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230A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230A
KR20110034230A KR1020090091697A KR20090091697A KR20110034230A KR 20110034230 A KR20110034230 A KR 20110034230A KR 1020090091697 A KR1020090091697 A KR 1020090091697A KR 20090091697 A KR20090091697 A KR 20090091697A KR 20110034230 A KR20110034230 A KR 20110034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exchange membrane
proton exchange
polymer electrolyte
bipol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배
장대정
박동희
조형래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메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메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메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230A/ko
Publication of KR2011003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01M8/0208Alloys
    • H01M8/021Alloys based on ir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고분자막 구조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판은, 다수의 단위 셀이 적층된 스택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프로톤(Proton)만 선택적으로 전달시키는 막을 구비한 고분자막 구조체의 양측에 부착되어 단위 셀을 형성하며,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고, 유로 형성을 위한 기계적 가공 후 표면처리를 하기 전에 가공 표면의 응력 집중부 및 가공 결함이 제거되도록 전해 연마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해 연마는, 인산 45 wt%, 황산 41 wt%, 증류수 14 wt%로 이루어진 전해액을 이용하여, 70℃, 0.75A/㎠의 전류밀도로 3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계 가공을 한 후 전해 연마를 통해 그 표면에서 금속용출이 일어나게 하므로, 분리판의 표면 평활도와 광택도 및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내부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가 용이해진다.
연료전지, 전해질, 분리판, 스테인리스강, 316L, 전해 연마, 전해액, 표면처리, 응력집중, 결함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Bipolar Plate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고분자막 구조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리판의 재료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을 표면처리 하기 전에 전해 연마를 통해 기계적 가공에 따른 응력 집중 및 결함을 해소함으로써 표면처리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수소연료전지란, 수소가 가진 화학적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에너지 변환장치로서, 작동온도와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된다. 그 중에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는 다른 종류의 연료전지보다 낮은 작동온도와 높은 출력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자동차 및 가정용 연료전지에 적합하다.
통상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셀(Cell)들이 적층된 스택(Stack) 구조로 형성되며,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촉매를 포함하며 프로톤(Proton)만 선택적으로 전달시키는 막(Membrane)을 구비한 고분자 막 구조체(10)와,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10)의 양측에 부착되어 단위 셀을 형성하는 분리판(Bipolar Plate, 20)과, 연료와 냉각수의 출입구가 구비되며 스택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단위 셀들을 지지해 주는 엔드 플레이트(End Plate, 3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30)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20)는, 전해질에서의 화학 반응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내식성의 흑연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엔드 플레이트(30)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20)의 재료로 사용되는 흑연복합재료는 가공성이 부족하고 박막화가 어려워 가격 경쟁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연료 전지의 주요한 용도인 자동차에 적용하기에는 기계적 강도와 피로 특성이 취약하여 적용이 곤란하다.
이에 따라 내식성을 유지하고 높은 기계적 강도와 스탬핑 등에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는 금속 기반의 엔드 플레이트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개발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금속은 부식에 취약할 뿐 아니라 알루미늄과 같이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한 경우에도 충분한 내부식성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작동환경에서는 황산수용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엔드 플레이트(30) 및 분리판(20)은 우수한 내부식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하고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30) 및 분리판(20)을 제작할 때 주로 사용되는 흑연복합재료는 가공성이 부족하고 박막화가 어려워 가격 경쟁력이 낮은 단 점이 있다. 특히, 연료 전지의 주요한 용도인 자동차에 적용하기에는 기계적 강도와 피로 특성이 취약하여 적용이 곤란하다.
이에 따라 내식성을 유지하고 높은 기계적 강도와 스탬핑 등에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금속을 기반으로 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분리판의 개발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금속은 부식에 취약할 뿐 아니라 알루미늄과 같이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한 경우에도 충분한 내부식성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분리판(20)은, 연료와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유로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CNC 밀링과 같은 가공기구로 구멍을 천공하는 등 기계적 가공을 요구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계적 가공은 가공 표면에 미세한 응력 집중부가 다수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가공 결함을 야기하게 되고, 이들 응력 집중부 및 가공결함으로 인하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를 장시간 사용할 때 내구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은 유로가 형성되도록 기계적 가공을 하게 되므로 가공 표면에 응력 집중부 및 가공 결함이 형성되어, 장시간 사용시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을 표면처리 하기 전에 기계 가공으로 인한 응력 집중을 해소하고 가공 결함을 제거함으로써 내구성이 개선됨과 아울러 내부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은, 다수의 단위 셀이 적층된 스택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프로톤만 선택적으로 전달시키는 막을 구비한 고분자막 구조체의 양측에 부착되어 단위 셀을 형성하며,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고, 유로 형성을 위한 기계적 가공 후 표면처리를 하기 전에 가공 표면의 응력 집중부 및 가공 결함이 제거되도록 전해 연마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따르면, 상기 전해 연마는, 인산 45 wt%, 황산 41 wt%, 증류수 14 wt%로 이루어진 전해액을 이용하여, 70℃, 0.75A/㎠의 전류밀도로 3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따르면, 상기 전해 연마는 기계적 연마 후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은,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계 가공을 한 후 전해 연마를 통해 그 표면에서 금속용출이 일어나게 하므로, 분리 판의 표면 평활도와 광택도 및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내부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엔드 플레이트용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의 전해 연마 전후의 표면 형상이 도시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은, 다수의 단위 셀이 적층된 스택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프로톤만 선택적으로 전달시키는 막을 구비한 고분자막 구조체의 양측에 부착되어 단위 셀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며, 유로 형성을 위한 기계적 가공 후 표면처리를 하기 전에 가공 표면의 응력 집중부 및 가공 결함이 제거되도록 전해 연마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스테인리스강은 박막의 부식층을 이용하여 내부를 보호하는 고내식성의 재료로서, 황산 수용액이 발생할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작동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은 그 조성에 따라 STS 304, STS 316L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몰리브덴(Mo)의 함유 여부에 의해 304 등급과 316L 등급이 구분되고 있다.
316L 등급의 스테인리스강은, 그 조성이 C: 0.024 wt%, Cr: 16.83 wt%, Ni: 10.62 wt%, Mo: 2.07 wt%, Mn: 1.13 wt%, Si: 0.56 wt%, P: 0.028 wt%, S: 0.004 wt% 와 잔부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304 등급의 스테인리스강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316L 등급의 스테인리스강은 우수한 가공성과 낮은 가격의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전해 연마는, 인산 45 wt%, 황산 41 wt%, 증류수 14 wt%로 이루어진 전해액을 이용하며, 상기 전해액의 온도를 70℃로 유지한 상태에서 0.75A/㎠의 전류밀도로 전류를 3분 동안 공급하여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전해 연마를 하기 전에 기계적 연마를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전해 연마를 통해 응력 집중을 해소하고 가공 결함을 해소할 수도 있지만 전해 연마에 따라 전력이 소모되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 연마를 통해 응력 집중이나 가공 결함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기계적 연마는, 사포 등급을 #100, #200, #320, #800, #1200, #2000 순으로 상향시키면서 순차 연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기계적 연마가 끝나면 20~35℃의 아세톤 용액에서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15분 동안 세척한다.
일반적으로 분리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게 되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는 다수의 스크래치 형상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기계적 연마 후에 전해 연마를 실시하면 도 2의 (b)와 같이 결함으로 작용할 수 있는 스크래치가 거의 완전히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의 내구성이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며, 가공 결함이나 응력 집중부가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표면처 리가 훨씬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전해 연마가 끝나면 전해액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을 실시한다. 즉, 60~80℃의 온수에 20~40초 동안 담근 후 13~35℃의 사용하지 않은 전해액 또는 묽은 질산수용액에 20~40초 동안 담근다. 그리고 다시 60~80℃의 온수에 20~40초 동안 담근 후, 최종적으로 20~35℃의 아세톤 용액에서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15분 동안 세척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판에 남아 있는 전해액이 완전히 제거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의 전해 연마 전후의 표면 형상이 도시된 참고도.

Claims (3)

  1. 다수의 단위 셀이 적층된 스택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프로톤(Proton)만 선택적으로 전달시키는 막을 구비한 고분자막 구조체의 양측에 부착되어 단위 셀을 형성하며,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고, 유로 형성을 위한 기계적 가공 후 표면처리를 하기 전에 가공 표면의 응력 집중부 및 가공 결함이 제거되도록 전해 연마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는, 인산 45 wt%, 황산 41 wt%, 증류수 14 wt%로 이루어진 전해액을 이용하여, 70℃, 0.75A/㎠의 전류밀도로 3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는 기계적 연마 후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KR1020090091697A 2009-09-28 2009-09-28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KR20110034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697A KR20110034230A (ko) 2009-09-28 2009-09-28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697A KR20110034230A (ko) 2009-09-28 2009-09-28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230A true KR20110034230A (ko) 2011-04-05

Family

ID=4404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697A KR20110034230A (ko) 2009-09-28 2009-09-28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2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6131A (zh) * 2014-01-17 2014-04-23 三峡大学 一种pem燃料电池复合双极板及其制备方法
CN114284520A (zh) * 2021-11-16 2022-04-0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减少燃料电池钛金属双极板表面微观缺陷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6131A (zh) * 2014-01-17 2014-04-23 三峡大学 一种pem燃料电池复合双极板及其制备方法
CN114284520A (zh) * 2021-11-16 2022-04-0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减少燃料电池钛金属双极板表面微观缺陷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120B2 (en) Stainless steel sheet for fuel cell separators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873176B1 (ko)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용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용 스테인리스강,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그리고 연료 전지
TWI472088B (zh) Stainless steel for fuel cell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S2218081T3 (es) Placa bipolar para su uso en celdas de combustible de electrodos de polimero.
CN103717769B (zh) 燃料电池隔板用不锈钢
CN105088303A (zh) 一种7050超厚铝合金的硬质阳极化工艺方法
JP6144006B2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ステンレス鋼、燃料電池セパレータ、ならびに燃料電池
JP2001214286A (ja) 通電部品用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TWI489679B (zh) 燃料電池用分隔構件及其製造方法
KR20140034181A (ko) 스테인레스 강의 판 또는 시트의 표면 콘디셔닝 및 표면 상에 층의 도포 방법, 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인터커넥트 판 및 연료 전지 스택에서의 인터커넥트 판의 사용
KR20170063900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재와, 이것을 이용하는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CN103717772A (zh) 燃料电池隔板用不锈钢
KR20110034230A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
JP2011038166A (ja) 燃料電池用通電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574759A (zh) 用于燃料电池双极板的铁素体不锈钢、表面粗糙度的调控方法、形成钝化膜的方法和用途
KR101130799B1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엔드 플레이트용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처리 방법
US10622643B2 (en) Carbon separator for solid polymer fuel cell, solid polymer fuel cell, and solid polymer fuel cell stack
KR101312861B1 (ko) 내식성 및 접촉저항이 우수한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분리판 제조방법
CN107317043A (zh) 一种铝合金双极板表面石墨烯/二氧化锡三明治结构薄膜的制备方法
US20240006621A1 (en) Stainless steel sheet for fuel cell separators
KR20130033820A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금속 연결재 코팅방법
JP5363316B2 (ja) 燃料電池素子用導電板
JP2020095795A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Arwati et al. Corrosion Analysis on AMS 4050 Aluminum Metal in an Extreme Acid Rain Environment by Weight Loss Method
JP2020111806A (ja) 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セル、並びに燃料電池スタ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