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333A -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Google Patents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7333A KR20110037333A KR1020090094730A KR20090094730A KR20110037333A KR 20110037333 A KR20110037333 A KR 20110037333A KR 1020090094730 A KR1020090094730 A KR 1020090094730A KR 20090094730 A KR20090094730 A KR 20090094730A KR 20110037333 A KR20110037333 A KR 201100373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dor
- toilet
- discharge pipe
- discharge
- suction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는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시 포집 배출함으로써 화장실 내에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근복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탈취 수단을 통해 악취를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인근으로 악취가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취 배출 장치는 양변기 커버 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상기 용변구를 향하도록 복수의 흡입구가 관통형성되는 악취흡입부, 상기 악취흡입부와 연결되는 제1악취배출관 및 상기 제1악취배출관과 연결되되 벽면을 따라 매립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제2악취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악취배출관과, 상기 제2악취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악취를 탈취하기 위한 탈취수단 및 상기 탈취수단과 연결되어 악취배출관을 통해 악취를 포집하며, 상기 탈취수단으로부터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한다.
악취, 양변기, 탈취수단
Description
본 발명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는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시 포집 배출함으로써 화장실 내에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근복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탈취 수단을 통해 악취를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인근으로 악취가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화장실 문화에 대한 인식이 크게 개선되면서 건물의 신축 시 화장실을 가장 쉽고 편리하고 깨끗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주거 공간 내에 설치하게 되었다.
이처럼 화장실은 단순 배설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휴식 공간으로서 기능을 하게 되므로써 그 이용의 편의성과 더불어 쾌적한 환경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근래 화장실은 대, 소변 등의 용변을 해결하는 변기의 대부분을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람이 힘들이지 아니하고 편안히 앉아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양변기가 거의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변기의 보급으로 인해 화장실의 청결성은 크게 향상된 반면 작고 밀폐된 공간인 화장실의 최대 문제점은 용변 시 화장실 내로 확산되는 악취로서 이는 화장실의 쾌적함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으며, 관리가 상대적으로 소홀한 공중 화장실의 경우 악취는 화장실의 이용을 꺼리게 만들고 화장실을 더럽게 사용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아파트, 사무실, 학교, 가정주택 등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양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경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천정이나 벽면에 전기를 인가함에 따라 회전하는 팬을 설치하여 닥트나 배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악취를 배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화장실의 냄새 제거장치는 비록 화장실 자체의 악취는 제거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악취의 원인이라 볼 수 있는 양변기 내부의 악취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탈취기능을 갖는 비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탈취 필터의 성능 약화 또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탈취기능의 저하로 근본적인 탈취가 어려워 화장실 내에서 악취의 확산을 방지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변 시 발생되는 악취의 확산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악취를 제거된 상태로 공기 중에 배출하여 인근으로 악취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는 용변구 및 상기 용변구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좌판이 상기 커버의 내측에서 함께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 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좌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용변구를 향하도록 복수의 흡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악취흡입부; 상기 악취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악취가 유입되는 제1악취배출관과 상기 제1악취배출관과 연결되되 벽면을 따라 매립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제2악취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악취배출관; 상기 제2악취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악취배출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포집하는 배기팬; 및 상기 배기팬과 연결되어 포집되는 악취를 탈취하여 배출시키는 탈취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는 상기 좌판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변기에 전기적 신호를 ON/OFF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팬은 상기 스위치의 ON/OFF 신호에 따라 작동되 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탈취수단은 오존산화법, 연소탈취법, 이온교환 수지법, 전극법, 액체세정법, 흡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둘 이상을 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악취흡입부 및 제1악취배출관은 복수의 양변기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악취배출관은 상기 복수의 제1악취배출관과 연통되어 상기 복수의 악취흡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악취가 유입되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는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시 포집하여 화장실 내에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근복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악취를 배출함에 있어 탈취수단을 통해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공기 중에 배출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인근으로 악취가 유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을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악취흡입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는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를 탈취 공정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먼저 일반적인 양변기는 본체(1)와 저수조(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용변구(3)와 상기 용변구(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용수로 및 상기 용수로를 관통하는 용수 분사공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상기 본체(1)는 상기 용변구(3)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4)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좌판(5)이 상기 커버(4)의 내측에서 함께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2)는 상기 본체(1)의 용수로와 연통되고 용수를 수용한다. 상기 저수조(2)의 용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1)에 형성되는 용수로 이동되고 용수분사공을 통해 상기 용변구(3)로 유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양변기는 악취흡입부(10), 악취배출관(20), 탈취수단(30) 및 배기팬(40)으로 구성되는 악취 배출 장치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 참조하면, 상기 악취흡입부(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기의 좌판(5) 내에 소정 공간(10)을 형성하되, 상기 공간(11)에는 용변구(3)에서 용변 시 발생되는 악취를 흡입하게 되는 복수의 흡입 구(12)가 상기 좌판(5)의 둘레를 따라 상기 용변구(3)를 향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흡입구(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5)의 측면(도 2a) 또는 하부면(도 2b)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악취배출관(20)은 제1악취배출관(21)과 제2악취배출관(22)으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제1악취배출관(21)은 그 일측이 상기 악취흡입부(10)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12)로부터 흡입되는 악취가 상기 제1악취배출관(21)을 통해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1악취배출관(21)의 타측은 상기 제2악취배출관(22)과 연결된다. 상기 제2악취배출관(22)은 그 일부만이 외부에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악취배출관(22)은 양변기와 인접하는 벽면을 따라 매립되고 일부는 건물의 최상층 또는 옥상 등의 외부로 유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악취배출관(22)은 복수로 구성되어 건물 구조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방향 등 다양한 구조에 따라 복수의 배관들로 분리 구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내식성이 우수한 PVC (Polyvinyl Chloride)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는 상기 제2악취배출관(22)이 벽 내부에 매립 구성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다시 상기 탈취수단(30)의 일측은 상기 제2악취배출관(22)의 노출된 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악취배출관(21, 22)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악취를 탈취하게 된다.
상기 탈취수단(30)은 탈취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40)과 연결된 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취수단(30)의 타단에는 악취를 포집하기 위한 배기팬(40)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악취배출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를 포집하는 동시에 상기 탈취수단(30)으로부터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탈취수단(30)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에 따른 탈취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악취를 탈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존산화법에 의한 탈취를 살펴보면 오존은 천연물질로는 불소(F2) 다음으로 강한 산화력을 가지므로 폐수나 상수의 살균, 탈색, 탈취 유기물 산화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각종 사업장과 오, 폐수처리장 및 분뇨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오존 처리할 경우 오존은 악취발생 물질을 산화시켜 알데히드(-CHO), 물(H2O), 이산화탄소(CO2) 등으로 분해시켜 독성과 악취가 없는 물질로 바꾸어 준다.
그 밖에도 연소탈취법, 이온교환 수지법, 전극법, 액체세정법 및 흡착법 등이 있는데, 어떠한 악취제거 방법도 모든 악취에 대하여 유효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악취성분, 농도, 배기량 등에 의하여 탈취방법을 선택하거나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하는 것이 완전 탈취의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이와 같이 화장실 내부의 악취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어 인근에 주거하는 사람들에게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주지 않아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양변기의 악취를 포집하기 위한 배기팬(30)이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조건에 의해 일시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양변기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는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외선감지 센서, 열감지 센서 및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배기팬(40)은 상기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인체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팬(40)을 작동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사용하지 않게 된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양변기의 소정 위치 또는 상기 양변기와 인접하는 위치에 전기적 신호를 ON/OFF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팬(40)은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연동하게 된다. 즉 상기 배기팬(40)은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ON/OFF 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팬(40)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악취흡입부(10) 및 제1악취배출관(21)은 복수의 양변기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악취배출관(22)은 상기 복수의 제1악취배출관(21)과 연통되어 상기 복수의 악취흡입부(10)로부터 흡입되는 악취가 유입된다.
이는 한 공간 내에 복수의 양변기가 구비되는 경우나, 복층을 이루는 건물에 있어 각 층별로 하나 이상의 양변기가 구비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후자의 경우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양변기에는 각기 악취흡입부(10)와 제1악취배출관(21)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악취배출관(22)의 경우 벽면 내부를 따라 매립 형성됨으로 상기 복수의 양변기로부터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악취배출관(21)은 하나의 제2악취배출관(22)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배기팬(40)을 통해 복수의 양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집하고 탈취수단(30)을 통해 악취를 탈취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의 악취흡입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저수조
3 : 용변구 4 : 커버
5 : 좌판
10 : 악취흡입부 11 : 공간
12 : 흡입구 13 : 흡입팬
20 : 악취배출관 21 : 제1악취배출관
22 : 제2악취배출관 30 : 탈취수단
40 : 배기팬
Claims (5)
- 용변구 및 상기 용변구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좌판이 상기 커버의 내측에서 함께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상기 좌판 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좌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용변구를 향하도록 복수의 흡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악취흡입부;상기 악취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악취가 유입되는 제1악취배출관과 상기 제1악취배출관과 연결되되 벽면을 따라 매립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제2악취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악취배출관;상기 제2악취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악취배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를 탈취하기 위한 탈취수단; 및상기 탈취수단과 연결되어 악취배출관을 통해 악취를 포집하며, 상기 탈취수단으로부터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흡입구는 상기 좌판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제 1항에 있어서,양변기에 전기적 신호를 ON/OFF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팬은 상기 스위치의 ON/OFF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탈취수단은 오존산화법, 연소탈취법, 이온교환 수지법, 전극법, 액체세정법, 흡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둘 이상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악취흡입부 및 제1악취배출관은 복수의 양변기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악취배출관은 상기 복수의 제1악취배출관과 연통되어 상기 복수의 악취흡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4730A KR20110037333A (ko) | 2009-10-06 | 2009-10-06 |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4730A KR20110037333A (ko) | 2009-10-06 | 2009-10-06 |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7333A true KR20110037333A (ko) | 2011-04-13 |
Family
ID=4404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4730A KR20110037333A (ko) | 2009-10-06 | 2009-10-06 |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733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3454A (ko) * | 2012-05-29 | 2013-12-09 | 코웨이 주식회사 |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
KR101710832B1 (ko) | 2016-05-12 | 2017-02-27 | 김정현 | 악취배출 장치 |
-
2009
- 2009-10-06 KR KR1020090094730A patent/KR2011003733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3454A (ko) * | 2012-05-29 | 2013-12-09 | 코웨이 주식회사 |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
KR101710832B1 (ko) | 2016-05-12 | 2017-02-27 | 김정현 | 악취배출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5133B1 (ko) |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 |
CN106836419B (zh) | 一种厕所除臭系统 | |
KR102212662B1 (ko) | 다기능 변기세정장치 | |
CN105201057A (zh) | 一种用于公共卫生间的除臭设备 | |
CN207863095U (zh) | 自清洗不堵无味便器 | |
KR20060079761A (ko) | 탈취 실내변기 | |
KR20100095778A (ko) |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 |
KR20110037333A (ko) | 악취 배출 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 |
US20120090081A1 (en) | Toilet with odor exhausting mechanism | |
KR20190061457A (ko) | 변기 악취제거장치 | |
JP2020508191A (ja) | トイレの洗浄および清掃システム、ならびに洗浄方法 | |
KR100709400B1 (ko) |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 |
CN211690624U (zh) | 一种具有快速排除臭味功能的卫生洁具 | |
CN204626590U (zh) | 家用环保无臭厕所 | |
JPH09299282A (ja) | トイレの排臭装置 | |
JP3215401U (ja) | 自浄循環式簡易トイレ | |
US20050210571A1 (en) | Air water closet | |
CN219363352U (zh) | 水路管线的微细化除臭抑菌系统 | |
RU166381U1 (ru) | Унитаз со с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 |
KR101485132B1 (ko) | 양변기 악취 배출장치 | |
KR102169150B1 (ko) |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 |
CN210144585U (zh) | 无味长通自洗便器 | |
US20210395990A1 (en) | Vented Toilet System | |
KR100654209B1 (ko) | 변기용 악취 제거 장치 | |
KR200387697Y1 (ko) |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