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904A -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904A
KR20110036904A KR1020117000504A KR20117000504A KR20110036904A KR 20110036904 A KR20110036904 A KR 20110036904A KR 1020117000504 A KR1020117000504 A KR 1020117000504A KR 20117000504 A KR20117000504 A KR 20117000504A KR 20110036904 A KR20110036904 A KR 20110036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frequency domain
signal
cc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코 미키
요시히사 기시야마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3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이동통신시스템이 혼재할 때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응하는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 무선기지국에 있어서는, 제어신호의 변조신호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소정의 데이터블록 단위(CCE 단위)로,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규칙으로 데이터블록이 할당된 경우에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CCE를 한번에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 도 4(b), 도 4(c)에 도시하는 규칙으로 데이터블록이 할당된 경우에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 {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주파수 이용효율의 향상,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을 목적으로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채용함으로써,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시스템의 특징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한층 더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서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LTE에서는, 다중방식으로서, 하향회선(하향링크)에 W-CDMA와는 다른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이용하여, 상향회선(상향링크)에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이용하고 있다.
제3 세대의 시스템은, 대체로 5MHz의 고정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2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LTE의 시스템에서는, 1.4MHz∼20MHz의 가변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300Mbps 및 상향회선에서 75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 UMTS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한층 더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서, LTE의 후계인 시스템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LTE 어드밴스트(LTE-A)). 따라서, 장래적으로는, 이들 복수의 이동통신시스템이 병존할 것이 예상되고, 이들의 복수의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는 구성(무선기지국장치나 이동단말장치 등)이 필요해지는 것이 생각되어 진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3GPP TR25.912 (V7.1.0)“Feasibility study for Evolved UTRA and UTRAN,” Sept. 2006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이동통신시스템이 혼재할 때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응하는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기지국장치는, 상대적으로 넓은 제1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1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신호 및 상대적으로 좁은 제2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2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하는 변조수단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변조신호를 소정의 데이터블록 단위로, 상기 제2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제어신호 할당수단과, 주파수영역마다 상기 변조신호에 인터리브를 수행하는 인터리버와, 인터리브 후의 변조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에 맵핑하는 맵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장치는, 이동기지국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으로부터 디맵핑하는 디맵핑수단과, 디맵핑 후의 신호에 상기 주파수영역마다 디인터리브를 수행하는 디인터리버와,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변조신호를 소정의 데이터블록 단위로 상대적으로 좁은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고, 이동단말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이동통신시스템이 혼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응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하향회선에서 이동통신이 수행될 때의 주파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의 (a)∼(c)는, 제어신호를 데이터블록 단위로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미리 결정된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제어신호의 주파수영역으로의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의 (a), (b)는, 제어신호의 주파수영역으로의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의 (a), (b)는, 제어신호의 주파수영역으로의 할당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의 (a), (b)는, 제어신호의 주파수영역으로의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의 (a)∼(c)는, 도 8에 도시하는 형태에 있어서의 다중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의 (a)∼(d)는, TDM 방식의 주파수영역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의 (a)∼(d)는, TDM 방식의 주파수영역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CDM 방식의 주파수영역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CDM 방식의 주파수영역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신호 할당규칙에 따라서 복조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은, 하향회선에서 이동통신이 수행될 때의 주파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예는, 상대적으로 넓은 제1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1 이동통신시스템인 LTE-A 시스템과, 상대적으로 좁은 제2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2 이동통신시스템인 LTE 시스템이 병존하는 경우의 주파수 사용상태이다. LTE-A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80MHz 이하의 가변의 시스템 대역폭에서 이동통신을 수행하고,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20MHz 이하의 가변의 시스템 대역폭에서 이동통신을 수행한다. LTE-A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은,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영역이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LTE-A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은,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베이스대역:20MHz)을 한 단위로 하는 4개의 주파수대역을 포함하는 시스템대역(20MHz×4=80MHz)이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UE(User Equipment)#1은, LTE-A 시스템 대응(LTE 시스템에도 대응)의 이동단말장치이며, 80MHz의 시스템대역을 가지며, UE#2는, LTE 시스템 대응(LTE-A 시스템에는 대응하지 않음)의 이동단말장치이며, 20MHz(베이스대역)의 시스템대역을 가지며, UE#3은, LTE-A 시스템 대응(LTE 시스템에도 대응)의 이동단말장치이며, 40MHz(20MHz×2=40MHz)의 시스템대역을 갖는다.
이와 같이, LTE-A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포함하는 시스템대역이 되도록 구분하는 발명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고 있다(특원 2008-88103). 또한, LTE-A 시스템에 대해서는, 모든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 80MHz의 대역을 사용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할 필요는 없으며, 80MHz 이하의 다른 시스템대역, 예를 들면 40MHz의 대역을 사용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장치가 있어도 좋다.
LTE-A 시스템 및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하향회선에서 OFDMA를 이용하기 때문에, 송신신호를 시스템대역의 범위 내의 주파수영역에 맵핑하여 송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LTE-A 시스템에 있어서는, 80MHz 이하의 대역폭의 주파수영역에서 맵핑을 수행하고,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20MHz 이하의 대역폭의 주파수영역에서 맵핑을 수행하게 된다. LTE 시스템에서는, 선두 1개∼3개의 OFDM 심볼(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단위)로 제어신호가 맵핑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에,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복조하고, 그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스케줄링정보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의 범위 내의 주파수영역으로 맵핑된 신호를 디맵핑하고, 디맵핑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A 시스템에 있어서는, 80MHz 이하의 대역폭의 주파수영역에서 맵핑을 수행하고,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20MHz 이하의 대역폭의 주파수영역에서 맵핑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20MHz 이하의 대역폭에서 순차 디맵핑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LTE-A 시스템에 있어서, LTE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80MHz 이하의 대역폭에서 순차 디맵핑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면, 상당히 처리시간이 걸리고, 신속하게 수신제어를 수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점에 착목하여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골자는,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해 제어신호를 주파수영역에 할당하고,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수순을 감안한,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의 취득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함께, 복수의 이동통신시스템(LTE-A 시스템 및 LTE 시스템)이 혼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응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무선기지국장치는, 송수신용의 안테나(101)와, 듀플렉서(102)와, 수신계 처리부와, 송신계 처리부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계 처리부는, 이동단말장치로부터 보내진 신호에 소정의 수신처리를 수행하는 무선수신부(103)와, 수신된 신호에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는 FFT부(104)와, FFT 연산 후의 신호를 디맵핑하는 디맵핑부(105)와, 디맵핑 후의 신호를 디인터리브하는 디인터리버(106)와,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데이터를 얻는 복조부(107)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수신계 처리부는, 수신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전파환경이 좋은지 나쁜지에 대해서 판정하는 수신품질 판정부(114)를 갖는다. 또한, 수신계 처리부는, 각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 존재하나,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도 2에 있어서는, 하나의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다.
송신계 처리부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하는 변조부(108a∼108e)와, 변조신호를,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해 제어신호를 소정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제어신호 할당수단인 제어신호 스케줄부(109)와, 소정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한 후의 신호에 인터리브하는 인터리버(110a∼110e)와, 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에 맵핑하는 맵핑부(111)와, 맵핑 후의 신호에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는 IFFT부(112)와, IFFT 연산 후의 신호에 소정의 송신처리를 수행하는 무선송신부(11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계 처리부의 무선수신부(103)에 있어서는, 먼저,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이득제어가 이루어져 베이스밴드신호가 얻어진다. 이어서, 이 베이스밴드신호가 직교 검파처리된 후에 불필요 주파수성분이 제거되고, 그 후 A/D 변환된다. A/D 변환 후의 신호가 FFT부(104)에 출력됨과 함께, 수신품질 판정부(114)에 출력된다. 수신품질 판정부(114)에 있어서는, 베이스밴드신호의 수신품질(예를 들면, 수신전력, SIR(Signal Interference Ratio) 등)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단말장치와의 사이의 전파환경이 좋은지 나쁜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수신품질의 측정값에 대해서 임계값 판정을 수행하여, 그 판정결과에 의해 이동단말장치와의 사이의 전파환경이 좋은지 나쁜지를 판정한다. 이 전파환경의 좋고나쁨의 판정결과는, 제어신호의 변조부(108b, 108c) 및/또는 제어신호 스케줄부(109)에 출력된다.
FFT부(104)에 있어서는, 무선수신부(103)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이동단말장치로부터의 베이스밴드신호를 FFT 연산하여, 각 서브캐리어에 할당된 신호를 얻는다. 이 신호는 디맵핑부(105)에 출력된다. 디맵핑부(105)에 있어서는, 얻어진 신호에 대해서, 이동단말장치측의 맵핑규칙에 따라서 디맵핑을 수행한다. 디맵핑 후의 신호는, 이동단말장치마다의 디인터리버(106)에 출력된다. 디인터리버(106)에 있어서는, 디맵핑 후의 신호에 디인터리브를 수행한다.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는, 각각 이동단말장치마다의 복조부(107)에 출력된다. 복조부(107)에 있어서는,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각 이동단말장치의 수신데이터를 얻는다.
송신계 처리부의 변조부(108a∼108e)에서는, 송신데이터를 소정의 변조방식으로 디지털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한다. 변조부(108a)는, LTE 시스템용의 이동단말장치용의 공유데이터를 변조한다. 변조부(108b)는, LTE 시스템용의 이동단말장치용의 제어신호를 변조한다. 변조부(108c)는, LTE-A 시스템용의 이동단말장치용의 제어신호를 변조한다. 변조부(108d)는, LTE-A 시스템용의 이동단말장치용의 공유데이터를 변조한다. 변조부(108e)는, 알림채널에서 알린 정보(알림데이터)를 변조한다. 공유데이터의 변조신호는, 인터리버(110d)에 출력된다. 제어신호의 변조신호는, 제어신호 스케줄부(109)에 출력되고, 스케줄된 제어신호는, 인터리버(110a∼11c)에 출력된다. 알림데이터의 변조신호는, 인터리버(110e)에 출력된다. 변조부(108b, 108c)에서는, 수신품질 판정부(114)에 있어서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변조방식을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전파환경이 나쁜 주파수영역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트의 변조방식으로 한다.
여기에서,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이동단말장치로 송신되는 하향회선신호의 제어신호가 할당되는 시스템대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20MHz 이하의 다양한 시스템대역(도 3에 있어서는, 1.4MHz, 5MHz, 20MHz)을 이용한다. 이 시스템대역은, 예를 들면 주파수, 셀마다 적절히 결정한다. 이 시스템대역에 있어서, 하향회선 제어채널 및 공유 데이터채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한다.
하향회선의 제어채널의 제어신호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의 데이터블록(여기에서는, 25개의 데이터블록(CCE:Control Channel Element))으로 분배되는 1개의 데이터블록(1CCE)은, 36서브캐리어×1OFDM 심볼에 상당한다. 1서브캐리어×1OFDM 심볼을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RE)라 하고, 4리소스 엘리먼트를 1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source Element Group:REG)이라 한다. 이 데이터블록 구성은, 시스템대역이 달라 있어도 동일하다. 즉, 제어신호는, CCE로 분배되고, 이 CCE가 시스템대역에 할당되게 된다. 한편, LTE-A 시스템에 있어서도, LTE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제어신호가 CCE로 분배되고, 이 CCE가 시스템대역인 80MHz 이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되게 된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단말장치 UE#1에 대한 제어신호는, CCE로 분배되고, 이 CCE가 시스템대역인 80MHz에 할당되며, 이동단말장치 UE#2에 대한 제어신호는, CCE로 분배되고, 이 CCE가 시스템대역인 20MHz에 할당되며, 이동단말장치 UE#3에 대한 제어신호는, CCE로 분배되고, 이 CCE가 시스템대역인 40MHz에 할당된다. 또한, CCE가 할당되는 시스템대역이 채널 부호화되는 단위이다.
제어신호 스케줄링부(109)에 있어서는, 제어신호의 변조신호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소정의 데이터블록 단위(CCE 단위)로,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의 최대의 시스템대역인 20MHz을 한 단위로 하는 주파수영역에 제어신호를 CCE 단위로 할당한다. 여기에서는, LTE 시스템의 최대의 시스템대역인 20MHz을 한 단위로서, 3개의 주파수영역#1∼#3에 제어신호를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c)는, 제어신호를 데이터블록 단위로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미리 결정된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a)∼(c)에 도시하는 할당의 방법은,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데이터블록을 할당함으로써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로의 송신시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LTE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로의 송신에 있어서는,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CCE를 할당하게 된다.
도 4(a)는, 미리 결정된 규칙이, 특정의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데이터블록에 할당하는 규칙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이 규칙에 있어서는, 어느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로의 제어신호를, 모든 주파수영역의 3번째의 CCE(CCE#3)에 할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의 CCE는 하나로 하고 있다.
이 규칙에서 데이터블록을 주파수영역에 할당해 둠으로써,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의 특정의 순번의 CCE가 모든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가 된다. 따라서,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CCE를 한번에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제어신호가 할당되어 있어도, 신속하게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b)는, 미리 결정된 규칙이, 특정의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까지의 데이터블록 범위 내에 할당하는 규칙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b)는, 복수의(여기에서는 2개의) CCE 블록(데이터블록 범위) 내에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이 규칙에 있어서는, 어느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로의 제어신호를, 모든 주파수영역에 걸쳐 CCE 블록 범위(도 4(b)에 있어서는 최초의 CCE 블록 범위) 내에 할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의 CCE는 하나로 하고 있다.
이 규칙에서 데이터블록을 주파수영역에 할당해 둠으로써,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CCE 블록 범위에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가 포함된다. 따라서,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하고, 자 장치에 할당된 ID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까지의 데이터블록 범위 내에서 복조를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제어신호가 할당되어 있어도, 신속하게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규칙에 있어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규칙보다도 플렉시빌리티가 커진다.
도 4(c)는, 미리 결정된 규칙이, 특정의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까지의 데이터블록 범위 내에 할당하는 규칙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할당하는 데이터블록의 수를 데이터블록 범위 내에서 가변으로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c)는, 복수의(여기에서는 2개의) CCE 블록(데이터블록 범위) 내에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이 규칙에 있어서는, 어느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로의 제어신호를, 모든 주파수영역에 걸쳐 CCE 블록 범위(도 4(c)에 있어서는 최초의 CCE 블록 범위) 내에 할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주파수영역#1의 전파환경이 나쁘고, 주파수영역#2, #3의 전파환경이 좋기 때문에 주파수영역#1에 있어서 2개의 CCE를 할당하고, 주파수영역#2, #3에 있어서 하나의 CCE를 할당하고 있다.
또한, 주파수영역의 전파환경이 나쁜지 좋은지는, 수신품질 판정부(114)에 있어서의 판정결과에 기초한다. 따라서, 제어신호 스케줄링부(109)는, 수신품질 판정부(114)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할당하는 데이터블록의 수를 결정한다.
이 규칙에서 데이터블록을 주파수영역에 할당해 둠으로써,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CCE 블록 범위에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가 포함된다. 따라서,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까지의 데이터블록 범위 내에서 복조를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제어신호가 할당되어 있어도, 신속하게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전파환경이 나쁜 주파수영역#1에는, 2개의 CCE에 제어신호를 할당하고 전송 레이트를 낮추고 있기 때문에, 수신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전파환경이 나빠도 고효율로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규칙에 있어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규칙보다도 플렉시빌리티가 커진다.
무선기지국장치가, 제어신호를 데이터블록 단위로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경우,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용의 제어신호와, LTE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용의 제어신호를, 상술한 규칙에 따라서 할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어신호 스케줄부(109)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용의 제어신호를,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발휘되도록, 가능한 한 광대역의 주파수영역에 걸쳐 할당하고, LTE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용의 제어신호를,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한다. 즉, 제어신호 스케줄부(109)는, 주파수영역#1에, LTE-A 시스템의 #1 UE용의 제어신호의 하나의 CCE 블록과, LTE 시스템의 #2 UE용의 모든 제어신호(4개의 CCE 블록)를 할당한다. 또, 주파수영역#2에, LTE-A 시스템의 #1 UE용의 제어신호의 하나의 CCE 블록을 할당한다. 주파수영역#3에, LTE-A 시스템의 #1 UE용의 제어신호의 하나의 CCE 블록과, LTE-A 시스템의 #3 UE용의 모든 제어신호의 2개의 CCE 블록을 할당한다. 주파수영역#4에, LTE-A 시스템의 #1 UE용의 제어신호의 하나의 CCE 블록과, LTE-A 시스템의 #3 UE용의 제어신호의 2개의 CCE 블록을 할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용의 제어신호 및 LTE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용의 제어신호를 주파수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 무선기지국장치가, 제어신호를 데이터블록 단위로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경우, 데이터블록에 시퀀스번호를 부여하고,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걸쳐 시퀀스번호순으로 데이터블록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주파수영역#1, #2에 걸쳐 2개의 데이터블록을 각각 할당한다. 즉, 데이터블록 CCE#1, CCE#2를 주파수영역#1, #2에 각각 할당하고, 데이터블록 CCE#3, CCE#4를 주파수영역#1, #2에 각각 할당하고, 데이터블록 CCE#5, CCE#6을 주파수영역#1, #2에 각각 할당하고, 데이터블록 CCE#7, CCE#8을 주파수영역#1, #2에 각각 할당한다. 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주파수영역#1∼#4에 걸쳐 4개의 데이터블록을 각각 할당한다. 즉, 데이터블록 CCE#1∼CCE#4를 주파수영역#1∼#4에 각각 할당하고, 데이터블록 CCE#5∼CCE#8을 주파수영역#1∼#4에 각각 할당하고, 데이터블록 CCE#9∼CCE#12를 주파수영역#1∼#4에 각각 할당하고, 데이터블록 CCE#13∼CCE#16을 주파수영역#1∼#4에 각각 할당한다. 이 경우, 데이터블록인 CCE의 정의에 대해서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변함은 없다. 이와 같은 할당방법에 있어서는, 데이터블록이 2개 이상이라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CCE 블록의 구성을, 도 7(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하나의 CCE 블록에 저장되는 데이터 비트수는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데이터 비트수를 바꾸지 않고, CCE 블록의 구성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CCE 블록이 점유하는 주파수영역을 넓게 하고, CCE 블록 범위를 좁게 한다.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CCE 블록의 구성을, 도 5에 도시하는 CCE 블록의 구성에 대해서 4배의 주파수영역에서 1/4의 CCE 블록 범위로 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1CCE 블록과 도 5에 도시하는 1CCE 블록과는, 저장하는 데이터 비트수는 동일하다. 도 7(a)에 도시하는 CCE 블록 구성으로 함으로써, CCE 블록수가 적은 제어신호라도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발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당연히,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하는 CCE 블록 구성과, 도 7(a)에 도시하는 CCE 블록 구성을 공존시킨 상태에서 CCE 블록을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도록 해도 좋다. 즉, 데이터량이 많은 LTE-A 시스템용의 제어신호는, 도 5에 도시하는 CCE 블록 구성을 이용하여 할당하고(도 7(b)에 있어서 중앙의 영역), 데이터량이 적은 LTE-A 시스템용의 제어신호는, 도 7(a)에 도시하는 CCE 블록 구성을 이용하여 할당한다(도 7(b)에 있어서 양측의 영역). 이로 인해, 제어신호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CCE 블록을 주파수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데이터블록에 시퀀스번호를 부여하여,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걸쳐 데이터블록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주파수영역#1, #2에 걸쳐 하나의 데이터블록(CCE)을 할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데이터블록인 CCE의 정의를 변경한다. 즉, 1CCE는 9REG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블록을 2개의 주파수영역에 걸쳐 할당하기 때문에, 1CCE당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4REG, 혹은, 5REG가 할당된다. 또,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주파수영역#1∼#4에 걸쳐 하나의 데이터블록(CCE)을 할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데이터블록인 CCE의 정의를 변경한다. 즉, 1CCE는 9REG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블록을 4개의 주파수영역에 걸쳐 할당하기 때문에, 1CCE당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2REG, 혹은, 3REG가 할당된다. 이와 같은 할당방법에 있어서는, 하나의 데이터블록에서도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CE의 정의를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시간분할 다중(Time Division Multiplex)방식,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코드분할 다중(Code Division Multiplex)방식,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리피티션(반복)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TDM 방식으로 CCE를 정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CCE는 9REG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할당하는 주파수영역의 수가 3 이외인 경우에는, 단수(端數)가 되는 REG가 생긴다. 이 단수가 되는 REG를 어떻게 할당할지에 대해서, 주파수영역에 할당되는 REG수가 주파수영역에서 달라도 그대로 REG를 할당하는 방법(제1 방법)과, 1CCE를 구성하는 REG수를, 주파수영역에 할당되는 REG수가 각 주파수영역에서 동일해지도록 할당하는 방법(제2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제1 방법에서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EG를 할당하는 주파수영역의 수가 3개인 경우에는, 각 주파수영역에 할당되는 REG수가 동일하나, 도 10(a), (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영역의 수가 3개 이외인 경우에는, 주파수영역에 할당되는 REG수가 다르다. 도 10(c)에 도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CCE#1에 대해서는, 주파수영역#1의 REG수가 다른 주파수영역#2, #3, #4의 REG수와 다르고, CCE#2에 대해서는, 주파수영역#2의 REG수가 다른 주파수영역#1, #3, #4의 REG수와 다르고, CCE#3에 대해서는, 주파수영역#3의 REG수가 다른 주파수영역#1, #2, #4의 REG수와 다르고, CCE#4에 대해서는, 주파수영역#4의 REG수가 다른 주파수영역#1, #2, #3의 REG수와 다르다.
제2 방법에서는, 도 11(a)∼(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CCE를 구성하는 REG수를, 주파수영역에 할당되는 REG수가 각 주파수영역에서 동일해지도록 할당한다. 도 11(a)에 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1CCE를 구성하는 REG수를 4개로 하여 주파수영역에 할당되는 REG수가 각 주파수영역에서 동일하게 하고, 도 11(b)에 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1CCE를 구성하는 REG수를 3개로 하여 주파수영역에 할당되는 REG수가 각 주파수영역에서 동일하게 하고, 도 11(c), (d)에 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1CCE를 구성하는 REG수를 2개로 하여 주파수영역에 할당되는 REG수가 각 주파수영역에서 동일하게 한다. 또한, 도 11(a), (c), (d)에 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블랭크가 되는 REG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블랭크가 되는 REG가 존재하지 않도록, 미리 CCE에 대해서 레이트 매칭해도 좋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CDM 방식으로 CCE를 정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CE(9REG)를 확산변조하고, 그 확산변조신호를 코드다중하여 맵핑한다. 여기에서는, 확산율(Spreading Factor:SF)이 4이다. 즉, 도 12에 있어서는, CCE#1을 확산부호 #1로 확산하고, CCE#2를 확산부호 #2로 확산하고, CCE#3을 확산부호 #3으로 확산하고, CCE#4를 확산부호 #4로 확산한다. 이때, 확산율이 4이기 때문에, 각각의 CCE는 4배로 확산된다. 그리고, 4배로 확산된 CCE를 4개의 주파수영역#1∼#4로 할당한다.
CDM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역확산 처리시에 채널변동의 영향으로 직교성이 무너지지 않는 조건으로 채용할 필요가 있다.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에 있어서는, REG 단위로 인터리브하여 주파수할당을 수행한다. REG는 4개의 RE(서브캐리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4개의 서브캐리어는 늘어선 상태에서 인터리브되고 주파수할당된다. 따라서, 이 4서브캐리어 안에서 확산되도록 하면 직교성이 유지된다. 이것을 고려하면, 확산율은 4의 약수인 2 또는 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CDM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4개 이외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할 때에는, 예를 들면, 5개 이상의 주파수영역에 CCE를 할당하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 후에 확산변조하고, 그 후에 확산변조신호를 각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레이트 매칭은, 할당하는 주파수영역의 수(N)와, 확산율(SF)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CE를 할당하는 주파수영역수가 N이며, 확산율이 SF이라면, 계수(N/SF)를 이용하여 레이트 매칭한다. 이와 같이 레이트 매칭해 둠으로써, 확산변조로 N배의 CCE가 얻어지기 때문에, 그 N배의 CCE를 각각 N개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한다.
상술한 TDM 방식과 CDM 방식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해서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CCE를 6개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경우에, 2개의 주파수영역에 TDM 방식으로 할당하고, 나머지 4개의 주파수영역에 CDM 방식으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규칙으로 할당이 이루어진 신호 및 공유데이터, 및 알림데이터의 변조신호는, 각각 인터리버(110a∼110e)에 출력된다. 인터리버(110a∼110c)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1∼#3마다 인터리브가 수행된다. 인터리브된 신호는, 맵핑부(111)에 출력된다. 맵핑부(111)에 있어서는, 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에 맵핑한다. 또한, 상기 도 4(b), (c)에 도시하는 규칙의 경우에 있어서는, 맵핑부(111)에서의 맵핑은, 주파수영역#1∼#3마다 수행된다. 맵핑된 신호는, IFFT부(112)에 출력된다.
또, CCE의 할당에 대해서 TDM 방식, CDM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어신호 스케줄부(109)는, 상술한 레이트 매칭할 때에, CCE에 대해서 레이트 매칭처리한다. 또, CCE의 할당에 대해서 CDM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레이트 매칭한 CCE 혹은 레이트 매칭하고 있지 않은 CCE에 대해서 확산변조 처리한다. 즉, CCE의 할당에 대해서 CDM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어신호 스케줄부(109)에서, 필요에 따라서 레이트 매칭, 확산변조, 맵핑한다.
IFFT부(112)에 있어서는, 맵핑된 신호를 IFFT 연산하여 OFDM 신호로 한다. 이 OFDM 신호는, 무선송신부(113)에 출력된다. 무선송신부(113)에 있어서는, OFDM 신호에 CP(cyclic prefix)를 부여하고, D/A 변환되어 베이스밴드신호가 되고, 로패스 필터에서 불필요 성분을 제거한 후에, 앰프에서 증폭되어 송신신호가 된다. 이 송신신호는, 듀플렉서(102)를 거쳐 안테나(101)를 통해서 송신된다.
상술한 CCE의 정의를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알림데이터에, 적어도 할당 주파수영역수(N)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CDM 방식의 경우에 대해서는, 할당 주파수영역(N)과 확산율(SF)을 알림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이 알림데이터를 BCH(Broadcast Channel)에서 수신한 이동단말장치는, 이 알림데이터(주파수영역(N)과 확산율(SF))를 이용하여 역확산처리, 디맵핑한다. 또한, 미리 할당 주파수영역수(N)에 확산율(SF)을 관련지어 둠으로써, 알림데이터에 할당 주파수영역수(N)을 포함시키는 것만으로 이동단말장치에서 역확산처리, 디맵핑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이동단말장치는, LTE-A 시스템 및 LTE 시스템의 양방의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는 이동단말장치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이동단말장치는, 송수신용의 안테나(201)와, 듀플렉서(202)와, 수신계 처리부와, 송신계 처리부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계 처리부는,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보내진 신호에 소정의 수신처리를 수행하는 무선수신부(203)와, 수신된 신호에 FFT 연산을 수행하는 FFT부(204)와, FFT 연산 후의 신호를 디맵핑하는 디맵핑부(205)와, 디맵핑 후의 신호를 디인터리브하는 디인터리버(206a∼206e)와,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데이터를 얻는 복조부(207a∼207c)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계 처리부는, 무선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하는 변조부(208a, 208b)와, 변조신호에 소정의 송신처리를 수행하는 무선송신부(209)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계 처리부의 무선수신부(203)에 있어서는, 먼저,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이득제어가 이루어져 베이스밴드신호가 얻어진다. 이어서, 이 베이스밴드신호가 직교 검파처리된 후에 불필요 주파수성분이 제거되고, 그 후 A/D 변환된다. A/D 변환 후의 신호가 FFT부(204)에 출력된다.
FFT부(204)에 있어서는, 무선수신부(203)로부터 출력된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의 베이스밴드신호를 FFT 연산하여, 각 서브캐리어에 할당된 신호를 얻는다. 이 신호는 디맵핑부(205)에 출력된다. 디맵핑부(205)에 있어서는, 얻어진 신호에 대해서, 무선기지국장치측의 맵핑규칙에 따라서 시간·주파수영역으로부터 디맵핑을 수행한다. 디맵핑 후의 신호는, 주파수영역마다의 디인터리버(206a∼206e)에 출력된다. 디인터리버(206a∼206e)에 있어서는, 디맵핑 후의 신호에 디인터리브를 수행한다.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는, 복조부(207a∼207c)에 출력된다.
복조부(207a)에 있어서는,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데이터(공유데이터)로 하고, 복조부(207b)에 있어서는,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신호를 얻는다. 복조부(207b)에 있어서는,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하는 규칙으로 데이터블록이 할당된 경우에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CCE를 한번에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 도 4(b), (c)에 도시하는 규칙으로 데이터블록이 할당된 경우에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 복조부(207c)에 있어서는, 알림채널에서 알려진 알림데이터를 복조한다. 이로 인해, 이동단말장치는, 적어도 할당 주파수영역수(N)를 포함하는 알림채널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디맵핑부(205)에서 역확산처리, 디맵핑할 수 있다.
송신계 처리부의 변조부(208a, 208b)에서는, 송신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소정의 변조방식으로 디지털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한다. 이 변조신호는, 무선송신부(209)에 출력된다. 무선송신부(209)에 있어서는, 변조신호에 소정의 송신처리가 실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송신신호는, 듀플렉서(202)를 거쳐 안테나(201)를 통해서 송신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로 구성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예 1)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데이터블록을 할당하는 규칙이, 특정의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데이터블록에 할당하는 규칙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데이터블록#3(CCE#3)에 포함되어 있으며, LTE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데이터블록#1(CCE#1)에 포함되어 있으며, LTE-A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이 주파수영역#1∼#3에 걸쳐 있으며, LTE 시스템의 시스테대역이 주파수영역#2인 것으로 한다.
먼저,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LTE-A 시스템의 제어신호와, LTE 시스템의 제어신호를 각각 변조부(108c, 108b)에서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한다. 이 변조신호는 제어신호 스케줄부(109)에 출력된다. 제어신호 스케줄부(109)에 있어서는, LTE-A 시스템의 제어신호를 주파수영역#1∼#3에 걸쳐 데이터블록#3(CCE#3)에 할당하고, LTE 시스템의 제어신호를 주파수영역#2의 데이터블록#1(CCE#1)에 할당한다. 할당된 제어신호는, 인터리버(110a∼110c)에 출력된다.
또,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LTE-A 시스템의 공유데이터와, LTE 시스템의 공유데이터를 각각 변조부(108d, 108a)에서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한다. 이 변조신호는 인터리버(110d)에 출력된다.
인터리버(110a)에 있어서는, 주파수영역#1에 할당된 제어신호를 인터리브하여, 인터리브 후의 제어신호가 맵핑부(111)에 출력된다. 인터리버(110b)에 있어서는, 주파수영역#2에 할당된 제어신호를 인터리브하여, 인터리브 후의 제어신호가 맵핑부(111)에 출력된다. 인터리버(110c)에 있어서는, 주파수영역#3에 할당된 제어신호를 인터리브하여, 인터리브 후의 제어신호가 맵핑부(111)에 출력된다. 따라서, LTE-A 시스템의 제어신호는, 인터리버(110a∼110c)에서 인터리브되고, LTE 시스템의 제어신호는, 인터리버(110b)에서 인터리브된다. 인터리브된 제어신호는 맵핑부(111)에 출력된다. 인터리버(110d)에 있어서는, 공유데이터를 인터리브하고, 인터리브 후의 신호가 맵핑부(111)에 출력된다. 인터리버(110e)에 있어서는, 알림데이터를 인터리브하고, 인터리브 후의 신호가 맵핑부(111)에 출력된다.
맵핑부(111)에 있어서는, 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에 맵핑한다. 맵핑된 신호는, IFFT부(112)에 출력된다. IFFT부(112)에 있어서는, 맵핑된 신호를 IFFT 연산하여 OFDM 신호로 한다. 이 OFDM 신호는, 무선송신부(113)에 출력되고, 상술한 소정의 송신처리가 이루어져 송신신호가 된다. 이 송신신호는, 듀플렉서(102)를 거쳐 안테나(101)를 통해서 송신된다.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무선수신부(203)에서 수신신호에 상술한 소정의 수신처리가 이루어져 베이스밴드신호로 한다. 이 베이스밴드신호가 FFT부(204)에 출력되고, FFT 연산되어, 각 서브캐리어에 할당된 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는 디맵핑부(205)에 출력된다. 디맵핑부(205)에 있어서는, 얻어진 신호에 대해서, 무선기지국장치측의 맵핑 규칙에 따라서 시간·주파수영역으로부터 디맵핑을 수행한다. 디맵핑 후의 신호는, 주파수영역#1∼#3의 디인터리버(206a∼206c)에 출력되고, 디맵핑 후의 신호에 디인터리브가 수행된다.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는, 복조부(207a∼207c)에 출력된다.
복조부(207a)에 있어서는,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데이터(공유데이터)로 하고, 복조부(207b)에 있어서는,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신호로 하고, 복조부(207c)에 있어서는,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알림데이터로 한다. 복조부(207b)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영역#1∼#3에서 같은 번호의 데이터블록(CCE)을 한번에 복조한다. 즉, 먼저, 주파수영역#1∼#3에서 CCE#1을 한번에 복조하고, 다음으로, 주파수영역#1∼#3에서 CCE#2를 한번에 복조하고, 그 다음에 주파수영역#1∼#3에서 CCE#3을 한번에 복조한다. 이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블록은 CCE#3(도 15의 검은 부분)이기 때문에, 복조부(207b)는, 주파수영역#1∼#3에서 CCE#3을 복조했을 때에,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로서 취득한다. 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공유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LTE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수신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수신처리, FFT 연산, 디맵핑 및 디인터리브하여,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부에 출력한다. 복조부에 있어서는,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신호를 얻는다. 복조부에 있어서는, 주파수영역#2에 있어서 데이터블록(CCE)을 차례차례 복조한다. 즉, 먼저, 주파수영역#2에서 CCE#1을 복조하고, 다음으로, 주파수영역#2에서 CCE#2를 복조하고, 그 다음으로 주파수영역#2에서 CCE#3을 복조한다. 이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블록은 CCE#1(도 15의 사선부분)이기 때문에, 복호부는, 주파수영역#2의 CCE#1을 복조했을 때에,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로서 취득한다. 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공유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CCE를 한번에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제어신호가 할당되어 있어도, 신속하게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블록의 번호(CCE#N)는, 이동단말장치가 무선기지국장치와 통신을 개시할 때에, 무선기지국장치가 알리는 알림채널(BCH)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실시 예 2)
제어신호 스케줄부(109)에 있어서의 LTE-A 시스템의 제어신호의 할당규칙을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주파수영역#1∼#3마다 맵핑을 수행하는 것, 이외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공유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신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수신처리, FFT 연산, 디맵핑 및 디인터리브하여,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부에 출력한다. 복조부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데이터블록 범위(CCE 블록 범위)를 복조한다. 즉, 먼저, 주파수영역#1∼#3에서 CCE#1 및 CCE#2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하고, 다음으로, 주파수영역#1∼#3에서 CCE#3 및 CCE#4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하고, 그 다음으로 주파수영역#1∼#3에서 CCE#5 및 CCE#6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한다. 이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블록은 CCE#1 및 CCE#2의 CCE 블록 범위이기 때문에(주파수영역#1, #3에 대해서는 CCE#1에 포함되고, 주파수영역#2에 대해서는 CCE#2에 포함된다), 복조부는, 주파수영역#1∼#3의 CCE#1 및 CCE#2를 복조했을 때에,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로서 취득한다. 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공유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데이터블록 범위를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제어신호가 할당되어 있어도, 신속하게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실시 예 1보다도 플렉시빌리티가 큰 시스템이 된다. 또한,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블록 범위는, 이동단말장치가 무선기지국장치와 통신을 개시할 때에, 무선기지국장치가 알리는 알림채널(BCH)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실시 예 3)
제어신호 스케줄부(109)에 있어서의 LTE-A 시스템의 제어신호의 할당규칙을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주파수영역#1∼#3마다 맵핑을 수행하는 것, 이외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공유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신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수신처리, FFT 연산, 디맵핑 및 디인터리브하여,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복조부에 출력한다. 복조부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데이터블록 범위(CCE 블록 범위)를 복조한다. 즉, 먼저, 주파수영역#1∼#3에서 CCE#1 및 CCE#2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하고, 다음으로, 주파수영역#1∼#3에서 CCE#3 및 CCE#4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하고, 그 다음으로 주파수영역#1∼#3에서 CCE#5 및 CCE#6의 CCE 블록 범위를 복조한다. 이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블록은 CCE#1 및 CCE#2의 CCE 블록 범위이기 때문에(주파수영역#1에 대해서는 CCE#1, CCE#2에 포함되고, 주파수영역#2에 대해서는 CCE#2에 포함되고, 주파수영역#1에 대해서는 CCE#1에 포함된다), 복조부는, 주파수영역#1∼#3의 CCE#1 및 CCE#2에 복조했을 때에,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로서 취득한다. 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공유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주파수영역#1의 전파환경이 나쁘기 때문에, CCE#1 및 CCE#2의 양방을 복조하고, 주파수영역#2의 CCE#2와 주파수영역#3의 CCE#1을 복조하여, 이것들에 의해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취득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특정의 데이터블록 범위를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제어신호가 할당되어 있어도, 신속하게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실시 예 1보다도 플렉시빌리티가 큰 시스템이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전파환경이 나쁜 주파수영역#1에는, 2개의 CCE에 제어신호를 할당하고 전송 레이트를 내리고 있기 때문에, 수신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전파환경이 나빠도 고효율로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단말장치의 제어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블록 범위는, 이동단말장치가 무선기지국장치와 통신을 개시할 때에, 무선기지국장치가 알리는 알림채널(BCH)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이동통신시스템이 혼재할 때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제어신호의 변조신호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소정의 데이터블록 단위(CCE 단위)로,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고,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규칙으로 복조함으로써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제어신호가 할당되어 있어도, 신속하게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유데이터에 대해서, 송신측에서 인터리브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인터리브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유데이터에 대해서 인터리브하지 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데이터블록 할당규칙, 처리부의 수, 처리수순, 주파수영역이나 데이터블록의 수, 데이터블록 범위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상대적으로 넓은 제1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1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신호 및 상대적으로 좁은 제2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2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하는 변조수단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변조신호를 소정의 데이터블록 단위로, 상기 제2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제어신호 할당수단과, 주파수영역마다 상기 변조신호에 인터리브를 수행하는 인터리버와, 인터리브 후의 변조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에 맵핑하는 맵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규칙은, 특정의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데이터블록에 할당하는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규칙은, 특정의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까지의 데이터블록 범위 내에 할당하는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수단은, 주파수영역마다 맵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할당하는 데이터블록의 수를 데이터블록 범위 내에 있어서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품질을 판정하는 품질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 할당수단은, 상기 품질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할당하는 데이터블록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규칙은, 데이터블록에 시퀀스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시퀀스번호순으로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데이터블록을 할당하는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규칙은, 각 데이터블록을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블록을 복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할 때에, 시간분할 다중 및/또는 코드분할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10.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으로부터 디맵핑하는 디맵핑수단과, 디맵핑 후의 신호에 상기 주파수영역마다 디인터리브를 수행하는 디인터리버와,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규칙은,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데이터블록을 한번에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규칙은, 각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같은 번호까지의 데이터블록 범위 내에서 복조를 수행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3. 상대적으로 넓은 제1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1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신호 및 상대적으로 좁은 제2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2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변조신호로 하는 변조수단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변조신호를 소정의 데이터블록 단위로, 상기 제2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영역에 할당하는 제어신호 할당수단과, 주파수영역마다 상기 변조신호에 인터리브를 수행하는 인터리버와, 인터리브 후의 변조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에 맵핑하는 맵핑수단을 구비하는 무선기지국장치와,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시간·주파수영역으로부터 디맵핑하는 디맵핑수단과, 디맵핑 후의 신호에 상기 주파수영역마다 디인터리브를 수행하는 디인터리버와, 디인터리브 후의 신호를,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복조하여 자 장치 앞으로의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조수단을 구비하는 이동단말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KR1020117000504A 2008-07-08 2009-07-07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 KR20110036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78459 2008-07-08
JPJP-P-2008-178459 2008-07-08
JPJP-P-2008-207520 2008-08-11
JP2008207520 2008-08-11
JP2008243410A JP5215101B2 (ja) 2008-07-08 2008-09-22 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JPJP-P-2008-243410 2008-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904A true KR20110036904A (ko) 2011-04-12

Family

ID=4150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504A KR20110036904A (ko) 2008-07-08 2009-07-07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19979B2 (ko)
EP (1) EP2299776B1 (ko)
JP (1) JP5215101B2 (ko)
KR (1) KR20110036904A (ko)
CN (1) CN102090137B (ko)
WO (1) WO2010004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9882B2 (ja) 2008-09-29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ce+番号割当方法及び基地局装置
JP5206496B2 (ja) * 2009-02-27 2013-06-12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9125068B2 (en) 2010-06-04 2015-09-01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imulating realistic movement of user equipment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JP5487229B2 (ja) * 2011-11-07 2014-05-07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9154979B2 (en) 2011-12-14 2015-10-06 Ixia Scalable architecture for long term evolution (LTE) multiple user equipment (multi-UE) simulation
US8855070B2 (en) 2011-12-14 2014-10-07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mproved long term evolution (LTE)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processing
US9204325B2 (en) 2011-12-20 2015-12-01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ducing the impact of fals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detection in long term evolution (LT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data
US9071995B2 (en) 2012-01-17 2015-06-30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long term evolution (LTE) uplink data processing
US8908535B2 (en) 2012-02-10 2014-12-09 Ixia Methods, traffic simulator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validating long term evolution (LTE) code blocks and transport blocks
US8724498B2 (en) * 2012-02-14 2014-05-13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erforming long term evolution (LTE) channel delineation
US8892829B2 (en) 2012-02-29 2014-11-18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ntegrated sub-block interleaving and rate matching
US8738985B2 (en) 2012-03-28 2014-05-27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 turbo decoding process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multi-user equipment (UE) traffic simulator
US9131000B2 (en) 2012-04-13 2015-09-08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heuristics-based adaptive protocol parsing
US9198065B2 (en) 2013-03-15 2015-11-24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tilizing adaptive symbol processing in a multiple user equipment (multi-UE) simulator
US9577669B2 (en) 2014-11-03 2017-02-21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optimized message decoding
US9807204B2 (en) 2015-03-06 2017-10-31 Ixia Optimized message processing
US11088744B1 (en) 2020-02-07 2021-08-10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5G digital beamforming test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0884A1 (en) * 2002-08-10 2005-05-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increasing the data transmission rate in a mobile radio system
US8582596B2 (en) * 2004-06-04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and modul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447416B2 (ja) * 2004-09-22 2010-04-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バンド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機
US7542410B2 (en) * 2004-12-06 2009-06-02 Intel Corporation Interleaver and associated methods
JP2008088103A (ja) 2006-09-30 2008-04-17 Sysmex Corp Ii、vii、ix、x因子測定用試薬及びその製造方法
ES2611628T3 (es) * 2006-11-01 2017-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para la sincronización de contenido cuando se difunden datos en una red inalámbrica
EP1944896A1 (en) * 2007-01-09 2008-07-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figuration of control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54482B1 (ko) * 2007-05-17 2014-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US8010116B2 (en) * 2007-06-26 2011-08-30 Lgc Wireless, Inc. Distributed antenna communications system
US8861549B2 (en) * 2007-11-05 2014-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 compatible OFDM systems with different bandwidths
US8340014B2 (en) * 2007-12-26 2012-1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multi-band radio frequenc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4976A1 (ja) 2010-01-14
JP2010068501A (ja) 2010-03-25
JP5215101B2 (ja) 2013-06-19
EP2299776B1 (en) 2018-01-10
CN102090137A (zh) 2011-06-08
EP2299776A4 (en) 2016-05-18
US20110170439A1 (en) 2011-07-14
US9019979B2 (en) 2015-04-28
CN102090137B (zh) 2015-08-05
EP2299776A1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5101B2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CA2694188C (en) Frequency diverse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48438B2 (en) Radio access method for reduced PAPR
RU2328821C2 (ru) Управление радиопомехами для мягкой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и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о скачкообразной перестройкой частоты
JP367044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20195282A1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sa-preamble an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sa-preamble
CN101682491A (zh) 在移动通信系统中使用的基站装置、用户装置和方法
KR10099583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58817A (ko) 이동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공유채널신호 송신방법
JP5083253B2 (ja)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RU2541112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спектра в системах связи
KR201100406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정규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한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블록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131227B2 (ja)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WO2010053043A1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JP2004254335A (ja) 無線基地局、無線端末
KR20040076438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 기반의 멀티셀에서의부반송파 운용 방법
JP5206496B2 (ja)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RU2801312C9 (ru)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KR100982147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에 대한 대역내레이트 제어
KR20100082194A (ko)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자원매핑 방법 및 장치
KR201000440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