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461A -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461A
KR20110033461A KR1020090090970A KR20090090970A KR20110033461A KR 20110033461 A KR20110033461 A KR 20110033461A KR 1020090090970 A KR1020090090970 A KR 1020090090970A KR 20090090970 A KR20090090970 A KR 20090090970A KR 20110033461 A KR20110033461 A KR 2011003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ki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595B1 (ko
Inventor
임갑영
정한순
김소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9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6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genetic engin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화사설초(Hedyotidis Diffusae)를 식물줄기세포배양기술(Plant stem cell culture technology)로 배양한 세포주(cell line),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항산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edyotidis Diffusae-stem cell extract for antioxidant and anti-aging}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화사설초(Hedyotidis Diffusae)를 식물줄기세포배양기술(Plant stem cell culture technology)로 배양한 세포주(cell line),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백화사설초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인 백운풀(Hedyotis lindleyana var. hirsute HARA or Oldenlandia diffusa L. ROXB.)의 일년생 전초로서 높이 20~40㎝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면서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서며 다세포로 된 백색털이 다소 있다(Yoshida, Y. et al., Int. J. Immunopharmacol., 19:359, 1997). 백화사설초의 기미는 차가우나 독이 없고 맛은 달고 쓰며, 작용하는 경락은 위경, 대장경 및 소장경 등이고, 본초학적으로 청열해독(淸熱解毒), 이수통림(利水通淋), 활혈화어(活血化瘀) 및 소옹(消癰)의 효능이 있어 폐열기침, 편도선염, 인후염, 충수염, 이질, 황달, 자궁부속기염 및 관절염 등의 각종 염증과 소화기암, 간암, 폐암, 임파암 및 인후암 등의 각종 암에 활용되고 있다(Tong, I.H. et al., Phytochemistry., 25:1988, 1986).
또한 백화사설초는 주름 개선 및 피부의 처짐 방지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Yoshimura K et al., Aesthetic Plast Surg. 2008 ; 32(1):48-55, Hu S et al., Ann Plast Surg. 2007 Jun;58(6):602-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64107호에는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염증효과,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 효과가 우수하며,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또한 우수한 피부 노화방지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74154호에는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액정좀에 내포시켜 안정화시킴으로써, 피부내 침투가 매우 용이하고,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에 따른 노화 방지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매우 안정한,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7-126368호에는 백화사설초를 함유하는 항노화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중국공개특허공보 제2002-159195호에는 백화사설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병 및 신장증(nephrosis)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가 개시되어 있고, 중국등록특허 제1634352호에는 백화서설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병을 치료하는 당-감소 및 지방-감소 제제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자극, 트러블 등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식물의 전형성능(totipotency)을 이용한 식물세포배양기술이 발전되면서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기능성 2차 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 2차 대사산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고기능성 화장품의 신원료로 식물 줄기세포 유래 추출물질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천연에 존재하나, 화학적 합성방법으로는 얻기 어려웠던 고기능성 활성물질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사용하지 못했던 신성분들을 개발하고 응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가 증대하는 것만큼 신기능성 소재나 관련 기술의 발전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무수히 많은 신 기능성 성분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식물줄기세포기술을 이용한 화장품은 다양한 피부 효능, 특히 항노화 효능 부분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천연 식물 유래 성분이면서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개발을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백화사설초(Hedyotidis Diffusae)의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세포 재생력을 강화시키고 활성산소를 제거함에 의한 탄력 증진, 주름 개선 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 유래 성분들을 이용하여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며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기존의 백화사설초 추출물보다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Hedyotidis Diffusae)를 식물줄기세포배양기술(Plant stem cell culture technology)로 배양한 세포주(cell line),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인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콜라겐의 합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기존의 백화사설초 추출물만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현저하게 뛰어난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성분들을 함유하여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식물줄기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추출하는데, 백화사설초의 씨앗, 잎, 뿌리 등으로부터 캘러스(callus)를 유도한 후 고체배양(solid cell culture)하여 줄기세포주(stem cell line)를 확립하고 현탁배양(suspension cell culture)을 통해 유효 성분을 대량으로 생산/추출하여 얻는다. 그 원료의 형태는 유도된 세포주(cell line) 자체,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이 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세포주, 그 파쇄물, 추출물 또는 배양액은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으로 통칭한다.
상기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은 피부 탄력에 기여하는 생체분자들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활성 산소들을 제거하여 생물학적 산화반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또한,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진피층의 탄력 섬유를 증가시켜 주름을 개선·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인 항 산화 반응을 외부로부터 억제하여 방어하고 내부에서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고 5-알파 환원효소(5-alph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시켜 종합적인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함유량이 0.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주름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이 효능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그 원료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화사설초 잎 또는 백화사설초 씨에 약 1 내지 6배, 바람직하게는 약 3배의 물 또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매를 넣고, 상온에서 1 내지 5회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탈지시킨 다음, 탈지된 식물에 약 1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약 4배의 물 또는 상기 유기용매를 넣고, 1 내지 5회 환류 추출한 후, 10 내지 20 ℃에서 1 내지 3일간 침적시킨 후,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하여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색소를 제거한 다음, 수층을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1 내지 5회 추출한 후, 수득한 유기용매층을 감압농축하여 상기 유기용매 엑기스를 얻은 다음, 이를 소량의 메탄올 등에 녹인 후, 대량의 에틸아세 테이트 등을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시켜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한편,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원료는 백화사설초의 배(embryo)·잎(needle) 유래 캘러스와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유래로부터 캘러스(callus)를 유도한 후 세포 배양(cell culture)하여 얻은 성분으로 그 세포주(cell line)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그 파쇄물 또는 그 배양액을 사용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실시예 1] 주목의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제조
1-1: 식물재료의 준비
백화사설초(Hedyotidis Diffusae)의 씨앗, 잎, 잔가지 및 줄기를 각각 채취 한 후, 즉시 항산화제 100㎎/L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DUCHEFA, 네덜란드) 용액에 침적하여 운송·보관하였다. 그 후, 1% 베노밀(benomyl, 동부한농화학㈜, 한국), 1% 다코닐(daconil, 동부한농화학㈜, 한국), 1% 스트렙토마이신(sterptomycin sulphate, DUCHEFA, 네덜란드), 0.1% 세포탁심(cefotaxime sodium, DUCHEFA, 네덜란드)의 혼합용액에 24시간 전처리 후 페놀 화합물(phenolic compound)과 잔존 화학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돗물(tap water)로 30분간 세척하였다. 그리고, 70% 에탄올(ethanol, DC Chemical, 한국)에 1분, 30%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LG Chemical, 한국) 15분, 1% 클로록스(CLOROX) 용액에 15분, 3% 클로록스(CLOROX용액)에 5분 표면 살균 후 3~4회 세척하였다.
1-2: 각 부분으로부터 전형성층 및 형성층 조직 분리
상기 살균과정을 거친 각 부분의 바깥조직들을 세로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쉽게 벗겨졌다. 벗겨진 조직들은 목부, 전형성층(잔가지) 또는 형성층(줄기), 사부, 피층, 표피로 구성되는데, 벗겨진 조직들의 가장 안쪽조직 즉, 목부가 배지면에 닿도록 배양하였다.
1-3: 백화사설초의 전형성층 및 형성층 유래 세포주 유도단계
초기 배양 5~8일째 전형성층 및 형성층으로부터 세포 분열이 육안상으로 관찰되고, 배양 16일 이후에 사부·피층 및 표피로 이루어진 층으로부터 탈분화에 의한 무정형의 캘러스가 유도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배양기간 내내 목부는 세포분 열이 일어나지 않아 형성층의 층(layer)과의 분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배양 30일 경과후 형성층의 층(layer)과 사부를 포함한 윗층, 즉 무정형의 캘러스층으로 분리되기 시작했고, 두 층이 자연스럽게 분리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완벽한 분리가 이루어지면 각기 다른 페트리디쉬(petridish)에 분리 배양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한 후, 생장률이 좋은 희고 무른 부분을 유도배지와 동일한 새로운 배지로 매 22일째 계대하였다. 한편, 배 및 잎 유래 캘러스(callus) 및 전형성층 및 형성층 유래 세포주만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 배지는 하기 표 1과 같다.
세포주 유도배지(배지 1)
조성 함량(mg/L)
무기염 KNO3 1011.1
MgSO4?7H2O 121.56
MnSO4?4H2O 10
ZnSO4?7H2O 2
CuSO4?5H2O 0.025
CaCl2?2H2O 113.23
KI 0.75
CoCl2?6H2O 0.025
NaH2PO4?H2O 130.44
H3BO3 3
Na2MoO4?2H2O 0.25
FeNaEDTA 36.7
비타민 이노시톨(Myo-inositol) 450
티아민-HCl 20
니코틴산 2
피리독신-HCl 2
아스코르브산
(L-ascorbic acid)
100
시트르산 150
식물 호르몬 옥신 1~3
지베렐린산 0.5
아미노산 카세인 가수분해물 500
수크로오스 30,000
활성탄 100
젤라이트(gelrite) 4,000
배지에 생장 조절제로서 옥신(Auxin)을 1~3mg/L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25±1℃로 조절된 암실에서 실시되었다.
1-4: 분리된 세포주의 증식단계 및 특성관찰
상기 배 및 잎 유래 캘러스(callus) 및 전형성층 및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하기 표 2의 액상배지가 함유된 플라스크에 넣어 암조건에서 25±1℃에서 100rpm의 회전 교반기(shaker)에서 배양하였다. 계대배양 주기는 2주일로 고정함으로써 배양세포가 항상 대수생장기 상태에서 높은 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배지 2 내의 현탁배지(Suspension medium)
조성 함량(mg/L)
무기염 KNO3 1011.1
MgSO4?7H2O 121.56
MnSO4?4H2O 10
ZnSO4?7H2O 2
CuSO4?5H2O 0.025
CaCl2?2H2O 113.23
KI 0.75
CoCl2?6H2O 0.025
NaH2PO4?H2O 130.44
H3BO3 3
Na2MoO4?2H2O 0.25
FeNaEDTA 36.7
비타민 이노시톨(Myo-inositol) 200
티아민-HCl 20
니코틴산 2
피리독신-HCl 2
아스코르브산
(L-ascorbic acid)
100
시트르산 150
식물 호르몬 옥신 1~3
지베렐린산 0.1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 133
아르기닌 175
프롤린 115
글리신 75
수크로오스 20,000
한편, 대량 배양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3L의 내용적을 갖는 공기 부양식 생물반응기(airlift bioreactor, 성원사이텍, 한국)에서 배(embryo)·잎(needle) 유래 캘러스와 전형성층 및 형성층 유래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지는 상기 표 2의 액상배지를 사용하였고, 암조건에서 25±1℃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그 결과, 플라스크에서 배양 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가 2~3배 정도의 높은 증식률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대량 반응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가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이외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5~6배의 높은 증식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1-5: 당 및 메틸 자스모네이트의 처리
상기 실시예 1-4와 같이 14일간 현탁배양한 세포주를 멸균수에 원당 3~5중량%(g/L) 및 메틸 자스모네이트 100μM를 첨가한 배지에서 10일간 암배양한 후, 세포를 수거하여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백화사설초 유래 세포주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세포주로부터 다음과 같이 단계별로 유효물질을 추출하였다.
(ⅰ) 배양액을 제거시킨 상기 세포주 500g에 500ml의 증류수를 가하여 50℃에서 6시간 교반시키면서 용해시켰다.
(ⅱ) 상기 용해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을 취함으로써 증류수 가용성물질을 얻었다.
(ⅲ) 상기 증류수 가용성 물질을 얻은 후, 남은 증류수 불용성물질에 500ml의 메탄올(methanol)을 첨가시켜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ⅳ) 상기 용해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을 취함으로써 메탄올 가용성물질을 얻었다.
(ⅴ) 상기 메탄올 가용성물질을 얻은 후, 남은 메탄올 불용성물질에 500ml의 아세톤(acetone)을 첨가시켜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ⅵ) 상기 용해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을 취함으로써 아세톤 가용성물질을 얻었다.
(ⅶ) 상기에서 얻은 증류수, 메탄올, 아세톤 가용성물질을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ⅷ) 농축시료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세포배양액, 메탄올, 아세톤에 녹여 증류수 추출물, 메탄올 추출물, 아세톤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백화사설초 추출물의 제조
백화사설초 잎 2 ㎏에 헥산 6 ℓ를 넣고, 상온에서 3회 교반 추출하여 탈지시킨 다음, 탈지된 백화사설초 잎 1 kg 에 80 % 메탄올 4 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1 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 ㎖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엑기스를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백화사설초 잎 추출물 150 g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인체 섬유아세포를 24 웰(well)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상기 비교예 1의 백화사설초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2의 백화사설초 유래 세포주의 증류수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 교체하였다. 배양 3일째에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를 각 웰 당 0.5㎖씩 첨가한 후, L[2,3,4,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 시간 경과 후, 각 웰(well)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 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 ;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수세한 후, 2개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1개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 (type I collagenase) 1 unit/㎕를 넣고, 37℃에서 90분간 배양하였으며, 다른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SC ;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 (CPM ; Count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9020313-PAT00001
콜라겐합생합성비율(RCB)(%)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149
백화사설초 추출물 123
대조군 100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유효성분이 백화사설초 추출물 보다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 능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참고예 1]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2의 제조
실제 사람의 피부에서 주름 완화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의 유액 형태의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제형예 1 제형예 2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0.01 0.01 - -
백화사설초 추출물 0.1 - 0.1 -
EDTA-2Na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부틸렌 글리콜 5.00 5.00 5.00 5.00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세테아릴 알콜올 2.00 2.00 2.00 2.00
아라키딜/베헤닐 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액상파라핀 6.00 6.00 6.00 6.0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6.00 6.00 6.00 6.00
카보머 0.05 0.05 0.05 0.05
트리에탄올아민 0.05 0.05 0.05 0.05
방부제, 향,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2] 주름 개선 효과
상기 표 4의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2의 주름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 여성 140명을 각각 20명씩 7조로 나누어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지정된 눈가 부위에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2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 재질의 모사판(replica)을 제작하여 지정 부위의 주름의 상태를 화상분석기인 비지오미터(visiometer : SV6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는 8주 후의 각각의 파라미터(parameter) 값에서 8주 전 파라미터 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즉, 이 값이 음수가 나올수록 주름 개선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R1 R2 R3 R4 R5
제형예 1 -0.26 -0.19 -0.1 -0.09 -0.07
제형예 2 -0.18 -0.15 -0.07 -0.06 -0.05
비교 제형예 1 -0.09 -0.07 -0.4 -0.03 -0.03
비교 제형예 2 0.05 0.05 0.02 -0.01 0.00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 : 주름 등고선의 기선(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기선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평균값
상기 표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백화사설초 줄기세포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제형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제형예 2에 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1 보다도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성분과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모두 함유한 제형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경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실제 사람의 피부에서의 탄력 개선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1~2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30~40대 여성 80명을 각각 20명씩 4조로 나누어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의 결과값은 피부탄력측정기의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의미한다.
시험물질 피부탄력효과
제형예 1 0.43±0.10
제형예 2 0.39±0.12
비교제형예 1 0.31±0.09
비교제형예 2 0.19±0.09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백화사설초 추출물만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1 보다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성분을 함유한 제형예 1~2의 경우 더 우수한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백화사설초 추출물과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성분을 동시에 함유한 제형예 1을 사용한 경우에는 비교제형예 2 대비 250% 가량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피부 안전성에 대한 평가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인 여성 18명 및 남성 12명을 대상(평균 32.5세)으로 제형예 1~2 또는 비교제형예 1~2의 조성물을 도포한 첩포 시험을 진행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방법은 첩포를 부착한 뒤 28시간 경과 후 첩포를 제거, 30분 후에 첫 판독을 시행하였고 96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판독을 시행하였다. 시료의 피부 자극의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피부의 양성반응의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피부 평균 반응도를 구하여 시료의 피부 자극을 육안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평균 반응도 판정 등급
제형예 1 0.000 무자극
제형예 2 0.000 무자극
비교예 1 0.000 무자극
비교예 2 0.000 무자극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형예 1~2 및 비교예 1~2 모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Claims (6)

  1. 백화사설초(Hedyotidis Diffusae)를 식물줄기세포배양기술(Plant stem cell culture technology)로 배양한 세포주(cell line),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인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3. 백화사설초(Hedyotidis Diffusae)를 식물줄기세포배양기술(Plant stem cell culture technology)로 배양한 세포주(cell line),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인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백화사설초 줄기세포 유래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90970A 2009-09-25 2009-09-25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70A KR101643595B1 (ko) 2009-09-25 2009-09-25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70A KR101643595B1 (ko) 2009-09-25 2009-09-25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461A true KR20110033461A (ko) 2011-03-31
KR101643595B1 KR101643595B1 (ko) 2016-07-29

Family

ID=4393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970A KR101643595B1 (ko) 2009-09-25 2009-09-25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712B1 (ko) 2018-07-27 2020-08-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646B1 (ko) * 2018-12-11 2020-05-15 김경호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5710A (ko) 2019-12-31 2021-07-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향' 산돌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948A (ko) * 2008-06-03 2009-12-08 (주)아모레퍼시픽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 조성물
KR20130083330A (ko) * 2012-01-12 2013-07-22 (주)지에프씨 캘러스 또는 캘러스를 포함하는 배양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948A (ko) * 2008-06-03 2009-12-08 (주)아모레퍼시픽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 조성물
KR20130083330A (ko) * 2012-01-12 2013-07-22 (주)지에프씨 캘러스 또는 캘러스를 포함하는 배양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595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482B1 (ko) 녹차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8916B1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6315B1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08245479B (zh) 一种含有乳双歧杆菌发酵活性提取物的面膜
JPH0761916A (ja) 皮膚外用剤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20150143375A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60670B1 (ko)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24971B1 (ko)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2700A (ko) 동백 추출물, 금화규 추출물, 개서어 추출물, 누에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3595B1 (ko) 백화사설초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6710B1 (ko)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67325B1 (ko) 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1142008B1 (ko) 천녀목란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5491A (ko)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2252B1 (ko)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방법 및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847194B2 (ja) 皮膚外用剤の製造方法
KR101291460B1 (ko) 섬오갈피나무의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