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243A -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7243A KR20110037243A KR1020090094603A KR20090094603A KR20110037243A KR 20110037243 A KR20110037243 A KR 20110037243A KR 1020090094603 A KR1020090094603 A KR 1020090094603A KR 20090094603 A KR20090094603 A KR 20090094603A KR 20110037243 A KR20110037243 A KR 201100372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rl flow
- storage tank
- treated water
- chamber
- induction sepa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16—Liquid distributors with a plurality of feed p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7—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ycl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02F1/3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centrifuging suspens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가 선회류 유도분리장치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선회류를 유도하여 침전물을 신속하게 분리하고, 선회류 하강흐름을 4개의 수로영역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수직 상향흐름으로 전환시켜 침전물의 침강을 촉진시키며, 상향류 상부에 웨어를 설치함으로써 침전물이 재부상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부유물 저류조, 바이패스부, 배플을 통하여 부유물의 유출을 최소화함으로써 고형물 및 부유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초기우수, 선회류, 무동력, 비점오염원
Description
본 발명은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회류 하강흐름을 4개의 수로영역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킴과 함께 상향류를 유도하여 침전물의 침전효과 및 부유물의 분리효율을 극대화하고 부유물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 오염을 야기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된다. 점오염원은 배출원이 하나의 점으로 표현될 수 있는 오염원으로 오염물질의 이동경로가 명확해 비교적 처리가 용이한 오염원이나, 반면에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지표면의 오염물질이 빗물에 씻겨 유출되는 오염원으로 오염물질의 유출시 강우시에만 집중되고 오염원이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원으로서의 중요성이 인식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강우 초기에 지표면의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초기우수 유출수는 오염물질의 유출농도가 높고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강우시 도로 및 주차장등의 불투수층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점오염원에 의한 하천호소의 수질영향이 커지고 있으며 강우초기에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이 전체 부하량의 30∼40%로 하천이나 호소 해양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보통의 경우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유형은 자연형 시설인 저류형, 인공습지형, 침투형, 식생형과 장치형 시설인 여과형, 와류형, 스크린형 그리고 기타형 시설인 응집침전 처리형, 생물학적 처리형으로 크게 3가지 형태로 구분되어지며 장치형 시설은 자연형 시설과 시설형 시설의 전처리단계로 조합되어 사용된다. 이 중 도시지역에서 적용되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로는 장치형시설의 하나인 여재의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여과형과 선회류를 이용하는 와류형이 대부분이다. 여과형은 부유성 고형물과 고형물에 부착된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하나 유입부에 전처리시설 및 여과부의 설치 등 복잡한 장치의 구성으로 인하여 시설규모가 증대되며 오염물질의 처리시간이 길어지고, 대규모 유량의 처리가 어렵고, 여재의 흡착력의 한계, 폐쇄 현상 및 정기적인 여재 교체로 인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와류형은 단순한 장치의 구조로 인하여 짧은 시간에 대용량의 처리가 가능하고, 특히 입자가 크고 비중이 높은 고형물의 처리에 효과적이며, 내부에 구동부가 없어 동력이 필요 없어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 비점오염원처리시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치형시설인 와류형은 장치적 장점으로 인하여 국내 비점오염원처리시설에 널리 적용된 바 있으나 기존의 와류형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원수 의 유입시 접선 방향에서 유도됨으로써 선회류를 활용하기는 하나 내벽과의 마찰력 및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충분한 선회류를 발생시키지 못하고, 유입된 물이 원심력에 의해 계속 선회하면서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침전물이 재부상하는 문제가 발생되며, 부유물 처리공간은 내부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부유물을 자주 제거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한 유지관리에 문제점이 있고, 수집된 침전물과 부유물의 처리 공간이 협소하여 진공흡입장치 삽입이 용이하지 않는 등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근래에 적용되는 와류형장치에는 선회류 챔버에 필터를 장착하는 직접 여과방식이 접목되고 있으나 이는 최근 이상기온현상으로 인한 지역적 폭우시 부유물에 의한 필터의 막힘 현상이 가중되어 부유물이 함께 쓸려 내려가거나 바이패스 부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과부하로 인한 역류현상 및 범람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선회류 하강흐름을 4개의 수로영역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킴과 함께 상향류를 유도하여 침전물의 침전효과 및 부유물의 분리효율을 극대화하고 부유물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일정 공간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우수의 선회류를 유도함과 함께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이 중력에 의해 침전되도록 유도하며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와,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 상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이 저류되는 부유물 저류조 및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외벽 상에 구비되며, 요철 형상의 톱니가 반복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균등하게 제어하는 웨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챔버의 모서리 부분과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 사이의 공간으로서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 내의 선회류 하강 흐름을 동일하게 분산함과 함께 수직 상향흐름으로 유도하는 4개의 수로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4개의 수로영역에 채워진 처리수는 상기 웨어를 통해 균등한 유량으로 상기 웨어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어 및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에 의해 처리수 유출 유도부가 마련되며, 상기 4개의 수로영역으로부터 상기 웨어를 통과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 유출 유도부에 유입된다.
상기 부유물 저류조는 중앙 부위가 개구된 역피라미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유물 저류조의 개구된 중앙 부위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상단 개구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유물 저류조의 테두리는 상기 챔버 내벽과 밀착되어 상기 부유물 처리조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공간적으로 격리된다.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내벽에 선회류 유도판이 나선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는 상기 챔버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상기 웨어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몸통부와 상부 테이퍼부 사이의 경계 상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챔버의 일측에 처리수의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처리수를 저류하는 처리수 저류조가 더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처리수 저류조 내부에는 용존 미세 부유물 및 침전물을 거르는 역할을 하는 배플과 배풀 설치외의 공간에 필요시 미세 용존 고형물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여재등이 충전된 여과장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와 처리수 저류조 사이에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부유물 저류조의 최상단보다 높으며, 상기 격벽의 일측에 부유물 저류조를 월류하는 우수가 상기 처리수 저류조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바이패스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처리수 저류조 내에 여재가 충전된 여과장치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여과장치부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이동되는 처리수 및 상기 부유물 저류조를 월류하여 상기 바이패스부를 거친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 용존고형물을 여과한다.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내벽 상에 싸이클로이드 원리로 설계된 나선형의 선회류 유도판이 구비됨에 따라 유입되는 원수의 선회류가 강화되고, 이를 통해 부유물 및 침전물의 분리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선회류 하강흐름을 4개의 수로영역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침전물의 침강이 촉진되고 이와 함께, 4개의 수로영역에서 유도된 상향류가 톱니 형상의 웨어(weir)를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침전된 침전물이 재부상하여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부가하여, 웨어가 4개의 수로영역 각각에 구비되고, 웨어를 통과하여 처리수 유출 유도부에 유입되는 처리수의 유량이 균등하게 제어됨에 따라 처리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수 유출 유도부와 공간적으로 격리된 역피라미드 형상의 부유물 저류조에 의해 부유물이 저류되고, 챔버와 처리수 저류조 사이의 격벽에 의해 2차적으로 부유물의 유출이 방지되고 최종적으로, 처리수 저류조에 구비된 배플(baffle)에 의 해 부유물의 유출이 억제됨에 따라, 3단계에 걸친 부유물 유출 방지 구조를 통해 갑작스런 폭우에도 부유물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처리수 저류조 내에 여재가 충전된 여과장치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여과장치부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이동되는 처리수 및 상기 부유물 저류조를 월류하여 상기 바이패스부를 거친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 용존고형물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는 내부 구조가 간단함에 따라, 부유물 저류조에 저류된 부유물 및 침전물 저류조에 침전된 침전물을 진공 흡입장치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일정 공간을 구비하는 챔버(110), 상기 챔버(110) 내에 구비되는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를 구비한다.
상기 챔버(110)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저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110)는 직육면체 형상,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챔버(110)의 4곳의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 공간이 마련되며 해당 공간에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가 저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가 저류되는 공간인 상기 챔버(110)의 모서리 부분을 '4개의 수로영역(도 4의 170)'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4개의 수로영역(170)에 의해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에서의 선회류 하강흐름이 상향류로 유도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는 일측에 연결된 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선회시켜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 및 부유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110) 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유입관(120)은 우수의 원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원통 형상의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는 상기 챔버(110)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내벽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싸이클로이드 원리로 설계된 나선 형태의 선회류 유도판(140)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상기 선회류 유도판(140)을 급격히 회전하면서 선회류를 형성한다.
상기 선회류 유도판(140)에 의해 선회류가 유도됨으로 인해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중이 큰 침전물은 중력에 의해 챔버(110) 바닥에 침강되며, 비중이 상 대적으로 작은 부유물은 상승되는 선회류에 포함되어 후술하는 부유물 저류조(150)에 저류된다. 이 때, 상기 선회류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 유속과 원심력 그리고 선회류 유도판(140)에 의해서만 형성되며, 선회류 형성을 위해 별도의 동력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그 지름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선회류를 가속하여 부유물의 분리를 유도함과 함께 상기 챔버(110)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이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 내의 선회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력에 의해 하강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외벽과 챔버 내벽 사이에 4개의 수로영역(170)이 구비됨으로 인해 선회류의 하강 흐름은 상기 4개의 수로영역(170)으로 균일하게 분산됨과 함께 상기 4개의 수로영역(170)에 의해 수직 상향흐름으로 유도된다(도 6a 참조). 이에 따라, 침전물의 침강이 촉진되며 재부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 상에는 부유물 저류조(150)가 구비된다.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을 저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부유물은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상기 부유물은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를 월류한 물과 함께 상기 부유물 저류 조(150)에 저류된다.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는 중앙 부위가 개구된 역피라미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부유물 저류조(150)의 중앙 개구부는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상단 개구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의 테두리는 상기 챔버(110)의 내벽과 밀착되어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은 공간적으로 격리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 상의 부유물이 하부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외벽 상에 웨어(weir)(18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웨어(18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몸통부(130a)와 상부 테이퍼부(130b) 사이의 경계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요철 형상의 톱니(180)가 반복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웨어(180)는 상기 4개의 수로영역(17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4개의 수로영역(170) 각각으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가 균등하게 유입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처리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 부상물이 상기 웨어(180)의 내측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웨어(180)의 내측공간은 유입된 처리수를 임시 저장함과 함께 처리수가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처리수 유출 유도부(190)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어(180)가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외벽 상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의 상부 테이퍼부와 상기 웨어(180)에 의해 일정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일정 공간을 처리수 유 출 유도부(190)라 칭하기로 한다.
4개의 수로영역(170)의 처리수는 상기 웨어(180)를 거쳐 상기 처리수 유출 유도부(190)로 이송되며, 상기 처리수 유출 유도부(190) 내에서 처리수는 상기 챔버(110) 일측에 구비된 배수구(200)를 향해 이동되고 궁극적으로 배수구(200)를 통해 처리수 저류조(220)로 배출된다(도 6b 참조).
상기 처리수 저류조(220)는 상기 배수구(200)를 배출된 처리수를 저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챔버(110)와 공간적으로 격리된 구조를 이룬다. 이 때, 상기 챔버(110)와 처리수 저류조(220)를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하고, 격벽(240)을 배치하여 격벽(240)을 기준으로 상기 챔버(110)와 처리수 저류조(220)를 구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구(200)는 상기 격벽(240)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처리수 저류조(220) 내부에는 배플(2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배플(230)은 처리수 내의 용존 미세 부유물 및 침전물을 재차 거르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처리수 저류조(220)의 일측에는 유출관(250)이 구비되어 처리수는 상기 유출관(250)을 통해 최종적으로 방류된다.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에 유입되는 유량이 과도할 경우를 대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부(210)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바이패스부(210)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에 유입되는 유량이 과도할 경우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를 월류한 우수가 곧바로 상기 처리수 저류조(220)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격벽(240)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보다 높도록 하여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 내의 부유물이 상기 격벽(240) 을 월류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처리수 저류조(220) 내부에는 상기 배플(230) 설치 외의 공간에 필요시 별도의 여재(231a)가 충전된 여과장치부(231)(도 6b 참조)의 설치가 가능한데, 이는 상기 배수구(200)를 통해 이동되는 처리수 및 상기 부유물 저류조(150)를 월류하여 상기 바이패스부(210)를 거친 우수에 포함된 미세 용존고형물을 여과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처리수 저류조(220)의 일측에는 유출관(250)이 구비되어 처리수는 상기 유출관(250)을 통해 최종적으로 방류된다. 덧붙여, 상기 챔버(110)의 하부 공간은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130)에 의해 분리된 침전물이 침전되는 공간인데, 이를 침전물 저류조(160)로 별도로 칭할 수 있으며, 침전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의 침전물 저류조를 별도로 구비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0 : 챔버 120 : 유입관
130 : 선회류 유도분리장치 140 : 선회류 유도판
150 : 부유물 저류조 160 : 침전물 저류조
170 : 4개의 수로영역 180 : 웨어
190 : 처리수 유출 유도부 200 : 배수구
210 : 바이패스부 220 : 처리수 저류조
230 : 배플 231 : 여과장치부
240 : 격벽 250 : 유출관
Claims (8)
- 일정 공간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챔버;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우수의 선회류를 유도함과 함께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이 중력에 의해 침전되도록 유도하며,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 상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이 저류되는 부유물 저류조;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외벽 상에 구비되며, 요철 형상의 톱니가 반복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균등하게 제어하는 웨어; 및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내벽에 나선 형태로 구비되는 선회류 유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챔버의 모서리 부분과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 사이의 공간으로서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 내의 선회류 하강 흐름을 동일하게 분산함과 함께 수직 상향흐름으로 유도하는 4개의 수로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4개의 수로영역에 채워진 처리수는 상기 웨어를 통해 균등한 유량으로 상기 웨어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 및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에 의해 처리수 유출 유도부가 마련되며, 상기 4개의 수로영역으로부터 상기 웨어를 통과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 유출 유도부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저류조는 중앙 부위가 개구된 역피라미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유물 저류조의 개구된 중앙 부위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상단 개구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상기 부유물 저류조의 테두리는 상기 챔버 내벽과 밀착되어 상기 부유물 처리조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공간적으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는 상기 챔버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는 상기 선회류 유도분리장치의 몸통부와 상부 테이퍼부 사이의 경계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일측에 처리수의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처리수를 저류하는 처리수 저류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저류조에 용존 미세 부유물 및 침전물을 거르는 역할을 하는 배플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와 처리수 저류조 사이에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부유물 저류조의 최상단보다 높으며, 상기 격벽의 일측에 부유물 저류조를 월류하는 우수가 상기 처리수 저류조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바이패스부가 더 구비되며,상기 처리수 저류조 내에 여재가 충전된 여과장치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여과장치부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이동되는 처리수 및 상기 부유물 저류조를 월류하 여 상기 바이패스부를 거친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 용존고형물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4603A KR101070989B1 (ko) | 2009-10-06 | 2009-10-06 |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4603A KR101070989B1 (ko) | 2009-10-06 | 2009-10-06 |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7243A true KR20110037243A (ko) | 2011-04-13 |
KR101070989B1 KR101070989B1 (ko) | 2011-10-06 |
Family
ID=4404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4603A KR101070989B1 (ko) | 2009-10-06 | 2009-10-06 |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0989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92660A (en) * | 2011-07-06 | 2013-01-09 | Johnson Electric Sa | Cyclonic particle separator for liquid / solid separation |
KR101301042B1 (ko) * | 2013-04-04 | 2013-08-28 | (주)아록이엔지 |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
KR20160095219A (ko) * | 2015-01-31 | 2016-08-11 | 주식회사 타 셋 | Mbr 종합 전처리기 |
WO2020177966A1 (de) * | 2019-03-07 | 2020-09-10 | 3P Technik Filtersysteme Gmbh | Sedimentationseinrichtung |
CN112627320A (zh) * | 2020-12-09 | 2021-04-09 | 北京北排水务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雨水沉泥井 |
CN112704942A (zh) * | 2019-10-24 | 2021-04-27 | 海德鲁国际有限公司 | 分离器 |
KR20210108185A (ko) * | 2020-02-25 | 2021-09-02 | 이민구 | 용수 여과기 |
WO2023232701A1 (de) * | 2022-05-30 | 2023-12-07 | 3P Technik Filtersysteme Gmbh | Sedimentationseinrichtu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7618B1 (ko) | 2013-01-15 | 2013-07-23 | 백인우 | 지하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1879690B1 (ko) * | 2016-01-08 | 2018-08-16 | 곽병열 |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6226Y1 (ko) | 2004-08-17 | 2004-11-04 | 안영찬 |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 |
KR100549738B1 (ko) | 2005-07-27 | 2006-02-13 | 박노연 | 중앙 유입 우수용 와류형 분리장치 |
KR100877027B1 (ko) | 2007-12-06 | 2009-01-07 | 신강하이텍(주) | 수리동력학적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
-
2009
- 2009-10-06 KR KR1020090094603A patent/KR10107098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92660A (en) * | 2011-07-06 | 2013-01-09 | Johnson Electric Sa | Cyclonic particle separator for liquid / solid separation |
KR101301042B1 (ko) * | 2013-04-04 | 2013-08-28 | (주)아록이엔지 |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
KR20160095219A (ko) * | 2015-01-31 | 2016-08-11 | 주식회사 타 셋 | Mbr 종합 전처리기 |
WO2020177966A1 (de) * | 2019-03-07 | 2020-09-10 | 3P Technik Filtersysteme Gmbh | Sedimentationseinrichtung |
US11167224B2 (en) | 2019-03-07 | 2021-11-09 | 3P Technik Filtersysteme Gmbh | Sedimentation device |
CN112704942A (zh) * | 2019-10-24 | 2021-04-27 | 海德鲁国际有限公司 | 分离器 |
EP3812025A1 (en) * | 2019-10-24 | 2021-04-28 | Hydro International Limited | A separator |
US11617975B2 (en) | 2019-10-24 | 2023-04-04 | Hydro International Ltd | Separator |
KR20210108185A (ko) * | 2020-02-25 | 2021-09-02 | 이민구 | 용수 여과기 |
CN112627320A (zh) * | 2020-12-09 | 2021-04-09 | 北京北排水务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雨水沉泥井 |
WO2023232701A1 (de) * | 2022-05-30 | 2023-12-07 | 3P Technik Filtersysteme Gmbh | Sedimentationseinrichtu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0989B1 (ko) | 2011-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0989B1 (ko) |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
KR101695463B1 (ko) | 무동력 자동 역세척 상향류식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0971879B1 (ko) |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 |
KR100862740B1 (ko) |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KR101002809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1169697B1 (ko) |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 |
KR100605267B1 (ko) | 우수처리장치 | |
JP4766460B2 (ja) | 廃水処理装置における固液分離装置 | |
US7182856B2 (en) | Stormwater treatment train | |
KR100751534B1 (ko) | 연속 침전여과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0906453B1 (ko) |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
KR101247585B1 (ko) | 경사판형 침전장치의 슬러지 자동배출장치 | |
KR101479462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955098B1 (ko) |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 |
JP2016059912A (ja) | 沈殿池 | |
KR20070114680A (ko) | 나선유입식 다층셀형 협잡물 및 침사물 종합처리기 | |
KR101535083B1 (ko) | 개방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 |
CN205391828U (zh) | 一体式斜管沉淀过滤池 | |
KR101052727B1 (ko) | 침강성 향상을 위한 침전지 베플 | |
CN105999776A (zh) | 泥渣层过滤沉淀池及其方法 | |
KR20150014097A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1106390B1 (ko) | 볼텍스 트랩 장치 | |
KR102421273B1 (ko) | 부유 물질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조 | |
HUT69510A (en) | Settling tank with oil separator | |
JPH0311802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