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643A -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643A
KR20110033643A KR1020090091210A KR20090091210A KR20110033643A KR 20110033643 A KR20110033643 A KR 20110033643A KR 1020090091210 A KR1020090091210 A KR 1020090091210A KR 20090091210 A KR20090091210 A KR 20090091210A KR 20110033643 A KR20110033643 A KR 2011003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headset
sensor
bluetooth
power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순
김덕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643A/ko
Priority to US12/862,982 priority patent/US20110077056A1/en
Publication of KR2011003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은 파워 오프 모드, 파워 온 모드 및 센서 모드의 동작 모드를 포함하며, 센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의 상태 정보(착용 또는 미착용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라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블루투스, 헤드 셋, 전원 온/오프, 센서, Bluetooth

Description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BLUETOOTH HEADSET}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 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를 이용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Jigbee), UWB(Ultra Wide Band)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거리가 비교적 짧고, 이동성을 고려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기기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도 증가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과 휴대 단말기 사이에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고도 일정 범위 내에서 통화 및 음악 감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블루투스 헤드 셋(Bluetooth Headset)의 전원(Power)은 항상 온(ON)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항상 온시키는 것은 배터리 소모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 어, 사용자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을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어 실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배터리 부족으로 블루투스 헤드 셋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 블루투스 헤드 셋은 상기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블루투스 헤드 셋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Power)을 오프(OFF)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헤드 셋의 상태 정보 즉, 착용 여부를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함으로써,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에 대한 오인식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을 센서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는 과정과, 상기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에 대응하는 상기 센서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의 상태 정보 즉, 착용 여부를 센싱하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이 착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온시켜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블루투스 헤드 셋의 상태 정보에 대한 센싱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블루투스 통신부(150), 제 어부(110), 저장부(120), 센서부(130), 모드 선택부(140), 배터리(170) 및 오디오 처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파워 온 모드, 파워 오프 모드 및 센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140)를 이용하여 센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1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컨대 온도 센서, 광센서,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등)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따른 센서부(130)의 출력 신호에 따라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블루투스 통신부(150)가 수신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전송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특정 단말기(예컨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특정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특정 단말기가 재생하고 있는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0)를 통해 전송받고, 이를 스피커(SPK)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140)가 파워 오프 모드로 설정된 경우 배터리(17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오픈(Open)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140)가 파워 온 모드로 설정된 경우 배터리(170)는 제어부(110)의 부팅 단자(BOOT)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10)에 부팅 신호를 공급하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140)가 센서 모드로 설정된 경우 배터리(170)는 상기 센서부(130)의 전원 단자(VDD)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70)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특정 단말기와 제어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조회(Inquiry) 신호 수신 시, 상기 조회 신호에 대한 조회 응답 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0)는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 요청 신호 수신 시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고유 주소인 블루투스 어드레스(BD_ADDR), 단말기의 종류(Class of Device), 페이지 스캔 반복 모드(Page Scan Repetition Mode), 페이지 스캔 모드(Page Scan Mode), 클럭 오프셋(Clock Offset), 모델명 등을 상기 특정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0)는 특정 단말기가 송신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0)는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인증을 위한 핀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0)는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30)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특정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채널 연결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사용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고유 핀(PIN) 코드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고유 주소인 블루투스 어드레스(BD_ADDR), 슬레이브 단말기의 종류(Class of Device), 페이지 스캔 반복 모드(Page Scan Repetition Mode), 페이지 스캔 모드(Page Scan Mode), 클럭 오프셋(Clock Offset) 및 모델명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상기 센서부(130)에 의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이 온되면,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형성할 특정 단말기(예컨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14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동작 모드는 파워 오프 모드, 파워 온 모드 및 센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오프 모드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이 차단된 모드를 의미하고, 상기 파워 온 모드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각 구성에 전원이 항상 공급되는 모드를 의미하며, 상기 센서 모드는 상기 센서부(130)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모드 선택부(140)는 배터리(170)가 연결되는 입력 단자(IN)와 파워 오프 모드 시 상기 입력 단자(IN)와 연결되는 오프 단자(OFF), 파워 온 모드 시 상기 입력 단자(IN)와 연결되는 온 단자(ON) 및 센서 모드 시 상기 입력 단자(IN)와 연결되는 센서 단자(S)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드 선택부(140)는 파워 오프 모드 시 입력 단자(IN)와 오프 단자(OFF)를 연결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10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파워 온 모드 시 입력 단자(IN)와 온 단자(ON)를 연결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100)에 전원을 항상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부(140)는 센서 모드 시 입력 단자(IN)와 센서 단자(S)를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170)의 전원을 상기 센서부(130)의 전원 단자(VDD)에 공급함으로써, 센서부(130)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상태 정보 즉, 착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모드 선택부(140)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동작 모드가 센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배터리(170)로부터 전원 단자(VDD)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130)는 온도 센서, 광 센서,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0)가 온도 센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온도 센서가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 조건(예컨대 30 도 이상 39 도 미만)을 인식하면 상기 센서부(130)는 사용자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부(130)의 출력 단자(OUT)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온시키는 제1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신호는 제어부(110)의 부팅 단자(BOOT)에 전송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가 광 센서로 형성된 경우 기 설정된 값 이하의 빛이 광센서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130)는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부(130)의 출력 단자(OUT)를 통해 제1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센서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 착용 시 빛이 차단될 수 있는 위치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가 터치 센서로 형성된 경우 상기 터치 센서에서 일정 시간 이상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130)는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부(130)의 출력 단자(OUT)를 통해 제1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센서는 가방 등에서 책, 지갑 등의 터치 발생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가 기울기 센서로 형성된 경우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착용했을 때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 값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부(130)는 센서부(130)의 출력 단자(OUT)를 통해 제1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30)가 상술한 센서들 중 하나의 센서만을 포함하는 경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상태 정보를 오인식할 확률이 높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30)가 온도 센서만을 포함하고,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센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도 센서를 터치한 상태로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들고 있는 경우 상기 센서부(130)는 제1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전원 온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가 광 센서만을 포함하고,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센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가방 속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광센서에서 기준 값 이하의 빛이 감지되므로 상기 센서부(130)는 제1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130)는 상술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센서부(130)는 두 개의 센서가 모두 블루투스 헤드 셋(100)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경우 제1신호를 출력하고, 어느 하나의 센서라도 블루투스 헤드 셋(100) 미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경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두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센서부(130)에 세 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시키고, 상기 세 개 이상의 센서가 모두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센서부(130)를 활성화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센서부(130)에 다수 개(예컨대 세 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시키고 기 설정된 개수 이상(예컨대 두 개)의 센서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센서부(130)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블루투스 통신 채널 형성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는 모드 선택부(140)에 의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동작 모드가 센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센서부(130)의 출력 신호에 따라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 부(130)가 활성화 되어 제1신호가 부팅 단자(BOOT)에 입력되는 경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신호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센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센서부(1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센서부(130)의 출력 단자(OUT)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센서 모드로 설정된 경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귀에 착용하는 동작만으로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30)가 비활성화 되어 제2신호가 제어부(110)의 부팅 단자(BOOT)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특정 단말기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 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기에 통신 채널 연결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신호는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센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센서부(1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미착용 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센서부(130)의 출력 단자(OUT)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상기 모드 선택부(140)를 통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센서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켜,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 온/오프가 제어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301 단계에서 센서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센서부(130)는 배터리(170)로부터 전원 단자(VDD)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0)는 온도 센서, 광 센서,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303 단계에서 센서부(130)가 활성화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0)는 센서부(1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30)는 출력 단자(OUT)를 통해 제1신호를 제어부(110)의 부팅 단자(BOOT)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303 단계에서 센서부(130)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305 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 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부팅 단자(BOOT)에 제1신호 입력 시 부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센서부(130)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즉, 센서부(130)에 포함된 센서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 미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센서부(130)는 출력 단자(OUT)를 통해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이전 상태가 전원 온 상태인 경우 후술하는 309 단계로 진행하여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10)는 부팅 절차가 완료되면 기 설정된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단말기 역시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연결되면, 블루투스 통신부(150)를 통해 일정 주기로 통신 채널 연결을 확인하는 신호를 특정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악 파일 재생 신호 또는 음성 통화 신호를 전송받아 오디오 처리부(160)의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100)과 특정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채널 형성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307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130)가 비활성화 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0)는 센서부(130)에 포함된 센서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미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30)는 출력 단자(OUT)를 통해 제2신호를 제어부(110)의 부팅 단자(BOOT)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307 단계에서 센서부(130)가 비활성화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상기 308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음악 파일 재생, 음성 통화 등을 수행하거나, 블루투스 헤드 셋(100)을 대기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307 단계에서 센서부(130)가 비활성화 되면 제어부(110)는 309 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형성된 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채널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311 단계에서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센서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상기 3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센서 모드가 종료되면 블루투스 헤드 셋(100)은 모드 선택부(140)에 의해 선택된 파워 오프 모드 또는 파워 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상태 정보 즉,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착용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 상기 센서부(130)가 상술한 센서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30)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가 모두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제1신호를 출력하고, 어느 하나의 센서라도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미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센서부(130)에 다수 개(예 컨대 세 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시키고 기 설정된 개수(예컨대 두 개) 이상의 센서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센서부(130)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다수 개의 센서를 동시에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상태 정보(착용 또는 미착용)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센서부(130)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이하 제1센서)가 블루투스 헤드 셋(100)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면, 상기 제1센서와 구분되는 제2센서를 구동시켜 블루투스 헤드 셋(100)의 상태 정보를 재확인하도록 하여 상기 제1센서가 인식한 블루투스 헤드 셋의 상태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이 착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온시켜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블루투스 헤드 셋의 상태 정보에 대한 센싱 오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 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2)

  1.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을 센서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는 과정과,
    상기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과정은
    광센서, 터치 센서, 온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어느 하나의 센서와 구분되는 타 센서를 구동시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를 재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과정은
    광센서, 터치 센서, 온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이 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를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서가 모두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온 시키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이 미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이 온된 후 기 설정된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헤드 셋 미착용 상태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기에 통신 채널 연결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7.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에 대응하는 상기 센서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파워 온 모드, 파워 오프 모드 및 센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 센서, 온도 센서,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센서와 구분되는 타 센서를 구동시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착용 여부를 재확인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 센서, 온도 센서,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서가 모두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이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온하는 제1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이 미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오프하는 제2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이 온되면, 기 설정된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미착용 상태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장치.
KR1020090091210A 2009-09-25 2009-09-25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33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10A KR20110033643A (ko) 2009-09-25 2009-09-25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862,982 US20110077056A1 (en) 2009-09-25 2010-08-2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bluetooth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10A KR20110033643A (ko) 2009-09-25 2009-09-25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643A true KR20110033643A (ko) 2011-03-31

Family

ID=4378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210A KR20110033643A (ko) 2009-09-25 2009-09-25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77056A1 (ko)
KR (1) KR2011003364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102A (ko) * 2014-04-17 2015-10-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정보 표시 제어 방법
KR20160111716A (ko) * 2015-03-17 2016-09-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골프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41437A (ko) * 2015-06-01 2016-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CN106911986A (zh) * 2017-03-21 2017-06-30 青岛中云时代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蓝牙耳机的模式选择电路及蓝牙耳机
US10007325B2 (en) 2014-12-05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WO2022030746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1675B (zh) * 2010-07-21 2014-01-01 Mstar Semiconductor Inc 可自動切換運作模式的可攜式電子裝置
US20130060721A1 (en) 2011-09-02 2013-03-07 Fria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of for-hire vehicle meters and medallions
US9037852B2 (en) 2011-09-02 2015-05-19 Ivsc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 control of for-hire vehicles
US8952869B1 (en) 2012-01-06 2015-02-10 Google Inc. Determining correlated movements associated with movements caused by driving a vehicle
US9230501B1 (en) 2012-01-06 2016-01-05 Google Inc. Device control utilizing optical flow
US8995908B2 (en) * 2012-01-25 2015-03-31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enhanced out of band (OOB) bluetooth pairing and related methods
US8907867B2 (en) 2012-03-21 2014-12-09 Google Inc. Don and doff sensing using capacitive sensors
US10469916B1 (en) 2012-03-23 2019-11-05 Google Llc Providing media content to a wearable device
US9386133B2 (en) * 2014-08-05 2016-07-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oice control module for mobile instruments
CN104504887B (zh) * 2015-01-06 2018-09-04 连宁 一种无线遥控的控制方法及系统
WO2017010760A1 (en) 2015-07-10 2017-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b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US10512750B1 (en) * 2016-12-28 2019-12-24 X Development Llc Bone conduction speaker patch
US10045111B1 (en) 2017-09-29 2018-08-07 Bose Corporation On/off head detection using capacitive sensing
JP7101474B2 (ja) * 2017-12-22 2022-07-1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8770046B (zh) * 2018-04-08 2021-04-30 天芯智能(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的节省电量的方法
US10812888B2 (en) 2018-07-26 2020-10-20 Bose Corporation Wearable audio device with capacitive touch interface
CN109348346B (zh) * 2018-11-29 2024-03-0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及其佩戴检测装置
CN209462561U (zh) * 2019-02-20 2019-10-01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按键控制装置及耳机
KR20210031168A (ko) * 2019-09-11 2021-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10474403A (zh) * 2019-09-23 2019-11-19 深圳市安特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与蓝牙耳机通信的充电底座及实现方法
CN110839190B (zh) * 2019-11-15 2022-01-07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佩戴检测方法、装置、耳机及可读存储介质
US11204649B2 (en) * 2020-01-30 2021-12-21 SA Photonics, Inc. Head-mounted display with user-operated control
US11275471B2 (en) 2020-07-02 2022-03-15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with flexible circuit for capacitive interface
CN112261536B (zh) * 2020-10-20 2023-08-04 深圳市凯狮博电子有限公司 耳机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4827350A (zh) * 2020-12-21 2022-07-29 深圳市爱都科技有限公司 智能手表和智能手表的通话方法
CN113473429A (zh) * 2021-06-29 2021-10-01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网络连接方法、装置、介质、程序产品及Wi-Fi耳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0332B1 (en) * 2000-02-21 2006-03-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Publ) Wireless headset with automatic power control
KR100933116B1 (ko) * 2003-02-07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3축 회전 헤드셋
US8045727B2 (en) * 2005-09-30 2011-10-25 Atmel Corporation Headset power management
US20080260169A1 (en) * 2006-11-06 2008-10-23 Plantronics, Inc. Headset Derived Real Time Presence And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8157730B2 (en) * 2006-12-19 2012-04-17 Valencell, Inc.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8009874B2 (en) * 2007-08-10 2011-08-30 Plantronics, Inc. User validation of body worn device
US8315876B2 (en) * 2008-05-09 2012-11-20 Plantronics, Inc. Headset wearer identity authentication with voice print or speech recognition
US8760310B2 (en) * 2008-11-06 2014-06-24 Plantronics, Inc. Clip-worn device with DON/DOFF sensor
US8275412B2 (en) * 2008-12-31 2012-09-25 Motorola Mobility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irectional proximity sensors based on device orient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102A (ko) * 2014-04-17 2015-10-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정보 표시 제어 방법
US10007325B2 (en) 2014-12-05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KR20160111716A (ko) * 2015-03-17 2016-09-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골프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41437A (ko) * 2015-06-01 2016-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CN106911986A (zh) * 2017-03-21 2017-06-30 青岛中云时代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蓝牙耳机的模式选择电路及蓝牙耳机
CN106911986B (zh) * 2017-03-21 2022-07-12 青岛中云时代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蓝牙耳机的模式选择电路及蓝牙耳机
WO2022030746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7056A1 (en)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3643A (ko)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TWI645311B (zh) 用於行動終端機的應用程式控制方法及設備、耳機裝置和應用程式控制系統
JP6400124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装置
KR102384519B1 (ko) 이어 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07813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data transfer in local area network
KR2017006705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001813B2 (en) Radio system with configurable links
TW201508550A (zh) 環形穿戴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209068B1 (ko)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을 재연결하는 방법
KR20110028056A (ko)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및 시스템
US20100279608A1 (en) Bluetooth device
US10970989B1 (en) Proximity alert device and method
US7272410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radio connection
CN104618831A (zh) 无线智能耳机
EP4099714A1 (e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ES2951110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ara reducir el consumo de energía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del mismo
EP3255810B1 (en) Wearable device
JP2019110524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CN112042176B (zh)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US20230097491A1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pairing support signal and method operating the same
CN115278427A (zh) 无线附件通知
KR20110025427A (ko) 소형무선단말기의 분실 경보장치
JP2008124745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電源制御方法
WO2023233816A1 (ja) 聴音装置及び聴音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021703B2 (ja) 生体情報送信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