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906A -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906A
KR20110034906A KR1020090092393A KR20090092393A KR20110034906A KR 20110034906 A KR20110034906 A KR 20110034906A KR 1020090092393 A KR1020090092393 A KR 1020090092393A KR 20090092393 A KR20090092393 A KR 20090092393A KR 20110034906 A KR20110034906 A KR 20110034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ntainer
flange
plug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569B1 (ko
Inventor
한홍식
황민영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5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8Thermoforming apparatus
    • B29C51/20Thermo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입된 시트(S)를 가압하도록 상부 중앙에 로드(11)가 연결 설치된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와 수직되는 하방에 설치되어 요구하는 용기 형상이 되도록 바닥성형부(21), 측면부를 포함하는 스커트 성형부(22), 플랜지 성형부(23)가 마련된 캐비티(20)와; 중앙은 상기 로드(11)를 수용하는 제1관체(31)와, 제1관체(31)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플러그(10)를 수용하는 제2관체(32)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의 플랜지(2)부분을 가압 성형하기 위한 다운홀더(30)와; 상기 캐비티(2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용기(1)의 플랜지부(2) 가장자리를 커딩하는 커팅펀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공성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다운홀더(30)의 제2관체(32) 하면은, 성형되어질 포장용기(1)의 개구된 상부측 내경으로부터 플랜지부(2)의 형성과 함께 스커트 성형부(22)의 상부에 원터치 개방부재(C)의 테두리 저면을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턱부(3)가 직각되게 성형되도록 외측둘레에 단턱부(33)가 직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받침턱부(3)의 상면이 형성되기 위한 폭의 누름면(34)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면(34)으로부터 시트(S)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경사부(3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티(20)측 스커트 성형부(22)는 상기 제2관체(32)의 누름면(34)과 대응되는 단차턱(24)이 상기 플랜지 성형부(23)로부터 직각되게 형성되데, 상기 단차턱(24)의 내경으로부터는 성형직후 다운홀더(30)로부터 포장용기(1)의 오버랩이 방지되도록 경사각을 갖는 스커트 성형부(22)가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바,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다운홀더의 하부에 직각되는 단턱부의 형성과 아울러, 플랜지로부터 직각되는 내측에 받침턱부를 형성하는 누름면을 형성하고 시트와 간섭을 피하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용기의 플랜지부에서 발생되는 뭉침 현상을 방지하여 용기 본체에 대한 플랜지부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성형이 가능하고, 원터치 개방부재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용기를 수개 포갠 상태에서도 용기끼리의 끼임 발생을 없애 자동화 라인에서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비티측의 스커트 성형부는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용기를 취출이전까지 홀딩함으로써, 성형직후 용기가 다운홀더를 따라 상승되는 오버랩 동작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로서 연속생산이 가능하다.
압공성형, 포장용기, 플랜지, 캐비티, 다운홀더, 단턱부, 스커트 성형부

Description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Pressure forming apparatus having overlapping prevention structure to prevent poor molding flange portion of plastic package using pressure forming}
본 발명은 합성수지 포장용기를 압공성형하기 위한 압공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성형하고자 하는 포장용기의 본체 단면 두께에 비해 플랜지부분의 두께를 얇게 성형함과 동시에 내경도 사출성형에 의한 제품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압공성형에 따른 플랜지부의 절곡부분 배부름 현상을 없애 원터치 캔 타입과 같이 개방부재가 플랜지부에 실링되는 제품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용기의 적재시 끼임발생을 없애고, 성형직후 이격되는 플러그측으로 오버랩 되는 것을 방지하여 취출시 제품제조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 제작되는 포장용기는 주어진 한 쌍의 금형내에 수지가 주입되어 성형되는 사출성형이 있다.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시트를 성형하기에 알맞은 온도로 가열, 이송하여 일차적으로 시트를 압공하기 위한 플러그와, 용기의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용기형상으로 제작된 캐비티(cavity)와, 주어진 공기압(air pressure)으로서 시트를 캐비티측으로 밀착시켜 용기를 성형하도록 한 압공성형이 대표적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성형은 단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금형의 틈새에 수지가 주입되고, 순간 냉각공정으로서 요구하는 형상의 용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압공성형에 비해 정교한 형상의 사출성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출성형은 상,하 1조의 금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형하고자 하는 용기의 형상에 따른 설계비용 및 금형제작이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혼합된 합성수지를 이용한 성형만이 가능하기때문에 단면적이 다층구조인 포장용기의 성형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다층으로 이루어진 시트는 포장용기 내에 담기는 내용물의 유통기간을 길게 가져갈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식품 포장용기는 다층으로 제조된 시트를 이용, 압공성형한 포장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압공성형을 위한 압공장치를 살피면,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압공성형장치(100)로 인입된 시트(S)를 가압하는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와 수직되는 하방에 설치되어 요구하는 용기형상이 되도록 바닥성형부(21), 측면부를 포함하는 스커트 성형부(22), 플랜지 성형부(23)가 마련된 캐비티(20)와; 상기 플러그(10)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형성되는 용기(1)의 플랜지부(2)를 가압 성형하기 위한 다운홀더(30)와; 상기 캐비티(2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용기의 플랜지부 가장자리를 커팅하는 커팅펀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0)는 상부 중앙에 로드(11)가 연결 설치되어 다운홀더와 별개의 구동으로 상하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운홀더(30)의 중앙은 상기 로드(11)를 수용하는 제1관체(31)와, 제1관체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는 제2관체(32)로 형성되어지는바, 상기 제2관체의 하면은 용기의 플랜지부 상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평하게 형성되고, 제2관체(32)의 내경에는 플러그(10)가 작동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구조로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20)의 스커트 성형부(22)는 수직되면서 이어서 상기 플랜지 성형부가 직각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포장용기의 성형에 있어, 상기 스커트 성형부는 포장용기의 외측둘레에 소정의 폭으로 수직되는 부분으로서 향후 포장용기의 포장과정에서 라벨이 감싸지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공성형장치의 작용을 살피면, 도 2에서 발췌된 바와 같이 시트가 장치내로 안내되어 공급된 상태에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로 드와 연결된 플러그를 하방향으로 하강시켜 준다.
상기 플러그의 하강으로서 시트는 일차적으로 플러그에 의해 눌러져 캐비티내로 시트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다운홀더 또한 하강되며, 이때 장치로부터는 미도시된 공압의 공기압으로서 시트를 캐비티측에 밀착시켜 압공성형하고, 플랜지부분은 상기 다운홀더의 제2관체 하면에 의해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이어서, 상기 캐비티의 외측둘레에 설치된 커팅펀치로 하여금 플랜지부의 가장자리가 펀칭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이루어지고, 플러그 및 다운홀더는 상향복귀되며, 캐비티의 하부측에서 공기압으로서 성형된 포장용기를 취출해 줌으로써, 성형이 완성된 포장용기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공성형장치를 이용한 포장용기의 성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포장용기의 플랜지부를 납작하게 성형하는 과정에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의 내측은 다운홀더의 제2관체 하면이 가압함에 따라 시트의 밀림으로 뭉침현상(A)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뭉침현상(A)는 포장용기의 상부에 원터치 캔 타입으로 설치되는 개방부재의 실링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뭉침현상으로 인해 개방부재가 용기의 상부 내경으로 안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압공성형에 의한 포장용기 제품에는 원터치 개방부재의 적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 원터치 타입의 개방부재는 EOE(Easy Open End) 캔(Can)뚜겅을 사용하여 합성수지 용기의 상부에 시밍(Seaming)하고, 제품의 오픈시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 를 통해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부분으로, 여기에서는 합성수지 소재의 포장용기에 취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개방부재의 부착이전 포장용기를 성형한 제품은, 성형된 포장용기를 연속으로 포개어 놓는 공정상에 상기 뭉침현상은 각 용기의 끼임발생이 이루어져 자동화로서 용기를 각각 낱개로 제공하는 자동화라인의 생산과정에서 불량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용기를 성형하는 캐비티측 스커트 성형부는 수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성형직후 다운홀더와 플러그의 복귀과정에서 성형된 용기가 다운홀더에 순간 부착되어 따라 올라가는 예가 종종 발생되어 작동상의 오작동으로 인해 공정이 중단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완성된 포장용기를 이용한 포장에 있어서, 스커트 성형부의 외측둘레에 적용되는 라벨은 수직되는 외경에 그대로 감싸는 정도로만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제품의 취급, 유통과정시 라벨이 쉽게 벗겨지는 폐단이 있어 제품의 포장품질을 만족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포장용기의 본체 단면 두께에 비해 플랜지부분의 두께를 얇게 성형함과 동시에 내경도 사출성형에 의한 제품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압공성형에 따른 플랜지부의 절곡부분 배부름 현상을 없애 원터치 캔 타입과 같이 개방부재가 플랜지부에 실링되는 제품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용기의 적재시 끼임발생을 없애고, 성형직후 이격되는 플러그측으로부터 오버랩 되는 것을 방지하여 취출시 제품 생산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입된 시트를 가압하도록 상부 중앙에 로드가 연결 설치된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와 수직되는 하방에 설치되어 요구하는 용기형상이 되도록 바닥성형부, 측면부를 포함하는 스커트 성형부, 플랜지 성형부가 마련된 캐비티와; 중앙은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제1관체와, 제1관체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는 제2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의 플랜지부분을 가압 성형하기 위한 다운홀더와; 상기 캐비티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용기의 플랜지부 가장자리를 커팅하는 커팅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운홀더의 제2관체 하면은, 성형되어질 포장용기의 개구된 상부측 내경으로부터 플랜지부의 형성과 함께 스커트 성형부의 상부에 원터치 개방부재의 테두리 저면을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턱부가 직각되게 성형되도록 외측둘레에 단턱부가 직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받침턱부의 상면이 형성되기 위한 폭의 누름면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면으로부터 시트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티측 스커트 성형부는 상기 제2관체의 누름면과 대응되는 단차턱이 상기 플랜지 성형부로부터 직각되게 형성되데, 상기 단차턱의 내경으로부터는 성형직후 다운홀더로부터 포장용기의 오버랩이 방지되도록 경사각을 갖는 스커트 성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공성형장치는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다운홀더의 하부에 직각되는 단턱부의 형성과 아울러, 플랜지로부터 직각되는 내측에 받침턱부를 형성하는 누름면을 형성하고 시트와 간섭을 피하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용기의 플랜지부에서 발생되는 뭉침형상을 방지하여 용기 본체에 대한 플랜지부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성형이 가능하고, 원터치 개방부재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용기를 수개 포갠 상태에서도 용기끼리의 끼임발생을 없애 자동화 라인에서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비티측의 스커트 성형부는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용기를 취출이전까지 홀딩 함으로써, 성형직후 용기가 다운홀더를 따라 상승되는 오버랩 동작을 방지 하여 줌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로서 연속생산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인 압공성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압공시 플러그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스커트 성형부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인입된 시트(S)를 가압하도록 상부 중앙에 로드(11)가 연결 설치된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와 수직되는 하방에 설치되어 요구하는 용기 형상이 되도록 바닥성형부(21), 측면부를 포함하는 스커트 성형부(22), 플랜지 성형부(23)가 마련된 캐비티(20)와; 중앙은 상기 로드(11)를 수용하는 제1관체(31)와, 제1관체(31)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플러그(10)를 수용하는 제2관체(32)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의 플랜지(2)부분을 가압 성형하기 위한 다운홀더(30)와; 상기 캐비티(2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용기(1)의 플랜지부(2) 가장자리를 커팅하는 커팅펀치나이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공성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다운홀더(30)의 제2관체(32) 하면은, 성형되어질 포장용기(1)의 개구된 상부측 내경으로부터 플랜지부(2)의 형성과 함께 스커트 성형부(22)의 상부에 원터치 개방부재(C)의 테두리 저면을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턱부(3)가 직각되게 성형되도록 외측둘레에 단턱부(33)가 직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받침턱부(3)의 상면이 형성되기 위한 폭의 누름면(34)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면(34)으로부터 시트(S)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경사부(3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비티(20)측 스커트 성형부(22)는 상기 제2관체(32)의 누름면(34)과 대응되는 단차턱(24)이 상기 플랜지 성형부(23)로부터 직각되게 형성되되, 상기 단차턱(24)의 내경으로부터는 성형직후 다운홀더(30)로부터 포장용기(1)의 오버랩이 방지되도록 경사각을 갖는 스커트 성형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스커트 성형부(22)의 경사각은 향후 포장용기의 공기압 취출시 캐비티로부터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는 정도의 2~9°의 경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압공성형장치의 작동상에 따른 포장용기의 성형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공성형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구조는, 종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로드(11)와 함께 플러그(10), 다운홀더(30)의 하강으로서 일차적으로 시트(S)를 캐비티(20)측으로 위치시키고, 포장용기(1)의 가장자리인 플랜지부(2)의 형성은 다운홀더(30)의 제2관체(32)에 형성된 단턱부(33)와, 이와 상대적으로 대응되고 있는 캐비티(20)측 플랜지 성형부(23)에서 플랜지가 수평으로 성형되며, 성형된 상태에서 커팅펀치(40)에 의해 플랜지부(2)가 커팅처리되고, 이후 공기압으로서 성형된 포장용기(1)를 취출하는 방식으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부의 성형에 있어, 제2관체부의 하부측 누름면은 캐비티에 형성된 단차부(24)와 대응되어 용기의 받침턱부(3)를 성형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관체(32)의 누름면(34)과 이웃하는 경사부(35)는 캐비티측에 수지가 고압에 의해 밀착되는 과정에서 간섭되지 않게 작동되기 때문에 포장용기의 받침턱부(3)와 플랜지부(2)는 직각으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플랜지부(2)의 성형에 있어, 기존과 같이 플랜지의 내주연부분에 발생하는 배부른 뭉침현상을 없앨 수 있어, 용기(1)의 본체측 두께에 비해 플랜지의 두께를 30%이하로 얇게 성형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턱부(3)의 직각되는 면은 향후 포장용기(1)의 상부를 밀봉하는 원터치식 개방부재(C)가 안내되고, 플랜지부(2)의 끝단은 시밍되는 부분으로서, 플랜지부로부터 직각을 유지하여 개방부재의 안착 및 설치가 매끄럽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성형된 포장용기에 있어, 캐비티(20)의 스커트 성형부(22)는 첨부된 도 7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9°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어 성형직후 복귀되는 다운홀더(30)의 단턱부(33)에 영향을 받지 않고 캐비티(20)측 스커트 성형부(22)에서 취출전까지 홀딩이 이루어진다.
이는 포장용기(1)의 오버랩(용기가 다이홀더에 끼여 상승되는 현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불량,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인한 생산라인 정지동작 등과 같은 방해요인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소재의 포장용기 압공성형은 실질적으로 용기의 주요형상에 따른 성형을 담당하는 캐비티만의 교체로서 디자인 설계변경에 어려움이 없고, 종 래의 압공성형, 일반적인 사출성형, 열성형방법 보다 형상이 매우 정교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 생산 가격, 다층시트의 기능적인 제조에 따른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포장용기 압공성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압공성형장치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3은 종래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압공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인 압공성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압공시 플러그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스커트 성형부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포장용기 2: 플랜지부
3: 받침턱부 10: 플러그
20: 캐비티 22: 스커트 성형부
24: 단차턱 30: 다운홀더
33: 단턱부 34: 누름면
35: 경사부 40: 커팅펀치나이프
100: 압공성형장치 S: 시트

Claims (2)

  1. 인입된 시트(S)를 가압하도록 상부 중앙에 로드(11)가 연결 설치된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와 수직되는 하방에 설치되어 요구하는 용기 형상이 되도록 바닥성형부(21), 측면부를 포함하는 스커트 성형부(22), 플랜지 성형부(23)가 마련된 캐비티(20)와; 중앙은 상기 로드(11)를 수용하는 제1관체(31)와, 제1관체(31)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플러그(10)를 수용하는 제2관체(32)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의 플랜지(2)부분을 가압 성형하기 위한 다운홀더(30)와; 상기 캐비티(2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용기(1)의 플랜지부(2) 가장자리를 커팅하는 커팅펀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공성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다운홀더(30)의 제2관체(32) 하면은, 성형되어질 포장용기(1)의 개구된 상부측 내경으로부터 플랜지부(2)의 형성과 함께 스커트 성형부(22)의 상부에 원터치 개방부재(C)의 테두리 저면을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턱부(3)가 직각되게 성형되도록 외측둘레에 단턱부(33)가 직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받침턱부(3)의 상면이 형성되기 위한 폭의 누름면(34)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면(34)으로부터 시트(S)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경사부(3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티(20)측 스커트 성형부(22)는 상기 제2관체(32)의 누름면(34)과 대응되는 단차턱(24)이 상기 플랜지 성형부(23)로부터 직각되게 형성되되, 상기 단차턱(24)의 내경으로부터는 성형직후 다운홀더(30)로부터 포장용기(1)의 오버랩이 방지되도 록 경사각을 갖는 스커트 성형부(22)가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성형부(22)의 경사각은 2~9°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KR1020090092393A 2009-09-29 2009-09-29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KR101035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393A KR101035569B1 (ko) 2009-09-29 2009-09-29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393A KR101035569B1 (ko) 2009-09-29 2009-09-29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06A true KR20110034906A (ko) 2011-04-06
KR101035569B1 KR101035569B1 (ko) 2011-05-19

Family

ID=4404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393A KR101035569B1 (ko) 2009-09-29 2009-09-29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5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454A (ko) *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케이스 성형 장치 및 파우치 케이스 성형 방법
KR20190035541A (ko) * 2017-09-26 2019-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WO2019066430A1 (ko) * 2017-09-26 2019-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1318A (ja) * 1990-10-25 1992-06-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容器成形装置
JPH05254008A (ja) * 1992-03-13 1993-10-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容器成形装置及び容器本体
FR2694556B1 (fr) * 1992-08-05 1994-09-23 Atochem Elf Sa Procédé de purification du 1,1,1,2-tétrafluoroéthane.
JP3755098B2 (ja) * 1997-11-10 2006-03-1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シート成形金型およびシート成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454A (ko) *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케이스 성형 장치 및 파우치 케이스 성형 방법
KR20190035541A (ko) * 2017-09-26 2019-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WO2019066430A1 (ko) * 2017-09-26 2019-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CN111132814A (zh) * 2017-09-26 2020-05-08 Cj第一制糖株式会社 容器模制装置、容器和容器模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569B1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5037B2 (ja) 物体及びカップ状本体を有する物体を得る方法及び装置
JP5705925B2 (ja) 装置及び方法
US20100287893A1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for closing containers with lids
KR101035569B1 (ko)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KR20160045757A (ko)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EP247652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paper end with a pressed chuck wall
RU2018134196A (ru) Вогнутая торцевая крышка банки
EP2222448B1 (en) Preform for a plastic container
JP5433777B2 (ja) 蓋整形装置
US118069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concave object
US3784342A (en) Apparatus for deep drawings containers of thermoplastic film material
US3799821A (en) Method for making thin walled thermoplastic pressure vessels
KR101459748B1 (ko) 플라스틱 용기의 리밍 성형장치
EP2539137B1 (en)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closure
US20030038103A1 (en) Food can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can
KR102056136B1 (ko) 충전 장치
US688741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ression moulding a closure cap
US7454827B2 (en) Threaded pedestal cup
JP5603742B2 (ja) キャップ用ライナー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262214B1 (ko) 직립 적층이 용이한 식품용 포장용기
CN111132814B (zh) 用于形成容器的装置和方法,以及容器
US20240099943A1 (en) Method, machine and plant for the production of pasty or semisolid cosmetic products with a relief surface finishing
US201602143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plastics material containers while preventing stress whitening
KR200436645Y1 (ko) 캡 가공장치
JPH04201319A (ja) 容器成形装置および容器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