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276A -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 Google Patents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276A
KR20110037276A KR1020090094653A KR20090094653A KR20110037276A KR 20110037276 A KR20110037276 A KR 20110037276A KR 1020090094653 A KR1020090094653 A KR 1020090094653A KR 20090094653 A KR20090094653 A KR 20090094653A KR 20110037276 A KR20110037276 A KR 20110037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acket
hole
cap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019B1 (ko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호 filed Critical 최창호
Priority to KR102009009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0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장에 마련된 환기공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다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둘레에 돌출된 테두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브라켓의 제1홀에 삽입되고, 브라켓과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끼워지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캡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을 사출성형할 때, 하우징 사출물의 특성상 하측의 둘레가 상측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의 하측 둘레에 고무밴드를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테두리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의 일측 상단에 고무밴드가 고정됨으로써, 고무밴드가 하우징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탄성걸림부, 클램프, 분리, 탈착, 체결, 테두리

Description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본 발명은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을 사출성형할 때, 하우징 사출물의 특성상 하측의 둘레가 상측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의 하측 둘레에 고무밴드를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테두리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의 일측 상단에 고무밴드가 고정됨으로써, 고무밴드가 하우징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하우징을 사출성형하다보면 하우징 사출물의 특성상 하측둘레가 상측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측 둘레와 하측의 둘레가 일정하지 않다.
이와 같은 경우에 하우징을 환기공에 설치하게 되면 그 둘레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환기공과 하우징 사이가 이격된다.
따라서, 환기공에 하우징을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둘레에 고무밴드가 설치되는데, 고무밴드가 하우징에서 쉽게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환기구의 하우징과 브라켓 및 캡은 각각 분리되어 장착됨에 따라, 하우징에서 브라켓을 분리할 때에는 일단 먼저 캡을 분리하고, 하우징 내부의 설치된 브라켓을 분리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우징과 브라켓 및 캡을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기구를 환기공이나, 알루미늄 후렉시블 구멍에 설치 시, 환기공이나 알루미늄 후렉시블의 크기가 환기구보다 클 때,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환기구를 따른 환기공이나, 알루미늄 후렉시블 구멍에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두 배 이상 소요되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를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이 추가됨에 따라 생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 환기구를 석고보드 천장에 설치할 때에는, 천장에 환기구를 피스로 고정하였는데, 피스 사용으로 인하여 천장에 손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스에 석회가 묻어 나오기 때문에 피스를 다시 사용할 수 없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을 사출성형할 때, 하우징 사출물의 특성상 하측의 둘레가 상측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의 하측 둘레에 고무밴드를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테두리 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의 일측 상단에 고무밴드가 고정됨으로써, 고무밴드가 하우징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을 스크류와 연결하여 캡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과 캡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가능하며, 캡과 브라켓을 스크류로 연결하여 하나로 일체시키고, 브라켓을 하우징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하우징에서 캡을 분리 시 브라켓이 캡과 함께 분리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우징에서 브라켓과 캡을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절약될 수 있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에 탄성걸림부를 각각 설치하여,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에 설치할 때에, 탄성걸림부를 세워서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에 삽입함으로써,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는, 건물의 천장에 마련된 환기공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다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둘레에 돌출된 테두리가 형성된 하 우징;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 브라켓의 제1홀에 삽입되고, 브라켓과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끼워지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캡; 을 포함한다.
또한, 브라켓의 제1홀의 외주면에 제2홀이 각각 형성되며, 너트는 상기 제2홀과 나사체결되는 제3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는, 상기 테두리가 형성된 하우징의 둘레와 하우징의 둘레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은,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토션스프링 힌지가 끼워져 설치되고, 토션스프링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천장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는, 건물의 천장에 마련된 환기공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다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 브라켓의 제1홀에 삽입되고, 브라켓과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끼워지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캡;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홀의 외주면에 제2홀이 각각 형성되며, 너트는 상기 제2홀과 나사체결되는 제3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은, 하측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클램프 홀; 상기 클램프 홀에 끼워지고, 왼나사산이 형성된 왼나사 클램프; 상기 클램프 홀에 끼워지고,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오른나사 클램프; 및 내주면의 일측에는 왼나사산과 체결되는 왼나사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른나사산과 체결되는 오른나사돌기가 형성된 클램프 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토션스프링 힌지가 끼워져 설치되고, 토션스프링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천장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을 사출성형할 때, 하우징 사출물의 특성상 하측의 둘레가 상측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의 하측 둘레에 고무밴드를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테두리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의 일측 상단에 고무밴드가 고정됨으로써, 고무밴드가 하우징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캡을 스크류와 연결하여 캡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과 캡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가능하며, 캡과 브라켓을 스크류로 연결하여 하나로 일체시키고, 브라켓을 하우징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하우징에서 캡을 분리 시 브라켓이 캡과 함께 분리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 루어짐에 따라, 하우징에서 브라켓과 캡을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절약될 수 있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에 회동가능한 탄성걸림부를 설치하여,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에 설치할 때에, 탄성걸림부를 세워서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에 삽입함으로써,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상측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하측방향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100)는, 하우징(110), 브라켓(120), 너트(130), 스크류(140), 캡(15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테두리(112), 고정부(115), 고정부재(116), 탄성걸림부(117), 걸림턱(118)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건물의 천장에 마련된 환기공에 설치된다.
환기공은 건물의 외천장에 형성될 수도 있고, 건물 내부의 실내공간의 내천장 또는 천장 등에도 형성될 수 있음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하우징(110)의 둘레에는 돌출된 테두리(112)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을 사출성형할 때, 하우징 사출물의 특성상 하우징(110)의 상측 둘레와 하측의 둘레가 일정하지 않다.
이와 같은 경우에 하우징(110)을 환기공(10)에 설치하게 되면 환기공(10)과 하우징(110) 사이가 이격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환기공(10)에 하우징(110)이 견고하게 설치되기 어렵기 때문에 하우징 둘레에 고무밴드(B)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112)는 고무밴드(B)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테두리(112)의 일측 상단에 상기 고무밴드(B)가 고정됨에 따라 하우징(110)에서 고무밴드(B)가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의 둘레와 하우징(110)의 둘레는 일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가 후렉시블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둘레에 테두리(112)가 형성됨에 따 라, 후렉시블(H)에 하우징(110)이 설치될 때, 상기 테두리(112)는 고무밴드(B)가 하우징 둘레에 고정되게 하여줌으로써, 고무밴드가 환기공(10)과 하우징(110)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기공(10)에 하우징(11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단면도이다.
고정부(115)는, 하우징(110)의 상측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다.
탄성걸림부(117)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100)를 석고보드 천장면 및 천장에 설치시, 석고보드 천장면 및 천장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토션스프링 힌지가 고정부(115)의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탄성걸림부(117)는 탄성력 및 탄성복원력에 의해 토션스프링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탄성걸림부(117)가 세워져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C)에 삽입되고, 삽입상태에서 손을 떼면 떼는 순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걸림부(117)가 눕혀짐으로써,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C)내부에 걸쳐지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걸림부(117)가 고정부(115)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탄성걸림부(117)의 하부에 고정부재(116)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턱(118)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다수 개 형성된다.
브라켓(120)은, 제1홀(121), 제2홀(122), 돌기(123)를 포함한다.
브라켓(120)은, 하우징(110)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123)가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12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110) 내부에 상기 브라켓(120)이 설치될 때,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18)에 돌기(123)가 맞닿으면서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에 있어서, 하우징에서 브라켓 및 캡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서 브라켓(120)을 탈착시에는, 브라켓(120)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힘을 가하면 쉽게 탈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브라켓(120)은 중앙에 제1홀(121)이 형성되며, 제1홀(121)의 외주면에 제2홀(122)이 각각 형성된다.
너트(130)는, 제3홀(131)을 포함한다.
너트(130)는, 브라켓(120)의 제1홀(121)에 삽입되고, 제2홀(122)과 나사체결되는 제3홀(131)이 형성된다.
브라켓(120)의 제2홀(122)과 너트(130)의 제3홀(131)에 나사가 체결됨으로써, 브라켓(120)과 너트(130)는 일체로 결합된다.
스크류(140)는, 상기 너트(130)와 체결된다.
캡(150)은, 상기 스크류(140)에 끼워지고,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캡(150)은 스크류(14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110)과 캡(150)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가 천장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100)는 하우징(100)의 상측 외주면에 회동가능한 탄성걸림부(117)을 장착하여,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C)에 설치 시, 탄성걸림부(117)를 세운상태로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C)에 삽입한다.
이때, 탄성걸림부(117)가 세워져서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C)에 삽입됨에 따라, 석고보드 천장면 및 천장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탄성걸림부(117)를 세우면,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걸림부(117)가 압축되어 세워진 상태로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C)에 삽입되고, 떼는 순간 탄성걸림부(1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걸림부(117)가 눕혀짐에 따라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C)내부에 걸쳐지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100)를 석고보드 천장면 또는 천장(C)에서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힘을 주어 당기게 되면 탄성걸림부(117)이 압축되어 세워짐으로써, 석고보드 천장면이나 천장(C)에서 쉽게 분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 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상측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하측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가 환기공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에 있어서, 하우징에서 브라켓 및 캡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가 천장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110: 하우징 112: 테두리
115: 고정부 116: 고정부재
117: 탄성걸림부 118: 걸림턱
120: 브라켓 121: 제1홀
122: 제2홀 123: 돌기
130: 너트 131: 제3홀
140: 스크류 150: 캡

Claims (5)

  1. 건물의 천장에 마련된 환기공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다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둘레에 돌출된 테두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
    브라켓의 제1홀에 삽입되고, 브라켓과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끼워지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캡;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은 제1홀의 외주면에 제2홀이 각각 형성되며, 너트는 상기 제2홀과 나사체결되는 제3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가 형성된 하우징의 둘레와 하우징의 둘레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토션스프링 힌지가 끼워져 설치되고, 토션스프링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천장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5. 건물의 천장에 마련된 환기공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다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
    브라켓의 제1홀에 삽입되고, 브라켓과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끼워지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캡;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홀의 외주면에 제2홀이 각각 형성되며, 너트는 상기 제2홀과 나사체결되는 제3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은,
    하측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클램프 홀;
    상기 클램프 홀에 끼워지고, 왼나사산이 형성된 왼나사 클램프;
    상기 클램프 홀에 끼워지고,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오른나사 클램프; 및
    내주면의 일측에는 왼나사산과 체결되는 왼나사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른나사산과 체결되는 오른나사돌기가 형성된 클램프 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토션스프링 힌지가 끼워져 설치되고, 토션스프링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천장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KR1020090094653A 2009-10-06 2009-10-06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KR10112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53A KR101129019B1 (ko) 2009-10-06 2009-10-06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53A KR101129019B1 (ko) 2009-10-06 2009-10-06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276A true KR20110037276A (ko) 2011-04-13
KR101129019B1 KR101129019B1 (ko) 2012-03-23

Family

ID=4404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653A KR101129019B1 (ko) 2009-10-06 2009-10-06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5775A (zh) * 2011-05-12 2011-08-17 芜湖市协普机器有限公司 一种抽风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86Y1 (ko) 2016-03-28 2016-10-31 송광웅 환기구 장치
KR102605928B1 (ko) 2021-10-01 2023-11-24 박태업 환기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00Y1 (ko) * 2009-01-05 2009-09-04 주식회사 대율케이앤피 공기 조화용 환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5775A (zh) * 2011-05-12 2011-08-17 芜湖市协普机器有限公司 一种抽风头
CN102155775B (zh) * 2011-05-12 2013-04-03 芜湖市协普机器有限公司 一种抽风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019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019B1 (ko) 하우징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JP4748710B2 (ja) 電気機器キャビネット用ルーバ装置
CA2974673A1 (en) Ceiling fan blade structure and ceiling fan
KR20100112330A (ko) 브라켓 및 캡이 분리 용이한 환기구
ES2853580T3 (es) Caja eléctrica para encastrar en una pared
CN108018682B (zh) 一种螺钉盖及采用该螺钉盖的洗衣机
KR101671618B1 (ko) 진공흡착구
CN201044479Y (zh) 一种电视滑动挂接支架的装置
KR20170001260U (ko) 케이블 트레이 커버 고정용 클램프
CN103949058B (zh) 一种电子敲击棒
KR101862037B1 (ko)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JP2004340323A (ja) ネジ落下防止構造及びネジ落下防止構造を備えた締結部品並びに機器
CN213602003U (zh) 一种易拆型天线转接结构
CN215561390U (zh) 一种用于干衣机的筒灯及具有其的干衣机
KR20080004154U (ko) 조명등용 커버 고정장치
KR200362104Y1 (ko) 조명등 장착구조
JP5948122B2 (ja) 浴室戸
US11985459B2 (en) Mounting system for a loudspeaker
CN212991703U (zh) 一种适用性好的照明箱
CN212619119U (zh) 一种温控器面板的安装结构和温控器
CN212395430U (zh) 紫外线杀菌灯
CN208124083U (zh) 一种简易安装的吸顶灯
CN115012186A (zh) 一种用于干衣机的筒灯及具有其的干衣机
CN201145814Y (zh) 一种多功能支架
JP6058199B1 (ja) 造花用壁面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