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514A -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 Google Patents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514A
KR20110033514A KR1020090091050A KR20090091050A KR20110033514A KR 20110033514 A KR20110033514 A KR 20110033514A KR 1020090091050 A KR1020090091050 A KR 1020090091050A KR 20090091050 A KR20090091050 A KR 20090091050A KR 20110033514 A KR20110033514 A KR 20110033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block portion
compartment
sofa structure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모
료 야마모토
박창욱
황인섭
고계원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데코컨설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데코컨설턴트(주)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514A/ko
Publication of KR2011003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초층(110) 위에 설치된 후방블록부(200);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 상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방격실(310)이 형성되고, 그 외해측면에 상기 적어도 일부 전방격실(310)과 통하는 전방슬릿(320)이 형성된 전방블록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을 제시한다.
소파구조물, 케이슨(100), 안벽, 방파제, 호안

Description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QUAY WALL, BREAKWATER AND SEAWALL HAVING CAISSON}
본 발명은 항만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소파(消波)구조물이란, 파랑(wave)의 에너지를 소산(消散)시켜 해안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호안(護岸), 배의 접안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안벽(岸壁), 외항의 파랑으로부터 내항을 보호하기 위한 방파제(防波堤) 등을 포함하는 통칭이다.
도 1,2는 종래의 케이슨식 방파제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기초지반 위에 사석 등에 의한 기초층(1)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수의 케이슨(cassion)(10)을 복수개 설치한 후, 케이슨(10)의 내부에 모래 등의 충진재(12)를 채움으로써 벽체의 안정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한편, 케이슨(10)의 상부에는 상치 구조물(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슨(10)이 사용되는 이유는 벽체를 형성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함으로써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수심이 깊은 경우 안벽 구 조물의 형성을 위해 사석의 양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슨(10)의 외해측면에는 다수의 슬릿(11)이 형성되는데, 이는 슬릿(11)을 통해 파랑이 유입 및 유출되면서 에너지가 소산되도록 하여, 해안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케이슨(10)은 항만의 소파구조물에 적합하게 대형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규모 및 무게가 상당히 크다.
따라서, 케이슨(10)의 규모 및 무게를 줄여서 경제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현저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슨의 소파능력을 극대화하고, 경제성 및 시공성 등의 측면에서 월등히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초층(110) 위에 설치된 후방블록부(200);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 상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방격실(310)이 형성되고, 그 외해측면에 상기 적어도 일부 전방격실(310)과 통하는 전방슬릿(320)이 형성된 전방블록부(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을 제시한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후방블록부(200) 측 후방부보다 그 전방부의 좌우방향(좌표 X)에 따른 폭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적어도 일부분의 좌우방향(좌표 X)에 따른 폭이, 상기 후방블록부(200)로부터 외해를 향하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그 평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그 평면의 원의 일부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될 수 있 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상기 후방블록부(200)과 연접되는 후방면 이외 나머지 면에 각각 상기 전방슬릿(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슬릿(320)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격실(310)은 상하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소정 높이에서부터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소정 높이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외해를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일부에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상기 기초층(110) 위에 설치된 본체부(202) 및, 상기 본체부(202)의 전방부 위에 돌출 형성된 상부 돌출부(206)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상기 후방블록의 소정 높이에서부터 상기 상부 돌출부(206)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블록부(300)에 상기 후방격실(210)과 바로 통하는 전방슬릿(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슬릿(320)과 통하는 전방격실(310)이 상기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적어도 일부 후방격실(210)과 통하도록 전후연결슬릿(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 상측부 중 상기 전방블록부(300)가 돌출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상기 후방격실(210)과 통하는 외해측면 후방슬릿(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되며, 그 내해측면에 상기 후방격실(210)과 통하는 내해측면 후방슬릿(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복수개의 후방격실(210)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적어도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의 유입 및 유출이 차단된 후방격실(210)에 충진재(24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내해를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케이슨(100)을 서로 연접되도록 열지어 설치한 안벽, 잠제, 이안제, 방파제, 호안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슨의 소파능력을 극대화하고, 경제성 및 시공성 등의 측면에서 월등히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은, 기본적으로, 기초층(110) 위에 설치된 후방블록부(200)와;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 상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방격실(310)이 형성되고, 그 외해측면에 적어도 일부 전방격실(310)과 통하는 전방슬릿(320)이 형성된 전방블록부(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방슬릿(320)을 통해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전방격실(310)을 유입 및 유출되면서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도록 한다.
특히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은 심해파에 대해 표면파로 구분되는 것인 바,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치는 케이슨(100)의 상측부에만 파랑에너지 소산을 위한 전방블록부(300)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슨(100)의 규모 및 무게를 현격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성 및 시공성 측면에서 월등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전방블록부(300)에 의해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 전방블록부(3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전방블록부(300)는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블록부(200)에 1개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방블록부(30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서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블록부(300)의 후방면이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방블록부(3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후방블록부(200)의 일부에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 상측부 중 전방블록부(300)가 돌출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직접적으로 치는 바, 전방슬릿(320)에 의한 작용과 마찬가지로 파랑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도록 후방격실(210) 및 후방슬릿(2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블록부(300)는 외해를 향해 개방된 공간(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2)'라 한다)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2)가 전방격실(310)과 같은 공간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외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2)를 유입 및 유출되면서도 소산될 수 있는 바, 더욱 큰 파랑에너지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외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2)를 형성하기 위해 전방블록부(300)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후방블록부(200) 측 후방부보다 그 전방부의 좌우방향(좌표 X)에 따른 폭이 더 좁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방블록부(30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 분의 좌우방향(좌표 X)에 따른 폭이 후방블록부(200)로부터 외해를 향하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2)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더 창출할 수 있다.
첫째, 전방블록부(300)의 외해측면(300A)이 평면 대신 직선 또는 곡선 또는 그 혼합형의 입체적인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블록부(300)의 외해측면(300A)이 입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전방블록부(300)에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전후방향은 물론 좌우방향(좌표 X) 등 다방향으로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파랑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케이슨(100)의 규모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성 및 시공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해질 수 있다.
특히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의 에너지가 대단히 큰 경우, 화살표 S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항내로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경사지게 진입하는 연파(화살표 S)(stem wave)에 의한 파고 증폭이 발생하는 경우 등 대규모의 소파구조물이 필요한 경우라도,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해안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전방블록부(300)의 외해측면(300A)이 입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케이슨(100)의 측방을 향해 입사되는 연파(화살표 S)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저감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할 수 있다.
셋째, 외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2)를 이루는 전방블록부(300)의 외해측 면(300A)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다방향의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효과적으로 소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블록부(300)의 외해측면(300A)을 입체적으로 형성하되, 구조적으로 간소하도록, 전방블록부(3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평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의 일부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또한 전방블록부(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블록부(200)로터 외해를 향해 계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블록부(300)는 후방블록부(200)의 상면보다 낮게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구조물이나 케이슨(100) 위에 설치되는 상치구조물(120)을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후방블록부(200)의 소정 높이에서부터 후방블록부(200)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전방블록부(300)를 월류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거나,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전방블록부(300)에 의해 소산된 후 전방블록부(300)를 월류하도록, 전방블록부(300)는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블록부(20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소정 높이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블록부(300)는 후방블록부(200)과 연접되는 후방면 이외 나머지 면, 즉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칠 수 있는 모든 면에 각각 전방슬릿(3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방향의 파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 산시킬 수 있다.
이때, 전방슬릿(320)은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 성격 등에 따라서 복수개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특히 대규모의 케이슨(100)의 경우 등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하나로 너무 길게 형성되는 것보다는 도 1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전방슬릿(320) 중 일부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후방블록부(200)에 형성되는 후방격실(210)과 바로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전방슬릿(320) 중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된 전방슬릿(320-322)은 위치상 후방격실(210)과 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방블록부(300)는 전방격실(310)이 상하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격실(310)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전방격실(310)을 유입 및 유출되면서 전방블록부(300)에 부딪치는 것은 물론, 유입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과 유출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서로 부딪치면서 하얀 거품(B)을 일으키는데, 이에 의해 폭기현상이 유도될 수 있다.
즉, 폭기현상에 의해 생물화학적 정화가 촉진됨으로써 수질정화효과가 창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블록부(300) 아래에 소형어류 서식처 및 산란장이 조성될 수 있어서 생태계 복원효과까지 창출될 수 있다.
또한 전방격실(310)에는 이웃한 전방격실(310)과의 사이에 파랑이 출입될 수 있도록 전방격실연결슬릿(33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방블록부(200) 또한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먼저, 후방블록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격실(210)은 후방블록부(200)의 규모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보통 후방블록부(200)의 규모가 상당히 큰 바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후방격실(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이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취하고 일부 후방격실(210)만 상이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두 동일한 구조를 취하거나 서로 상이한 구조를 취하는 등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후방블록부(200)의 전방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방격실(210-212)은 형상적으로 전방블록부(300)와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모서리가 테이퍼(taper)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후방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방격실(210-214)은 후술할 후방 대형 슬릿 공간부(104) 형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후방격실(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행렬로 배치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후방블록부(200)의 구조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구조 로 배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일부는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유입 및 유출되면서 소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일부는 일부 전방슬릿(320)과 바로 통함으로써, 외해 측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소산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방슬릿(320) 중 좌우 가장자리의 전방슬릿(320-322)이 위치상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후방블록부(200)의 전방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방격실(210-212)과 통할 수 있다.
둘째,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100)에는 전방슬릿(320)과 통하는 전방격실(310)이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적어도 일부 후방격실(210)과 서로 통하도록 전후연결슬릿(3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전방격실(310)과 연접되는 후방격실(210)과 전방격실(310) 사이에 전후연결슬릿(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후연결슬릿(330)이 형성됨에 따라서,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전방격실(310)은 물론 후방격실(210)에 의해 이중으로 소산됨으로써, 케이슨(100)의 소산 능력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이중으로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을 소산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바를 참조하여 다중으로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을 소산토록 케이슨(10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셋째,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 면(200A) 상측부 중 전방블록부(300)가 돌출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전방블록부(300)에 의해 보호되지 않고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에 직접 치는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의 소산을 위해, 후방격실(210)과 통하는 외해측면 후방슬릿(220)이 형성될 수 있다.
넷째,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블록부(200)의 내해측면에는 내해 측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의 소산을 위해,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적어도 일부 후방격실(210)과 통하는 내해측면 후방슬릿(2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후방격실(210)에는 모래 등의 충진재(240)가 채워질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일부 후방격실(210)은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이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의 유입 및 유출이 차단된 후방격실(210)에만 충진재(240)가 채워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파랑이 출입하는 후방격실(210)에는 이웃한 후방격실(210)과의 사이에 파랑이 출입될 수 있도록 후방격실연결슬릿(2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블록부(200)는 상술한 외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2)와 같은 내해를 향해 개방된 공간(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4)'라 한다)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방블록부(200)는 기초층(110) 위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좌표 X)으로 이웃한 후방블록부(200)와 연접되는 본체부(202)와, 내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4) 형성을 위해 본체부(202)의 내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내해 돌출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해 돌출부(2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후방블록부(200)의 내해 돌출부(204)와 좌우방향(좌표 X)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이웃한 후방블록부(200)의 내해 돌출부(204)와의 사이에 내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4)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내해 돌출부(204)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나의 본체부(202)에 복수개가 좌우방향(좌표 X)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내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104)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후방블록부(200)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블록부(300)와 연접되도록 본체부(202)의 전방부 위에 돌출 형성된 상부 돌출부(20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블록부(300)는 후방블록부(200)의 소정 높이에서부터 상부 돌출부(206)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블록부(200)가 상부 돌출부(206)를 포함함으로써 해안구조물이나 상치구조물(120)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은 복수개가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서로 연접되도록 열지어 설치됨으로써, 소파구조물의 안벽은 물론, 잠제, 이안제, 방파제, 호안 등의 소파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슨식 방파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케이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소파구조물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케이슨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케이슨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 7은 도 3의 케이슨을 복수 좌우방향(좌표 X)으로 열지어 시공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슨을 복수 좌우방향(좌표 X)으로 열지어 시공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슨을 복수 좌우방향(좌표 X)으로 열지어 시공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슨의 사시도.
도 11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슨을 복수 좌우방향(좌표 X)으로 열지어 시공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2는 제4실시 예에 따른 케이슨을 복수 좌우방향(좌표 X)으로 열지어 시공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3은 제5실시 예에 따른 케이슨의 사시도.
도 14는 제6실시 예에 따른 케이슨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C-C선에 따른 측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D-D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슨 102; 외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
104; 내해측 대형 슬릿 공간부 110; 기초층
120; 상치구조물 200; 후방블록부
210; 후방격실 300; 전방블록부
310; 전방격실 320; 전방슬롯

Claims (24)

  1. 기초층(110) 위에 설치된 후방블록부(200);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 상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방격실(310)이 형성되고, 그 외해측면에 상기 적어도 일부 전방격실(310)과 통하는 전방슬릿(320)이 형성된 전방블록부(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후방블록부(200) 측 후방부보다 그 전방부의 좌우방향(좌표 X)에 따른 폭이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적어도 일부분의 좌우방향(좌표 X)에 따른 폭이, 상기 후방블록부(200)로부터 외해를 향하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그 평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그 평면의 원의 일부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상기 후방블록부(200)과 연접되는 후방면 이외 나머지 면에 각각 상기 전방슬릿(3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슬릿(320)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격실(310)은 상하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소정 높이에서부터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소정 높이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외해를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일부에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상기 기초층(110) 위에 설치된 본체부(202) 및, 상기 본체부(202)의 전방부 위에 돌출 형성된 상부 돌출부(206)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블록부(300)는 상기 후방블록의 소정 높이에서부터 상기 상부 돌출부(206)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블록부(300)에 상기 후방격실(210)과 바로 통하는 전방슬릿(3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슬릿(320)과 통하는 전방격실(310)이 상기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적어도 일부 후방격실(210)과 통하도록 전후연결슬릿(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블록부(200)의 외해측면(200A) 상측부 중 상기 전방블록부(300)가 돌출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상기 후방격실(210)과 통하는 외해측면 후방슬릿(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후방격실(210)이 형성되며, 그 내해측면에 상기 후방격실(210)과 통하는 내해측면 후방슬릿(2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복수개의 후방격실(210)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후방격실(210) 중 적어도 파랑(화살표 W, 화살표 S)의 유입 및 유출이 차단된 후방격실(210)에 충진재(240)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부(200)는 내해를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구조물의 케이슨(100).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케이슨(100) 복수개를 이용한 안벽으로서,
    상기 기초층(110);
    상기 기초층(110) 상부에 복수개가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서로 연접되도록 열지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케이슨(100) 복수개를 이용한 잠제로서,
    상기 기초층(110);
    상기 기초층(110) 상부에 복수개가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서로 연접되도록 열지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케이슨(100) 복수개를 이용한 이안제로서,
    상기 기초층(110);
    상기 기초층(110) 상부에 복수개가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서로 연접되도록 열지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안제.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케이슨(100) 복수개를 이용한 방파제로서,
    상기 기초층(110);
    상기 기초층(110) 상부에 복수개가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서로 연접되도록 열지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케이슨(100) 복수개를 이용한 호안으로서,
    상기 기초층(110);
    상기 기초층(110) 상부에 복수개가 좌우방향(좌표 X)을 따라 서로 연접되도록 열지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KR1020090091050A 2009-09-25 2009-09-25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20110033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050A KR20110033514A (ko) 2009-09-25 2009-09-25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050A KR20110033514A (ko) 2009-09-25 2009-09-25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514A true KR20110033514A (ko) 2011-03-31

Family

ID=4393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050A KR20110033514A (ko) 2009-09-25 2009-09-25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5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25B1 (ko) 2021-07-01 2022-06-10 송주민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25B1 (ko) 2021-07-01 2022-06-10 송주민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643B2 (en) Environmental affinity type hydrophilic revetment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82023B1 (ko) 교각 기초 구조물의 세굴 방지 장치
KR101043684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CN106759082A (zh) 一种消波浮箱、岸坡防冲防护结构及方法
JP4440954B2 (ja) 消波ブロック
KR101059241B1 (ko) 다목적 소파 블록
KR101386626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606343B1 (ko)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20110033514A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290330B1 (ko) 원형 셀을 구비한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352461B1 (ko) 케이슨 블록 구조물
KR20150141225A (ko)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KR101124591B1 (ko) 소파구조물의 상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호안
JP2013023874A (ja) 防波壁構造
JP5322068B1 (ja) 潜堤の構築方法
KR20110021235A (ko) 허니콤 구조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구비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131430B1 (ko) 분수 형성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소파구조물
KR100594608B1 (ko) 하천바닥에 설치되는 어류보호 및 유속저감 구조물
JP3648394B2 (ja) 消波及び海水浄化機能を備えたケーソン
KR20100053239A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101127401B1 (ko) 상부유수실을 갖춘 상치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1522923B1 (ko) 다목적 해양 인공구조물
KR101391360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