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310A - 온풍기 - Google Patents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310A
KR20110037310A KR1020090094698A KR20090094698A KR20110037310A KR 20110037310 A KR20110037310 A KR 20110037310A KR 1020090094698 A KR1020090094698 A KR 1020090094698A KR 20090094698 A KR20090094698 A KR 20090094698A KR 20110037310 A KR20110037310 A KR 2011003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ing element
heating
temperature sens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성
기미경
Original Assignee
최순성
기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성, 기미경 filed Critical 최순성
Priority to KR1020090094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310A/ko
Publication of KR2011003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72PT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4Positive 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 e.g. PTC, N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 블로워와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블로워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하는 발열체, 케이스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온도센서 및 발열체에 연결되어,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의 가열온도에 따라 발열체의 발열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풍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온풍기는, 블로워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발열체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따라서, 블로워의 송풍력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실내확산이 빨라지므로 난방능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온풍기{Hot blast heater}
본 발명은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 후 배출시키며 난방되게 하는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을 목적으로 하는 히터는, 가스나 기름을 사용하는 방식과, 전기를 사용하는 방식등이 있다. 특히 가스나 기름을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열원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냄새가 발생하게 되므로 실내에서 사용하면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자주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야 하므로 대개의 이러한 종류의 난방기구는 이러한 점에서 많은 개선과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전기히터는 냄새가 없어 실내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전기히터는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가열부와, 이 가열부에서 나오는 열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주요한 구성요소로 한다. 그리고 어떠한 전기히터는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열부 근처에 냉각수를 담아 이 냉각수가 증발하면서 과열을 방지함과 아울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히터는 반사판에 의해 온열이 실내로 확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난방면적이 비교적 적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전기히터는 히터 근 처와 이 히터로부터 떨어진 장소는 온도차이가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다수개의 히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난방면적을 증대시키는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력으로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발열체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공기의 가열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체의 발열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열판이 상호 수평상태로 이격되게 나열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PTC히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열판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PTC히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온도가 95℃ 이상이 되면, 상기 발열체의 발열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온도가 95℃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발열체를 작동시키는 주안전기와, 상기 주안전기의 이상으로 인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온도가 150℃ 이상이 될 경우에 상기 발열체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보조안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는, 블로워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발열체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따라서, 블로워의 송풍력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실내확산이 빨라지므로 난방능력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풍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온풍기는, 케이스(100), 블로워(200), 발열체(300), 온도센서(400),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외부에서 공기가 흡입된 후 배출되도록 통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100)에 이후 설명될 상기 블로워(200), 상기 발열체(300), 상기 온도센서(400), 상기 제어부(5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외부에서 상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10)가 형성되며, 상 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사용자의 신체가 유입되면서 상기 블로워(200)와의 접촉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방지와 더불어 입자가 큰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망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일실시예의 도면에는 상기 흡입구(110)가 상기 케이스(100) 양측면에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120)는 후면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설치수 및 설치위치는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40번은 상기 케이스(100)를 지지하는 받침다리이며, 도면보호 150번은 이후 설명될 상기 블로워(200) 및 상기 발열체(30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스위치패널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에서 입자가 작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3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필터(130)는 상기 흡입구(110)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제거함으로써 후술한 상기 발열체(300)가 먼지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블로워(2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발생된 회전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게 한다. 즉, 상기 블로워(200)는 흡입구(110)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공기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게 한 후,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블로워(2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상기 모터(210)로 전원이 인가되면 임펠러(2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며 상기 흡입구(110)를 통한 상기 공기의 유입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열체(300)는 상기 블로워(200)에 의해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300)는 상기 블로워(200)와 상기 배출구(120)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열체(300)는 복수의 열판(301)이 상호 수평상태로 이격되게 나열된 형상으로 형성된 히터이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20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공기는 상기 발열체(300)의 각 상기 열판(301) 사이 공간을 통과하면서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상기 발열체(3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발열체(310)는 스트립 형상으로 이루어진 열판(311)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열이 되는 히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300)(310)는 PTC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히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발열체(300)(310)는 난방하고자 하는 장소의 면적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줄일 수 있도록 단위체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상기 발열체(300)(310)를 단위체로 형성할 경우, 각각의 상기 발열체(300)(310)는 독립적으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단위체는 각 각 전원의 연결이 가능한 콘센트 구조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기 콘센트 구조는 통상적으로 전기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온도센서(400)는 상기 발열체(300)(310)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400)는 상기 배출구(120)에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40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측정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센서(400)에서 측정되는 상기 공기의 가열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체(300)(3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센서(400) 및 상기 발열체(300)(31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공기의 가열온도가 일정이상될 때까지 작동되게 하는 주안전기(510)와, 상기 주안전기(510)의 이상에 의해 상기 공기의 가열온도가 상기 주안전기(510)에서 제어하는 기준의 일정이상 온도로 넘어갈 경우 상기 발열체(300)(3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보조안전기(5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주안전기(510)는 상기 온도센서(400)에서 측정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가 95℃ 이상이 되면, 상기 발열체(300)(310)로의 전원인가를 차단시켜 발열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온도센서(400)에서 측정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가 95℃ 미만이면, 상기 발열체(300)(31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작동하면서 상기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한다. 반면에, 상기 보조안전기(520)는 상기 주안전기(510)의 이상으로 상기 주안 전기(510)에 의한 상기 발열체(300)(310) 작동제어가 안되는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400)에 측정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가 150℃ 이상이 될 경우에, 상기 발열체(300)(310)로의 전원인가를 차단시켜 발열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러한, 상기 보조안전기(520)에 의해 상기 발열체(300)(310)의 과열에 의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풍기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에 마련된 스위치(150)를 조작하면, 상기 발열체(300)(310)가 발열을 시작하여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블로워(200)의 모터(210)가 구동되면서, 상기 임펠러(220)가 회전을 시작한다.
이렇게, 상기 블로워(200)의 임펠러(2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발열체(300)(3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발열체(300)(31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300)(310)는 발열작용으로 고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발열체(300)(310)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는 가열된 후,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가 95℃ 가 될 때 까지는 상기 발열체(300)(310)의 발열에 의해 상기 공기가 계속적으로 가열되나,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가 95℃ 를 넘어갈 경우에는 상기 발열체(300)(310)의 발열은 정지되며, 이후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다시 95℃보다 낮아지게 되면 상기 발열체(300)(310)의 발열에 의한 상기 공기의 가열동작이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온풍기는, 상기 블로워(20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상기 발열체(300)(31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200)의 송풍력에 의해 가열된 상기 공기의 실내확산이 빨라지므로 난방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발열체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발열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케이스 110: 흡입구
120: 배출구 130: 필터
200: 블로워 300,310: 발열체
400: 온도센서 500: 제어부

Claims (6)

  1. 공기를 흡입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마련된 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력으로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발열체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공기의 가열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체의 발열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망 구조를 가지는 온풍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온풍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열판이 상호 수평상태로 이격되게 나열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PTC히터인 온풍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열판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PTC히터인 온풍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온도가 95℃ 이상이 되면, 상기 발열체의 발열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온도가 95℃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발열체를 작동시키는 주안전기와,
    상기 주안전기의 이상으로 인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온도가 150℃ 이상이 될 경우에 상기 발열체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보조안전기를 포함하는 온풍기.
KR1020090094698A 2009-10-06 2009-10-06 온풍기 KR20110037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98A KR20110037310A (ko) 2009-10-06 2009-10-06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98A KR20110037310A (ko) 2009-10-06 2009-10-06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10A true KR20110037310A (ko) 2011-04-13

Family

ID=4404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698A KR20110037310A (ko) 2009-10-06 2009-10-06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3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51B1 (ko) * 2012-07-26 2013-07-08 김대식 터보 블로어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51B1 (ko) * 2012-07-26 2013-07-08 김대식 터보 블로어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5872B2 (ja) 衣類メンテナンス装置
EP1946010A1 (en) Ventilation device combinable to a natural convection radiator in a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KR20170023444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능을 갖는 냉온풍기
JP5538621B2 (ja) 浴室乾燥機
KR20110037080A (ko)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393380B1 (ko)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용 온풍기
KR20110037310A (ko) 온풍기
JP4867270B2 (ja) バス換気乾燥装置
JP2019039635A (ja) 加湿装置
JP5683138B2 (ja) 除湿乾燥機
JP5304367B2 (ja) 送風装置
KR200347476Y1 (ko) 동파방지용 실내 온풍장치
JP2012166163A (ja) 除湿装置
JP2002233696A (ja) 衣類乾燥機
JP2000234807A (ja) 温風暖房機
KR101813859B1 (ko) 온풍순환 난방 장판
JP5407489B2 (ja) 除湿装置
JP4768681B2 (ja) 温水利用システム
KR200433373Y1 (ko) 히터를 구비한 습기제거장치
JP4827065B2 (ja) 暖炉型暖房機
JP2013155959A (ja) 加湿空気調和装置
JP2006125741A (ja) 加湿装置
JPS60223957A (ja) 調理器具廃熱利用室内暖房装置
JP4103922B2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機を並設した温風暖房機
JP2007040634A (ja) 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