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077A -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077A
KR20110033077A KR1020100092540A KR20100092540A KR20110033077A KR 20110033077 A KR20110033077 A KR 20110033077A KR 1020100092540 A KR1020100092540 A KR 1020100092540A KR 20100092540 A KR20100092540 A KR 20100092540A KR 20110033077 A KR20110033077 A KR 2011003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pace
terminal
movement
spac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혜경
Original Assignee
천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혜경 filed Critical 천혜경
Priority to PCT/KR2010/0065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37408A2/ko
Priority to US13/497,922 priority patent/US8787931B2/en
Publication of KR2011003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에서 실행된다. 상기 단말기는 이동 감지 센서, 콘텐츠 저장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감지 센서는 단말기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Continuous Space) 및/또는 이산적인 공간(Discrete Spac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된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가상 공간이 이산적인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결정된 적어도 일부의 가상 공간은 인접한 이산적인 가상 공간 중 하나에 상응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동 감지 센서에서 제공된 이동 거리가 최소인식거리보다 큰 경우, 해당 이동 거리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된 이동 거리가 최소인식거리보다 작은 경우, 해당 이동 거리를 삭제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TERMINAL WITH VIRTUAL SPACE INTERFA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IRTUAL SPACE INTERFACE}
개시된 기술은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이버 공간(Cyber Space)은 컴퓨터에 의하여 만들어진 허상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의 물리적인 위치와는 상관없는 곳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컴퓨터 및/또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예를 들어, 대화, 쇼핑, 검색, 콘텐츠 이용)이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이버 공간에 접근하고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는 사이버 공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단말기가 가지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상 공간(Virtual Space)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에서 실행된다. 상기 단말기는 이동 감지 센서, 콘텐츠 저장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감지 센서는 단말기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한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Continuous Space) 및/또는 이산적인 공간(Discrete Spac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된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가상 공간이 이산적인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결정된 적어도 일부의 가상 공간은 인접한 이산적인 가상 공간 중 하나에 상응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동 감지 센서에서 제공된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큰 경우, 해당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된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작은 경우, 해당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을 삭제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공간은 인증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인증 공간인 경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실행여부를 입력받는 콘텐츠 실행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실행 여부를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표시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해당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실행하여 상기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Continuous Space), 이산적인 공간(Discrete Space) 및/또는 인증 공간(Confirmation Space)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이동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큰 경우, 해당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확인된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공간이 연속적인 공간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좌표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상응하여 보정된 좌표를 계산할 수 있고, 상기 계산된 좌표에 상응하는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공간이 이산적인 공간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위치를 계산할 수 있고, 상기 계산된 위치로부터 가장 인접한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에 의해 연속적인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에 의해 이산적인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일 예로 이산적인 공간의 계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의 각 개별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실행하는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서버(110) 및/또는 단말기(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Continuous Space), 이산적인 공간(Discrete Space) 및/또는 인증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공간은 2차원 평면 및 3차원 입체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연속적인 공간은 도 7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산적인 공간은 특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분할 수 있고 도 11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상 공간은 다수의 계층별 레이어(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적인 공간인 도 11의 아이콘 "1106"에 해당하는 위치로 단말기(120)를 이동시킨 후, 해당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단말기(120)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면 해당 아이콘의 하부 레이어(예를 들어, 전화번호 목록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다시 단말기(120)를 이동시켜 특정 목록을 선택한 후 단말기(120)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면 해당 목록의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인증 공간은 사용자의 인증에 의해 정보를 공개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공간은 개인의 사적인 인증 공간과 일정한 그룹이 공유하는 인증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가상 공간을 구현하거나 가상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인 콘텐츠, 다시 말해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와 단말기(120)는 상호 요청에 의해 특정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 서버(110)와 단말기(120)간에 서로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는 한번의 연결만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의 크기가 크거나 실시간으로 업데이트(Update)가 필요한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와 단말기(120)가 상호 연동하여 지속적으로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가상 공간에 관련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20)는 스마트폰, 셀룰러폰,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edia Player), HMD(Head Mounted Display) 등 시각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휴대용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20)는 동일한 가상 공간에 접속된 다른 단말기(125)와 콘텐츠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송수신 및/또는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20)는 콘텐츠 저장부(210), 하드웨어/콘텐츠 실행 입력부(220), 이동 감지 센서(230), 신호처리부(240), 제어부(250), 디스플레이부(260), 알림부(270), 인증부(280) 및 데이터 통신부(290)를 포함한다.
콘텐츠 저장부(210)는 가상 공간을 구현하거나 가상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인 콘텐츠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Continuous Space) 및/또는 이산적인 공간(Discrete Spac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된 공간은 평면 또는 단말기(120)를 중심으로 하는 구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속된 공간은 입체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체 공간은 3차원 좌표로 표현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입체 공간은 2차원 좌표를 갖는 레이어(Layer)를 반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공간은 인증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공간은 개인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증 공간은 특정 그룹의 사용자들만이 공유할 수 있는 공유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저장부(210)는 제어부(250), 디스플레이부(260) 및/또는 신호처리부(240)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콘텐츠를 확대, 축소, 회전, 보완 및/또는 수정하여 디스플레이 할 경우 제어부(250), 디스플레이부(260) 및/또는 신호처리부(240)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다.
하드웨어/콘텐츠 실행 입력부(220)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하거나 가상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인 콘텐츠의 실행여부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콘텐츠 실행 입력부(220)는 단말기(120)에 구성된 실행 버튼(도시하지 않음)의 선택 및/또는 단말기(120)의 특정 움직임(예를 들어, 좌우로 3회 반복)에 기초하여 해당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콘텐츠의 실행 여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콘텐츠 실행 입력부(220)는 가상 공간의 이동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기(120)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 공간의 화면이 변화되거나 하드웨어 및/또는 콘텐츠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콘텐츠의 실행을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콘텐츠 실행 입력부(220)는 기계적 또는 광학적 구성을 가진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튼이나 아이콘은 가상 공간의 온/오프 기능, 화면의 줌 인/아웃 기능, 콘텐츠 선택 및 콘텐츠의 실행/실행 오프 기능, 정보의 선택/잠금/해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아이콘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횟수이나 터치 지속 시간, 드래그를 포함하는 동작을 기초로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동 감지 센서(230)는 단말기(120)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단말기(120)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감지 센서(230)가 디지털 센서인 경우, 양자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동 감지 센서(230)가 아날로그 센서인 경우 연속적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감지 센서(230)는 가속도센서, 각속도센서(자이로스코프), 지자기센서, 및/또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20)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은 앞에서 언급된 센서 또는 센서들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센서의 감지 능력이 민감한 경우, 사용자의 손떨림에도 반응하여 단말기(120) 내부의 연산량이 증가하거나 시각적으로 불안정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중 미세한 움직임에 상응하는 데이터는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 감지 센서(230)에서 감지된 신호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되어 제어부(25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신호의 가공은 증폭, 감쇄, 필터링, 추출, 혼합 및/또는 근사화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40)는 이동 감지 센서(230)에서 제공된 단말기(120)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필터링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신호의 증폭, 감쇄, 추출, 혼합 및/또는 근사화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처리부(240)는 이동 감지 센서(230)에서 제공된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큰 경우, 해당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을 제어부(250)로 전송하고, 제공된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작은 경우, 해당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을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이동중인 사용자가 단말기(120)를 움직이게 되면, 현재의 이동 방향 및 속도로 인하여, 단말기(120)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신호처리부(240)는 특정한 외부 환경에서 이동 감지 센서(23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승차한 사용자가 단말기(120)를 움직이는 경우에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작지만 지속적으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안정적인 속도에서 주행하고 있는 경우) 또는 너무 큰 경우의 신호(예를 들어, 도심지에서 정차 및 주행이 반복되는 경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철에 승차한 사용자가 단말기(120)를 움직이는 경우에는, 전철의 진행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에 대한 가속도 성분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후방향에 대한 가속도 성분이 필터링 되어 제거되도록 설정되면 사용자는 전철의 진행방향을 바라본 상태에서 단말기(120)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상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주위 환경에 따른 감지신호의 처리 방법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주위 환경에 따라서 단말기(120)가 추천하는 내용을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단말기(120)가 주위 환경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공된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기초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적어도 일부의 가상 공간이 이산적인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결정된 적어도 일부의 가상 공간은 인접한 이산적인 가상 공간 중 하나에 상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제어부(250)에서 결정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60)는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D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3D 패널(Three-Dimensional Panel) 및/또는 홀로그램(Hologram) 표시 장치 등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서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270)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콘텐츠의 실행 여부를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부(270)는 제어부(2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60)의 일부에 시각적으로 출력 및/또는 직접 디스플레이부(260)의 일부에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부(27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공간의 좌표값, 이동거리, 이동방향(예를 들어, 화살표), 가상 공간을 구분하는 색의 변화 및/또는 선명도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부(260)에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알림부(270)는 직접 스피커 또는 진동발생소자의 동작을 제어 및/또는 제어부(250)를 통하여 스피커 또는 진동발생소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특정 소리를 출력(청각적 기능)하는 것 및/또는 진동발생소자를 동작(촉각적 기능) 시켜 단말기(12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알림부(270)는 출력되는 소리 및/또는 진동발생소자의 주파수 및 진동 방식을 변경하여 하드웨어 및/또는 콘텐츠의 시작, 중지, 실행중, 이동 속도, 이동 방향, 재실행 및/또는 종료 등을 알릴 수 있다.
인증부(280)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인증 공간이 포함된 경우, 단말기(120)가 해당 인증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어부(250)는 인증부(28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해당 인증 공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부(280)는 가상 공간의 특정 영역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90)는 해당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다른 단말기(125)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른 단말기(125)와 가상 공간을 공유하기 위해 제어부(250)는 데이터 통신부(290)를 통해 해당 단말기(125)와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단말기(125)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125)의 정보는 가상 공간에서의 위치 및/또는 해당 가상 공간에서의 활동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상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는 행위는 데이터 통신부(29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110) 및/또는 다른 단말기(125)로 전송되어, 상호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 구성간의 데이터 전송 및 제어는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나, 이러한 방향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이 변경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저장부(210)에 저장된 가상 공간을 구현하거나 가상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인 콘텐츠는 신호처리부(240)로 전송되고, 신호처리부(240)에서 처리된 단말기(120)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이 적용된 후 제어부(25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다른 단말기(125)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부(290)로 전송하여, 데이터 통신부(290)가 다른 단말기(125)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도 2에 나타난 구성 및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의 신호처리부(240)의 필터링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A1"과 "A2"는 "X"축 방향으로 인접된 영역의 크기(거리)를 나타내고, "Sen_X"는 단말기(120)가 "X"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를 감지한 신호이며, "a1"은 "A1"영역의 시작경계위치이고, "a2"은 "A2"영역의 시작경계위치이며, "m1"은 및 "m2"는 경계위치에서의 최소인식거리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120)가 "A1"영역의 시작경계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한 미세이동이 감지(구간 "T1")되면, 해당 신호는 신호처리부(240)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단말기(120)가 "A1"영역으로 이동하면 해당 영역의 가상 공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구간 "T2"). 이때, 단말기(120)가 "A2"영역의 시작경계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한 미세이동이 감지되더라도 단말기(120)는 "A1"영역의 가상 공간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A1"영역의 가상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일시적인 실수에 의해 단말기(120)의 위치가 "A2"영역으로 이동한 경우(구간 "T3" 및 "T4")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A2"영역의 가상 공간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20)의 신호처리부(240)는 다른 영역으로의 이동된 시간이 설정시간보다 짧은 경우(구간 "T3")에는 가상 공간을 이동시키지 않도록 제어부(250)에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설정시간보다 긴 경우(구간 "T4")에는 가상 공간을 이동시키도록 제어부(250)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20)는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실행하여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410). 예를 들어,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Continuous Space), 이산적인 공간(Discrete Space) 및/또는 인증 공간(Confirmation Space)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20)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이동 감지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단말기(12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유효성을 판단한다(단계 S420). 예를 들어, 유효성은 해당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의 데이터 적용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에 상응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20)의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큰 경우, 해당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확인된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이동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430).
도 5는 도 4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사용자 제어 하에 단말기(120)가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고(단계 S501), 해당 가상 공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단계 S502), 하드웨어/콘텐츠 실행 입력부(220)의 입력에 의해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콘텐츠의 실행에 대한 유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503).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콘텐츠의 실행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단계 S509),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콘텐츠의 실행이 유효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콘텐츠 실행이 온(On)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단계 S504). 이때, 단말기(120)의 이동이 발생되면(단계 S505),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506).
가상 공간이 연속적인 공간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좌표로부터, 단말기(12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상응하여 보정된 좌표를 계산할 수 있고(단계 S507), 계산된 좌표에 상응하는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508). 일 실시예에서, 좌표의 계산은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기준 좌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단말기(120)는 해당 콘텐츠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단계 S510).
여기서, 가상 공간에서의 공간위치 값은 상대적인 레퍼런스(Reference)좌표, 다시 말해, 기준 공간 좌표를 기준으로 변환되어 모든 콘텐츠 아이콘 또는 배경 이미지 등이 상대적인 공간 좌표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좌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로 표현될 수 있으며, 2차원과 3차원 좌표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좌표는 양의 값 및/또는 음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정수 또는 실수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가 실행된 상태에서(단계 S601), 단말기(120)의 이동이 발생하면(단계 S602),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603).
확인 결과, 디스플레이될 영역이 인증 영역인 경우(단계 S604),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단계 S605),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단계 S606), 해당 인증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607). 만약,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 영역 내부가 보이지 않은 상태로 빈 공간만 디스플레이 하거나 이동전 디스플레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단계 S608). 따라서, 가상 공간의 특정 영역에 대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기(120)는 해당 하드웨어의 실행 종료 및/또는 콘텐츠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단계 S609).
도 7 내지 도 10은 도 4에 의해 연속적인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연속적인 공간에 상응하는 전체 이미지(700)는 평면 또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서,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가 실행되면 전체 이미지(700)의 일부(710)가 단말기(800)의 화면(8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단말기(800)의 이동에 상응하여 연속적인 공간이 화면에(810)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9에서, 전체 이미지(700)의 처음 일부(910)가 단말기(800)의 화면(810)에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단말기(800)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단말기(800)의 화면(810)에는 단말기(800)의 이동에 상응하는 전체 이미지(700)의 다음 일부(9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0에서, 단말기(800)의 화면(810)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가 실행되고 단말기(800)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면 최초로 보여준 임의의 객체 정보에 추가적으로 자세한 정보(1011 내지 1015)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임의의 객체 정보와 연결된 위치로 이동하여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공간인 도 10의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800)에 이동버튼(도시하지 않음) 및 확대버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이동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화면을 이동하고, 원하는 일부의 이미지(920)가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확대버튼을 누른 상태로 단말기(800)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면, 해당 이미지(920)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확대 또는 축소의 기준을 나태내기 위해 화면의 중심축에 커서 또는 인지용 도형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상 공간 및/또는 증강현실로 나타난 임의의 객체 정보에 커서 또는 인지용 도형을 올려놓고 단말기(800)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면 더 자세한 정보 또는 추가 연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의 터치 방법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기능용 아이콘 메뉴에 의해 해당 이미지(920)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해 화면의 중심축에 커서 또는 인지용 도형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화면에 터치하는 위치가 중심축이 되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산적인 공간인 경우에도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상기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에 의해 이산적인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이산적인 공간에 상응하는 전체 이미지(1100)는 다수의 아이콘(1101 내지 110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아이콘은 단말기(8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800)의 화면(810) 위치가 해당 아이콘의 위치에 상응하면, 해당 아이콘은 단말기(800)의 화면(810)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2에서, 사용자가 도면부호 "1101"의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이동된 단말기(800)의 화면(810) 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800)의 이동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아이콘(1101)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아이콘과 화면(810)이 겹쳐지는 면적(B1, B2, B3, B4) 중 가장 면적이 큰 아이콘(1101)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화면(810)의 중심점과 각 아이콘의 중심점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장 짧은 거리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상 공간이 이산적인 공간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기준으로, 단말기(80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위치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위치로부터 가장 인접한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좌표의 계산은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기준 좌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산적인 공간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2차원 평면 또는 3차원 입체공간의 평면/공간 그리드(Grid)를 기준으로 하여 아이콘(1101 내지 1109)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단말기(800)의 이동에 따른 화면 디스플레이도 평면/공간 그리드의 기본 단위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평면/공간 그리드의 단위 및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3에서, 이동된 단말기(800)의 화면(810) 위치가 인접된 아이콘들(1101, 1102, 1104, 1105)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할 경우, 해당 아이콘들(1101, 1102, 1104, 1105)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1105)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아이콘과 화면(810)이 겹쳐지는 면적(B1, B2, B3, B4)이 가장 크면서 동일한 경우, 동일한 면적의 아이콘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콘(1101)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화면(810)의 중심점과 각 아이콘의 중심점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가 가장 짧으면서 동일한 거리의 아이콘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장 인접한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가 복수 개인 경우, 해당 다른 일부들 중 부여된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다른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장 인접한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가 복수 개인 경우, 해당 다른 일부들 중 실행 및/또는 디스플레이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다른 일부를 선택하여 이를 기준으로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의 이산적인 공간의 계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산적인 공간의 계층은 메인 메뉴를 선택하는 메인 계층(Layer 1)과 상기 메인 계층의 각 메뉴별 트리구조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계층(Layer 2 내지 Layer 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계층인 "Layer 1"에서 도 12와 같은 단말기(800)의 움직임으로 "전화번호부"를 선택하고 단말기(800)를 뒤로 이동시키면 "전화번호부"의 서브 계층인 "Layer 2"로 이동할 수 있고, 단말기(800)를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ㄱ"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는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ㄱ" 항목을 선택하고 "구본승"의 전화번호인 "010-1234-5678"를 선택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공간에서도 상기 계층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개시된 기술에서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 및 이산적인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별도의 인증공간을 구성할 수 있고, 콘텐츠, 아이콘, 오브젝트 등을 모을 수 있는 모음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공간들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공간들은 다양한 조합으로 전체 가상 공간상에 배치할 수 있으며, 가상 공간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상 공간을 다양하게 구현, 구분 및/또는 구별하고 언제나 변경 및/또는 수정/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전체 가상 공간상에서 각 공간들이 차지하는 영역 및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미니맵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서 아래의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첫째, 화면 회전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의 90도(단말기의 가로와 세로가 바뀌는 각도), 180도, 270도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해당 가상 공간은 회전된 화면의 가로 대 세로 비에 상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둘째, 가상 공간에 위치한 아이콘들 중 적어도 일부를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고, 해당 그룹을 다른 공간으로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있다.
셋째, 가상 공간에서 수행한 과정(예를 들어, 아이콘의 이동) 및 그 결과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필요시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의 제어 하에 이전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넷째,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들을 계층구조로 구성하고, 각 계층을 차별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층 구조는 선택적 정보 획득 및 관리가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과 이에 인접한 아이콘을 실행 상태와 실행 오프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여섯째, 실내 공간을 꾸미기 위한 콘텐츠를 수행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서버 또는 제조업체로부터 해당 제품(예를 들어, 식탁이나 의자)의 이미지를 제공받거나 단말기로 획득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가상 공간의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효율적으로 가상 공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변화되는 가상 공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손떨림 방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의 움직임이 미세한 경우에 대해서는 가상 공간의 이동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실행 및/또는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증강현실 및/또는 3D(Three-Dimensional) 입체 화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단말기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제공하는 이동 감지 센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Continuous Space) 및/또는 이산적인 공간(Discrete Space)을 포함함-;
    상기 제공된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가상 공간이 이산적인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결정된 적어도 일부의 가상 공간은 인접한 이산적인 가상 공간 중 하나에 상응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계층별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별 레이어는
    메인 메뉴를 선택하는 메인 계층; 및
    상기 메인 계층의 각 메뉴별 트리구조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동 감지 센서에서 제공된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큰 경우, 해당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된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작은 경우, 해당 이동 거리를 삭제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은 인증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인증 공간인 경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실행여부를 입력받는 콘텐츠 실행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 입력부는
    단말기에 구성된 실행 버튼의 선택 또는 상기 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에 기초하여 해당 콘텐츠의 실행 여부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실행 여부를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표시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해당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10. (a) 가상 공간을 구현한 콘텐츠를 실행하여 상기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은 연속적인 공간(Continuous Space), 이산적인 공간(Discrete Space) 및/또는 인증 공간(Confirmation Space)을 포함함-;
    (b) 단말기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이동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확인된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최소인식거리 및/또는 최소인식방향보다 큰 경우, 해당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방향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가상 공간이 연속적인 공간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좌표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상응하여 보정된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및
    (c2) 상기 계산된 좌표에 상응하는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가상 공간이 이산적인 공간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상응하는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c2) 상기 계산된 위치로부터 가장 인접한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가장 인접한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다른 일부들 중 부여된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다른 일부를 선택하여 선택한 일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선택된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가장 인접한 가상 공간의 적어도 다른 일부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다른 일부들 중 실행 및/또는 디스플레이 횟수가 상대적으로 다른 일부를 선택하여 선택한 일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선택된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1020100092540A 2009-09-24 2010-09-20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20110033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6503 WO2011037408A2 (ko) 2009-09-24 2010-09-20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US13/497,922 US8787931B2 (en) 2009-09-24 2010-09-20 Terminal with virtual space interfa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irtual space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0611 2009-09-24
KR1020090090611 2009-09-24
KR20090094777 2009-10-06
KR1020090094777 2009-10-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259A Division KR20120030324A (ko) 2011-11-14 2011-11-14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077A true KR20110033077A (ko) 2011-03-30

Family

ID=439376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541A KR20110033078A (ko) 2009-09-24 2010-09-20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1020100092540A KR20110033077A (ko) 2009-09-24 2010-09-20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541A KR20110033078A (ko) 2009-09-24 2010-09-20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87931B2 (ko)
KR (2) KR201100330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6360A (zh) * 2013-07-29 2015-02-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浏览器放大网页的方法及装置
US20170285863A1 (en) * 2016-03-31 2017-10-05 Google Inc. Conductive contacts for alignment of portable user device in vr viewer
US20220206669A1 (en) * 2019-07-05 2022-06-30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3833A1 (en) * 2005-09-15 2007-02-01 Oleg Stanilasvovich Rurin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sing virtual three-dimensional objects
US8472973B2 (en) * 2010-04-23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energy-efficient location de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2464A1 (en) 2012-12-20
KR20110033078A (ko) 2011-03-30
US8787931B2 (en)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59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77006B2 (en) Method, virtual reality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al-world interaction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577620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共有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KR101766370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53006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0155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081307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程序
JP2017174446A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においてテクスチャを用い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1048901A1 (ja) 会議支援システム
JP2022529921A (ja) アイテムを追跡及び発見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20140112918A (ko) 온도 및 습도를 이용한 화면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50067540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EP27530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KR20120107109A (ko) 연락처를 처리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
KR20110033077A (ko)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20120030324A (ko)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WO2011037408A2 (ko)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20120030991A (ko)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201401170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1037409A2 (ko)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JP5247907B1 (ja) データ取得装置、データ取得システム、データ取得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82883A1 (zh) 虚拟对象的交互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475163B2 (ja) データ取得装置、データ取得システム、データ取得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112105A (en) Method and system of dynamic operation of interactive objects
JP2012089007A (ja) 携帯端末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