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679A - 태양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679A
KR20110037679A KR1020090095218A KR20090095218A KR20110037679A KR 20110037679 A KR20110037679 A KR 20110037679A KR 1020090095218 A KR1020090095218 A KR 1020090095218A KR 20090095218 A KR20090095218 A KR 20090095218A KR 20110037679 A KR20110037679 A KR 2011003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terminal
terminal portion
module frame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442B1 (ko
Inventor
이승준
이헌민
문태호
윤원기
안세원
어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4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에서 생산된 플러스 전원 또는 마이너스 전원을 집전하는 제1 집전부; 상기 제1 집전부와는 다른 극성의 전원을 집전하는 제2 집전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후면판 및 측면판을 포함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제1 집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집전함; 및 상기 제2 집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집전함과는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모듈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집전함을 포함한다.
태양 전지, 플러그, 소켓, 모듈 프레임, 집전함, 리본

Description

태양 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집전함을 갖는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실리콘 웨이퍼 등을 이용하는 단결정 벌크 실리콘은 현재 상용화되고 있지만 높은 제조 단가가 높아 적극적인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박막 태양 전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비정질 실리콘(a-Si:H)을 이용한 박막 태양 전지는 대면적 태양 전지 모듈을 저가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로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비정질 실리콘을 이용한 박막 태양 전지는 유리 또는 서스(SUS) 재질의 기판, 기판 위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TCO), 투명 전극 위에 위치하며 PV(photovoltaic)층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발전층, 실리콘 발전층 위에 위치하는 후면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박막 태양 전지를 복수 개 구비하는 박막 태양 전지 모듈은 통상적으로 모듈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며, 모듈 프레임의 외부에는 박막 태양 전지들에서 생산된 전력을 집전하는 집전함이 설치된다.
박막 태양 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을 집전함에 공급하기 위해, 박막 태양 전지 모듈은 2개의 리본(ribbon)을 구비하며, 2개의 리본은 박막 태양 전지 모듈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좌측에 형성된 리본은 박막 태양 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플러스 전원을 인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우측에 형성된 리본은 마이너스 전원을 인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집전함의 내부에는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가 구비되고, 제1 단자부에는 좌측에 형성된 플러스(+) 전원용 리본이 연결 리본 또는 전선(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단자부에는 우측에 형성된 마이너스(-) 전원용 리본이 연결 리본 또는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박막 태양 전지 모듈은 한 개의 집전함에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므로, 집전함의 단자부와 리본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리본 또는 전선의 길이를 플러스 전원 쪽과 마이너스 전원 쪽에서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하기 위해 집전함을 통상 모듈 프레임의 중간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박막 태양 전지 모듈은 지지 프레임에 가로 또는 세로로 복수개가 배열된 상태에서 발전용 설비로 사용된다. 이때, 복수의 박막 태양 전지 모듈에 각각 구비된 집전함들은 모듈 프레임의 외부에서 전선에 의해 이웃하는 집전함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상에서는 박막 태양 전지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태양 전지 모듈도 전술한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태양 전지 모듈은 이웃하는 태양 전지 모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집전함이 모듈 프레임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집전함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집전함들을 전선을 이용하여 연결하므로, 배선 작업 및 전선 정리 작업이 복잡하고,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며, 발전용 설비를 구축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집전함이 모듈 프레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므로, 플러스 전원용 리본과 마이너스 전원용 리본을 집전함의 해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 또는 연결 리본을 추가로 사용하게 되어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원가를 낮추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전선 또는 연결 리본의 사용으로 인해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발전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제거한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에서 생산된 플러스 전원 또는 마이너스 전원을 집전하는 제1 집전부; 상기 제1 집전부와는 다른 극성의 전원을 집전하는 제2 집전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후면판 및 측면판을 포함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제1 집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집전함; 및 상기 제2 집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집전함과는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모듈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집전함을 포함한다.
제1 집전함 및 제2 집전함은 태양 전지 셀과 모듈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모듈 프레임의 측면판 또는 후면판에 설치되며, 제1 집전부 및 제2 집전부와 각각 인접하여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1 집전함 및 제1 집전부는 모듈 프레임의 좌측 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집전함 및 제2 집전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우측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 중 어느 하나의 단자부는 플러그 타입의 단부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의 단자부는 소켓 타입의 단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단 자부 및 제2 단자부는 이웃하는 모듈 프레임의 제2 단자부 및 제1 단자부와 플러그-소켓 방식에 의해 각각 결합한다.
제1 집전부와 제1 단자부 및 제2 집전부와 제2 단자부는 연결 리본 또는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며, 제1 집전부와 제2 집전부는 리본으로 각각 구성된다.
제1 단자부는 연결 리본 또는 전선의 한쪽 단부가 고정되는 제1 고정 단자와, 한쪽 단부가 제1 고정 단자에 고정되는 제1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제1 출력 단자는 볼트 체결 구멍을 갖는 금속부, 금속부와 통전되는 금속 재질의 바(bar)형 연결 탭, 바형 연결 탭의 내측 일부와 금속부의 내측 일부를 감싸는 내장 튜브, 및 내장 튜브의 일부를 감싸도록 합체되는 외장 튜브를 포함한다.
제2 단자부는 연결 리본 또는 전선의 한쪽 단부가 고정되는 제2 고정 단자와, 한쪽 단부가 제2 고정 단자에 고정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제2 출력 단자는 볼트 체결 구멍을 갖는 금속부, 금속부의 일부를 감싸는 외장 튜브, 외장 튜브의 내측에 고정되는 내장 튜브 및 내장 튜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링(ring)형 연결 탭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집전함이 모듈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집전함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집전함 간의 전기적 연결이 플러그-소켓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배선 작업 및 전선 정리 작업이 단순하고, 발전용 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집전함이 모듈 프레임의 측부에 각각 위치하므로, 플러스 전원용 리본과 마이너스 전원용 리본을 집전함의 해당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 또는 연결 리본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상기 전선 또는 연결 리본의 길이 감소로 인해 저항이 감소하여 전류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 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집전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2 집전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110), 태양 전지 셀(110)에서 생산된 플러스 전원 또는 마이너스 전원을 집전하는 제1 집전부(120), 제1 집전부(120)와는 다른 극성의 전원을 집전하는 제2 집전부(130), 복수의 태양 전지 셀(110)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후면판(142) 및 측면판(144)을 포함하는 모듈 프레임(140), 제1 집전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150)를 구비하며 모듈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집전함(160), 및 제2 집전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170)를 구비하며 제1 집전함(160)과 이격된 상태로 모듈 프레임(140)에 설치되는 제2 집전함(180)을 포함한다.
태양 전지 셀(110)은 실리콘 태양 전지, 박막 태양 전지, 연료 감응 태양 전지 및 유기 고분자 태양 전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박막 태양 전지를 예로 들면, 태양 전지 셀(110)은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투명 전극, 실리콘 발전층, 후면 반사층 및 후면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후면 반사층은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도 있다.
투명 전극은 금속 산화물, 예컨대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IT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금속 산화물에 하나 이상의 불순물을 혼합한 혼합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리콘 발전층은 비정질 실리콘계(p/i/n) 박막으로 형성되거나, 비정질 실리콘계 박막과 미세결정질 실리콘계 박막이 적층된 텐덤형 실리콘계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 발전층이 텐덤형 실리콘계 박막층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비정질 실리콘계 박막과 미세결정질 실리콘계 박막의 사이에 중간 투명 도전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후면 전극은 금(Au), 은(Ag) 또는 알루미늄(A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접 배치된 박막 태양 전지의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서는 박막 태양 전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태양 전지 셀(110)의 종류 및 구조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태양 전지 셀(110)은 서로 이웃하는 태양 전지 셀들과 직렬로 연결된다.
태양 전지 모듈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 전지 셀에서 생산된 전류를 집전하기 위하여 제1 집전부(120)와 제2 집전부(130)를 구비한다.
제1 집전부(120) 및 제2 집전부(130)는 도전성의 인터커넥터(inter connector), 이를 테면 띠 형상의 리본(ribbon)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모듈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한다.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집전부(120)가 플러스(+) 전원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집전부(130)는 마이너스(-) 전원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복수의 태양 전지 셀(110)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모듈 프레임(140)에 설치된다.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모듈 프레임(140)은 후면판(142) 및 측면판(144)을 구비한다.
후면판(142)은 측면판(144)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지만, 태양 전지 모듈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면판(144)과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측면판(144)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내측 판재(144a)와 외측 판재(144b)를 포함한다. 내측 판재(144a)에는 제1 집전함(160) 또는 제2 집전함(180)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집전함(160) 또는 제2 집전함(180)은 서로 마주하는 양쪽 측면판(144)의 내측 판재(144a)에 각각 설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측면판(144)은 일정한 두께, 예를 들면 내측 판재(144a)로부터 외측 판재(144b)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면판(144)은 제1 집전함(160) 또는 제2 집전함(180)을 수용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집전함(160) 및 제2 집전함(180)이 후면판(142)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측면판(144)이 얇은 두께를 갖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집전부(120)와 인접한 위치의 내측 판재(144a)에 설치되는 제1 집전함(160)은 내부에 제1 단자부(150)를 구비한다.
제1 단자부(150)는 연결 리본(190)의 한쪽 단부가 납땜(솔더링)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제1 고정 단자(152)와, 한쪽 단부가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1 고정 단자(152)에 고정되는 제1 출력 단자(15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출력 단자(154)의 한쪽 단부는 플러그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출력 단자(154)는 볼트 체결 구멍(154a)을 갖는 금속부(154b), 금속부(154b)와 통전되는 금속 재질의 바(bar)형 연결 탭(154c), 바형 연결 탭(154c)의 내측 일부와 금속부(154b)의 내측 일부를 감싸는 내장 튜브(154d), 및 내장 튜브(154d)의 일부를 감싸도록 합체되는 외장 튜브(154e)를 포함한다.
외장 튜브(154e)의 외면에는 제1 집전함(160)의 벽체(162)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출력 단자(154)를 벽체(162)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한 후, 금속부(154b)의 볼트 체결 구멍(154a)에 볼트를 체결하면 제1 출력 단자(154)가 제1 고정 단자(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집전함(160)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의 제1 단자부(150)를 갖는 제1 집전함(160)은 제1 출력 단자(154)의 외장 튜브(154e)의 단부가 외측 판재(144b)와 일치하도록 측면판(14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로 제1 집전함(160)이 측면판(144)에 설치되면, 내장 튜브(154d)의 일부와 바형 연결 탭(154c)의 일부는 외측 판재(144b)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2 집전부(130)와 인접한 위치의 내측 판재(144a)에 설치되는 제2 집전함(180)은 내부에 제2 단자부(170)를 구비한다.
제2 단자부(170)는 연결 리본(190)의 한쪽 단부가 납땜(솔더링)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제2 고정 단자(172)와, 한쪽 단부가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2 고정 단자(172)에 고정되는 제2 출력 단자(17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단자부(150)의 제1 출력 단자(154)가 플러그 타입의 단부를 구비하는 데 반하여, 제2 단자부(170)의 제2 출력 단자(174)는 소켓 타입의 단부를 구비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단자부(170)의 제2 출력 단자(174)는 볼트 체결 구멍(174a)을 갖는 금속부(174b), 금속부(174b)의 일부를 감싸는 외장 튜브(174c), 외장 튜브(174c)의 내측에 고정되는 내장 튜브(174d) 및 내장 튜브(174d)의 내측에 설치되는 링(ring)형 연결 탭(174e)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링형 연결 탭(174e)은 스프링 돌기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1 출력 단자(154)의 연결 탭(154c)에 접촉됨에 따라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외장 튜브(174c)의 외면에는 제2 집전함(180)의 벽체(182)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출력 단자(174)를 벽체(182)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한 후, 금속부(174b)의 볼트 체결 구 멍(174a)에 볼트를 체결하면 제2 출력 단자(174)가 제2 고정 단자(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집전함(180)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의 제2 단자부(170)를 갖는 제2 집전함(180)은 제2 출력 단자(174)의 외장 튜브(174c)의 단부가 외측 판재(144b)와 일치하도록 측면판(14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모듈 프레임(140)이 서로 마주하는 측면판(144)끼리 연접하게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전기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출력 단자(154)와 제2 출력 단자(174)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우측에 배치된 모듈 프레임(140)의 제1 출력 단자(154)의 바형 연결 탭(154c)과 좌측에 배치된 모듈 프레임(140)의 제2 출력 단자(174)의 링형 연결 탭(174e)끼리 동일 직선상에서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적인 연결 작업이 마무리되면 이웃하는 모듈 프레임은 도시하지 않은 고정판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단자가 모듈 프레임의 측면판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1 및 제2 출력 단자를 와이어 형태로 구성하고, 모듈 프레임의 측면판에는 플러그 및 소켓 타입의 연결 단자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출력 단자를 플러그 타입의 연결 단자에 연결하고, 제2 출력 단자를 소켓 타입의 연결 단자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들에 의해 이웃하는 모듈 프레임이 플러그-소켓 방식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집전함에 1개씩의 단자부만 설치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각각의 집전함에 2개씩의 단자부를 설치하고, 동일한 집전함 내부의 동일한 극성의 단자부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의해 연결하며, 서로 다른 집전함의 단자부는 바이패스 라인에 의해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집전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2 집전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태양 전지 셀 120: 제1 집전부
130: 제2 집전부 140: 모듈 프레임
150: 제1 단자부 160: 제1 집전함
170: 제2 단자부 180: 제2 집전함

Claims (11)

  1. 복수의 태양 전지 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에서 생산된 플러스 전원 또는 마이너스 전원을 집전하는 제1 집전부;
    상기 제1 집전부와는 다른 극성의 전원을 집전하는 제2 집전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후면판 및 측면판을 포함하는 모듈 프레임;
    상기 제1 집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집전함; 및
    상기 제2 집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집전함과는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모듈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집전함
    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집전함 및 제2 집전함은 상기 태양 전지 셀과 모듈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모듈 프레임의 측면판 또는 후면판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 모듈.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집전함과 제2 집전함은 상기 제1 집전부 및 제2 집전부와 각각 인접하여 위치하는 태양 전지 모듈.
  4. 제2항에서,
    상기 제1 집전함 및 제1 집전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측 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집전함 및 제2 집전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우측 공간에 수납되는 태양 전지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 중 어느 하나의 단자부는 플러그 타입의 단부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의 단자부는 소켓 타입의 단부를 구비하는 태양 전지 모듈.
  6. 제5항에서,
    상기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는 이웃하는 모듈 프레임의 제2 단자부 및 제1 단자부와 플러그-소켓 방식에 의해 각각 결합하는 태양 전지 모듈.
  7. 제6항에서,
    상기 제1 집전부와 제1 단자부 및 제2 집전부와 제2 단자부는 연결 리본 또는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태양 전지 모듈.
  8. 제7항에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연결 리본 또는 전선의 한쪽 단부가 고정되는 제1 고정 단자와, 한쪽 단부가 제1 고정 단자에 고정되는 제1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볼트 체결 구멍을 갖는 금속부, 금속부와 통전되는 금속 재질의 바(bar)형 연결 탭, 바형 연결 탭의 내측 일부와 금속부의 내측 일부를 감싸는 내장 튜브, 및 내장 튜브의 일부를 감싸도록 합체되는 외장 튜브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10. 제7항에서,
    상기 제2 단자부는 연결 리본 또는 전선의 한쪽 단부가 고정되는 제2 고정 단자와, 한쪽 단부가 제2 고정 단자에 고정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출력 단자는 볼트 체결 구멍을 갖는 금속부, 금속부의 일부를 감싸는 외장 튜브, 외장 튜브의 내측에 고정되는 내장 튜브 및 내장 튜브의 내측에 설 치되는 링(ring)형 연결 탭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KR1020090095218A 2009-10-07 2009-10-07 태양 전지 모듈 KR10163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218A KR101632442B1 (ko) 2009-10-07 2009-10-07 태양 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218A KR101632442B1 (ko) 2009-10-07 2009-10-07 태양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679A true KR20110037679A (ko) 2011-04-13
KR101632442B1 KR101632442B1 (ko) 2016-06-21

Family

ID=4404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218A KR101632442B1 (ko) 2009-10-07 2009-10-07 태양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582A (ko) 2014-03-28 2015-10-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연소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8542A (ja) * 1998-08-26 2000-03-03 Sharp Corp 集積型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50039769A (ko) * 2005-02-22 2005-04-29 (주)에타솔라 태양광모듈용 프레임 와이어링 구조 및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8542A (ja) * 1998-08-26 2000-03-03 Sharp Corp 集積型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50039769A (ko) * 2005-02-22 2005-04-29 (주)에타솔라 태양광모듈용 프레임 와이어링 구조 및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582A (ko) 2014-03-28 2015-10-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연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442B1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9096B2 (en) Solar battery module
US20100078057A1 (en) Solar module
EP3503207A1 (en) Solar cell module
WO2011043517A1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KR20120062431A (ko) 태양전지
KR20070030699A (ko) 광기전성 모듈
US9331213B2 (en) Integrated power connectors for PV module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US9337357B2 (en) Bifacial solar cell module
EP2858124B1 (en) Bridged solar cell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10064980A (ko) 태양 전지 모듈
KR101923658B1 (ko) 태양전지 모듈
CN102543972A (zh) 太阳能电池模块
KR20120051971A (ko) 태양 전지 모듈
KR20140095658A (ko) 태양 전지
KR102520478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 장치와 방법
KR20090122728A (ko) 비선형 태양전지 모듈
JP2000114572A (ja) 太陽電池モジュ―ル
US8981209B2 (en) Photovoltaic module
KR20130008918A (ko) 혼합형 태양전지 모듈
KR20110037679A (ko) 태양 전지 모듈
KR20110064969A (ko) 태양 전지 모듈
JP201303383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20051972A (ko) 태양 전지 모듈
KR101127054B1 (ko) 박막 태양전지
KR101680388B1 (ko) 태양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