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178A -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178A
KR20110033178A KR1020117000118A KR20117000118A KR20110033178A KR 20110033178 A KR20110033178 A KR 20110033178A KR 1020117000118 A KR1020117000118 A KR 1020117000118A KR 20117000118 A KR20117000118 A KR 20117000118A KR 20110033178 A KR20110033178 A KR 2011003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b
frame
parameter
adap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411B1 (ko
Inventor
무하마드 카즈미
오라프 퀘세트
크리스티안 베르크륑
밍 첸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122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3317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1003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03G3/3047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for intermittent signals, e.g. bur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영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는 미리 결정된 전력 마스크를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에 적응시키고 적응도니 전력 마스크를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에 적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eNode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서 또는 사용자 장비에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RRANGE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영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cations System)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용어로서, UTRAN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 및 NodeB들, 즉, 무선 기지국들로 이루어진다. NodeB들은 모바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고 RCN들은 NodeB들을 제어한다. RNC들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에 더 접속된다. 진화된 UTRAN(Evolved-UTRAN: E-UTRAN)은 고 데이터 레이트(high-data rate), 저-레이턴시(latency) 및 패킷-최적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UTRAN의 진화이다. 더욱이, E-UTRAN은 e-NodeB(evolved NodeB)들로 구성되고, e-NodeB들은 진화된 패킷 코어 네트워크(Evolved Packet Core network: EPC)에 더 접속된다. E-UTRAN은 또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로 칭해지고 있으며,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내에서 표준화된다.
타임 멀티플렉싱된 시스템(time muliplexed system)에서, 예를 들어 E-UTRAN,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에서의 업링크에서, 송신기들은 특정한 할당된 타임 슬롯(time slot)들로 송신된다. 그러므로, 송신기는 타임슬롯의 초기에 송신을 시작하고 타임슬롯의 말미에 송신기를 턴오프(turn-off)할 것이다. 게다가, 송신기의 출력 전력은 타임슬롯마다 변하거나 타임슬롯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송신기들은 전형적으로 출력 전력을 턴온(turn-on)할 뿐만 아니라 출력 전력을 턴-오프하기 위하여 얼마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출력 전력을 턴-온 및 턴-오프하는 것이 즉각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온 상태 및 오프 상태 사이의 매우 급격한 전이들은 인접한 채널 간섭을 발생시키는 인접한 캐리어(carrier)들에서 원하지 않는 신호 방출들을 발생시킬 것이며, 이는 특정한 레벨로 제한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전이 기간, 즉, 송신기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되거나 그 역의 때가 존재한다. 이 전이 기간들 동안 송신기의 출력 신호는 송신기가 완전하게 턴-온되는 때와 같이 양호하지 않다는 의미에서 규정되지 않는다. 전이 기간들은 도 1에 도시된다. 더욱이, 전이 기간 동안의 출력 전력은 전력 램프(power ramp)로 칭해진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램핑의 지속기간은 전형적으로 서브-프레임 또는 타임슬롯의 길이에 비해 매우 짧지만 그 위치는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램핑 또는 전위 위치의 측면에서 세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타임슬롯/서브-프레임 외부의 램핑
·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타임슬롯/서브-프레임 내부의 램핑
·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타임슬롯/서브-프레임의 내부 그리고 부분적으로 타임슬롯/서브-프레임의 외부의 램핑
타임 마스크(time mask)로 또한 칭해지는 전력 마스크(power mask)는 예를 들어 전이 이벤트 동안 그리고 램프가 시작할 때 제공되는 시간 인스턴트(instants)들에서 허용된 출력을 규정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가 램프업(ramp-up), 즉, 출력 전력을 증가시킬 때, 전력 마스크는 전이 이벤트 전에, 전이 이벤트 동안에 그리고 전이 이벤트 이후에, 램프-업이 시작되어야 할 때, 얼마나 많은 출력 전력이 허용되는지를 지정할 수 있다. 허용된 출력 전력은 개방 범위로서, 즉, 특정 레벨 이하 또는 간격으로 즉 출력 전력 X 및 Y 사이로 표현될 수 있다.
GSM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전력 마스크들은 타임슬롯 레벨(각각 577 ㎛ 및 667 ㎛)에서 규정된다. E-UTRAN에서, dlsms 서브-프레임 레벨(1ms) 및 SC-OFDM(Single Carrier-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볼 레벨로 규정되어, 예를 들어 사운딩 기준 심볼(Sounding Reference Symbol : SRS)가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때에 적용될 것이다.
램핑 기간들의 역효과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 중인 여러 방법들이 존재한다. GSM 및 UTRA-TD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Time-Division Duplex)에서, 송신기는 실제 신호가 송신되기 조금 전에 턴온된다. 상기 방식으로 송신기는 실제 신호가 송신되기 전에 온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어느 정도의 시간을 갖는다. 타임슬롯의 말단에서 송신기는 완전한 신호가 송신될 때까지 턴-오프되지 않는다. 타임슬롯들이 적시에 인접하고 에너지가 타임슬롯 외부에서 송신되는 경우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되는 에너지로 인해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간섭이 발생될 것이다. 이 문제를 경감시키기 위해, 작은 보호 간격이 타임슬롯들 사이에 도입된다. UTRA-FDD(UTRA-Frequency-Division Duplex)에서 이 해법이 사용되지 않는다. 송신기는 신호가 송신될 때 온-상태에 완전하게 도달되지 않았고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기 전에 송신기는 턴-오프된다. 이 경우, 신호의 코딩 및 확산(spreading)은 램핑 기간의 효과들을 경감시킬 것이다.
UTRAN에서 전력 제어는 타임슬롯 레벨로 동작한다. 이는 전력 변화가 타임슬롯에 기반하여 발생하고 송신 전력 마스크는 결과적으로 타임슬롯에 기반하여 규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E-UTRAN에서 전력 제어는 서브-프레임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송신 전력 마스크는 서브-프레임 레벨 및 OFDM 심볼 레벨로 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UTRA 업링크에서 서브-프레임의 지속기간은 1ms이다. 서브-프레임은 14 또는 12 SC-OFDM 심볼들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에서의 최종 심볼은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SRS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SRS는 또한 업링크 채널 종속 스케줄링(scheduling) 및 시간 트랙킹(time tracking)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SRD에 대한 송신 전력은 서브-프레임의 다른 심볼들에 대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과 상이할 수 있다. 상이한 송신 전력들의 관계가 도 3에 도시된 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되는 급한 전력 변화들은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E-UTRAN에서 업링크 타임슬롯들은 적시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UTRA를 위해 존재하는 최신의 해법에서, 램핑 업 및 다운 기간들로 규정되는 고정 우물(well)의 하나의 세트는 표준 3GPP TS 25.101 및 TS 25.102에 규정된다. 그러므로, 신호 품질 및 다른 타임슬롯들에 대한 간섭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는 시스템이 설계될 때 설정된다. 도 4는 일정하지 않은 출력 전력 및 사용자에 대한 간섭으로 인해 신호 품질 저하의 문제점들을 발생한다.
그러나, 특정 신호들, 예를 들어 사운딩 기준 심볼(SRS)은 자신이 업링크 채널 종속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특히 양호한 품질을 가질 필요가 있다. 더욱이, 다른 상황들에서 전력 램핑으로 인한 간섭은 처리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들과 같은 다른 신호들에 대하여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E-UTRAN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서 신호 송신의 서브-프레임 및 OFDM 심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미리-규정된 전력 마스크가 설정된다. 상기 전력 마스크는 다음:
제 1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램프들 각각의 제 1 및 제 2 지속기간,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램프들 각각의 특정한 시간에서의 제 1 및 제 2 전력 레벨 중 임의의 하나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된다. 더욱이,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전력 마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에 적응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응된 전력 마스크는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OFDM 심볼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를 신호 송신의 서브-프레임 및 OFDM 심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 마스크는 다음:
제 1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램프들 각각의 제 1 및 제 2 지속기간,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램프들 각각의 특정한 시간에서의 제 1 및 제 2 전력 레벨 중 임의의 하나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된다. 더욱이,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마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에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응된 전력 마스크를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OFDM 심볼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사용자로부터 고품질을 갖는 특정 송신 신호들, 즉, 기준 신호를 시그널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다른 사용자들로 그리고 다른 사용자들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스템의 처리량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상이한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의 품질을 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다음의 도면들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참조된다:
도 1은 출력 전력이 변하거나 송신기가 턴-온되거나 턴-오프될 때 발생하는 전이 기간들을 도시한다.
도 2a, 2b, 및 2c는 전력 마스크 램프들의 가능한 위치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SC-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전력 마스크 램프들의 배치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 품질 및 간섭에 의한 문제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제3세대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 및 이의 전화들의 일반적인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6a 및 6b는 전력 마스크 및 상이한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에 대한 규칙들의 세트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 9b, 9c, 9d 및 9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이 적응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에서 구현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 및 제한하지 않을 목적으로,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단계들의 특정 시퀀스들, 시그널링 프로토콜들 및 디바이스 구성들과 같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진술된다. 본 발명은 이 특정 세부사항들을 벗어나지 않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더욱이, 당업자는 본원에서 후술되는 수단 및 기능들이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범용 컴퓨터와 함께 소프트웨어 기능을 사용하고/사용하거나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는 또한 현재의 발명이 주로 방법들 및 장치들의 형태로 기술될지라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뿐만 아니라 컴퓨터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메모리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로 인코딩된다.
제 3 세대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 및 이의 진화들의 일반적인 아키텍처가 도 5에 도시되고, 여기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음성 및 패킷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EPC(52)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eNodeB들(5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장비(UE)들(54)은 하나의 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E-UTRAN에서 개선된 송신 출력 전력 제어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을 포함한다. 개선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는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를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 즉 송신될 신호의 콘텐츠에 적응시키고, 적응된 전력 마스크를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에 적용시킴으로써 실시예에 따라 달성된다. 상기 방법은 eNode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서 또는 UE에서 더 구현될 수 있다.
전력 마스크는 송신 오프 및 온 전력 사이 그리고 송신 온 및 오프 전력 사이에서의 송신 전력의 전이 기간이고 하나 또는 여러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에 의해서 규정된다. 전력 마스크의 하나의 예가 도 6a에 도시된다. 전력 마스크는 제 1 전력 램프 및 제 2 전력 램프를 포함한다. 제 1 전력 램프는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갖는다. 게다가, 제 2 전력 램프는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갖는다. 도 6b에 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력 마스크는 이 예에서 제 1 전력 램프의 지속 기간 및 제 2 전력 램프의 지속 기간에 의해 규정된다. 전력 마스크는 램프들의 특정 시간에서 제 1 전력 레벨 및 제 2 전력 레벨에 의해 부가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제 도 7 내지 11을 참조할 것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방법들의 흐름도 및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의 개략적인 블록도들을 도시한다.
도 7a는 신호 송신에 적용될 신호 송신의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에 대하여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가 설정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는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그와 같은 미리-규정된 전력 마스크는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여러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에 의해 규정된다. 그 후에 하나 또는 여러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은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에 적응될 수 있다(72). 본 발명은
·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에서 송신될 신호의 콘텐츠
· 연속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에서 송신될 신호의 콘텐츠
· 주어진 조건들, 예를 들어 트래픽 부하
· 예를 들어 스케줄링, 링크 적응, 및 시간 트랙킹과 같은 특수 목적을 위한 기준 신호 기반 측정치들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구성
· 배치 시나리오들, 예를 들어 셀 크기
와 같은 복수의 신호 송신 특성들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길 가능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이후에 적응된 전력 마스크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이 송신될 때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에 적용된다(74). 그러므로, 출력 전력의 변화, 즉 전력 마스크가 적용되는 신호, 따라서 전력 마스크의 램프의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시간 인스턴트는 신호 송신 특성의 단일 또는 결합에 의해 결정된다.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의 적응은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표준화된 규칙들로서 또는 시그널링을 통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표준화된 규칙들은 램프뿐만 아니라 램프의 지속기간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8에서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방법에 대한 규칙들의 세트의 예가 도시된다. 각각의 화살표(81 내지 87)는 규칙을 나타낸다. 어떤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이 송신되는지 그리고 어떤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들이 차기에 송신하는지에 따라 특정 규칙이 선택된다. 제 1 상태 박스(810)는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을 나타낸다. 제 2 상태 박스(820)는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의 콘텐츠가 제어 또는 기준 심볼일 때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을 나타낸다. 제 3 상태 박스(830)는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때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는 UE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에 있을 수 있다. UE는 오프 상태에서 유휴 모드 및 접속 모드 모두에 있을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은 또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로부터 연속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로의 전이일 수 있다. 각각의 규칙은 전력 마스크 램프들의 하나 또는 여러 파라미터들, 즉 시작 지점, 종료 지점 및 지속기간과 연관될 수 있다.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준에서 규정되거나 코어 네트워크(52)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의 적응은 또한 네트워크 구성,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정보와 같은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는 기지국, 즉, eNodeB에 의해 셀 내에서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이다. E-UTRAN에서 스케줄링 정보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에서 송신된다. 모든 UE는 PDCCH 상에서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할 것으로 추측되는데 왜냐하면 셀 내의 임의의 UE는 임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업링크 송신에 대해 스케줄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케줄링 정보는 어느 서브-프레임들이 사용되고 어느 서브-프레임들이 사용되지 않은지를 나타낸다.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함으로써, UE는 UE가 스케줄링되는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 즉 연속 서브-프레임이 다른 UE에 의해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UE는 이 정보에 기반하여 램프의 위치를 적응시킬 수 있다. 더욱이, 신호 품질을 최대화하기 위해, 송신될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 규칙(84)은 도 9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 규칙(85)은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 내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된다.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하고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 규칙(81)은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 내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제 2 전력 램프의 지속기간을 단축함으로써 실행되는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의 적응을 포함한다.
다른 부가적인 예는 송신되는 OFDM 심볼이 기준 신호를 포함할 때인 것으로, 규칙 (83, 86)은 도 9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OFDM 심볼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OFDM 심볼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의 적응을 포함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예는 송신되는 OFDM 심볼의 이전의 OFDM 심볼이 기존 신호일 때인 것으로, 규칙(83, 86)은 도 9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OFDM 심볼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의 적응을 포함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예는 송신되는 OFDM 심볼의 연속 OFDM 심볼이 기준 신호를 포함할 때인 것으로, 규칙(82, 87)은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OFDM 심볼 내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의 적응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예는 고차 변조, 예를 들어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64 QAM 이상을 갖는 데이터를 포함할 때다. 규칙은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의 적응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은 하위 차수 변조, 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또는 QPSK(Quadrature PSK)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할 때, 규칙은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의 조정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 송신 동안의 신호 교란의 임계값이 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신호가 저장되어 있고 신호 교란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거나 동일할 때, 규칙은 제 1 전력 램프의 종단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의 적응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신호가 약하고 신호 교란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클 때, 규칙은 제 1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을 서브-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서브-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의 적응을 포함한다.
eNodeB에서 구현되는 방법에 의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규칙들이 적용될 수 있음이 언급되어야 한다. 각각의 eNodeB는 eNodeB에 접속되는 UE들을 스케줄링한다. 더욱이, eNodeB들이 상호 접속될 때, 이들은 스케줄링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eNodeB들은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므로 eNodeB는 원리적으로 연속 서브-프레임이 다른 eNodeB에 의해 사용되는지 또는 사용되지 않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는 eNodeB들이 상호 접속되고 이들은 eNodeB - eNodeB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케줄링 정보 또는 연속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될지에 관한 최소한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eNodeB는 eNodeB들이 상호 접속되기 때문에 연속 서브-프레임이 다른 eNodeB에 의해 사용되는지를 인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의 적응은 동적 구성에 의해 시그널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기지국, 즉, eNodeB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마스크는 기지국에서 내적으로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UTRAN과 같은 시스템들에서, RNC는 RNC 및 NodeB, 즉, Iub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걸친 시그널링을 통하여 기지국 전력 마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UE에서 사용되는 전력 마스크의 적응은 또한 명료한 무선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에 기반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동일한 적응된 전력 마스크가 특정 신호 송신 특성들, 예를 들어 큰 셀 내에서의 특정한 전력 마스크를 갖는 셀 내의 모든 UE들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eNodeB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각각의 UE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을 통해 특정 전력 마스크에 따라 송신하도록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b는 UE(54)에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UE(54)는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를 적응시키는 방법에 관한 명령들(76)을 eNodeB로부터 수신한다. 실시예의 장점은 UE(54)의 전력 소비가 감소되는 것인데 왜냐하면 전력 마스크를 적응시키는 방법의 계산들이 eNodeB에서 수행되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의 다른 장점은 eNodeB가 UE보다 시스템 상태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 예를 들어, 큐(queue) 길이들, 무선 조건을 가진다는 점에 의해 최대화될 수 있다.
UE에서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되는 전력 마스크를 구성하는 여러 방법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eNodeB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의 에지(edge)로부터 정확한 시간 오프셋을 시그널링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eNodeB는 모든 램프들이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의 종료 또는 시작 시에 시작하는 것을 시그널링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eNodeB는 지정되고 충분히 규정된 복수의 적응 전력 마스크들 중 적응된 전력 마스크의 식별자를 UE로 시그널링, 즉, 복수의 표준화된 전력 마스크들로부터 표준화된 전력 마스크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시그널링한다. 모든 상기의 경우들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마스크는 eNodeB에 의해 동적으로 또는 반 정적(semi-statically) 구성되고 제어된다.
도 7a에 도시되는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100)는 미리 정의된 전력 마스크를 신호 송신의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에 대하여 설정하기 위한 유닛(102)을 포함한다. 장치(100)는 전력 마스크의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의 적어도 하나를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으로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 및 적응된 전력 마스크를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로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장치(100)는 UE(54) 또는 eNodeB(5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54)에서 구현된다. 장치는 eNodeB(50)로부터 저녁 마스크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에 관한 명령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108)를 더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들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서 명확하게 진술된 것 이외의 다른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면들에서 설명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만 하지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50 : eNodeB 52 : EPC(진화된 패킷 코어 네트워크)
54 : 사용자 장비(UE) 810 : 데이터

Claims (30)

  1.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를 신호 송신의 서브-프레임 및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하는 단계(70)로서, 상기 전력 마스크는 다음: 제 1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램프들의 각각의 제 1 및 제 2 지속기간,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램프들 각각의 특정한 시간에서의 제 1 및 제 2 전력 레벨 중 임의의 하나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전력 마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에 적응시키는 단계(72), 및,
    - 상기 적응된 전력 마스크를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OFDM 심볼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54)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방법에 대한 명령을 네트워크 노드(5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복수의 표준화된 전력 마스크들 중에서 하나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50)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 내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상기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을 상기 서브-프레임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지속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상기 OFDM 심볼이 기준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OFDM 심볼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OFDM 심볼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상기 OFDM 심볼의 이전 OFDM 심볼이 기준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OFDM 심볼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상기 OFDM 심볼의 연속 OFDM 심볼이 기준 심볼을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OFDM 심볼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고차 변조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하위 차수 변조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신호 교란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더 작거나 동일할 때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72)는 신호 교란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더 클 때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들 상기 서브-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16.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로서, 미리 규정된 전력 마스크를 신호 송신의 서브-프레임 및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상기 전력 마스크는 다음: 제 1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제 2 전력 램프의 시작 지점,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종료 지점,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램프들 각각의 제 1 및 제 2 지속기간,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램프들 각각의 특정한 시간에서의 제 1 및 제 2 전력 레벨 중 임의의 하나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 마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신호 송신의 신호 송신 특성에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 및
    상기 적응된 전력 마스크를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OFDM 심볼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하기 위한 유닛(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비(54)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마스크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방법에 대한 명령(108)을 네트워크 노드(5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복수의 표준화된 전력 마스크들 중에서 하나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50)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 내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2. 제 16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 외부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3.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기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게 조정하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을 상기 서브-프레임 외부에 배치되게 조정하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지속기간을 단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4. 제 1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기 OFDM 심볼이 기준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OFDM 심볼 외부에 배치되게 조정하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OFDM 심볼의 외부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5.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기 OFDM 심볼의 이전 OFDM 심볼이 기준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OFDM 심볼 내부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6. 제 16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기 OFDM 심볼의 연속 OFDM 심볼이 기준 심볼을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OFDM 심볼 내부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7. 제 16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고차 변조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8. 제 16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프레임이 하위 차수 변조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할 때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29. 제 1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신호 교란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더 작거나 동일할 때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되게 조정하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30. 제 1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유닛(104)은 신호 교란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더 클 때 상기 제 1 전력 램프의 상기 시작 지점 파라미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게 조정하고 상기 제 2 전력 램프의 상기 종료 지점 파라미터들 상기 서브-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KR1020117000118A 2008-06-05 2008-12-18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KR101530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16508P 2008-06-05 2008-06-05
US61/059,165 2008-06-05
PCT/SE2008/051494 WO2009148372A1 (en) 2008-06-05 2008-12-18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178A true KR20110033178A (ko) 2011-03-30
KR101530411B1 KR101530411B1 (ko) 2015-06-19

Family

ID=4051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118A KR101530411B1 (ko) 2008-06-05 2008-12-18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8223863B2 (ko)
EP (3) EP3107338A1 (ko)
JP (10) JP4951718B2 (ko)
KR (1) KR101530411B1 (ko)
CN (2) CN102057732B (ko)
AT (1) ATE536069T1 (ko)
AU (1) AU2008357514B2 (ko)
BR (1) BRPI0822643B1 (ko)
CA (1) CA2726818A1 (ko)
CO (1) CO6351839A2 (ko)
ES (2) ES2586383T3 (ko)
HK (2) HK1157992A1 (ko)
IL (1) IL209597A (ko)
MA (1) MA32447B1 (ko)
MX (1) MX2010012233A (ko)
MY (1) MY149743A (ko)
NZ (1) NZ588998A (ko)
PL (1) PL2301285T5 (ko)
RU (1) RU2010154440A (ko)
TW (3) TWI457028B (ko)
WO (1) WO2009148372A1 (ko)
ZA (1) ZA201008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36069T1 (de) * 2008-06-05 2011-12-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anordnung in einem zellularen kommunikationssystem
WO2013125925A1 (ko) * 2012-02-24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를 트랙킹하는 방법 및 장치
US9763225B2 (en) * 2013-10-07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LTE-U clear channel assessment operations
US9295010B2 (en) * 2013-10-11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ransmit power and signal shaping
US9742443B2 (en) * 2015-09-08 2017-08-22 Nxp B.V. Pulse shaping for radio frequency transmitters
CN108702714B (zh) 2016-02-17 2021-06-0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为通信系统中的传输提供保护间隔的系统和方法
ES2926491T3 (es) * 2016-11-04 2022-10-26 Ericsson Telefon Ab L M Máscara de tiempo de ENCENDIDO/APAGADO para TTI corto
US10368365B2 (en) * 2017-02-02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Time mask techniques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JP7027118B2 (ja) 2017-10-24 2022-03-01 株式会社Ihiプラント タンク用ジャッキサポート及びタンクの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323B2 (en) * 2006-08-05 2012-01-03 Min Ming Tarng Green technology: green circuit and device designs of green chip
US6430402B1 (en) * 1998-09-14 2002-08-06 Conexant Systems, Inc. Power amplifier saturation preventio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6625227B1 (en) * 1999-09-30 2003-09-23 Ericsson Inc. Artificial ramping of transmit power for burst transmissions
US7031677B2 (en) * 2001-06-29 2006-04-18 Infineon Technologies Ag Optimization of the operating point of power amplifiers in mobile stations
US7158494B2 (en) 2001-10-22 2007-0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ode communications transmitter
JP2003152565A (ja) * 2001-11-13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7215972B2 (en) * 2003-12-09 2007-05-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system
US8175548B2 (en) * 2005-03-30 2012-05-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sequence of transmission bursts
JP2005328572A (ja) * 2005-07-27 2005-11-24 Fujitsu Ltd 増幅器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983854B (zh) * 2005-12-20 2010-05-19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产生输出功率斜坡的传送器及其控制方法
JP2007221655A (ja) * 2006-02-20 2007-08-30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およびその電力制御方法
US7962108B1 (en) * 2006-03-29 2011-06-14 Rf Micro Devices, Inc. Adaptive AM/PM compensation
US8467473B2 (en) * 2006-03-31 2013-06-18 Broadcom Corporation Power control techniques for wireless transmitters
JP4614238B2 (ja) * 2006-07-14 2011-01-1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Rf電力増幅装置
US20080070510A1 (en) * 2006-09-18 2008-03-20 Nokia Corporation Interference management techniques for wireless networks
US7864885B2 (en) * 2006-11-15 2011-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transceiver with pooled adaptive digital filtering
JP4322928B2 (ja) * 2007-02-14 2009-09-02 株式会社東芝 信号受信装置
US7962109B1 (en) * 2007-02-27 2011-06-14 Rf Micro Devices, Inc. Excess current and saturation detection and correction in a power amplifier
FI20075343A0 (fi) * 2007-05-11 2007-05-11 Nokia Corp Lähettimen häiriönpäästön ohjaus
US7986738B2 (en) * 2007-10-19 2011-07-26 Redpine Signals, Inc Peak to 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wireless OFDM transmitter
ATE536069T1 (de) * 2008-06-05 2011-12-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anordnung in einem zellularen kommunikation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9743A (en) 2013-10-14
BRPI0822643B1 (pt) 2020-09-15
JP2016184941A (ja) 2016-10-20
JP2014096840A (ja) 2014-05-22
BRPI0822643A2 (pt) 2015-06-23
ES2375532T5 (es) 2015-08-20
JP7071781B2 (ja) 2022-05-19
AU2008357514B2 (en) 2013-11-07
TW201442541A (zh) 2014-11-01
US20120281775A1 (en) 2012-11-08
EP2405695A1 (en) 2012-01-11
CA2726818A1 (en) 2009-12-10
MX2010012233A (es) 2010-11-30
JP2021108486A (ja) 2021-07-29
JP2015136143A (ja) 2015-07-27
CN103974406A (zh) 2014-08-06
EP2301285B1 (en) 2011-11-30
ATE536069T1 (de) 2011-12-15
TW201012268A (en) 2010-03-16
CN103974406B (zh) 2019-03-08
TWI457028B (zh) 2014-10-11
JP6377220B2 (ja) 2018-08-22
JP2017225142A (ja) 2017-12-21
EP2301285A1 (en) 2011-03-30
JP2019195194A (ja) 2019-11-07
EP3107338A1 (en) 2016-12-21
AU2008357514A1 (en) 2009-12-10
PL2301285T5 (pl) 2016-06-30
JP2022110030A (ja) 2022-07-28
JP5706010B2 (ja) 2015-04-22
JP4951718B2 (ja) 2012-06-13
TW201705789A (zh) 2017-02-01
EP2405695B1 (en) 2016-06-08
JP5460765B2 (ja) 2014-04-02
JP5941571B2 (ja) 2016-06-29
TWI552628B (zh) 2016-10-01
JP2011523831A (ja) 2011-08-18
WO2009148372A1 (en) 2009-12-10
HK1157992A1 (en) 2012-07-06
KR101530411B1 (ko) 2015-06-19
JP6546325B2 (ja) 2019-07-17
PL2301285T3 (pl) 2012-04-30
EP2301285B2 (en) 2015-03-18
JP6872205B2 (ja) 2021-05-19
JP6181810B2 (ja) 2017-08-16
US8223863B2 (en) 2012-07-17
IL209597A0 (en) 2011-02-28
MA32447B1 (fr) 2011-07-03
NZ588998A (en) 2013-06-28
JP2018198435A (ja) 2018-12-13
IL209597A (en) 2014-03-31
HK1205847A1 (en) 2015-12-24
JP2012157031A (ja) 2012-08-16
US20110051829A1 (en) 2011-03-03
CN102057732B (zh) 2014-06-04
TWI635766B (zh) 2018-09-11
CN102057732A (zh) 2011-05-11
RU2010154440A (ru) 2012-07-20
CO6351839A2 (es) 2011-12-20
ES2375532T3 (es) 2012-03-01
ES2586383T3 (es) 2016-10-14
ZA201008047B (en)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1781B2 (ja) 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AU202120279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AU201326384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