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427A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427A
KR20110033427A KR1020090090923A KR20090090923A KR20110033427A KR 20110033427 A KR20110033427 A KR 20110033427A KR 1020090090923 A KR1020090090923 A KR 1020090090923A KR 20090090923 A KR20090090923 A KR 20090090923A KR 20110033427 A KR20110033427 A KR 20110033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ynthetic resin
diameter
opening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102009009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427A/ko
Publication of KR2011003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배수관로나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종래 오수받이 본체가 합성수지관을 2차 가공해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본관의 개구부가 본관의 구경보다도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관으로부터 청소 도구를 삽입시켜 배수관이나 하수관을 청소할 때 개구부의 크기에 의해 청소도구가 제약되는 문제가 있었고, 오수받이 본체가 사출 성형된 경우에는 입상관이 접속되는 입상관 접속구를 배수관이나 하수관과 접속시키는 접속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배수관이나 하수관에 삽입시키는 청소도구의 제약을 작게 할 수 있지만 사출 성형을 위해 크고 복잡한 구조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므로 설비 투자가 막대하게 되어 원가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합성수지관의 주벽에 상부면이 평평한 팽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팽출부의 상부면에 관축 방향의 치수가 관구경보다 큰 개구부를 형성한 본관과,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대응한 형상의 합성수지관을 상기 개구부의 주연에 접합시켜 형성한 형상의 입상관 접속부를 구비하여 오수받이 본체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관을 2차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오수받이 본체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오수받이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비해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고, 합성수지관의 2차 가공이 특수한 기계나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므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개구부의 관축방향의 치수가 관구경보다 크기 때문에 관로에 삽입하는 청소 도구의 제약이 작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수받이 본체, 입상관 접속부, 팽출부, 개구부

Description

오수받이 { a drain sewage }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배수관로나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배수관로나 하수관로에는 오수받이가 설치되며, 상기 오수받이의 뚜껑을 여는 것에 의해서 노면에서 관로내를 점검하거나 청소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수받이는 지상으로부터의 각종의 하중에 대응하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콘크리트제의 것이 사용되고 있지만 콘크리트제의 오수받이의 경우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시공성이 나쁘다.
따라서 최근에 비교적 소량지름의 합성 수지제의 오수받이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오수받이는 일반적으로 하수관이나 배수관과 접속하는 오수받이 본체와, 오수받이 본체의 상부에 접속되는 입상관과, 입상관을 밀폐하는 뚜껑으로 구성 된다.
상기 오수받이 본체는 합성수지관을 2차 가공해 형성된 것과 사출 성형된 것이 있다.
상기에서 오수받이 본체가 합성수지관을 2차 가공해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본관의 개구부가 본관의 구경보다도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관으로부터 청소 도구를 삽입시켜 배수관이나 하수관을 청소할 때 개구부의 크기에 의해 청소도구가 제약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오수받이 본체가 사출 성형된 경우에는 입상관이 접속되는 입상관 접속구를 배수관이나 하수관과 접속시키는 접속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배수관이나 하수관에 삽입시키는 청소도구의 제약을 작게 할 수 있지만 사출 성형을 위해 크고 복잡한 구조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므로 설비 투자가 막대하게 되어 원가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합성수지관의 2차 가공에 의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은 물론 관로내에 삽입할 수 있는 청소도구의 제약이 작은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합성수지관의 주벽에 상부면이 평평한 팽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팽출부의 상부면에 관축 방향의 치수가 관구경보다 큰 개구부를 형성한 본관과,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대응한 형상의 합성수지관을 상기 개구부의 주연에 접합시켜 형성한 형상의 입상관 접속부를 구비하여 오수받이 본체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수받이 본체를 제조할 때는 우선 합성수지관의 주벽에 상부면이 평평한 팽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팽출부의 상부면에 관축방향의 치수가 관구경보다 큰 개구부를 형성하여 본관을 제조한다.
이 때에 팽출부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하면 상부면의 방향을 관축으로 대해 평행으로 하거나 비스듬하게 하거나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팽출부를 한 개로 형성하는 것과 같은 수고로 두 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를 형성할 때는 평평한 면을 절삭하면 좋기 때문에 특수한 기계나 고도의 기술이 없어도 형상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관축방향의 치수가 관구경보다 큰 형태로서는 타원형이나 장방형이나 능형등이 있다.
다음에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대응한 형상의 합성수지관을 상기 개구부의 주연에 접합시켜 입상관 접속부를 형성한다.
이 때 합성수지관은 평평한 면에 접합시키면 좋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이 없어도 높은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관을 접합하는 방식으로는 개구부의 주연에 고무링을 장착하여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고무링에 압착할 때까지 확경시키는 압착방식,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개구부의 주연에 접착하는 접착방식,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개구부의 주연에 용접하는 용접방식 등 어떤 것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본관을 배수관이나 하수관과 접속하고 입상관 접속부에 입상관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관로내를 청소할 때 상기 입상관의 상단을 개방하고 세척 호스나 세척 브러쉬 등의 청소 도구를 삽입한다.
이 때 본관의 통로부의 관축방향의 치수가 관구경보다 크기 때문에 청소 도구를 관로내에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관을 2차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오수받이 본체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오수받이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비해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고, 합성수지관의 2차 가공이 특수한 기계나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므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구부의 관축방향의 치수가 관구경보다 크기 때문에 관로에 삽입하는 청소 도구의 제약이 작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오수받이 본체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오수받이 본체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동 실시예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도 4와 같이 오수받이 본체(1)와, 입상관(2), 뚜껑(3)으로 구성되며, 상기 오수받이 본체(1)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관(11)과 입상관 접속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오수받이 본체(1)의 본관(11)은 염화 비닐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단면 형상이 원형, 평면 형상이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관(11)의 일단부에는 접수구(11a)가 형성되고, 접수구(11a)에는 고무링(11b)이 장착된 링홈(11c)이 형성된다.
또한 본관(11)의 주벽에는 상부면이 평평한 팽출부(11d)가 형성되고, 팽출부(11d)의 상부면에는 관축방향의 치수 L가 관구경 R보다 큰 타원 형상의 개구부(11e)가 형성된다.
상기 팽출부(11d)는 상부면이 본관(11)의 축으로 대해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개구부(11e)의 주연에는 고무링(11f)이 장착된다.
입상관 접속부(12)는 상기 본관(11)과 같이 에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본관(11)의 개구부(11e)와 대응하는 타원형의 접합부(12a)가 형성되 고, 접합부(12a)가 개구부(11e)의 주연에 압착 방식으로 접합된다.
상기 접합부(12a)의 타단부에는 입상관(2)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의 접수구(12b)가 형성되고, 접수구(12b)는 상기 접합부(12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접수구(12b)에는 고무링(12c)가 장착되는 링홈(12d)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 본체(1)를 제조할 때에는 우선 합성수지관의 일단을 팽출시켜 접수구(11a)를 형성하고, 합성수지관의 주벽에 상부면이 평평한 팽출부(11d)를 형성함과 동시에 팽출부(11d)의 상부면에 관축방향의 치수 L가 관구경 R보다 큰 타원형의 개구부(11e)를 형성하여 본관(11)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 본체(1)를 제조할 때에는 팽출부(11d)의 상부이 관축으로 대해 평행이 되게끔 형성하지만 팽출부(11d)의 표면이 관축으로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팽출부(11d)의 상부면에 개구부(11e)를 형성할 때는 평평한 면을 절삭 하기 때문에 특수 기계나 고도의 기술이 없어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본관(11)보다 구경이 큰 단면 원형의 합성수지관의 일단을 팽출시켜 접수구(12b)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합성수지관의 타단을 상기 개구부(11e)에 대응한 타원 형상이 될 때까지 축경시켜 접합부(12a)를 형성하고, 접합부(12a)를 상기 개구부(11e)의 주연에 접합시켜 입상관 접속부(12)를 형성한다.
상기 입상관 접속부(12)의 접합부(12a)를 개구부(11e)의 주연에 접합시킬 때에는 우선 개구부(11e)의 주연에 고무링(11f)를 장착하고, 접합부(12a)를 가열 연화 시킨 상태로 개구부(11e)로부터 본관(11)내에 삽입시킨 다음 접합부(12a)에 꽉 누르는 것에 의해서 접합부(12a)를 고무링(11f)에 압착할 때까지 확경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서는 2개의 합성수지관을 2차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오수받이 본체(1)을 제조하게 되므로 오수받이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비해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며, 합성수지관의 2차 가공이 특수한 기계나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오수받이 본체의 정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오수받이 본체의 측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오수받이 본체
2 : 입상관
3 : 뚜껑
11 : 본관
11d : 팽출부
11e : 개구부
12 : 입상관 접속부

Claims (1)

  1. 합성수지관의 주벽에 상부면이 평평한 팽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팽출부의 상부면에 관축 방향의 치수가 관구경보다 큰 개구부를 형성한 본관과,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대응한 형상의 합성수지관을 상기 개구부의 주연에 접합시켜 형성한 형상의 입상관 접속부를 구비하여 오수받이 본체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KR1020090090923A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KR20110033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23A KR20110033427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23A KR20110033427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427A true KR20110033427A (ko) 2011-03-31

Family

ID=4393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923A KR20110033427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4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9755A1 (en) Seismic conduit joint connector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200438887Y1 (ko) 이중벽관 이음용 패킹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20110033427A (ko) 오수받이
JP7356606B2 (ja) 雨水マス、及び雨水マスの施工方法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CN203442386U (zh) 一种节流式承插无垫连接管材
JPH06220907A (ja) 排水桝
CN202674652U (zh) 快插接头
CN217899195U (zh) 一种排水管道用可拆卸承插防脱结构
CN201090854Y (zh) 管材连接装置
KR200300524Y1 (ko)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CN205877506U (zh) 一种带有橡胶圈的pvc管材
CN213425673U (zh) 一种方形电缆保护波纹管插环式连接件
KR20130092207A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CN204942830U (zh) 具有弹性进水口的硅胶密封圈
KR20190074056A (ko) 배수관 회전조인트
CN215831382U (zh) 一种给排水埋地抗蠕变性聚乙烯管材
CN103307396B (zh) 一种节流式承插无垫连接管材
JP3657180B2 (ja) リブ付管用樹脂製マンホールの製造方法
CN217759175U (zh) 下水管接口
CN211738353U (zh) 一种密封圈防割结构及快接头
CN212389882U (zh) 一种具备密封效果好的管道连接件
CN201621346U (zh) 两件套卡压式球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