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155A -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 Google Patents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155A
KR20110037155A KR1020090094456A KR20090094456A KR20110037155A KR 20110037155 A KR20110037155 A KR 20110037155A KR 1020090094456 A KR1020090094456 A KR 1020090094456A KR 20090094456 A KR20090094456 A KR 20090094456A KR 20110037155 A KR20110037155 A KR 2011003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frame
down lift
holding devi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로
Original Assignee
이광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로 filed Critical 이광로
Priority to KR102009009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155A/ko
Publication of KR2011003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스트의 승,하강 운동을 안내해줄 수 있으며, 구조간 심플한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는 터파기된 공사장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바; 외주연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상기 마스트의 수직봉 전후면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자유단측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이격설치되는 두 쌍의 제1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탑다운, 리프트, 파지, 마스트, 롤러, 프레임

Description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A mast grip member of the top-down lift}
본 발명은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스트의 승,하강 운동을 안내해줄 수 있으며, 구성이 심플한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는 지면에 고정되는 통상적인 리프트의 마스트와는 달리 마스트 자체가 지하에 있는 공사현장의 깊이에 따라서, 승,하강 할 수 있어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스트의 세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해서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측벽과 마스트를 단순히 연결시켜 주었던 통상적인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를 사용할 수 없었다.
왜냐 하면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승하강 시 마스트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스트의 승,하강운동을 안내해줄 수 있어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스트의 승,하강 운동을 안내해줄 수 있으며, 프레임, 연결바, 제1롤러로 구성되어 그 구성이 구성이 심플하여 제작 및 운반 설치가 용이한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는 터파기된 공사장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바; 외주연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상기 마스트의 수직봉 전후면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자유단측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이격설치되는 두 쌍의 제1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파기된 공사장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측벽에 고정 설치되 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마스트의 수직봉 전후면과 접촉되도록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자유단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이 평평하게 형성된 두 쌍의 제1롤러;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자유단측에 설치된 브라켓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롤러가 파지한 수직봉의 측면과 각각 접촉되게 설치되어 마스트가 좌우로 이동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는 프레임과, 연결바와, 제1롤러로 구성되어 그 구성이 심플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이 심플하여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이 심플하여 제작 단가가 절감되고,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반이 간편하여 터파기된 공사장 측벽에 쉽게 운반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고, 도 5는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연결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제1롤러 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제2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제2롤러가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는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 예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 예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연결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제2롤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파기된 공사장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수직봉(1)과 수평봉(2)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3)를 파지하는 파지장치에 있어서, 크게 프레임(10)과, 연결바(20)와, 제1롤러(30)로 이루어지며, 터파기된 공사장 지하측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탑다운 리프트 마스트(3)를 파지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 측벽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후술할 제1롤러(30)가 설치되기 용이하도록 사각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측벽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고정브라켓(11)이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11)을 관통하는 못(미도시) 또는 스크류(미도시) 또는 앙카세트(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앙카세트(12)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바(20)는 일단은 일측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을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바(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30)는 외주연 중앙에 홈(31)이 형성되고, 이 홈(31)에 상기 마 스트(3)의 수직봉(1) 전면과 후면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 자유단측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 하는 마스트(3)를 안내할 수 있도록 수직봉(1)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홈(31)은 수직봉(1)의 형태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연 중앙에 사각형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합 바와 같이, 호형 상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롤러(30)는 승하강 하는 마스트(3)를 안내함과 동시에 마스트(3)의 전방, 후방, 측방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의 자유단측에 브라켓(B)이 설치되고, 이 브라켓(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수직봉(1)의 측면과 접촉되게 제2롤러(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2롤러(40)는 마스트(3)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보다 견고하게 잡아준다.
또한, 제2롤러(40)는 상기 제1롤러(30)와 동일한 형태의 홈(41)을 구비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롤러는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5')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일단은 일측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연결바(110)와, 상기 마스트(3)의 수직봉(1) 전면, 후면과 접촉되도록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 자유단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이 평평하게 형성된 두 쌍의 제1롤러(300)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의 자유단측에 설치된 브라켓(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롤러(300)가 파지한 수직봉(1)의 측면과 각각 접촉되게 설치되어 마스트(3)가 좌우로 이동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되는 제2롤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터파기된 공사장 지하측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탑다운 리프트 마스트(3)의 수직봉(1)을 파지한다.
상기 제1롤러(300)와, 제2롤러(400)의 외주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형태의 수직봉(1)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프레임(100)은 사각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측벽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고정브라켓(110)이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110)을 관통하는 못(미도시) 또는 스크류(미도시) 또는 앙카세트(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앙카세트(12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바(20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제2롤러(400)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고,
도 5는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연결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제1롤러 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제2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제2롤러가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는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 예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 예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연결바 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의 제2롤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8)

  1. 터파기된 공사장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바;
    외주연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상기 마스트의 수직봉 전후면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자유단측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이격설치되는 두 쌍의 제1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2. 터파기된 공사장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터파기된 공사장의 지하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마스트의 수직봉 전후면과 접촉되도록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자유단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이 평평하게 형성된 두 쌍의 제1 롤러;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자유단측에 설치된 브라켓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롤러가 파지한 수직봉의 측면과 각각 접촉되게 설치되어 마스트가 좌우로 이동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사각형 홈 또는 호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자유단측에 브라켓이 설치되고, 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수직봉의 측면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마스트가 좌우로 이동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되는 제2롤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는 외주연이 평평하게 이루어지거나, 외주연에 사각형 홈 또는 호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지하측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단에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못 또는 스크류 또는 앙카세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는 한 쌍의 프레임 자유단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KR1020090094456A 2009-10-06 2009-10-06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KR20110037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56A KR20110037155A (ko) 2009-10-06 2009-10-06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56A KR20110037155A (ko) 2009-10-06 2009-10-06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55A true KR20110037155A (ko) 2011-04-13

Family

ID=4404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456A KR20110037155A (ko) 2009-10-06 2009-10-06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1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7499A (zh) * 2017-02-28 2017-07-04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驱式全自动机器人爬架
CN106948593A (zh) * 2017-02-28 2017-07-14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轮式机器人爬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7499A (zh) * 2017-02-28 2017-07-04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驱式全自动机器人爬架
CN106948593A (zh) * 2017-02-28 2017-07-14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轮式机器人爬架
CN106917499B (zh) * 2017-02-28 2019-06-28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驱式全自动机器人爬架
CN106948593B (zh) * 2017-02-28 2019-12-27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轮式机器人爬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20110037155A (ko)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파지장치
CN204001746U (zh) 一种墙、柱模板支撑固定装置
CN203374008U (zh) 电梯井道倾斜平面防护结构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CN109914826B (zh) 翻转式砌体墙横向灰缝控制装置
CN205531418U (zh) 一种电梯井平面防护架
CN108487660B (zh) 一种传统民居青砖墙扶正方法
CN105133664B (zh) 一种组合框架式隔离保护体系及其施工方法
CN110593581B (zh) 一种用于玻璃幕墙施工的玻璃安装辅助装置
KR20140001283U (ko)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용 링
CN205088785U (zh) 一种钢筋混凝土框架
CN207420090U (zh) 一种用于钢筋混凝土柱的斜撑架
CN202466912U (zh) 装配箱
CN204662897U (zh) 一种带支撑架的门窗副框
CN204940887U (zh) 幕墙石材布挂机
CN204475587U (zh) 圆弧转角立柱底座结构
CN212406116U (zh) 模板结构
CN216892403U (zh) 一种高效拔管桩小工具
CN206693571U (zh) 一种楼座主体结构施工预留线盒的支撑结构
CN202105885U (zh) 现场组装式钢管调直架
CN210939851U (zh) 一种预制件生产定位固定装置
CN215253477U (zh) 一种方便安装的装配式建筑主体结构
CN214886882U (zh) 一种岩土工程施工用钻探装置
CN108678354B (zh) 一种高层建筑窗口的外墙临时支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