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425B1 -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 Google Patents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425B1
KR102408425B1 KR1020210086261A KR20210086261A KR102408425B1 KR 102408425 B1 KR102408425 B1 KR 102408425B1 KR 1020210086261 A KR1020210086261 A KR 1020210086261A KR 20210086261 A KR20210086261 A KR 20210086261A KR 102408425 B1 KR102408425 B1 KR 102408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wall
block
breakwater
sand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민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송주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민 filed Critical 송주민
Priority to KR102021008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슨 본체의 크기를 최소화 하면서 케이슨 전체의 전도나 활동에 대한 보강 조치로 외해측 바닥판이 연장되어 부벽으로 일체화 되는 케이슨식 구조의 혼성 방파제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방파제의 기초마운드 상면에 구축되는 케이슨블록은, 사각 밑판이 구비되고, 사각 밑판의 일측 끝단에서 중도부까지는 소정 높이로 사각 박스 형태로 되는 케이슨이 구축되며, 상기 케이슨의 일측 벽체에서 밑판의 일측 끝단까지 점차 낮아지며 경사지도록 경사부벽이 세워지고, 밑판의 상면 경사부벽과 경사부벽 사이에 사석채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슨의 내부 및 사석채움부에는 사석이 채워지며, 상기 케이슨의 상부에는 상치 콘크리트가 설치되며, 상기 사석채움부에 채워진 사석의 상면에는 소파블록이 거치되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슨 구조를 최소화 하면서 케이슨식의 장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케이슨식의 구조를 과감하게 축소하면서도 활동(滑動)이나 전도의 위험이 없는 케이슨식 혼성방파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Caisson style composite breakwater}
본 발명은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슨 본체의 크기를 최소화 하면서 케이슨 전체의 전도나 활동에 대한 보강 조치로 외해측 바닥판이 연장되어 부벽으로 일체화 되는 케이슨식 구조의 혼성 방파제에 대한 발명이다.
방파제는 항만의 기본시설로써 최우선적으로 항내가 정온상태로 유지되어야 선박 접안시설이나 기타 필요한 시설을 보호하게 되는 필수시설인만큼 그 안전도 역시 중요하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방파제 기본구조가 경사식 방파제로써 많은 사석량이 필요하고 넓은 해역을 점유하게 되며, 피복으로 사용되는 소파블록의 난립으로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T.T.P라는 60여년 전의 프랑스 특허제품이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항만기술도 발전되고 있으며, 중요항에는 케이슨 구조를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외측에 소파블록을 더 적치하여 반사파를 줄이는 등 케이슨 기본 구조를 보강하고는 있으나 극히 제한적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슨 구조는 대형 구조로 부상시켜 운반거치하게 되는데, 거치장소에서는 대형 장비가 대기하여 안착하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방파제의 구조는 경사식 구조와 케이슨식에 따라 선택과정이 구분되고 있다.
경사식 방파제인 경우에는 막대한 사석이 소요되고 소파블록에 중간피복석 사용에도 석재원의 한계에 따른 문제점이 노출되는 실정이다. 어떠한 경우든 외측에는 소파블록으로 파랑을 분쇄 흡수하고 반사율을 최소화 하기 위한 시설은 불가피하다.
케이슨식은 기초지반 위에 서삭 등에 의한 기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수의 케이슨을 설치한 후 케이슨의 내부에 모래 등의 충진재를 채워 안정을 확보한다.
그러나, 케이슨식은 외해측 케이슨이 수직의 벽체로 형성됨에 따라 파랑의 흡수 및 소파기능이 약해 주변 해상을 항해하는 선박이 반사파나 월파로 인한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자 형태로 되는 케이슨이 전도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규모가 커져야 하고, 이는 공사비가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공개특허 10-2011-00335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슨식의 구조를 과감하게 축소하면서도 활동(滑動)이나 전도의 위험이 없는 케이슨식 혼성방파제를 제공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해측 케이슨에 야적식 소파블록을 적치하여 소파기능의 확대와 반사파를 획기적으로 축소하여 케이슨에 전달되는 파력을 최소하 하고자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파제의 기초마운드 상면에 구축되는 케이슨블록은, 사각 밑판이 구비되고, 사각 밑판의 일측 끝단에서 중도부까지는 소정 높이로 사각 박스 형태로 되는 케이슨이 구축되며, 상기 케이슨의 일측 벽체에서 밑판의 일측 끝단까지 점차 낮아지며 경사지도록 경사부벽이 세워지고, 밑판의 상면 경사부벽과 경사부벽 사이에 사석채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슨의 내부 및 사석채움부에는 사석이 채워지며, 상기 케이슨의 상부에는 상치 콘크리트가 설치되며, 상기 사석채움부에 채워진 사석의 상면에는 소파블록이 거치되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슨의 일측 벽체는, 상단 일부가 수직으로 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에서 밑판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세워지는 경사대를 포함하여, 케이슨 내부의 하부 공간이 점차 넓어져 안정감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부벽의 상단은, 상기 케이슨의 일측 벽체에 형성되는 수직대와 경사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경사부벽의 상단 일측 벽체에는 보강공간이 더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부벽과 경사부벽 사이의 사석채움부에 채워진 사석의 상면에는 소파블록받침블록이 더 포설되고, 소파블록받침블록의 상면에 소파블록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파블록은, 정육면체의 몸통에 형성되는 각각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는 3개의 모서리 중앙을 서로 연결하여 절단함으로써 8개의 3각절단면과 6개의 4각접속면을 가지는 기본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기본몸체의 6개의 4각접속면에서 중심부가 직각을 이루도록 베이스기둥체가 각각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3개의 베이스기둥체 사이마다 1개의 3각절단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둥체의 하측변 꼭지점에서 기둥체면의 상측변까지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역삼각보강부가 보강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기둥체의 상측변이 8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8각의 베이스기둥체의 상면에 접하도록 8각 기둥체의 8각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파블록의 기본몸체 중도부가 절단되고, 그 사이에는 8각 기둥체의 연결기둥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깊은 수심의 방파제에서는 기초마운드의 경사면에 중간피복블록이 더 포설되되, 상기 중간피복블록은 마름모꼴 형태로 되고 상측에서 하측까지 통수공이 복수개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피복블록의 저면에는 통수공과 통수공 사이를 연결하는 들걸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슨 구조를 최소화 하면서 케이슨식의 장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케이슨식의 구조를 과감하게 축소하면서도 활동(滑動)이나 전도의 위험이 없는 케이슨식 혼성방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해측 케이슨에 야적식 소파블록을 적치하여 소파기능의 확대와 반사파를 획기적으로 축소하여 케이슨에 전달되는 파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부의 소파블록 적치 공간을 확대하였으며, 후면 소파블록 적치도 일반 케이슨식 적치 형식보다는 축소하였지만 경사식 방파제의 포설식 소파블록 보다는 확대하여 적절히 조정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블록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블록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피복블록의 입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피복블록의 평면 및 저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수심의 방파제에 공지의 소파블록이 거치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은 수심의 방파제에 공지의 소파블록이 거치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각 소파블록의 기본몸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각 소파블록의 입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각 소파블록이 거치된 방파제의 측단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각 소파블록의 중앙부에 연결기둥을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각 소파블록의 중앙부에 연결기둥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6각 소파블록이 거치된 방파제의 측단면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및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7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케이슨블록(100)은 사각의 밑판(110)이 구비되고, 밑판(110)의 일측 끝단에서 중도부까지는 소정 높이의 케이슨(120)이 사각 박스 형태로 세워진다.
케이슨(120)은 내부가 중공으로 되도록 벽체(121)(122)가 사각을 이루며 세워지고, 벽체(121)(122)의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부(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공부(123)의 중도부에는 중간벽체(124)가 세워져 공간을 구획할 수도 있다. 이때, 밑판(110)의 중도부에 위치하는 벽체(121)는 상단 일부가 수직으로 되는 수직대(121a)와, 수직대(121a)에서 밑판(110)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세워지는 경사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20) 내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 공간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케이슨(120)의 벽체(121)의 외측에서 밑판(110)의 타측 끝단까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경사부벽(130)이 세워지는데, 밑판(110)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며 세워진다. 즉, 바닥면에 대해 수직면이 1:0.5 의 비율로 되도록 경사져 세워지며, 경사부벽(130)의 상단은 케이슨(120) 벽체(121)의 수직대(121a)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사부벽(130)의 상단 끝단이 위치하는 케이슨(120)의 일측 벽체(121)의 상단부에는 보강공간(140)이 형성되며, 경사부벽(130)과 경사부벽(130)의 사이에는 사석채움부(150)가 형성된다.
그리고,본 발명의 케이슨블록(100)을 이용하여 방파제(300)를 구축할 때에는 , 케이슨(120)의 중공부(123)에 사석(125)을 채운 후 그 위에는 상치콘크리트(160)가 설치되며, 사석채움부(150)에도 사석(151)이 채워지고, 사석(151) 위의 보강공간(140)에는 다양한 형태의 소파블록(200)이 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석(151)과 소파블록(200) 사이에는 소파블록받침블록(210)이 보강되어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파블록(200)은 공지의 테트라포드 등 다양한 형태의 소파블록(200)일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6각 형태를 가지는 소파블록(200)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소파블록(200)은 사방 어느 방향으로 보아도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3각절단면(213)과 4각접속면(212)이 서로 접하며 형성된 상태의 기본몸체(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4각접속면(212)에는 베이스기둥체(220)가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중심부가 4각접속면(212)과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에 3개의 베이스기둥체(220)의 사이마다 1개의 3각절단면(213)이 위치하여 공간부를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기둥체(220)의 하측변 꼭지점에서 중도부까지는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역삼각보강부(222)가 보강 형성된다. 따라서 4각이었던 베이스기둥체(220)의 상측변이 8각을 이루게 된다. 베이스기둥체(220)는 역삼각보강부(222)에 의해 견고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베이스기둥체(220)의 끝단과 접하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8각 기둥체의 8각돌기부(2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본몸체(210)의 중도부를 절단한 후 6각 기둥체로 되는 연결기둥(250)이 더 결합되어, 현장 상황에 따라 길이를 가변하여 제작되는 6각의 형태를 가지는 소파블록(200)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슨블록(100)과 소파블록(200)을 이용하여 방파제(300)를 구축하는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정의 폭과 높이로 구축된 기초마운드(310)의 상면에 케이슨블록(100)의 밑판(110)이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슨(120)이 세워져 위치하도록 거치된다.
그리고, 구축된 케이슨블록(100)의 경사부벽(130)과 경사부벽(130) 사이에 형성된 사석채움부(150)에는 사석이 채워진다. 채워진 사석은 경사부벽(130)의 상면과 동일하게 경사지며 포설되며, 케이슨블록(100)의 케이슨(120) 상부에는 상치콘크리트(160)가 구축되며, 사석의 상면에는 소파블록받침블록(210)이 포설되고 그 위에 다양한 형태의 소파를록(200)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깊은 수심의 방파제(300)에서는 기초마운드(310)의 상면에 사석유출방지를 위한 중간피복블록(320)이 더 포설될 수 있으며, 중간피복블록(320)은 경사부벽(130)과 경사부벽(130) 사이의 공간에 맞도록 상당한 두께를 가진다. 또한, 마름모꼴 형태로 되어 측면에 작은 홈을 가지고, 상측에서 하측까지 복수개의 통수공(321)이 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수공(321)과 통수공(321) 사이에는 오목한 형태의 들걸이홈(322)이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축된 방파제(300)의 외해측에서 파랑이 발생하게 되면 소파블록(200)에 의해 파랑이 소파와 흡수 및 배출이 되게 되고, 케이슨블록(100)에 의해 방사파나 제체에 가해지는 파압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슨블록(100)에 형성되는 경사부벽(130)에 의해 방파제에 사용되는 사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케이슨(120)의 크기를 축소하면서도 확대된 형태의 밑판(110)과 경사를 가지며 지지되는 경사부벽(130)에 의해 전도나 활동(滑動)에 대한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슨블록(100)의 상부에 소파블록(200)이 거치되어 자중이 확대되어 마찬가지로 전도나 활동(滑動)에 대한 안전도를 확보하는 효과를 가지며, 자체 중량이 최소화 되어 일반 중소형 장비로도 시공이 가능하다.
특히, 낮은 수심에서는 케이슨 블록(100)이 설치되기 위한 최소한의 사석만으로 마운드를 형성하고, 내해나 외해측 공히 비탈부에는 피복석으로 보강한다. 또한, 깊은 수심에서는 케이슨 블록(100)의 높이에 따라 마운드를 높이하고, 내해측에는 경사면을 피복석으로 보강하며 외해측에는 케이슨 블록(100)을 설치하기 위한 마운드와 일정한 깊이만큼 경사지게 설치되며, 소파블록(200)이 적재되는 외해면은 파랑의 영향권을 가상하여 낮은 마운드를 형성하고 기본 마운드 경사면과 수평 마운드 표면에는 소파블록받침블록(210)으로 포설한다.
그리고, 상치콘크리트(160)는 최대한 활동에 대한 저항을 확대하기 위하여 케이슨 블록(100)의 케이슨(120) 내부에 일부가 매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치콘크리트(160)의 전면에는 반원형이 교차로 전면에 노출시켜 파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외해측에 거치되는 소파블록(200)은 최소 1단 또는 2단으로 거치되도록 수평의 어깨부가 형성되고, 1:1.5 경사로 최하단 지반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며 소파블록(200)은 야적식으로 적치될 수 있다.
100 : 케이슨블록 110 : 사각 밑판
120 : 케이슨 130 : 경사부벽
140 : 보강공간 150 : 사석채움부
160 : 상치콘크리트 200 : 소파블록
210 : 소파블록받침블록 220 : 베이스기둥체
230 : 8각돌기부 300 : 방파제
310 : 기초마운드 320 : 중간피복블록

Claims (8)

  1. 방파제(200)의 기초마운드(210) 상면에 구축되는 케이슨블록(100)은,
    사각 밑판(110)이 구비되고, 사각 밑판(110)의 일측 끝단에서 중도부까지는 소정 높이로 사각 박스 형태로 되는 케이슨(120)이 구축되며, 상기 케이슨(120)의 일측 벽체(121)에서 밑판(110)의 일측 끝단까지 점차 낮아지며 경사지도록 경사부벽(130)이 세워지고, 밑판(110)의 상면 및 경사부벽(130)과 경사부벽(130) 사이에는 사석채움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슨(120)의 내부 및 사석채움부(140)에는 사석이 채워지며,
    상기 케이슨(120)의 상부에는 상치 콘크리트(160)가 설치되며,
    상기 사석채움부(140)에 채워진 사석의 상면에는 소파블록(200)이 거치되어 구축되며,
    상기 소파블록(200)은,
    정육면체의 몸통에 형성되는 각각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는 3개의 모서리 중앙을 서로 연결하여 절단함으로써 8개의 3각절단면과 6개의 4각접속면을 가지는 기본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기본몸체의 6개의 4각접속면에서 중심부가 직각을 이루도록 베이스기둥체가 각각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3개의 베이스기둥체 사이마다 1개의 3각절단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둥체의 하측변 꼭지점에서 기둥체면의 상측변까지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역삼각보강부가 보강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기둥체의 상측변이 8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8각의 베이스기둥체의 상면에 접하도록 8각 기둥체의 8각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120)의 일측 벽체(121)는,
    상단 일부가 수직으로 되는 수직대(121a)와, 상기 수직대(121a)에서 밑판(110)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세워지는 경사대(121b)를 포함하여, 케이슨(120) 내부의 하부 공간이 점차 넓어져 안정감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벽(130)의 상단은,
    상기 케이슨(120)의 일측 벽체에 형성되는 수직대(121a)와 경사대(121b)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경사부벽(130)의 상단 일측 벽체(121)에는 보강공간(150)이 더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벽(130)과 경사부벽(130) 사이의 사석채움부(140)에 채워진 사석의 상면에는 소파블록받침블록(210)이 더 포설되고, 상기 소파블록(200)은 소파블록받침블록(210)의 상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의 기본몸체 중도부가 절단되고,
    그 사이에는 8각 기둥체의 연결기둥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6. 제 1항에 있어서,
    깊은 수심의 방파제(200)에서는 기초마운드(210)의 경사면에 중간피복블록(250)이 더 포설되되, 상기 중간피복블록(250)은 마름모꼴 형태로 되고 상측에서 하측까지 통수공(251)이 복수개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피복블록(250)의 저면에는 통수공(251)과 통수공(251) 사이를 연결하는 들걸이홈(252)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8. 삭제
KR1020210086261A 2021-07-01 2021-07-01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KR102408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61A KR102408425B1 (ko) 2021-07-01 2021-07-01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61A KR102408425B1 (ko) 2021-07-01 2021-07-01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425B1 true KR102408425B1 (ko) 2022-06-10

Family

ID=8198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61A KR102408425B1 (ko) 2021-07-01 2021-07-01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4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067Y1 (ko) * 2000-03-13 2000-08-16 양원회 육각 소파블럭
KR20030012474A (ko) * 2001-08-01 2003-02-12 원 회 양 케이슨 및 엘형 선반식 혼용안벽
KR20040000204A (ko) * 2002-06-24 2004-01-03 원 회 양 방파기능을 가지는 옹벽식 조립 호안구조
KR200342292Y1 (ko) * 2003-11-04 2004-02-18 원 회 양 방파제 외해측 법면 피복용블럭
KR20110033514A (ko) 2009-09-25 2011-03-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214463B1 (ko) * 2011-12-14 2012-12-21 이승현 다각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067Y1 (ko) * 2000-03-13 2000-08-16 양원회 육각 소파블럭
KR20030012474A (ko) * 2001-08-01 2003-02-12 원 회 양 케이슨 및 엘형 선반식 혼용안벽
KR20040000204A (ko) * 2002-06-24 2004-01-03 원 회 양 방파기능을 가지는 옹벽식 조립 호안구조
KR200342292Y1 (ko) * 2003-11-04 2004-02-18 원 회 양 방파제 외해측 법면 피복용블럭
KR20110033514A (ko) 2009-09-25 2011-03-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214463B1 (ko) * 2011-12-14 2012-12-21 이승현 다각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4349C (en) Mobile, year-round arctic drilling system
US8025020B2 (en) Auxiliary float of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remodeling floating structure
JP2643049B2 (ja) 浮遊構造物
KR101529063B1 (ko) 잭-업 시추 굴착기의 다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측방향 지지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939238A (zh) 具有提高的水动力性能的张力腿平台
KR101073750B1 (ko) 방파제의 단위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과 그 설치 방법
US3246476A (en) Submersible vessel for submarine operations
CA2033135C (en) Gravity base structure of an offshore platform resisting to icebergs
US4470725A (en) Offshore platform structure intended to be installed in arctic waters, subjected to drifting icebergs
US5102266A (en) Offshore support structure
KR102408425B1 (ko) 부벽이 있는 케이슨식 혼성 방파제
KR20140012263A (ko) 해상구조물 지지용 부유 플랫폼
WO1991001411A1 (en) Jackable oil rigs and corner columns for producing legs in an oil rig
KR102010119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1168833B1 (ko) 케이슨 방파제, 그 케이슨 방파제 구축용 케이슨유닛, 및 그 케이슨 방파제의 제조방법
CN110552365A (zh) 海上储油岛及施工方法
KR200266898Y1 (ko)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 방파제
US48849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ular construction structure
CN114016547A (zh) 一种地下室的施工方法
JPS61222892A (ja) 半潜水式浮遊構造物及びその建造方法
JP2002302924A (ja) 組立式護岸構造体
CN218969958U (zh) 装配式海洋平台模块及海洋平台
JPS603308A (ja) 杭打ち連結ブロツク工法
CN219951876U (zh) 一种适用于复杂海底地貌的深水导管架防沉板
KR102571983B1 (ko) 파형 벽체와 수직 기둥체가 조립되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