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245A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245A
KR20110036245A KR1020090093803A KR20090093803A KR20110036245A KR 20110036245 A KR20110036245 A KR 20110036245A KR 1020090093803 A KR1020090093803 A KR 1020090093803A KR 20090093803 A KR20090093803 A KR 20090093803A KR 20110036245 A KR20110036245 A KR 2011003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plate
tab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288B1 (ko
Inventor
장미영
김찬중
손숙정
조윤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88B1/ko
Priority to JP2010135383A priority patent/JP5490625B2/ja
Priority to AT10171897T priority patent/ATE539461T1/de
Priority to EP10171897A priority patent/EP2306578B1/en
Priority to US12/852,400 priority patent/US8765298B2/en
Priority to CN201010294048.XA priority patent/CN102034961B/zh
Publication of KR2011003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88B1/ko
Priority to JP2013146610A priority patent/JP5612175B2/ja
Priority to US14/303,422 priority patent/US201402952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활물질 및 양극탭을 갖는 양극판, 음극 활물질 및 음극탭을 갖는 음극판,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양극탭과 대응되는 음극판에는 음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음극탭과 대응되는 양극판에는 양극 무지부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두께가 균일하고, 용량이 증가되며, 제조 공정중 전극판의 손상 현상이 방지되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차 전지와 다르게 이차 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듀뮴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대략 3.7V로서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 전지에 비하여 대략 3배나 크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뛰어나다.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리튬 이온 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원통형 및 각형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각광받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소재로 제조되어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안전성도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적층 두께가 균일하고, 용량이 증가하며, 제조 공정중 전극판의 손상 현상이 방지되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활물질 및 양극탭을 갖는 양극판; 음극 활물질 및 음극탭을 갖는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탭과 대응되는 상기 음극판에는 음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극탭과 대응되는 상기 양극판에는 양극 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양극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상기 양극탭이 부착되고, 상기 양극탭을 제외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2면중 상기 음극탭과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양극 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탭은 상기 양극판에 부착된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 무지부는 상기 부착 영역과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 영역은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및 곡면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음극판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음극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상기 음극탭이 부착되고, 상기 음극탭을 제외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2면중 상기 양극탭과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음극 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탭은 상기 음극판에 부착된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무지부는 상기 부착 영역과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 영역은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및 곡면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활물질 및 양극탭을 갖는 양극판; 음극 활물질 및 음극탭을 갖는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탭과 대응되는 상기 음극판에는 음극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극탭과 대응되는 상기 양극판에는 양극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양극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상기 양극탭이 부착되고, 상기 양극탭을 제외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양극 집전판중 상기 음극탭과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양극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탭은 상기 양극판에 부착된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 절개부는 상기 부착 영역과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 영역은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및 곡면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음극판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음극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상기 음극탭이 부착되고, 상기 음극탭을 제외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음극 집전판중 상기 양극탭과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음극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탭은 상기 음극판에 부착된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절개부는 상기 부착 영역과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 영역은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및 곡면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위에 기재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파우치 외장재에 내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지부 또는 절개부가 탭(tab)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적층 두께가 균일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물질이 탭을 제외한 전체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이를 갖는 전지의 용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탭의 부착 영역이 곡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중 탭에 의한 전극판의 손상 현상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평면도, 분해 사시도 및 도 1a의 1-1선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판(110), 음극판(120) 및 세퍼레이터(13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양극판(110)과 상기 음극판(120)의 사이에 개재(介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다수의 양극판(110), 다수의 음극판(120) 및 다수의 세퍼레이터(130)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이룬다.
상기 양극판(110)은 양극 집전판(111), 양극 활물질(112), 양극탭(113) 및 양극 무지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집전판(111)은 대략 평평한 제1면(111a)과, 상기 제1면(111a)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한 제2면(111b)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극 집전판(111)은 알루미늄 포일(foil), 알루미늄 메시(mesh)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활물질(112)은 상기 양극 집전판(111)의 제1면(111a) 및 제2면(111b)에 각각 코팅된다. 즉, 상기 양극 활물질(112)은 상기 양극탭(113)을 제외한 전체 제1면(111a)에 코팅되고, 상기 양극 무지부(116)를 제외한 전체 제2면(111b)에 코팅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탭(113)은 양극 활물질(1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하고, 상기 양극 무지부(116) 역시 상기 양극 활물질(1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양극 무지부(116)는 양극 활물질(112)이 코팅되지 않아 형성된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양극 활물질(112)은 LiCoO2, LiNiO2, LiMn2O4와 같은 리튬계 산화물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탭(113)은 상기 양극 집전판(111)의 제1면(111a)으로서, 하기할 음극판(120)의 음극 무지부(126)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양극탭(113)은 상기 양극 집전판(111)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즉, 상기 양극탭(113)은 상기 양극 집전판(111)중 제1면(111a)에 부착되는 부착 영역(114)과, 상기 부착 영역(114)으로부터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 영역(115)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 무지부(116)는 상기 양극 집전판(111)의 제2면(111b)으로서, 하기할 음극판(120)의 음극탭(123)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양극 무지부(116)는 하기할 음극탭(123)의 부착 영역(124)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음극판(120)은 음극 집전판(121), 음극 활물질(122), 음극탭(123) 및 음극 무지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음극 집전판(121)은 대략 평평한 제1면(121a)과, 상기 제1면(121a)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한 제2면(121b)을 포함한다. 이러한 음극 집전판(121)은 구리 포일, 구리 메시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 활물질(122)은 상기 음극 집전판(121)의 제1면(121a) 및 제2면(121b)에 각각 코팅된다. 즉, 상기 음극 활물질(122)은 상기 음극탭(123)을 제외한 전체 제1면(121a)에 코팅되고, 상기 음극 무지부(126)를 제외한 전체 제2면(121b)에 코팅된다. 따라서, 상기 음극탭(123)은 음극 활물질(12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하고, 상기 음극 무지부(126)는 상기 음극 활물질(12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음극 무지부(126)는 음극 활물질(122)이 코팅되지 않아 형성된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음극 활물질(122)은 흑연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탭(123)은 상기 음극 집전판(121)의 제1면(121a)으로서, 상기 양극판(110)의 양극 무지부(116)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음극탭(123)은 상기 음극 집전판(112)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즉, 상기 음극탭(123)은 상기 음극 집전판(121)중 제1면(121a)에 부착되는 부착 영역(124)과, 상기 부착 영역(124)으로부터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 영역(125)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 무지부(126)는 상기 음극 집전판(121)의 제2면(121b)으로서, 상기 양극판(110)의 양극탭(113)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음극 무지부(126)는 상기 양극탭(113)의 부착 영역(114)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양극판(110)과 상기 음극판(1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세라믹(SiO2, TiO2) 필름 및 그 등가물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판(110)의 양극탭(113)과 대응되는 음극판(120)에 음극 무지부(126)가 형성되고, 또한 음극판(120)의 음극탭(123)과 대응되는 양극판(110)에 양극 무지부(116)가 형성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중 양극탭(113) 및 음극탭(123)과 대응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즉, 양극탭(113)의 두께는 음극 무지부(126)에 의해 상쇄되고, 음극탭(123)의 두께는 양극 무지부(116)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양극탭(113) 및 음극탭(123)과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다르게 표현하면, 모든 영역에서 전극 조립체(100)의 적층 두께가 균일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탭(113)을 제외한 양극 집전판(111)의 전체 제1면(111a)에 양극 활물질(112)이 코팅되고, 양극 무지부(116)를 제외한 양극 집전판(111)의 전체 제2면(111b)에 양극 활물질(112)이 코팅된다. 더욱이, 음극탭(123)을 제외한 음극 집전판(121)의 전체 제1면(121a)에 음극 활물질(122)이 코팅되고, 음극 무지부(126)를 제외한 음극 집전판(121)의 전체 제2면(121b)에 음극 활물질(122)이 코팅된다. 따라서, 탭 및 무지부를 제외한 전체 표면에 활물질이 코팅됨으로써,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 전지의 용 량이 증가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양극판(110)과 상기 음극판(120)이 동일한 형태를 하기 때문에, 상기 양극판(110)을 예로 하여 그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a의 2-2선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판(110)은 제1면(111a) 및 제2면(111b)을 갖는 양극 집전판(111), 양극 집전판(111)의 제1면(111a) 및 제2면(111b)에 각각 코팅된 양극 활물질(112), 상기 양극 집전판(111)의 제1면(111a)에 부착된 양극탭(113), 상기 양극 집전판(111)의 제2면(111b)에 형성된 양극 무지부(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탭(113)은 상기 양극 집전판(111)의 제1면(111a)에 부착되는 부착 영역(114)과, 상기 부착 영역(114)으로부터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 영역(1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착 영역(114)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무지부(116)는 상기 부착 영역(114)과 이격된 위치로서, 상기 양극 집전판(111)의 제2면(111b)에 상기 부착 영역(114)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양극 무지부(116) 역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탭(113)은 양극 집전판(111)중 제1면(111a)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양극 무지부(116)는 양극 집전판(111)중 제2면(111b)의 타측 모서 리에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부착 영역(114)은 대략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탭(113) 중에서 상기 부착 영역(114)의 폭과 상기 연장부(115)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극 무지부(116) 역시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양극판(110)의 구조에 따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양극탭(113)의 부착 영역(114)과 대응되는 음극판의 음극 무지부 역시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무지부(116)와 대응되는 음극탭의 부착 영역 역시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다른예(110a)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부착 영역(114a)과 연장 영역(115a)을 갖는 양극탭(113a)은 부착 영역(114a)이 사각 형태가 아닌 삼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 영역(114a)의 폭이 상기 연장 영역(115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부착 영역(114a)의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물론, 이에 따라 양극 무지부(116a) 역시 사각 형태가 아닌 삼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부착 영역(114a)은 사각 형태에 비해 면적이 대략 절반 정도 감소한 삼각 형태이고, 상기 양극 무지부(116a) 역시 사각 형태에 비해 면적이 대략 절반 정도 감소한 삼각 형태이다. 따라서, 감소한 면적만큼 양극 활물질(112)의 코팅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 전지의 용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양극판(110a)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음극판 역시 음극탭의 부착 영역이 삼각 형태로 형성되고, 음극 무지부 역시 삼각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여러장 적층될 때, 양극탭 및 음극탭과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즉, 모든 영역에서 전극 조립체의 두께가 균일해진다. 물론, 양극판 및 음극판에서 각각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의 코팅량이 증가함으로써,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채택한 이차 전지의 용량이 더욱 증가한다.
도 4a에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또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또 다른예(110b)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부착 영역(114b)과 연장 영역(115b)을 갖는 양극탭(113b)은 부착 영역 (114b)이 삼각 형태가 아닌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따라 양극 무지부(116b) 역시 삼각 형태가 아닌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 영 역(114b)은 삼각 형태에 비해 면적이 더욱 감소한 곡면 형태인 동시에, 끝단이 뾰족하지 않고 뭉뚝(blunt)한 형태를 한다. 또한, 상기 양극 무지부(116b) 역시 삼각 형태에 비해 면적이 더욱 감소한 곡면 형태인 동시에, 끝단이 뾰족하지 않고 뭉뚝한 형태를 한다. 따라서, 상기 감소한 면적만큼 양극 활물질(112)의 코팅량이 증가한다. 물론, 이에 따라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 전지의 용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상기 양극탭(113b)의 부착 영역(114b)은 사각 형태 또는 삼각 형태에서와 같은 뾰족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공정중 양극탭(113b)이 양극 집전판 또는 양극 활물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즉,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공정중 양극탭에 의한 손상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양극판(110b)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음극판 역시 음극탭의 부착 영역이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음극 무지부 역시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여러장 적층될 때, 양극탭 및 음극탭과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즉, 모든 영역에서 전극 조립체의 두께가 균일해진다. 더불어, 양극판 및 음극판에서 각각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의 코팅량이 더 증가함으로써,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채택한 이차 전지의 용량이 더욱 증가한다. 물론, 양극탭의 부착 영역 및 음극탭의 부착 영역이 곡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양극탭 및 음극탭을 각각 양극판 및 음극판에 부착할 때, 양극탭 및 음극탭의 충격에 의한 양극판 및 음극판의 손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평면도, 분해 사시도 및 도 5a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200)는 양극판(210), 음극판(220) 및 세퍼레이터(230)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210)은 양극 집전판(211), 양극 활물질(212), 양극탭(213) 및 양극 절개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 집전판(211), 양극 활물질(212), 양극탭(213)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양극탭(213)은 상기 양극 집전판(211)의 제1면(211a)으로서, 하기할 음극판(220)의 음극 절개부(226)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양극 절개부(216)는 하기할 음극판(220)의 음극탭(223)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즉, 상기 양극 절개부(216)는 상기 양극판(210) 중에서 하기할 음극탭(223)의 부착 영역(224)과 대응되는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양극 절개부(216)는 양극 집전판(211) 및 양극 활물질(212)이 없는 영역이다.
상기 음극판(220)은 음극 집전판(221), 음극 활물질(222), 음극탭(223) 및 음극 절개부(2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극 집전판(221), 음극 활물질(222), 음극탭(223)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음극탭(223)은 상기 음극 집전판(221)의 제1면(221a)으로서, 상기 양극판(210)의 양극 절개부(216)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음극 절개부(226)는 상기 양극판(210)의 양극탭(213)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즉, 상기 음극 절개부(226)는 상기 음극판(220) 중에서 상기 양극탭(213)의 부착 영역(214)과 대응되는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음극 절개부(226)는 음극 집전판(221) 및 음극 활물질(222)이 없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200)는 양극판(210)의 양극탭(213)과 대응되는 음극판(220)에 음극 절개부(226)가 형성되고, 또한 음극판(220)의 음극탭(223)과 대응되는 양극판(210)에 양극 절개부(216)가 형성됨으로써, 전극 조립체(200)중 양극탭(213) 및 음극탭(223)과 대응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즉, 양극탭(213)의 두께는 음극 절개부(226)에 의해 상쇄되고, 음극탭(223)의 두께는 양극 무지부(216)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양극탭(213) 및 음극탭(223)과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다르게 표현하면, 모든 영역에서 전극 조립체(200)의 적층 두께가 균일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200)는 양극탭(213)을 제외한 양극 집전판(211)의 전체 제1면(211a)에 양극 활물질(212)이 코팅되고, 양극 절개부(216)를 제외한 양극 집전판(211)의 전체 제2면(211b)에 양극 활물질(212)이 코팅된다. 더욱이, 음극탭(223)을 제외한 음극 집전판(221)의 전체 제1면(221a)에 음극 활물질(222)이 코팅되고, 음극 절개부(226)를 제외한 음극 집전판(221)의 전 체 제2면(221b)에 음극 활물질(222)이 코팅된다. 따라서, 탭 및 절개부를 제외한 전체 표면에 활물질이 코팅됨으로써,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 전지의 용량이 증가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양극판(210)과 음극판(220)이 동일한 형태를 하므로, 상기 양극판(210)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의 6-6선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판(210)은 제1면(211a) 및 제2면(211b)을 갖는 양극 집전판(211)과, 양극 집전판(211)의 제1면(211a) 및 제2면(211b)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212)과, 상기 양극 집전판(211)의 제1면(211a)에 부착된 양극탭(213)과, 상기 양극 집전판(211)이 절개되어 형성된 양극 절개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탭(213)은 상기 양극 집전판(211)의 제1면(211a)에 부착되는 부착 영역(214)과, 상기 부착 영역(214)으로부터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 영역(21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극 절개부(216)는 상기 부착 영역(214)과 이격된 위치로서, 상기 부착 영역(214)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부착 영역(214)이 대략 사각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양극 절개부(216) 역시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절개부는 상호간 대략 직각을 이루는 두개의 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음극판 역시 상기 양극판(210)의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여러장 적층될 때, 양극탭 또는 음극탭과 대응되는 부분이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판(210a)은 양극탭(213a) 및 양극 절개부(216a)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다.
상기 양극탭(213a) 중에서 부착 영역(214a)은 대략 삼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양극 절개부(216a) 역시 삼각 형태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양극 절개부(216a)는 하나의 직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양극 활물질(212)의 코팅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구조의 양극판(210a) 및 음극판이 여러장 적층될 때, 양극탭 또는 음극탭과 대응되는 부분이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두께가 균일해진다.
도 8a에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또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판(210b)은 양극탭(213b) 및 양극 절개부(216b)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다.
상기 양극탭(213b) 중에서 부착 영역(214b)은 대략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양극 무지부(216b) 역시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양극 절개부(216b)는 하나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양극 활물질(212)의 코팅량을 상대적으로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구조의 양극판(210b) 및 음극판이 여러장 적층될 때, 양극탭 또는 음극탭과 대응되는 부분이 더 두꺼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두께가 균일해진다. 더불어, 양극탭(213b)의 부착 영역(214b)에는 사각형이나 삼각형에서와 같은 날카로운 끝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200)의 제조 공정중 양극탭(213b)의 끝단이 뭉뚝(blunt)하기 때문에, 양극판(210b)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전극 조립체(100)와, 상기 전극 조립체(100)가 실장되는 파우치 케이스(32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전극 조립체(100) 대신 전극 조립체(200)가 상기 파우치 케이스(320)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판(110)과, 음극판(120)과, 세퍼레이터(13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극판(110)에 접속된 모든 양극탭(113)은 하나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양극 리드(311)에 용접된다. 더불어, 음극 판(120)에 접속된 모든 음극탭(123)은 하나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음극 리드(312)에 용접된다. 더불어, 상기 양극 리드(311) 및 음극 리드(312)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32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한편, 상기 파우치 케이스(320)는 상기 전극 조립체(100)를 실장하기 위해 캐비티(321)를 갖는 하부 케이스(322), 상기 하부 케이스(322)를 덮는 상부 케이스(323)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하부 케이스(322)의 세방향 둘레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323)와 열융착되는 융착부(32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322)와 상기 상부 케이스(323)의 경계 영역에는 접힘선(322b)이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파우치 케이스(320)에는 액체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이 전극 조립체(100)와 함께 수용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활물질의 코팅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된 전극 조립체(100)를 포함함으로써, 전지 용량이 증가된다. 더불어, 양극탭(113) 및 음극탭(123)의 부착 영역(214)이 곡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중 양극판(110) 및 음극판(120)의 손상 현상이 최소화된다. 더불어, 양극탭(113) 및 음극탭(123)의 부착 영역(114)과 대응되는 영역에 무지부 또는 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양극판(110) 및 음극판(120)의 두께가 균일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평면도, 분해 사시도 및 도 1a의 1-1선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a의 2-2선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a에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또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평면도, 분해 사시도 및 도 5a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의 6-6선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a에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중에서 양극판의 또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110; 양극판 111; 양극 집전판
111a; 제1면 111b; 제2면
112; 양극 활물질 113; 양극탭
114; 부착 영역 115; 연장 영역
116; 양극 무지부 120; 음극판
121; 음극 집전판 121a; 제1면
121b; 제2면 122; 음극 활물질
123; 음극탭 124; 부착 영역
125; 연장 영역 126; 음극 무지부
130; 세퍼레이터
2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3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Claims (16)

  1. 양극 활물질 및 양극탭을 갖는 양극판;
    음극 활물질 및 음극탭을 갖는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탭과 대응되는 상기 음극판에는 음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극탭과 대응되는 상기 양극판에는 양극 무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양극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상기 양극탭이 부착되고,
    상기 양극탭을 제외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2면중 상기 음극탭과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양극 무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은
    상기 양극판에 부착된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 무지부는
    상기 부착 영역과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영역은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및 곡면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음극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상기 음극탭이 부착되고,
    상기 음극탭을 제외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2면중 상기 양극탭과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음극 무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탭은
    상기 음극판에 부착된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무지부는
    상기 부착 영역과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영역은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및 곡면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8. 양극 활물질 및 양극탭을 갖는 양극판;
    음극 활물질 및 음극탭을 갖는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탭과 대응되는 상기 음극판에는 음극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극탭과 대응되는 상기 양극판에는 양극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양극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상기 양극탭이 부착되고,
    상기 양극탭을 제외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양극 집전판중 상기 음극탭과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양극 절개부가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은
    상기 양극판에 부착된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 절개부는
    상기 부착 영역과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영역은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및 곡면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음극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상기 음극탭이 부착되고,
    상기 음극탭을 제외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음극 집전판중 상기 양극탭과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음극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탭은
    상기 음극판에 부착된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절개부는
    상기 부착 영역과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영역은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및 곡면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5. 제 1 항 내지 상기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차 전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파우치 외장재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KR1020090093803A 2009-10-01 2009-10-01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KR101050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803A KR101050288B1 (ko) 2009-10-01 2009-10-01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JP2010135383A JP5490625B2 (ja) 2009-10-01 2010-06-14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二次電池
AT10171897T ATE539461T1 (de) 2009-10-01 2010-08-04 Elektrodenanordnung und wiederaufladbare batterie mit dieser
EP10171897A EP2306578B1 (en) 2009-10-01 2010-08-04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US12/852,400 US8765298B2 (en) 2009-10-01 2010-08-06 Electrode assembly having electrode plate with cutoff portion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CN201010294048.XA CN102034961B (zh) 2009-10-01 2010-09-28 电极组件和具有该电极组件的可再充电电池
JP2013146610A JP5612175B2 (ja) 2009-10-01 2013-07-12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二次電池
US14/303,422 US20140295266A1 (en) 2009-10-01 2014-06-12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803A KR101050288B1 (ko) 2009-10-01 2009-10-01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245A true KR20110036245A (ko) 2011-04-07
KR101050288B1 KR101050288B1 (ko) 2011-07-19

Family

ID=4306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803A KR101050288B1 (ko) 2009-10-01 2009-10-01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65298B2 (ko)
EP (1) EP2306578B1 (ko)
JP (2) JP5490625B2 (ko)
KR (1) KR101050288B1 (ko)
CN (1) CN102034961B (ko)
AT (1) ATE539461T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500A1 (ko) * 2012-05-23 2013-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5046893A1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WO2020209540A1 (ko) * 2019-04-10 2020-10-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열화가 개선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1750B2 (ja) * 2011-11-02 2014-11-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を搭載した車両
KR101590217B1 (ko) 2012-11-23 2016-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JP6307262B2 (ja) * 2013-12-17 2018-04-0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20150171431A1 (en) * 2013-12-17 2015-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37999B2 (en) * 2014-11-28 2021-03-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6859059B2 (ja) * 2015-09-30 2021-04-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926672B2 (ja) * 2017-05-23 2021-08-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19178099A1 (en) * 2018-03-12 2019-09-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Thin film ceramics that offer electric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using nanopowders of controlled compositions
EP3951927A4 (en) * 2019-03-29 2023-11-2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OLID STATE BATTERY
CN111682219A (zh) * 2020-05-29 2020-09-18 浙江锂威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阳极片、锂离子电池及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KR20230154713A (ko) * 2022-05-02 2023-11-0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전극,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296A (en) 1992-02-27 1993-07-20 Praxair Technology, Inc. Cryogenic rectification system with argon heat pump
KR19990002559U (ko) * 1997-06-27 1999-01-25 손욱 이차 전지용 양극판
JP3412473B2 (ja) * 1997-09-25 2003-06-0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薄型電極を用いた非水電解液電池
JP2001057203A (ja) 1999-08-19 2001-02-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ポリマー電池のタブ構造
JP3531552B2 (ja) * 1999-09-30 2004-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キャパシタ用電極構造体
KR100354250B1 (ko) * 2000-01-10 2002-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밀폐전지의 전극
JP2001256960A (ja) * 2000-03-10 2001-09-21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 池
JP4293501B2 (ja) * 2001-08-24 2009-07-08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KR100635761B1 (ko) * 2004-06-25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JP4559406B2 (ja) * 2005-12-29 2010-10-0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パウチ型電池
KR100947982B1 (ko) * 2006-03-28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80037197A (ko) 2006-10-25 2008-04-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CN201087907Y (zh) * 2007-03-23 2008-07-16 深圳市邦凯电子有限公司 锂电池负电极片结构
KR101025277B1 (ko) * 2007-10-30 2011-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500A1 (ko) * 2012-05-23 2013-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10516185B2 (en) 2012-05-23 2019-12-24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WO2015046893A1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US10135090B2 (en) 2013-09-25 2018-11-20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WO2020209540A1 (ko) * 2019-04-10 2020-10-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열화가 개선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39461T1 (de) 2012-01-15
KR101050288B1 (ko) 2011-07-19
US20110081570A1 (en) 2011-04-07
JP2013235841A (ja) 2013-11-21
JP5612175B2 (ja) 2014-10-22
US20140295266A1 (en) 2014-10-02
JP5490625B2 (ja) 2014-05-14
EP2306578A1 (en) 2011-04-06
CN102034961B (zh) 2014-11-05
CN102034961A (zh) 2011-04-27
EP2306578B1 (en) 2011-12-28
US8765298B2 (en) 2014-07-01
JP2011077025A (ja)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288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KR101310734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650417B1 (ko) 양극 집전체에 간헐적 무지부가 형성된 젤리 롤 형태 전극 조립체를 가진 이차전지
KR101147207B1 (ko) 전극군과 이를 적용한 이차 전지
US9825324B2 (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KR102155707B1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3890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JP2023511179A (ja) 断線防止層を含む電極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496270B (zh) 二次电池
KR20180080908A (ko) 전극 조립체
KR102221808B1 (ko) 이차 전지
KR10154305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1129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192092B1 (ko) 적층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US20220085461A1 (en) Secondary battery
KR101417280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376321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736543B1 (ko) 전극 조립체
KR102158143B1 (ko) 전극 조립체
KR20210048923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141123B1 (ko) 전극 조립체
KR102061309B1 (ko) 2차 전지
KR102188726B1 (ko) 전극 조립체
KR101584298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255528B1 (ko) 전극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