 있다. 광학적 리더로 라벨에 있는 유리 구슬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이고, 코드화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한다. 물품에 부착된 라벨을 광학적 리더로 스캐닝하여 유리구슬의 위치 읽어내고 저장된 코드와 비교하여 물품의 복제 여부를 검증한다. 유리구슬은 모든 방향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하므로, 카메라로 라벨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매트릭스 내에서 유리구슬들의 2차원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영국 공개 특허 공보 GB 2 324 065 A에 공개된 라벨은 복제가 용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매트릭스 내에 복수의 유리구슬이 3차원적으로 임의로 분포하더라도, 유리구슬들의 2차원적인 위치(평면상의 X, Y 좌표)만을 식별 코드로 사용할 경우에는 라벨을 용이하게 복사할 수 있다. 진짜 라벨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로 유리구슬이 배치된 위치를 알아내고, 정밀한 기계 장치로 유리구슬을 2차원적으로 배열한 후에 합성수지로 고정하여 라벨 자체를 완벽하게 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라벨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에 촬영된 2차원 패턴을 정밀한 프린터로 출력하여 간단하게 복사된 라벨을 제작할 수도 있다. 기계만으로 라벨의 진위를 인증할 경우, 기계에 설치된 리더는 인쇄된 라벨로부터 진짜 라벨과 동일한 이미지를 읽어 들여서, 인쇄된 라벨과 진짜 라벨을 구별하지 못할 것이다. 예를 들면, 리더로 카메라를 구비한 ATM(AUTOMATIC TELLER MACHINE)과 같은 기계장치는, 인쇄된 라벨이 부착된 신용카드와 진정한 라벨이 부착된 신용카드를 구별하지 못할 것이다.
한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07/0170257 A1 에는 광 반사 특성을 갖는 입자들이 라벨에 3차원 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지를 체크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입자는 캐리어 층(Carrier layer)에 3차원 적으로 임으로 분포되고, 유리 구슬 또는 볼(glass bead or ball) 형태이거나 디스크 형태이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방법은, 유리 구슬과 같은 입자를 포함하는 라벨을 카메라로 라벨을 촬영하여 인쇄에 의하여 복제된 라벨을 유리 구슬이 3차원 적으로 분포된 진짜 라벨과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방법은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하고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광원으로 세 장의 라벨 이미지를 얻어서, 세 장의 이미지를 합성한 이미지를 가지고 입자가 3차원 적으로 분포하는가를 판단한다.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세 개의 광원을 순차로 켜서 라벨에 빛을 조사하고, 세 장의 라벨 이미지를 카메라로 촬영한다. 유리 구슬에 조사된 빛의 반사 각도가 광원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세 장의 라벨 이미지에는 입자의 위치가 약간씩 이동한 것처럼 촬영된다. 입자의 위치가 약간씩 이동한 것처럼 촬영된 세 장의 이미지를 합성할 경우, 합성된 이미지에는 기하학적인 인공물(GEOMETRIC ARTEFACT)이 나타난다. 따라서, 합성된 이미지에 기하학적인 인공물이 있으면 진짜 라벨로 판단하고, 기하학적인 인공물이 없으면 입자들이 3차원적으로 분포하지 않으므로 인쇄에 의하여 복제된 라벨로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은 유리 구슬이 모든 방향에서 조사된 빛에 대하여 반사하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방법은 인쇄된 라벨을 3차원 구조를 갖는 진짜 라벨과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3차원 구조를 갖도록 복제된 라벨을 구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인쇄한 사진에 광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도포하여, 광원의 위치에 따라서 반사되는 광의 각도를 다르게 할 경우 복제된 라벨을 진정한 라벨과 구별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입자의 2차원 좌표를 읽어내고, 2차원 좌표 위치에 입자를 정밀한 기계장치로 배치하고, 합성수지로 입자를 고정하여 3차원 라벨을 복제할 경우 복제된 라벨을 진정한 라벨과 구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GB 2 304 077 A, Security device comprising reflective particles. GB 2 324 065 A, An identification code for banknotes or credit cards comprising a pattern of random beads. US 2007/0170257 A1,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AN OBJECT.
신분증, 화폐, 문서, 신용카드, 의약품, 고가의 제품 등의 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에 부착되어 사용되기 위한 복제가 대단히 어려운 정품 인증용 라벨이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동시에 복제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비용이 저렴한 정품 인증용 라벨과 이를 인증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인들은 상기와 같은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복제가 대단히 어려운 인증용 라벨을 발명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하였다(출원번호 10-2012-0100380호). 상기 특허 출원의 명세서에 개시된 정품인증용 라벨은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와, 우연적으로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 출원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제안한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된 캐리어층(carrier layer)과, 상기 캐리어층에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와, 상기 캐리어층에 우연적으로(randomly)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는 라벨을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빛이 조사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또는 라벨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사 패턴이(이미지가) 카메라에 촬영되도록 한다.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는 라벨을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빛이 조사되는 방향에 따라서 또는 라벨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반사 패턴이(이미지가) 카메라에 촬영되도록 한다. 제1 반사패턴 형성체는 우연적으로 배치되거나 인위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제2 반사패턴 이미지는 항상 우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는 캐리어층의 내부에 우연적으로 배치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복수의 제1 반사입자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는 캐리어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특정 방향으로부터 빛을 반사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복수의 제2 반사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입자는 모든 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매끄러운 표면(smooth surface)을 갖는 입자이다. 제2 반사입자는 특정 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입자이다. 캐리어 층은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에 제1 반사입자와 제2 반사입자가 혼합된 후에 경화된다. 캐리어 층은 박판 형상으로 성형되거나 분사에 의하여 물품의 표면에 코팅된 후에 용이하게 경화되는 열경화성 또는 UV 경화성 합성수지를 사용하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사입자는 은으로 코팅된 유리 구슬이나 합성수지 구슬을 사용할 수 있고, 제2 반사입자는 은으로 코팅된 유리 또는 합성수지 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정품 인증용 라벨은 제1 반사입자 및 제2 반사입자를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압출 또는 사출 공정에 의해서 10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기판 형태로 제조되거나, 투명하고 얇은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는 캐리어층의 일면 상에 도트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잉크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는 캐리어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특정 방향으로부터 빛을 반사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복수의 제2 반사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트 형태의 잉크층은 잉크를 캐리어층의 일면에 분무하여 우연적으로 분포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은 점들을 평면에 인쇄할 좌표를 난수 생성하여(random number generation)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반사입자는 박판 형상의 유리의 표면에 은을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용 라벨은, 제2 반사입자가 혼합된 합성수지를 사출이나 압출 또는 분무하고, 경화된 합성수지의 일면의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1 반사입자는 박판의 경우 장변의 길이가 10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쇄층은 직경이 10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층은 캐리어 층의 표면에 마블링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은, 캐리어 층의 일면에 부착된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과, 필름의 캐리어층이 부착된 일면에 적층되고 캐리어 층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라벨식별코드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라벨식별코드 층은, 촬영된 이미지의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기준영역과, 물품에 대한 정보와 제조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벨식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식별코드영역과, 캐리어층을 가상의 격자형상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선들의 기준점을 표시하는 복수의 분할기준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벨식별코드 층의 기준영역에는 라벨의 기준점을 표시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식별코드영역에는 코드화된 라벨식별정보 즉, 라벨식별코드가 이차원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라벨식별코드층의 이차원 패턴은 흑백의 사각형 형태로 잉크젯 인쇄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라벨식별코드층의 이차원 패턴은 필름에 잉크를 도포하고 흑백의 사각형 형태를 레이저 마킹(Laser marking)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입자 예를 들면 금속 박판(metal sheet)이나 유리 박편(glass sheet)이나, 복수의 각이진 반사면을 갖는 입자 예를 들면 금속 박편(metal flake)이나 유리 박편(glass flake)만을 포함하는 라벨은 복제가 대단히 어려운 장점이 있다. 촬영 조건, 예를 들면 빛의 조사각이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의 변화에 따라서, 라벨을 촬영할 때 서로 다른 반사 패턴의 이미지가 촬영되기 때문이다. 촬영 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변하는 반사 패턴의 이미지가 유사한 라벨을 복제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대단히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메라로 이미지를 촬영할 때마다 촬영 조건이 조금이라도 변하면 다른 패턴의 이미지가 얻어지는 특성이 있어서 정품 인증용 라벨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정품을 인증하기 위하여는 촬영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하더라도 항상 비교 가능한 수준의 유사한 반사패턴 이미지가 촬영되어야 하나, 이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방향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반사 입자, 예를 들면 유리 구슬과 같은 반사 입자만을 포함하는 라벨은 카메라로 라벨의 반사 패턴 이미지를 촬영할 때 촬영 조건이 어느 정도 변하더라도 유사한 반사 패턴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라벨의 촬영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하더라도 촬영된 유사한 반사패턴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라벨의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유리 구슬과 같이 모든 방향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입자만을 포함하는 라벨은 촬영된 반사 패턴의 이미지를 인쇄하여 동일한 반사 패턴을 갖는 인쇄된 라벨을 복제하는 것이 용이하여 정품 인증용 라벨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은,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하는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와, 상기 캐리어층에 우연적으로(randomly)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제1 반사패턴 형성체에 의한 라벨의 반사 패턴 이미지는 촬영 조건에 관계없이 일정한 반사패턴을 제공하므로 라벨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 반사패턴 형성체에 의한 라벨의 반사 패턴 이미지는 촬영 조건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패턴을 제공하므로 라벨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나, 주로 라벨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 반사패턴 형성체는 우연적으로 배치될 뿐만 아니라 촬영 조건에 따라서 반사 패턴이 변하는 입자를 사용하므로 복제가 대단히 어렵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은 상기와 같은 서로 상반된 반사 특징을 갖는 반사패턴 형성체를 동시에 구비하여, 복제가 어려우면서도 동시에 어느 정도 촬영 조건이 변화하여도 진품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코드를 안정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서, 상기에 설명된 정품 인증용 라벨의 복수의 이미지로 인증 코드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는 특정한 라벨을 다른 라벨과 구별할 수 있는 그 라벨에 유일한 물리적 특징을 추출해 내서 코드화하여야 한다.
카메라로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이미지를 촬영할 경우, 촬영된 이미지는 제1 반사입자에 의한 반사 패턴과 제2 반사입자에 의한 반사패턴의 합성 이미지로, 촬영 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항상 변화하는 반사 패턴의 이미지를 얻게 된다. 그리고, 라벨의 반사 패턴 이미지에서, 제1 반사입자에 의한 반사 패턴은 촬영 조건이 변화에 따라서 변화가 거의 없는 유사한 반사 패턴이고, 제2 반사입자에 의한 반사 패턴은 촬영 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항상 변화하는 반사패턴이다. 반사패턴은 라벨 내에서 제1 및 제2 입자들의 위치를 반영한다. 제1 및 제2 반사입자는 우연적으로 라벨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라벨에 대한 반사입자들의 위치 정보를 코드화할 경우 라벨마다 유일한 코드가 만들어지고 라벨의 유일성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제2 반사입자는 라벨의 촬영 조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반사 패턴을 갖는 이미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복제를 어렵게 한다. 특히 라벨에 포함된 제2 반사입자는 위치뿐만 아니라 반사면의 방향에 의하여도 고유한 반사패턴을 나타내므로, 동일한 반사패턴을 만족하는 라벨을 복제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따라서 라벨의 제1 반사입자와 제2 반사입자의 위치정보를 라벨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증코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라벨에 포함된 제1 반사입자와 제2 반사입자의 위치정보를 모두 추출하여 인증코드로 사용할 경우, 반사가 불규칙한 제2 반사입자 때문에 라벨의 반사 패턴의 촬영 조건이 변하면, 항상 서로 다른 반사패턴 이미지가 촬영되어, 동일한 라벨에 대한 기준 반사 패턴 이미지와 비교 반사패턴 이미지가 다르게 되어 동일한 진품 라벨을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즉, 등록을 위하여 촬영된 라벨의 반사 패턴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입자의 위치 정보로 생성된 인증코드(등록 인증코드)와 정품 여부 판단을 위하여 촬영된 라벨의 반사 패턴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입자의 위치정보로 생성된 인증코드(테스트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라벨의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라벨에 포함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반사입자의 위치정보와 자세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라벨을 인증하기 위하여 입자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때, 등록된 인증코드와 어느 정도 다른 인증코드가 생성되어도 정품 인증에 사용할 수 있는 인증코드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라벨의 인증 코드는, 서로 다른 세 개의 이미지로를 비교하여 추출된 반사 입자의 위치정보와 자세정보를 포함한다. 라벨을 촬영한 디지털 이미지에는 카메라의 픽셀(pixel)에 대응하는 색상(color)과 밝기(brightness)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구형상의 제1 반사입자들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입자의 특성상 카메라의 위치와 관계없이 대부분 촬영될 것이다. 또한, 제1 반사입자들은 입자의 특성상 대부분 서로 다른 이미지에서 밝기의 변화가 비교적 적게 나타날 것이다. 반면에 박편과 같이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한 제2 입자들은 입자의 특성상 라벨을 향한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서 촬영되거나,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의 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촬영되는 입자의 위치정보와,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서 촬영이 되거나 되지 않은 입자의 위치정보와 자세정보를 가지고 라벨의 인증 코드를 생성하면, 보다 정확하게 라벨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방법은,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와, 우연적으로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를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이미지를 일직선(X-축선) 상에 배치된 세 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X-축선 상에 배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를 각각 정규화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X-축선 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의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의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방향 코드값을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세 개의 카메라가 배치된 직선과 수직이 되는 직선(Y-축선) 상에 배치된 세 개의 카메라로 상기 라벨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Y-축선 상에 배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세개의 이미지를 각각 정규화 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Y-축선 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의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의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방향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코드 생성 시스템은,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와, 우연적으로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를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상부에 상기 라벨을 중심으로 일 직선상에 배치된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와, 상기 라벨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과,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라벨의 촬영이미지를 제공받아,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인증코드생성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인증코드생성유닛은, 상기 제공받은 각각의 이미지를 정규화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X-축선 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의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의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방향 코드값을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에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방법은 제2 반사입자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자세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라벨의 정품 인증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시스템은, 세 개 또는 다섯 개의 카메라로 정품 인증용 라벨에 대하여 신뢰성이 높은 인증코드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증 코드 촬영 시스템에서 Y-축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증 코드 촬영 시스템에서 X-축선 단면도
도 5는 그리드 좌표의 방향 코드에 대한 설명도
도 6은 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코드의 설명도
도 7은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하여 라벨의 이미지를 스마트 폰으로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도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라벨(100)은 캐리어층(20)과 캐리어층 내부에 우연적으로 분포된 복수의 반사입자(21-25)와, 캐리어층(20)의 주위에 인쇄된 라벨식별 이차원 코드(10)를 포함한다. 캐리어층(20)은 한정적인 것은 아니나,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합성수지는 내부의 반사 입자들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형화되어 있다. 캐리어층(20)은 열경화성 또는 UV 경화성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100)의 캐리어층(20)의 두께는 5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두께, 20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한다. 또한, 라벨(100)의 크기는 가로의 길이가 10 내지 30 mm, 세로의 길이가 10 내지 3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반사입자(21-25)는 제1 반사입자(22, 25)와 제2 반사입자(21, 23, 24)를 포함한다. 제1 반사입자(21 - 26)는 모든 방향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도록 매끄러운 표면(smooth surface)을 갖는 입자이다. 제1 반사입자들(21 - 26)은 은으로 코팅된 구형상의 유리 구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형의 합성수지의 표면을 금, 은 또는 다른 반사성 금속으로 코팅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유리구슬 대신에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된 구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반사입자들(21 - 26)의 형상은 표면에 각이진 부분이 없이, 미분 가능한 매끄러운 연속한 표면을 구비하여 라벨(10)을 향하여 모든 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계란 형상(ovoid)과 같은 회전타원체(spheroid)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반사입자들(21 - 26)의 직경은 대략 50 - 150 마이크로미터(㎛) 범위, 바람직하게는 100 - 300 마이크로미터(㎛) 범위. 및 150 -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균일한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2 반사입자(31 - 34)는 제2 반사입자는 특정 방향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도록 복수의 반사면(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을 갖는 입자이다. 제2 반사입자들(31 - 34)은 알루미늄 박편(flake)이나, 유리, 운모 또는 얇은 합성수지로 판을 작게 분쇄한 박판(sheet)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알갱이(granules)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각봉을 짧게 절단한 주사위 형상의 육면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반사입자(31 - 34)의 장경은 제1 반사입자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라벨(10)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50 - 1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또는 100 - 3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반사입자(31 - 34)의 반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금, 은 또는 다른 반사성이 좋은 금속으로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라벨(100)에서 제1 반사패턴 형성체는 제1 반사입자들이고, 제2 반사패턴 형성체는 제2 반사입자들이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반사패턴 형성체는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임의로 잉크를 분사하거나 마블링 기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1 반사입자들(22, 25)은 2개, 제2 반사입자들(21, 23, 24)은 3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을 제조할 경우, 전체 반사입자의 수를 100 - 150 개가 되도록 하고, 제1 반사입자와 제2 반사입자의 혼합 비율을 1 : 1 내지 1 : 3 범위로 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식별 이차원 코드(10)는 라벨(100)이 부착될 물품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물품의 제조자, 일련번호 등을 정보가 암호화된 패턴이다. 라벨식별 이차원 코드(10)에는, 촬영된 이미지의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기준영역과, 물품에 대한 정보와 제조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식별코드영역과, 캐리어층을 가상의 격자형상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선들의 기준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라벨식별코드에는 라벨이 부착되는 제품의 명칭, 일련번호, 제조자의 명칭, 제조자의 홈페이지 주소, 인증 서버의 인터넷 주소 등의 정보가 코드화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분할기준점들은 캐리어층(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일부 둘레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분할기준점들은 라벨(100)이 굽혀져서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나 경사 방향에서 라벨(100)을 촬영한 경우, 촬영된 이미지를 평면 형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라벨의 이미지를 다섯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다. 라벨(100)을 중심으로 직교 좌표(X,Y)를 가상으로 잡았을 경우, 카메라(110)는 라벨의 중앙 상부에 배치되고, 두 개의 카메라(120, 130)는 가상의 중심 축선 X와 평행한 상부의 직선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두 개의 카메라(140, 150)는 가상의 중심 축선 Y와 평행한 상부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160)이 라벨 상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X-축선과 평행한 라벨(100) 상부의 직선 상에 배치된 카메라들과 라벨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Y-축선과 평행한 라벨(100) 상부의 직선 상에 배치된 카메라들과 라벨의 단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라벨(100)의 이미지를 다섯 개의 카메라(110-150)로 촬영한 경우, 서로 다른 다섯 개의 라벨 패턴 이미지가 얻어 진다. 특히, 라벨(100)의 캐리어층(20) 내부의 반사 입자 중 제1 반사입자(22, 25)는 다섯 개의 이미지 모두에 촬영되나, 제2 반사입자(21, 23, 24)는 위치와 자세에 따라서 다섯 개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이미지에는 촬영이 되고 어떤 이미지에는 촬영이 되지 않게 된다.
이와 에서는, 라벨(100)의 캐리어 층(20)에 배치된 입자의 위치와 자세에 정보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다섯 개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벨을 촬영한 디지털 이미지에는 카메라의 픽셀(pixel)에 대응하는 색상(color)과 밝기(brightness)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구형상의 제1 반사입자들(22, 25)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입자의 특성상 대부분 카메라의 위치와 관계없이 촬영될 것이다. 반면에 박편과 같이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한 제2 입자들(21, 23, 24)은 입자의 특성상 라벨을 향한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서 촬영되거나 촬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먼저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를 동일한 크기로 정규화 한다. 이미지의 정규화 처리 방법은 이미지 처리분야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다. 예를 들면, 라벨이 휘어지거나 변형되어 촬영된 등록이미지가 약간 뒤틀린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이거나, 뒤집힌 상태나 회전된 상태로 촬영된 이미지일 경우, 이미지를 리사이징(resizing)하고, 노이즈(noise)를 필터링(filtering)하기 위한 여러 가지 영상처리 기술이 알려져 있다. 라벨에 대한 카메라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카메라 마다 촬영되는 라벨의 이미지의 크기가 다르므로 정규화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는 크기와 밝기를 갖는 이미지로 변환한다.
다름으로 정규화된 각각의 이미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영에 그리드 좌표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그리드에 대하여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인 경우에 각각의 이미지의 그리드 좌표에 '1'의 코드 값을 부여하고, 밝기가 일정한 값 미만인 경우에는 '0'의 코드값을 부여한다. 도 5(a)는 X-축선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카메라(110, 120, 130, 즉 A, B, C 카메라)에 대한 임의의 그리드 좌표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나타낸다. 또한, 도 5(b)는 Y-축선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카메라(110, 140, 150, 즉 A, D, E 카메라)에 대한 임의의 그리드 좌표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임의의 그리드 좌표에서, 카메라 A, B, C로 촬영된 이미지의 밝기가 모두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1, 1, 1) 인 경우, 그 그리드 좌표에는 반사 입자가 존재하고 그 반사 입자에게 자세 코드를 θ1을 부여한다. 또한, 임의의 그리드 좌표에서, 카메라 A, B, C로 촬영된 이미지의 밝기가 (1, 0, 1) 인 경우 그 그리드 좌표에는 반사 입자가 존재하고 그 반사 입자에게 자세 코드를 θ3를 부여한다. 또한, 또한, 임의의 그리드 좌표에서, 카메라 A, B, C로 촬영된 이미지의 밝기가 (0, 0, 0) 인 경우 그 그리드 좌표에는 반사 입자가 존재하지 않고 그 반사 입자에게 자세 코드를 θ8를 부여한다. 즉, θ8의 자세코드를 갖는 그리드 좌표에는 반사입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임의의 그리드 좌표에서, 카메라 A, B, C로 촬영된 이미지의 밝기가 모두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1, 1, 1) 인 경우, 그 그리드 좌표에는 반사 입자가 존재하고 그 반사 입자에게 자세 코드를 γ1을 부여한다. 또한, 임의의 그리드 좌표에서, 카메라 A, B, C로 촬영된 이미지의 밝기가 (1, 0, 1) 인 경우 그 그리드 좌표에는 반사 입자가 존재하고 그 반사 입자에게 자세 코드를 γ3를 부여한다. 또한, 또한, 임의의 그리드 좌표에서, 카메라 A, B, C로 촬영된 이미지의 밝기가 (0, 0, 0) 인 경우 그 그리드 좌표에는 반사 입자가 존재하지 않고 그 반사 입자에게 자세 코드를 γ8를 부여한다. 즉, γ8의 자세코드를 갖는 그리드 좌표에는 반사입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다섯 개의 카메라로 촬영한 경우에, 어떤 그리드 좌표의 자세 코드가 θ8 및 γ8를 동시에 갖는 경우에는 반사입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카메라로 인증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를 촬영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X-축선 방향으로 배치된 3개의 카메라만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6은 반사입자가 존재하는 그리드 좌표와 이에 대응하는 자세 코드를 부여하여 생성된 인증 코드를 나타낸다. 카메라를 다섯개 사용하여 인증 코드를 생성한 경우에는 θ 코드 및 γ 코드 모두를 표시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X-축선 방향으로 배치된 세 개의 카메라 만을 사용하여 인증 코드를 생성한 경우에는 θ자세 코드만이 구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은 정품 인증용 라벨의 상부에 상기 라벨을 중심으로 일 직선상에 배치된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110, 120, 130)와, 상기 라벨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1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들(110, 120, 130)로부터 라벨의 촬영 이미지를 제공받아,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인증코드생성유닛을 포함한다. 인증코드생성유닛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보 저장 매체를 구비한 통상의 컴퓨터이다. 인증코드생성유닛은 상기 제공받은 각각의 이미지를 정규화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X-축선 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의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의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방향 코드값을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에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인증코드생성유닛은 반사입자가 존재하는 그리드 좌표와 그 그리드 좌표에 대응하는 반사입자의 자세코드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정보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도 7은 등록된 라벨(100)을 스마트 폰으로 인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어떤 라벨이 등록된 라벨(100)과 동일한 것인지를 인증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 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스마트 폰을 라벨(100)의 중심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 시키면서 (X-축선 방향 또는 Y-축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순차로 세 개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폰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증코드 생성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벨(100)의 반사입자의 위치정보와 자세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등록된 도 6의 인증 코드와 스마트 폰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인증 코드를 비교하여 라벨(10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100 정품 인증용 라벨
10 캐리어층
20 라벨 식별 이차원 코드
110 - 150 카메라
160 광원

Claims (7)

  1.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와, 우연적으로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를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이미지를 일직선(X-축선) 상에 배치된 세 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X-축선 상에 배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를 각각 정규화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X-축선 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의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의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방향 코드값을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카메라가 배치된 직선과 수직이 되는 직선(Y-축선) 상에 배치된 세 개의 카메라로 상기 라벨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Y-축선 상에 배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세개의 이미지를 각각 정규화 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Y-축선 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의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의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방향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 인증용 라벨의 상기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는, 상기 캐리어층의 내부에 우연적으로 배치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복수의 제1 반사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는, 상기 캐리어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특정 방향으로부터 빛을 반사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복수의 제2 반사입자를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입자는 구 형상이고, 표면에 금속층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제2 반사입자는 박판 형상이고, 표면에 금속층이 코팅된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입자는 직경이 100 내지 500 마이크로 미터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제2 반사입자는 장 변의 길이가 50 내지 200 마이크로 미터 범위에 포함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 인증용 라벨은, 라벨식별용 이차원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벨 식별용 이차원 코드는, 촬영된 이미지의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기준영역과, 물품에 대한 정보와 제조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벨식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식별코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정규화하는 단계는, 상기 라벨 식별용 이차원 코드의 기준영역을 기준으로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이미지들로부터 라벨식별용 이차원 코드 이미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7.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1 반사패턴 형성체와, 우연적으로 배치되고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 패턴을 반사하는 복수의 제2 반사패턴 형성체를 포함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상부에 상기 라벨을 중심으로 일 직선상에 배치된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와,
    상기 라벨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과,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라벨의 촬영이미지를 제공받아, 라벨의 인증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인증코드생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코드생성유닛은,
    상기 제공받은 각각의 이미지를 정규화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X-축선 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세 개의 이미지의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의 밝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방향 코드값을 대응하는 그리드 좌표에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정품 인증용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 시스템.
KR1020130036547A 2013-04-03 2013-04-03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 KR20140121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547A KR20140121000A (ko) 2013-04-03 2013-04-03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547A KR20140121000A (ko) 2013-04-03 2013-04-03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00A true KR20140121000A (ko) 2014-10-15

Family

ID=5199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547A KR20140121000A (ko) 2013-04-03 2013-04-03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10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538A1 (ko) *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람다 정품 인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538A1 (ko) *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람다 정품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42320A (ja) 製品認証ラベル、そのラベルの認証コード生成方法、そのラベルの認証方法およびシステム、そのラベルを認証するための携帯端末、およびそのラベルの認証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US10482370B2 (en) Identification method and identification medium
CN102099844B (zh) 通过光学设备要被存储的意义单一的标签、生产该标签的方法及其在产品防伪和产品识别中的应用
US8223964B2 (en) Three-dimensional authentication of mircoparticle mark
US9058535B2 (en) Security barcode
TWI455067B (zh) Authenticity authentication object, authenticity authentication wafer reading device, authenticity identification method, and pattern reading method
US9950553B2 (en) Process of forming an identification marking, and an identification marking formed by way of such a process
US91530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secure document
US9202328B2 (en) Authentication verifying method, authentication verifying member and authentication verifying member producing method
JP2011511322A (ja) セキュリティエレメント
WO2009149765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manufactured goods
US20170242263A1 (en) Arrays of individually oriented micro mirrors providing infinite axis activation imaging for imaging security devices
CN111971683A (zh) 用于进行光学的产品验证的方法和系统
KR101379420B1 (ko) 정품 인증용 라벨, 그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 방법, 그 라벨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그 라벨을 인증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라벨의 인증을 위한 컴퓨터 가독성 기록매체
US7126729B2 (en) Double hologram
KR101528710B1 (ko) 진품 인식용 복제 방지 태그 및 이를 이용한 진품 인식 방법
KR20140121000A (ko) 라벨의 인증 코드 생성 방법 및 라벨 인증 코드 등록 시스템
JP2006133360A (ja) 偽造防止媒体、偽造防止シールおよびその読み取り方法
WO2023069471A1 (en) Authentication of identifiers by light scattering
KR20140033885A (ko) 정품 인증용 라벨, 그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 방법, 그 라벨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그 라벨을 인증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라벨의 인증을 위한 컴퓨터 가독성 기록매체
CN116157278A (zh) 安全标记、读取安全标记的方法和装置、标记有安全标记的安全文件、以及验证所述安全文件的方法和系统
JP4760141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媒体の秘匿情報検知装置
RU2413989C2 (ru) Способ оптической маркировки музейных ценностей
WO2024070912A1 (ja) 真贋判定方法、隠蔽シールおよび真贋判定システム
EA044693B1 (ru) Защитная маркировк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читывания защитной маркировки, защищаемый документ, маркированный защитной маркировкой, и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верификации указанного защищаемого докуме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