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038A -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 Google Patents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038A
KR20110032038A KR1020090089344A KR20090089344A KR20110032038A KR 20110032038 A KR20110032038 A KR 20110032038A KR 1020090089344 A KR1020090089344 A KR 1020090089344A KR 20090089344 A KR20090089344 A KR 20090089344A KR 20110032038 A KR20110032038 A KR 2011003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pine needle
needle extract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250B1 (ko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트
Priority to KR1020090089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2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 0.1∼30중량%와, 상기 솔잎 추출물에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한 정제수 30∼75중량%와, 상기 솔잎 추출물에 함유된 지용성 성분과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한 에탄올 10∼45중량%와, 균 번식을 억제하여 항균 효능이 있고 조성물의 응고를 억제하며 조성물의 보존 기간을 늘리기 위한 구연산 0.001∼2중량% 및 살균 또는 방충 효능을 부여하기 위한 리모넨 0.001∼3중량%를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솔잎 추출물을 항균, 항바이러스, 살균, 탈취 등의 효능을 갖는 물질 등과 함께 물과 에탄올이 함유된 액상의 스프레이용 조성물로 만들어 스프레이 장치에 충진함으로써, 스프레이식으로 분사하여 특유의 향과 효능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솔잎 추출물, 에탄올, 덱스트린, 구연산, 리모넨, 스프레이 장치

Description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Composite comprising pine needle extract for spray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pray appratus, spray hand sanitizer, and spray oral cleaner comprising the composite}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잎 추출물을 항균, 항바이러스, 살균, 탈취 등의 효능을 갖는 물질 등과 함께 액상의 스프레이용 조성물로 만들어, 스프레이식으로 분사하여 특유의 향과 효능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는 피너스(Pinus)속으로 세계에 약 80∼90종이 있으나, 이들 중 피. 팔루스트리스 밀러(P.palustris Miller: 북미), 피.피나스터에이톤(P. pinaster Aiton: 프랑스), 피.실베스트리스(P.sylvestris L.: 유럽전역), 피. 라리시드 포이렛(P. laricid Poiret: 오스트리아), 피, 론기폴리아 룩스버그(P. longifolia Rocvurgh: 인도), 피.덴시플로라 시드(P. densiflora Sied. et Zucc.:한국, 일본), 피. 던베리팔라토레(P. thunberii Palatore: 해송, 일본) 등에서 채취한 테르펜 등이 주로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솔잎의 주요 성분은 터펜틴 오일(Terpentine oil), 시네올(Cineole), 살리니그린(Salinigrin), 코니페린(Coniferin), 피-사이멘(P-Cymen), 덴시피마릭산(Densipimaric acid), 레텐(Retene) 등과 엽록소, 단백질, 노지방, 인, 철분, 효소, 미네랄, 지용성 비타민 에이 및 비타민 C 등도 함유되어 있으며, 솔잎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은 종과 채취한 계절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다.
피. 피나스터 에이톤(프)의 잎과 여러 가지(Twings)에서 스팀 증류로 추출한 솔잎 정유(Pine Needle Oil)의 주요 성분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s)이 50∼60% 이며,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이 20∼30% 이다. 모노테프펜 중에는 알파-피넨(α-Pinene(38.32%))과 베타-피넨(β-pinene(28.14%))이 50% 이상을 하며, 카렌(Carene), 베타-미르센(β-Myrcene), 리모넨(Limonene) 등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피너스 덴시플로리아(Pinus densifloria Sieb. et Zucc.)의 잎(Needle)에서 얻은 솔잎 정유에는 알파-피넨(α-Pinene(35.7%)), 베타-피넨(β-Pinene(5%)), 베타-미르센(β-Mycene(18.8%)) 베타-펠란드렌(β-phellandrene(12.7%)), 디펜 텐(dipentene(5.4%)), 캄펜(Germacrene(3.6%)), 베타-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5.93%)), 져마크렌 디(Gernacrene D(2.31%)) 등이 함유되어 있다.
파인 오일(Pine oil)은 주로 북미에서 자라는 팔루스트리스(Palustris) 등의 나무에서 추출하는 것으로, 이의 추출은 목재를 스팀 처리할 때 나무의 내부에 있는 유용성 성분들이 분리되어 나오는 데이를 다시 진공 분별 증류하여 얻어 정류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파인 오일의 주요 성분들은 세스 퀴테르펜 알코올(sesquiterpene alcdhdls), 케톤류(kerones), 테르피네올(terpineol), 펜실알코올(fenchyl alcohols), 보르네올(borneol), 펜콘(fenchon) 및 에스트라골(edtragole) 등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각 종에 따라서 또는 채취하는 부위에 따라서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각각 차이가 있으나, 솔잎의 주요 성분은 테르펜계 중에서도 알파 피넨이다. 소나무의 각 종에 따라서 솔잎 정유의 향취가 각각 차이가 있으나 모두 삼림욕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 물질이 된다.
솔잎의 인체에 대한 효능 효과는 민간요법 등으로 오래전부터 전래되어 오고 있으며, 이들 중에서는 동상 및 피부의 타박상 부위에 대해서 응혈된 피부를 빨리 원상으로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습진, 옴 및 땀띠 등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명의별록에는 솔잎을 사용하여 모발이 희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목초강목에는 부스럼 모발 내장을 튼튼하게 하여 주고 수명을 연장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소취 효과, 불면증 치유 효과, 피부 미용 효과 등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솔잎은 혈액 순환 작용, 혈압 정상화 작용, 심장 강화 작용, 조혈.정혈작용, 숙취 해소 작용, 기타 당뇨, 변비, 위장 장애, 다이어트, 정력 강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각종 식음료 또는 한약제의 원료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솔잎은 식용으로도 건강에 매우 유익하나, 이를 추출물 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솔잎 추출물에서 발산되는 향기 즉, 테르핀유계의 피톤치드를 간접적으로 접하는 것으로도 정신을 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및 피로 해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최근들어 향수나 방향제에 첨가되는 첨가물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렇듯, 소나무가 인체에 유익한 점은 이미 동의보감의 본초강목에서도 극찬하였으며, 삼림욕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의 완화 내지는 피로 회복 그리고 숙면 등의 약리 효과가 뛰어난 식물로 이미 정평이 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일본의 일본 도쿄 쇼와 의과대학의 임상실험 결과 솔싹 추출 농축액은 항바이러스, 항암, 항박테리아, 항기생충은 물론 동맥 경화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면서 체내의 면역 세포의 활성화와 바이러스 세포 성장의 억제 등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최근 유럽에서는 소나무의 솔잎과 전나무, 가문비나무 매실 등으로부터 매실과 유사한 스타아니스(star anise)라는 나무에서 나오는 독감 바이러스의 치료제인 타미플루의 원료와 유사 성분을 추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1995-0002780은 솔잎 추출물 제조방법 및 솔잎 추 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특1995-0002780에 개시된 솔잎 추출물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솔잎을 물로 씻고 풍건한 후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클로로포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1차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 제거한 후 남은 솔잎 분말을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지방즉 알콜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2차 추출하여 솔잎 추출액을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한 솔잎 추출물에는 솔잎 중의 고미성 물질 등의 지용성 물질이 1차 추출에 의하여 추출 제거 되었으므로 솔잎 자체의 향과 효능을 가지면서 고미 등의 다른 맛이 없어 식품에 첨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특징이 있어서, 츄잉껌 등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출방법의 경우, 지용성 물질의 추출 제거를 위하여 클로로포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확실한 건조 혹은 동결 건조를 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1995-0007720에는 솔잎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특1995-0007720에 의하면, 솔잎 분말, 솔잎 정유 및 솔잎 추출물을 비누에 배합시킴으로써 솔잎성분으로 하여금 피부의 미용과 건강을 증진시켜주며 또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주는 즉 삼림욕 효과가 있는 화장비누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종래의 화장비누를 제조할 때 통상의 유지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화장비누소지에 특유의 향을 첨가하는데, 여기에 첨가되고 있는 향은 주로 조합향이 사용되고 있고 천연식물 계통의 향을 첨가한 제품들도 선호되고 있다. 특히 자연식물중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피부미용에 사용되고 있는 식물, 예를들면 인삼, 오이, 살구, 알로에, 레몬, 유자 및 쑥 등의 추출물을 첨가하거나 또는 이들 식물의 특이취를 조합향으로서 표현하고 있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화장비누들은 세정력과 각각 제품들의 특징에 따른 피부 미용효과를 주지만, 심신의 피로를 회복하거나 기분을 상쾌하게 해주는 효과는 미미한데 반해, 등록특허공보 특1995-0007720에 의하면, 소나무계통의 추출물의 방향 성분인 휘톤사이드(PHYTONCIDE) 성분이 미생물에 대한 살균작용, 공기 정화 작용 및 악취의 중화 소취 작용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의 주요성분인 터펜틴(Terpentine)계임에 착안하여, 소나무잎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휘톤사이드의 주요성분인 터펜틴 등을 추출하여 고형의 화장비누에 첨가함으로써 세안 및 인체 세정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제품에 응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누형태의 제품의 경우, 수시로 가지고 다니기에는 불편함이 있으며, 세정력이 기본 기능이므로 섬유 제품에 기능발현을 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특2003-0083803에는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방향제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특2003-0083803은 솔잎을 분쇄하여 정제하고 정제된 솔잎분말을 물에 전탕하여 추출한 원액을 증류하며 증류된 솔잎 추출물을 톱밥형태로 분쇄된 소나무 칩에 혼합하여 상기 솔잎 추출물을 소나무 칩에 흡착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공개번호 특2003-0083803에 의하면, 인공적인 향을 배제한 순수 자연향을 갖는 솔잎을 주재로 하여 얻은 솔잎 추출물을 소나무 칩에 흡착시킴으로서 솔잎의 향을 지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용이하여 여러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고 한다. 그러나, 톱밥형태의 소나무칩을 사용함으로써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하여 부패의 우려가 있고, 쉽게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이 되거나 때를 타기 쉬워서, 섬유 제품의 용도로는 사용이 곤란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5857호는 솔향을 발산하고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65857호에는 실내 또는 자동차의 각종 내장재를 코팅 처리하거나, 분무하는데 사용되며 솔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되어 방향제로도 사용 가능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견운모, 귀양석,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나노 분쇄하고, 상기 혼합물을 고/액 분리하여 여과하고, 상기 혼합물로부터 분리 회수한 여과액에 솔잎 추출물과 에탄올을 혼합하여 일정한 조건 하에서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액을 상온으로 급랭하여 이루어지는 솔향을 발산하고,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음이온을 발산하는 천연광석물과 솔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내장재의 표면에 박막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내장재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자연향인 솔향을 지속적으로 방출하거나, 또는 실내 공간에 분사되어 방향 효과를 제공한다고 한다. 그러나, 견운모, 귀양석 등의 광물질을 나노사이즈로 분쇄하는 공정은 비용과 시간을 많이 소모하며, 이러한 분쇄물의 여과액을 솔잎 추출물과 혼합하여 일정기간 발효시키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미세 입자의 광물질이 차량 내장제에 분사되어 있을 경우, 미세입자 광물질로 인한 호흡기의 장애가 유발될 우려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3861호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인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발명은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인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발명에 의한 솔잎 추출물은 적송(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해송(Pinus thunbergii parlatore) 또는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잎의 에탄올,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이의 성분은 H1N1, H9N2 또는 H6N5의 혈청형을 가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로 인한 독감, 조류독감 또는 변이형 감염성 조류독감, 뉴캐슬병 바이러스(newcastle disease virus)로 인한 파라인플루엔자(Parainfluenza) 또는 사람 알에스바이러스 감염증(Respiratory syncytial virus), 닭 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infectious broncheitis virus)로 인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조류 폐렴바이러스(avian pneumovirus)로 인한 조류 폐렴 바이러스 감염증, 돼지 생식기 및 호흡 증후군 바이러스(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로 인한 돼지 생식기 및 호흡 증후군 바이러스 감염증, 콕사키 바이러스(coxsakie virus)로 인한 콕사키바이러스 감염증, 세망내피증 바이러스(reticuloendotheliosis virus)로 인한 사람 후천성면역결핍증 바이러스 1형 및 2형(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 2), 오제스키 바이러스(aujeszky's disease virus)로 인한 사람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감염증 또는 사람 허피스 바이러스 6, 6A, 6B, 7형(human herpesvirus 6, 6A, 6B, 7), 또는 아데노 바이러스(adeno virus)로 인한 호흡기 감염증 또는 유행성 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ivitis)을 유발하는 사람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써 유용하여, 상기 바이러스의 체내 감염으로 유발되는 인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출물의 경우, 약학 조성물로서의 등록 및 허가가 까다로울 뿐만아니라, 솔잎 추출물 고유의 다량의 탄닌 성분의 함유로 인하여, 약제 제형으로 제조시 위장 장애를 일으킬 우려로 인한 제한이 따르며, 추출물 고유의 떫은 맛으로 인하여 식품으로서 미감이 안 좋은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잎 추출물을 항균, 항바이러스, 살균, 탈취 등의 효능을 갖는 물질 등과 함께 액상의 스프레이용 조성물로 만들어, 스프레이식으로 분사하여 특유의 향과 효능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 0.1∼30중량%와, 상기 솔잎 추출물에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한 정제수 30∼75중량%와, 상기 솔잎 추출물에 함유된 지용성 성분과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한 에탄올 10∼45중량%와, 균 번식을 억제하여 항균 효능이 있고 조성물의 응고를 억제하며 조성물의 보존 기간을 늘리기 위한 구연산 0.001∼2중량% 및 살균 또는 방충 효능을 부여하기 위한 리모넨 0.001∼3중량%를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향미보조제로서 라벤더 오일 또는 파인 오일 0.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탈취 효능을 갖게 하기 위한 덱스트린 0.1∼3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덱스트린은 6개에서 12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포함하는 비 착화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착화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대상물 표면에 스프레이 분사되었을 때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다양한 향기 분자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내에 있는 동안 사이클로덱스트린 안에 있는 공동이 본질적으로 채워지지 않고 남아 있으며,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보습제 성분으로 1,3-부틸렌글리콜 0.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솔잎을 정제수로 세정하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솔잎 분말을 만드는 단계와, (b) 상기 솔잎 분말을 에탄올, 메탄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액과 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10∼100℃의 온도에서 5∼24시간 침적시키고 압착 여과하여 솔잎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c) 솔잎 추출물을 증발 증류법으로 농축하는 단계와, (d) 농축된 상기 솔잎 추출물 0.1∼30중량%, 정제수 30∼75중량%, 에탄올 10∼45중량%, 구연산 0.001∼2중량% 및 리모넨 0.001∼3중량%를 혼합하여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d) 단계에서, 향미보조제로서 라벤더 오일 또는 파인 오일 0.1∼3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과 유기용액의 중량비가 1:1∼5 범위 이고, 상기 솔잎 분말과 상기 용매의 중량비는 1:1∼1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에서, 탈취 효능을 갖게 하기 위한 덱스트린 0.1∼3중량%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덱스트린은 6개에서 12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포함하는 비착화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보습제 성분으로 1,3-부틸렌글리콜 0.1∼3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과 발포 가스가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프레이 용기와, 상기 스프레이 용기 외부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무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 및 압축 저장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공기중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프레이 용기와, 상기 스프레이 용기 외부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무하도록 방아쇠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스프레이 용기 내에 저장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공기중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노즐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인공적인 향을 배제한 순수 자연향을 갖는 솔잎을 주재로 하여 얻은 솔잎 추출물을 스프레이 제품으로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솔잎의 기능과 향을 발현하여 효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용이하여 섬유 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향균과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고,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노인성 검버섯, 무좀, 발톱병 등에 억제 또는 치료 효과가 있고 항균 효능이 있는 구연산을 함유하며, 살균 또는 방충 효능이 있는 리모넨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손 소독 세정제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 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솔잎은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으며, 민속요법에서도 솔잎을 달인 물이나 솔잎즙, 또는 솔잎을 벌꿀에 담근 것이 감기, 고혈압, 동맥경화, 중풍 등의 약으로 사용된다.
민속요법에 따르면 솔잎을 복용하는 방법은 솔잎을 채취하여 잘게 썰고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술에 타서 마시는 방법, 솔잎을 물에 달이는 방법, 생솔잎에 설탕과 물을 넣어 발효시킨 것을 음용하는 방법과 솔잎을 꿀에 재어먹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전통의 식품인 송편을 찔 때 솔잎을 넣어 주어 솔잎의 보존기간을 늘려주고 독특한 향을 부여하는데도 이용을 한다.
솔잎에는 여러가지 정유성분, 비타민류, 탄닌, 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항균성 물질 등이 있어 이것들이 약리 작용을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생물 공학회지(제6권 제1호 55-61쪽, 1991년)에 따르면, 솔잎의 메탄올 추출물이 인체내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의 과정에 관계되는 중요한 효소인 3-히드록시-3-메틸 글루타릴 코엔지임 에이 환원요소(3-hydoxy-3-methyl glutaryl coenzyme A raduct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솔잎을 복용할 경우, 체내의 콜레스테롤 양을 줄일 수 있어 고지혈증, 동맥경화증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이러한 솔잎에서 추출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솔잎 추출물 0.1∼30중량%, 정제수 30∼75중량%, 에탄올 10∼45중량%, 구연산 0.001∼2중량% 및 리모넨 0.001∼3중량%를 포함 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에는 솔잎 추출물이 0.1∼3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솔잎 추출물이 0.1중량% 미만이면 솔잎의 특이향이 약하고 솔잎 추출물 고유의 향균과 항바이러스 효능이 미약하며, 30중량%를 초과하면 솔잎의 진한 향이 과도하여 사람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고 더 이상의 향균 및 항바이러스 효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솔잎 추출물은 솔잎 향의 지속시간 조절 여부에 따라 달리 조정될 수 있으나, 솔잎 추출물은 0.1∼30%, 바람직하게는 1∼20% 정도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시험에 의한 가장 적정한 혼합비로 나타나고 있다.
상기 정제수는 솔잎 추출물에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하여 첨가하고, 스프레이용 조성물에는 정제수가 30∼7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정제수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스프레이 분사가 어려울 수 있고, 정제수의 함량이 75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낮아 솔잎 향이 약해지고 항균과 항바이러스 효능이 미약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솔잎 추출물에 함유된 지용성 성분과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하여 섭취하여도 인체에 무해한 에탄올을 사용하며, 에탄올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스프레이 분사가 어려울 수 있고, 에탄올의 함량이 45중량%를 초과하면 에탄올의 휘발성이 높으므로 솔잎 향이 빨리 증발되어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솔잎 향이 약해지고 향균과 항바이러스 효능이 미약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구연산은 산도를 조절하여 보존 기간을 늘이고 균 번식을 억제하여 항균 기능을 부여하며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응고를 억제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구연산이 함유되게 되면, 스프레이 장치가 장시간 미사용되더라도 스프레이용 조성물 자체에 균 번식이 억제되어 보존 기간이 증가되고 응고가 억제되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할 경우 분사된 대상물에 항균 기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스프레이용 조성물에는 구연산이 0.001∼2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연산이 0.001중량% 미만이면 항균 효과, 보존 기간 향상 및 응고 억제의 효과가 미약하고, 2중량%를 초과하면 산도가 높아져 민감한 인체 피부와 접촉될 때 좋지 않을 수 있고 더 이상의 항균, 보존 기간, 응고 억제 효과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구연산은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노인성 검버섯, 무좀, 발톱병 등에도 탁월한 억제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리모넨(limonene)은 오렌지나 레몬의 껍질에 함유된 주요성분으로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살균 또는 방충 효과를 부여하고 오렌지향을 내어 진한 솔잎 향과 잘 어우러져 은은하고 향긋한 향이 나게 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스프레이용 조성물에는 리모넨이 0.0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리모넨이 0.001중량% 미만이면 살균 또는 방충 효과가 미약하고 오렌지향에 의한 후각 시너지(synergy) 효과가 약하고, 3중량%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살균 또는 방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탈취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덱스트 린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덱스트린은 전분 또는 곡분을 산이나 효소로 부분 가수분해시켜 얻은 당화 중간생성물을 농축, 건조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것이다. 상기 덱스트린은 6개에서 12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포함하는 비착화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α-cyclodextrin),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γ-cyclodextr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착화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분사된 대상물 표면에 스프레이 분사되었을 때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다양한 향기 분자를 흡수하기 위해,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내에 있는 동안 사이클로덱스트린 안에 있는 공동이 본질적으로 채워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덱스트린이 함유되게 되면,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스프레이 분사될 경우 분사된 대상물의 냄새를 제거하여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 스프레이용 조성물에는 덱스트린이 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덱스트린이 0.1중량% 미만이면 탈취 효과가 미약하고, 3중량%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탈취 효과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향미보조제로서 라벤더 오일 또는 파인 오일 0.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벤더 오일 또는 파인 오일은 솔잎 추출물에 의한 솔잎 향과 잘 어우려져 후각에 의해 느껴지는 향을 좋게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보습제 성분으로 1,3-부틸렌글리콜 0.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3-부틸렌글리콜은 손 소독 세정제로 사 용되는 경우 보습제 역할을 하는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증발 건조 또는 동결 건조를 행하여 분말의 제제로서 사용하여도 가능하나, 솔잎 추출물의 성분이 스프레이 제형에 잘 용해되는 성분으로 구성이 되므로, 스프레이 장치에 내장하여 스프레이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솔잎을 정제수로 깨끗이 세정하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솔잎 분말을 만든다. 솔잎은 소나무과 나무의 잎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솔잎의 예로는 적송(P. densiflora), 리기다송(P, rigjda), 잣나무(P, koraiensis), 스트로브 소나무(P.strobus) 등 어느 것의 잎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솔잎 분말을 에탄올, 메탄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액과 물로 구성된 용매에서 약 10∼100℃, 바람직하게는 30∼80℃의 온도에서 5∼24시간 추출한다. 즉, 솔잎 분말을 10∼100℃의 용매 속에 5∼24시간 침적시키고, 이를 압착 여과하여 얻는다. 상기 용매는 물과 유기용액의 중량비가 1: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솔잎 분말과 용매의 중량비는 1:1∼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 중에서 물은 솔잎 분말에 함유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하고, 유기용액은 솔잎 분말에 함유된 지용성 성분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물과 유기용액에 의해 솔잎 분말로부터 수용성 성분과 지용성 성분이 모두 추출될 수 있게 된다.
추출한 솔잎 추출물 원액을 증발 증류 등의 방법으로 농축한다.
증발 증류법은 추출한 솔잎 추출물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진공 감압(예컨대, 2×10-2 Torr) 증류를 통해 수분과 용제를 공비시켜 수분제거 공정을 반복 진행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이다. 솔잎 추출물에는 휘발성의 유기용액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간접 가열방식으로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잎 추출물은 물과 유기용액을 분산매로 사용한 것인데, 솔잎 추출물 내에 함유된 물과 유기용액을 감압 가열 증발시킴으로써 수분의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솔잎 추출물에서 수분의 함량이 5%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 증발 증류법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된 상기 솔잎 추출물 0.1∼30중량%, 정제수 30∼75중량%, 에탄올 10∼45중량%, 구연산 0.001∼2중량% 및 리모넨 0.001∼3중량%를 혼합하여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탈취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덱스트린 0.1∼3중량%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고, 또한 향미보조제로서 라벤더 오일 또는 파인 오일 0.1∼3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또한 보습제 성분으로 1,3-부틸렌글리콜 0.1∼3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레이 장치의 스프레이 용기(110) 내에 담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프레이 용기(110)와, 상기 스프레이 용기에 설치되어 내부 에 충진된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무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120)과, 압축 저장된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공기중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분사노즐(130)을 포함한다. 또한, 스프레이 장치에는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노즐(230)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관(140)과,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스프레이 분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스프레이 연장노즐(미도시)과, 상기 분사노즐(130)과 상기 작동버튼(12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뚜껑(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압축 저장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스프레이 용기(110) 내부에 충진하고 작동버튼(120)을 누르면 내부 압력에 의해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발포 가스와 함께 상기 분사노즐(130)을 통해 공기중으로 분사된다. 상기 스프레이 장치는 일반적인 스프레이식 파스, 스프레이식 방향제 등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며, 더욱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프레이 용기(110) 내에는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압축 충진하고 압력에 의한 스프레이 분사를 위한 발포 가스가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과 함께 충진된다. 상기 발포 가스는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시키기 위한 추진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기공을 형성시키는 발포제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발포 가스로는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부탄 가스, 이소부탄 가스 및 프로판 가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가스와 디메틸에테르(dimethyl ether; DME)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발포 가스에 의해 스프레이 용기 내에 압축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발포 가스는 스프레이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35∼6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발포 가스는 스프레이 용기 내에 압축되어 충전되므로 너무 고압으로 압축되는 경우에는 용기의 변형이나 폭발의 위험이 있을 수 있고 너무 저압으로 압축되는 경우에는 분사를 위한 가스압이 미약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발포 가스는 충전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 100중량% 중에 적어도 35중량%가 함유되게 하고 65중량%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레이 장치의 스프레이 용기(210) 내에 담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스프레이 장치는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프레이 용기(210)와, 상기 스프레이 용기(210)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무하도록 방아쇠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레버(220)와, 스프레이 용기(210)에 저장된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공기중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분사노즐(230) 및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노즐(230)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관(2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스프레이 장치는 솔잎 추출물의 고유의 기능과 향이 발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효능을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는, 휴대하거나 자동차용 방향제 그리고 가정의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의류 등의 섬유제품, 이불, 베겟잇 등의 침장 제품에 뿌려서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솔잎 추출물이 함유되어 자체에서 자연향을 발산하며, 실내 또는 자동차의 내부 공간에 스프레이 분사하는 방향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마이크로캡슐화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할 경우에는 솔잎 추출물의 방출이 서서히 진행되어 향 및 기능의 발현을 지속시켜 주게 된다. 마이크로캡슐화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는 자연요법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대체요법 즉, 아로마 요법에서와 같이 솔잎 추출물을 사용자의 주변에 손쉽게 흡착시켜 줌으로서 솔잎 추출물에서 발산되는 향기, 즉 테르핀유계의 피톤치드를 간접적으로 접하는 것으로도 정신을 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및 피로 해소에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톱밥과 같은 소나무 칩에 뿌려서 방향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자체적인 소나무 칩의 향과 솔잎 향의 절묘한 혼합에 의해 기존의 인공적인 향수나 방향제 등의 화학제품에서와는 다른 자연향을 지니게 되는 것으로 후각적으로도 거부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솔잎 추출물 고유의 향균과 항바이러스 효능을 손쉽게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향균과 항바이 러스 효능이 있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고,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노인성 검버섯, 무좀, 발톱병 등에 억제 또는 치료 효과가 있고 항균 효능이 있는 구연산을 함유하며, 살균 또는 방충 효능이 있는 리모넨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손 소독 세정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구강 청정제 또는 구취제로 사용하기 위해 구강용 스프레이 장치의 스프레이 용기 내에 담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강용 스프레이 장치는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프레이 용기와, 상기 스프레이 용기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무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 및 압축 저장된 솔잎 추출물이 함유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공기중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스프레이 용기 120: 작동버튼
130: 분사노즐 140: 배출관
210: 스프레이 용기 220: 작동레버
230: 분사노즐 240: 배출관

Claims (14)

  1. 솔잎 추출물 0.1∼30중량%;
    상기 솔잎 추출물에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한 정제수 30∼75중량%;
    상기 솔잎 추출물에 함유된 지용성 성분과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한 에탄올 10∼45중량%;
    균 번식을 억제하여 항균 효능이 있고 조성물의 응고를 억제하며 조성물의 보존 기간을 늘리기 위한 구연산 0.001∼2중량%; 및
    살균 또는 방충 효능을 부여하기 위한 리모넨 0.001∼3중량%를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향미보조제로서 라벤더 오일 또는 파인 오일 0.1∼3중량%를 더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탈취 효능을 갖게 하기 위한 덱스트린 0.1∼3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덱스트린은 6개에서 12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포함하는 비착화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 레이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착화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대상물 표면에 스프레이 분사되었을 때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다양한 향기 분자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내에 있는 동안 사이클로덱스트린 안에 있는 공동이 본질적으로 채워지지 않고 남아 있으며,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보습제 성분으로 1,3-부틸렌글리콜 0.1∼3중량%를 더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6. (a) 솔잎을 정제수로 세정하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솔잎 분말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솔잎 분말을 에탄올, 메탄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액과 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10∼100℃의 온도에서 5∼24시간 침적시키고 압착 여과하여 솔잎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솔잎 추출물을 증발 증류법으로 농축하는 단계;
    (d) 농축된 상기 솔잎 추출물 0.1∼30중량%, 정제수 30∼75중량%, 에탄올 10∼45중량%, 구연산 0.001∼2중량% 및 리모넨 0.001∼3중량%를 혼합하여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향미보조제로서 라벤더 오일 또는 파인 오일 0.1∼3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과 유기용액의 중량비가 1:1∼5 범위 이고, 상기 솔잎 분말과 상기 용매의 중량비는 1:1∼1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탈취 효능을 갖게 하기 위한 덱스트린 0.1∼3중량%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덱스트린은 6개에서 12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포함하는 비착화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보습제 성분으로 1,3-부틸렌글리콜 0.1∼3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기재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과 발포 가스가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프레이 용기;
    상기 스프레이 용기 외부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무하도록 누름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버튼; 및
    압축 저장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공기중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12. 제1항에 기재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프레이 용기;
    상기 스프레이 용기 외부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무하도록 방아쇠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레버;
    상기 스프레이 용기 내에 저장된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공기중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분사노즐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13. 제1항에 기재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14. 제1항에 기재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KR1020090089344A 2009-09-22 2009-09-22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KR10106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344A KR101060250B1 (ko) 2009-09-22 2009-09-22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344A KR101060250B1 (ko) 2009-09-22 2009-09-22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038A true KR20110032038A (ko) 2011-03-30
KR101060250B1 KR101060250B1 (ko) 2011-08-29

Family

ID=4393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344A KR101060250B1 (ko) 2009-09-22 2009-09-22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2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80B1 (ko) * 2011-09-22 2014-04-22 김동주 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들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KR20150121509A (ko) * 2014-04-21 2015-10-29 씨에스팩 주식회사 친환경 한방 소독제 조성물
KR102199015B1 (ko) * 2020-04-20 2021-01-07 이종수 탈취성 및 살균성이 우수한 소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1050194A (ja) * 2019-09-18 2021-04-01 株式会社野口システム 植物由来粉状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物並びにこれを使用した飲用品、植物由来の消臭剤又は消毒剤若しくは抗ウイルス薬剤
KR102402794B1 (ko) * 2021-11-15 2022-05-26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나무 목부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2402787B1 (ko) * 2021-11-15 2022-05-26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나무 목부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13B1 (ko) * 2014-02-05 2015-06-09 나눔협동조합 송침유를 함유한 공기청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2893A (ko) 2017-11-29 2019-06-07 박정우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33990B1 (ko) * 2018-12-26 2020-07-14 (주)지더블유코퍼레이션 솔잎증류농축액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33861A (ko) 2020-04-28 2021-11-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나무 송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3342B1 (ko) 2021-06-02 2023-10-24 최이교 구강 스프레이용 천연 살균 스프레이액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782A (ja) 2007-01-22 2007-04-19 Takasago Internatl Corp 抗菌香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80B1 (ko) * 2011-09-22 2014-04-22 김동주 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들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KR20150121509A (ko) * 2014-04-21 2015-10-29 씨에스팩 주식회사 친환경 한방 소독제 조성물
JP2021050194A (ja) * 2019-09-18 2021-04-01 株式会社野口システム 植物由来粉状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物並びにこれを使用した飲用品、植物由来の消臭剤又は消毒剤若しくは抗ウイルス薬剤
KR102199015B1 (ko) * 2020-04-20 2021-01-07 이종수 탈취성 및 살균성이 우수한 소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02794B1 (ko) * 2021-11-15 2022-05-26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나무 목부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2402787B1 (ko) * 2021-11-15 2022-05-26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나무 목부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WO2023085889A1 (ko) * 2021-11-15 2023-05-19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나무 목부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WO2023085888A1 (ko) * 2021-11-15 2023-05-19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소나무 목부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250B1 (ko) 201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250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KR101618162B1 (ko)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Kanlayavattanakul et al. Body malodours and their topical treatment agents
KR101424354B1 (ko) 식물생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KR101943522B1 (ko) 항균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물티슈
KR101260371B1 (ko)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WO2004037303A1 (ja) 消臭剤組成物
KR20170021592A (ko)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7922B1 (ko) 담배냄새 소취제와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 및 소취조성물,담배냄새 소취제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45478B1 (ko) 탈취제
KR102411534B1 (ko) 향료 원료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소독제
KR101780836B1 (ko) 3,5-디히드록시-2-멘텐일스틸벤, 그것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그 채취 방법과 그 응용
KR102176499B1 (ko) 항균성 방향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방향제
KR20140091920A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758322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和舒缓神经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15442B1 (ko) 감 착즙 또는 백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CN109498535A (zh) 抑菌组合物、抑菌免洗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CN113842343A (zh) 一种薰衣草香薰喷雾
KR20070059775A (ko) 한방 방향제 조성물
CN109566662A (zh) 一种防虫蛀除异味的樟木粉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449260B1 (ko)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