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185A - 개인용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인용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185A
KR20110031185A KR1020117000409A KR20117000409A KR20110031185A KR 20110031185 A KR20110031185 A KR 20110031185A KR 1020117000409 A KR1020117000409 A KR 1020117000409A KR 20117000409 A KR20117000409 A KR 20117000409A KR 20110031185 A KR20110031185 A KR 20110031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cleansing
cleansing composition
acetic acid
composition
tf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존 홉트로프
세르지오 로베르토 레오폴디노
밤시 크리슈나 만테나
안드레 메시아스 크렐 페드로
크리스토퍼 플러머
라잔 라그하바샤리
데버러 스티븐즈
루치아노 아우구스토 트리벨린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3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1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0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C11D10/042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based on anionic surface-active compounds and soa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11D17/006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containing mainly surfactants, but no builders, e.g. syndet ba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3Sulfon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은 (i) 10 내지 55%의 총 지방질 물질; 및 (ii) 0.1 내지 1.2 중량%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은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개인용 세정 조성물{A PERSONAL WASH COMPOSITION}
본 발명은 개인용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개인용 세정 응용분야에서의 사용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후에 이것의 응용분야와 관해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사용 분야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친 종래 기술에 대한 임의의 논의가, 이러한 종래 기술이 해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거나 일반적인 상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결코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개인용 세정 조성물은 바, 액체 비누, 크림 및 겔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상업적인 비누 조성물은 종종 하나 이상의 "비누", 즉 "카르복실릭 지방산의 염"을 갖는다. 염의 상대이온은 일반적으로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알칸올암모늄 이온이지만, 해당 분야에 공지된 기타 적합한 이온도, 비록 이것들을 사용하는 것은 비교적 통상적이지는 않지만, 사용된다. 비누 바를 기재로 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40 내지 약 76%의, 더욱 통상적으로는 해당 분야에서 "TFM"라는 약어로서 공지된, 총 지방질 물질을 함유한다. 인디언 법령에 따르면, 60 내지 76%의 범위의 TFM을 갖는 비누는 "미용 비누"로서 불리며, TFM 함량에 따라서 I, II 및 III 등급으로 분류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40 내지 60%의 범위의 TFM을 갖는 비누 바는 해당 분야에서 "목욕 바"로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비누의 TFM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은 해당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구조화제 및 충전제가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성물 내에 포함된다.
몇몇 세균은 인간의 피부 상에서 서식하고 증식하기를 선호한다. 이러한 세균들 중 몇몇은 신체 악취, 뾰루지 및 여드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는, 이러한 상태들 중 몇몇은 덥고 습한 기후에서 악화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몇몇 증거가 있다. 비누, 즉 지방산의 염, 그 자체가 항미생물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야자유(비누 제조사에 의해 사용되는 오일과 지방산의 주요 공급원 중 하나)에 대한 수요의 증가, 및 그로 인한 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경쟁력있는 가격을 가지면서도 여전히 합당한 이윤을 창출하는 고-TFM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비누 및 세제 산업의 지속가능성이 심각하게 억제되었다.
그 결과, 비용-효과적인, 보다 낮은 TFM을 갖는 비누를 제조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TFM의 저감은 비누 조성물의 항미생물성 또는 항균성에 대해 직접적이고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항미생물 활성을 회복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트리클로산(Triclosan)(즉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TCN), 트리클로카르바닐리드(TCC),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또는 기타 널리 인식된 항미생물제와 같은 활성 물질을 개인용 세정 조성물에 첨가한다. 그러나, TCN과 TCC 둘 다의 장기간 동안의 지속적인 사용은, 생분해에 대한 우려 때문에, 환경보호론자 및 소비자 단체의 감시를 받아 왔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적 낮은 TFM을 갖는 비누 바가 종래 기술에서 기술되어 왔다.
저-TFM 비누 바는 WO2006/094586(힌두스탄 레버 리미티드(HINDUSTAN LEVER LTD))에 기술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15 내지 30%의 TFM, 25 내지 70%의, 활석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무기 입자, 0.5 내지 10%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3 내지 20%의 물을 포함한다. 그 결과의 조성물의 항균 활성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GB2319181(렉키트 앤드 콜만 프로덕츠 리미티드(RECKITT & COLMANN PRODUCTS LTD), 1999)에는, 킬레이트제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항미생물제의 활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러한 성분은 종종 살균 비누에서 사용된다고 언급되어 있다. 킬레이트제는 종종 비누 베이스에서 안정화제로서 사용되지만, 이것이 항미생물 활성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믿음으로, 흔히 완성된 비누의 제조 동안에 다시 첨가된다고 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0.35 내지 0.75 중량%의 염화 메틸 치환된 페놀(항미생물제), 0.15 내지 0.25 중량%의 트리클로산(또는 이것의 염); 및 킬레이트제로서 0.075 중량% 미만의 EDTA를 포함하는 살균 비누 바가 개시되어 있다. 킬레이트제의 사용과 관련된 수많은 약점, 그 중에서도 가격; 자극제로서의 잠재성 및 환경적 영향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킬레이트제의 수준은 최소로 유지되어 왔다고 되어 있다.
GB1169551(유니레버(Unilever, 1970))에는, 보존제로서, 바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5 중량% 이상의 에탄-1-히드록시-1,1-디포스폰산(EHDP)과 0.005 중량%의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EDTA)의 시너지 혼합물을 함유하는 초고-지방질 세제바가 기술되어 있다. EHDP, EDTA 또는 둘 다는 이것들의 에스테르 또는 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세제 바 내에 상기 봉쇄제들의 혼합물을 도입시킴으로써, 특히 산패, 반점 형성 또는 전체적인 변색의 진행에 대해 내성을 갖는 바를 수득한다고 되어 있다. 그 결과의 바의 항균/항미생물 효능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상기에서 언급된 관련 기술을 보면, 항균/항미생물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항균제를 첨가하는 것은 선택의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적 낮은 TFM 및 비교적 낮은 항균제를 갖는 항균 개인용 세정 조성물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거나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비교적 낮은 TFM을 갖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특히 그람 음성균에 대해 효과적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현저한 정균 작용(즉 세균의 성장을 억제) 뿐만 아니라 현저한 살균 작용(즉 세균을 죽이는 능력)을 나타내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명세서를 통해 해당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10 내지 55%의 범위의 TFM 및 0.1 내지 1.2 중량%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균 및 살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번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10 내지 55%의 총 지방질 물질; 및
(ii) 0.1 내지 1.2 중량%의 킬레이트제
를 포함하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킬레이트제는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의 염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의 염이다.
바람직하게는 TFM은 3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이다.
두번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항균 이점을 위해서의, 첫번째 양태에 따르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세번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첫번째 양태에 따르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피부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후속적으로 언급된 요소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으로 중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상술되지 않은 요소도 포함함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자면, 열거된 단계, 요소 또는 선택사항이 모든 것들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포함하는" 또는 "갖는"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러한 용어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포함하는"이라는 용어와 동등함을 의미한다.
작업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를 제외하고, 또는 달리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이러한 설명에서 물질의 양을 표시하는 모든 숫자는 "약"이라는 단어에 의해 수식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의 범위의 농도 또는 양의 상술에 있어서, 임의의 특정한 보다 높은 농도는 임의의 특정한 보다 낮은 농도 또는 양과 짝지워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양태 및 이점을 보다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 하기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해야 한다.
"TFM"이라는 약어로 나타내어지는 "총 지방질 물질"이라는 용어는, 동반되는 양이온을 고려하지 않을 때, 개인용 세정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지방산과 트리글리세라이드 잔사의 중량%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누의 경우, 동반되는 나트륨 양이온은 일반적으로 약 8 중량%일 것이다. 기타 양이온, 예를 들면 아연, 칼륨, 마그네슘, 알킬 암모늄 및 알루미늄이 원하는 대로 사용될 수 있다. 개인용 세정 조성물 내의 "비누" 수준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TFM 수준에 1.08을 곱한다.
개인용 세정 조성물은 고체 형태 또는 비-고체 형태일 수 있다. 고체 형태의 개인용 세정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총 지방질 물질은 개인용 세정 조성물의 10 내지 55 중량%이다. 개인용 세정 조성물이 고체 형태인 경우, 총 지방질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이다. 개인용 세정 조성물이 비-고체 형태인 경우, 총 지방질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이다. 개인용 세정 조성물 내의 총 지방질 물질(TFM) 함량이 50%로부터 30%로 감소된 경우, TFM 함량이 70%로부터 50%로 감소된 경우에 비해, 최소 억제 농도(MIC) 및 최소 살균 농도(MBC) 시험에 의해 평가된 바와 같은 항미생물 성능의 저하가 현저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내의 주요 세정-활성제는, 달리는 지방산염이라고 지칭되는, 통상적인 비누이다. 비누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C8-C22, 바람직하게는 C12-C18 직쇄형 또는 분지형 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천연 공급원, 예를 들면 동물성, 해양성 또는 식물성 지방 및 오일은 항상 이러한 지방산들의 혼합물을 제공하는데, 이것들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의 예는, 코코넛유, 올리브유, 야자씨유, 톨유, 대두유, 면실유, 땅콩유, 홍화유, 해바라기씨유, 옥수수유, 어유 및 우지로부터 유도된 지방산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지방산은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팔미톨레산, 리시놀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을 포함한다. 지방산은 파라핀 산화 및 옥소-합성에 의해 합성적으로 유도될 수도 있다. 비누의 양이온 또는 염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 예를 들면 칼륨, 및 특히 나트륨이지만, 또다르게는 알칼리토금속일 수 있다.
바람직한 비누는 약 30 내지 약 40%의 코코넛유와 약 60 내지 약 70%의 우지의 혼합물이다. 혼합물은 보다 많은 양의 우지, 예를 들면 0.01 내지 20%의 코코넛 및 잔여 우지를 함유할 수도 있다. 비누는 상업적으로 허용가능한 표준에 따라 불포화 결합을 함유할 수 있다. 과도한 불포화는 바람직하게는 회피된다.
본 발명의 개인용 세정 조성물은 0.1 내지 1.2 중량%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바람직한 킬레이트제는 하기와 같다(명칭 뒤에는 그것의 약어가 괄호 안에 표기되어 있음):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EDTA),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DTPA), 에탄-1-히드록시-1,1-디포스포네이트(EHDP), 에틸렌 디아민-N,N'-디숙시네이트(EDDS), 니트릴로 트리아세트산(NTA), 소디움 이미노 디숙시네이트(IDS), 에틸렌 글리콜-비스-(2-아미노에틸)-N,N,N',N'-테트라 아세트산(EGTA),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MGDA), N-(2-히드록시에틸)에틸렌 디아민 N,N',N'-트리아세트산)(HEDTA),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메틸렌 포스폰산(EDTMP), 디에틸렌 트리아민-펜타-메틸렌 포스폰산(DTPMP), 글루탐산-N,N-디아세트산(GLDA), 시클로헥산-1,2-디아민-N,N,N',N'-테트라-아세트산(CDTA), 1,3-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PDTA), 에틸렌 디아민 트리아세트산(EDTA), L-히드록시 이미노 디숙신산(L-IDS), 트리소디움 N-카르복시에틸 이미노 숙시네이트(CEIS), 시트르산, 소디움 트리폴리포스페이트(STP), 트리에틸렌 테트라민 헥사아세트산(TTHA). 기타 바람직한 킬레이트제는 트리소디움 에틸렌 디아민 디숙시네이트, 테트라-소디움-이미노 디숙시네이트, 글루탐산-N,N 디아세트산 테트라 소디움염, 2-히드록시에틸 이미노디아세트산, 소디움염(디소디움 에탄올 디글리시네이트), 테트라소디움 3-히드록시-2,2 이미노 디숙시네이트, 트리소디움 메틸글리신 디아세트산, L-아스파르테이트-N,N-디아세트산 테트라소디움염이다. 더욱 바람직한 킬레이트제는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EDTA)의 염 및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DTPA)의 염이다. 바람직한 EDTA의 염은 디소디움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 및 테트라소디움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이다. 바람직한 DTPA의 염은 펜타소디움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이다.
산 형태의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면 그에 상응하게 pH가 감소될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산 형태보다는 염 형태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의 염은 0.1 내지 0.4 중량%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이 0.1 내지 0.4 중량%의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의 염과 0.1 내지 0.4 중량%의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의 염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현저하게 낮은 TFM(즉 25 내지 55%의 TFM)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EDTA의 염은 정균 및 살균 활성에 있어서 현저하게 뛰어난 성능을 위해 각각 0.1 중량% 및 0.4 중량%의 두 개의 최적값을 나타냄을 관찰하였고, 그 반면에 증가하는 DTPA의 염은 항균 성능을 계속 증가시킨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둘 중에서, DTPA의 염은 보다 우수한 항균 성능을 보였다. DTPA의 염은 개인용 세정 조성물에서 0.3 중량% 및 0.4 중량%에서 최적값을 나타내었다. 비누 내 50% TFM의 경우, DTPA의 염은 EDTA의 염보다 0.2 중량% 수준에서 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그러나 조성물 내 30% TFM의 경우, DTPA의 염은 심지어는 0.1 중량% 수준에서 조차도 EDTA의 염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이점은 개인용 세정 조성물의 TFM 함량을 낮추면서도 항균 이점을 개선한다는 점에 있다. 특히 바 형태의, 개인용 세정 조성물 내의 킬레이트제를 증가시키면, 전형적인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에 대한 항균 성능이 현저하게 개선된다는 것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관찰되었다. 비상재성(transient) 그람 음성균은 질병의 원인이고, 따라서 개인용 세정 조성물 내의 킬레이트제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세균에 대한 개인용 세정 조성물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은 소비자에게 상당한 이점을 준다.
그람 음성균은 그람 염색 프로토콜에서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염료를 보유하지 않는 세균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람 양성균은 탈색액에서 세정될 때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료를 보유한다. 그람 염색 시험에서는, 크리스탈 바이올렛 후에, 대비-염색제(counter-stain)(통상적으로는 사프라닌(Safranin))를 첨가하여, 모든 그람-음성균을 적색 또는 분홍색으로 염색한다. 이 시험 자체는 세포벽의 구조적 차이를 근거로 두 상이한 유형의 세균을 분류하는데에 유용하다. 이러한 두 부류의 생물들 중에서, 그람 음성균은 설사와 같은 심각한 공중 위생 질병의 주요 원인이다. 설사와 같은 질병의 발병은, 비누 기재의 제품을 사용한 효과적인 피부 세정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는 것이, 종래 기술에서 잘 공지되어 있다.
전분과 같은 산성 충전제를 개인용 세정 조성물에 첨가할 때, 이것이 조성물의 pH를 감소시킨다는 것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관찰되었다. 조성물의 바람직한 pH는 9 내지 11.5,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8이라는 것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추가로 관찰되었다. 수산화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를 첨가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알칼리의 바람직한 수준은 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5 중량%이다. 조성물의 pH는 10 중량%의 농도에서 30 ℃에서 측정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성분 외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배합물의 공간을 충전함으로써 조성물의 보다 낮은 TFM을 유발하는 충전제를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한 충전제는 전분이다. 적합한 전분 물질은 천연 전분(옥수수, 밀, 벼, 감자, 타피오카 등으로부터 유래됨), 전호화 전분, 다양한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된 전분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천연 전분이라는 용어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원료(raw) 전분 또는 네이티브(native) 전분이라고도 공지된 전분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전분은 메이즈(옥수수), 카사바, 밀, 감자, 벼 및 기타 전분의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천연 또는 네이티브 전분이다. 상이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비를 갖는 원료 전분들: 예를 들면 메이즈(25% 아밀로스); 왁스질 메이즈(0%); 고-아밀로스 메이즈(70%); 감자(23%); 벼(16%); 사고(27%); 카사바(18%); 밀(30%) 등. 원료 전분은 그대로 사용될 수 있거나, 호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호화되도록, 바 조성물의 제조 공정 동안에 개질될 수 있다.
또다른 적합한 전분은, 본 발명의 바 조성물 내에 성분으로서 첨가되기 전에 호화되는 전분인 전호화 전분이다. 상이한 온도에서 겔화되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냉수-분산성 전분이 입수가능하다. 한 적합한 상업적인 전호화 전분은 파르말(FARMAL, 등록상표) CS 3400이라는 상표명으로 네셔널 스타치 캄파니(National Starch Co.)(브라질)에 의해 공급되지만, 유사한 특성을 갖는 기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물질도 적합하다.
전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5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보다 낮은 TFM 때문에) 충전제, 예를 들면 전분으로써 배합물의 공간을 충전시키려는 시도를 했을 때, 조성물의 pH가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항균 활성도 저하되었음이 관찰되었다. 단지 조성물의 pH를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는 임의의 감지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TFM 및 킬레이트제 외에도,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도 포함한다. 합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소디움 라우릴 술페이트(SLS)를 첨가하면 항미생물 이점이 증대된다는 것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관찰되었다. 특히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분자 구조 내에 8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라디칼, 및 술폰산 또는 황산 에스테르 라디칼 및 이것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라디칼을 갖는 유기 황 반응 생성물의 수용성 염이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디움 라우릴 술페이트, 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및 1차 알콜 술페이트를 포함한다.
기타 비-비누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 쯔비터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도, 추가된 이점들을 위해, 예를 들면 저자극성을 위해 또는 거품 발생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질적으로 친수성인 알킬렌 옥사이드 기와, 본질적으로 지방족 또는 알킬 방향족일 수 있는 유기 소수성 화합물의 축합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로서 널리 기술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소수성 기와 축합된 친수성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의 길이는, 친수성 요소와 소수성 요소 사이에서 원하는 정도의 균형을 갖는 수용성 화합물을 달성하도록,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및 음이온성 수-가용화 기에 의해 치환된 지방족 라디칼을 함유하는 지방족 2차 및 3차 아민의 유도체, 예를 들면 소디움 3-도데실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소디움 3-도데실아미노프로판 술포네이트 및 소디움 N-2-히드록시도데실-N-메틸타우레이트이다.
적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라디칼을 갖는 4차 암모늄염, 예를 들면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이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라디칼 및 음이온성 수-가용화 기에 의해 치환된 지방족 라디칼을 갖는 지방족 4차 암모늄, 술포늄 및 포스포늄 화합물의 유도체, 예를 들면 3-(N-N-디메틸-N-헥사데실암모늄), 프로판-1-술포네이트 베타인, 3-(도데실메틸 술포늄) 프로판-1-술포네이트 베타인 및 3-(세틸메틸포스포늄) 에탄 술포네이트 베타인이다.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추가의 예는 잘 공지된 교재인 문헌["Surface Active Agents", Volume I by Schwartz and Perry] 및 문헌["Surface Active Agents and Detergents", Volume II by Schwartz, Perry and Berch]에 제시된 표면-활성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분자 내의 친수성 기와 소수성 기의 존재로 인해 비누와 같은 세제 성질을 갖는 비누 외의 화합물이다.
상기 필수적인 성분 외에도, 본 발명의 개인용 세정 조성물은, 저장 수명, 심미성 또는 기능성 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또는 모든 하기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 비타민, 예를 들면 비타민 A 및 E, 및 비타민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비타민 C 알킬 에스테르; 지질,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라놀린, 세라마이드, 수크로스 에스테르, 및 유사-세라마이드; 리포솜 형성 물질, 예를 들면 인지질, 및 두 개의 긴 탄화수소쇄를 갖는 적합한 양친성 분자; 필수 지방산, 다중 불포화 지방산, 및 이러한 물질의 공급원; 불포화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해바라기유, 앵초유,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식물성 버터, 예를 들면 시어 버터; 미네랄, 예를 들면 아연, 마그네슘 및 철의 공급원; 피부 컨디셔너, 예를 들면 실리콘유, 고무질 및 이것들의 변형물, 예를 들면 선형 및 고리형 폴리디메틸실록산, 아미노, 알킬, 및 알킬아릴 실리콘유; 탄화수소, 예를 들면 액체 파라핀, 광유, 바셀린(Vaseline, 등록상표), 미세정질 왁스, 세라신, 스쿠알렌, 프리스탄, 파라핀 왁스 및 미네랄유; 컨디셔닝 단백질, 예를 들면 우유 단백질, 실크 단백질 및 글루틴; 양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면 사용가능한 컨디셔너, 예를 들면 쿠아트리소프트(QUATRISOFT, 등록상표) LM-200 폴리쿠아테르늄(POLYQUATERNIUM, 등록상표)-24, 메르쿠아트(MERQUAT, 등록상표) 플러스(Plus) 3330, 폴리쿠아테르뮴(POLYQUATERMIUM, 등록상표) 39; 및 재규어(JAGUAR, 등록상표) 유형의 컨디셔너, 습윤제, 예를 들면 글리세롤, 소르비톨 및 우레아; 및 유연제, 예를 들면 장쇄 지방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및 세틸 락테이트.
또한, 조성물은, 해당 분야에 잘 공지된 염료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여러가지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줄무니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용 세정 조성물은, 고체 형태를 가질 때,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6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물의 양은, 개인용 세정 조성물이 비-고체 형태일 때, 90%까지로 현저하게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용 세정 조성물은 "바" 형태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누 바를 바람직하게는 분쇄 및 플러딩(plodding)을 통해 제조하며, 용융 주조 공정도 사용할 수 있다. 공정을 비누 제조사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혼합기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 전단-혼련 혼합기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한 혼합기는 플라우쉐어(ploughshare) 혼합기, 시그마(Sigma) 유형의 혼련 부재, 멀티-와이핑 오버랩(multi-wiping overlap), 싱글 커브(single curve) 또는 더블 암(double arm)을 갖는 혼합기를 포함한다. 더블 암 혼련 혼합기는 오버랩핑 또는 접면(tangential)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또다르게는, 본 발명을, 통상적인 공정에서와 같이, 스크류형(helical screw) 교반기 용기, 또는 멀티-헤드 정량 펌프(multi-head dosing pump)/고-전단 혼합기와 분무 건조기의 조합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부터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와 관련해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개인용 세정 조성물의 배합비>
다양한 개인용 세정 조성물(비누-바 형태)을 제조하고 이것의 항균 효능에 대해 시험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조성물의 기본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실험용 바에서, EDTA의 염 또는 DTPA의 염, 및/또는 탄산나트륨이 조성물 내로 도입될 때, 동일한 것이 관련 실시예에 적용되며, 동량의 물을 조성물로부터 제거하여 조성물 내의 모든 성분의 총합을 100%로 유지하였다. 압출된 비누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바를 제조하였다. 요약하자면, Z-블레이드 혼합기에서 비누 누들과 표 1에 제시된 나머지 성분들을 배합하고 이 혼합물을 3-롤 밀 및 정제기에 통과시킴으로써, 바를 제조하였다. 비누 누들은 40/60 내지 10/90의 범위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라우릭-풍부 비누와 스테아릭-풍부 비누의 혼합물로 이루어졌다. 라우릭-풍부 비누는 야자씨유, 코코넛유 및/또는 호호바유로부터 유도되었다. 스테아릭-풍부 비누는 우지, 야자유, 야자 스테아린, 경화된 대두유 및 조질 대두유로부터 유도되었다. 이렇게 가공된 조성물을 2단 압출기의 호퍼에 첨가하고 35 ℃의 온도에서 1.2 내지 4.0 ㎏/분의 압출 속도에서 3.5 × 3.5 ㎝의 횡단면을 갖는 아이플레이트(eyeplate)를 통해 압출시켜, 길이가 약 12 ㎝가 되게 절단하여 굵은 막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굵은 막대를 수동 비누 스탬퍼에 옮기고, 약 79 내지 80 ㎤의 부피(1.12 내지 1.14 g/㎤의 범위의 밀도)를 갖는 성형틀을 한정짓는 다이 셋트를 사용하여 스탬핑함으로써, 바 형태의 완성된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방법>
하기 두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조성물의 살균력 및 세균 성장 억제력을 결정하였다.
<살균력 분석>
이러한 분석에서 모든 실험을 대장균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이것은 그 자체로 설사와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성능의 모델을 대표한다.
개인용 세정 조성물(바 형태)의 수성(10 중량%) 슬러리를 제조한다. 0 시간에서, 세균 현탁액을 이러한 슬러리에 첨가한다. 이러한 세균 현탁액을 첨가하면 생성물 농도가 10%로부터 8%로 감소한다(이것은 비누 바에 대한 사용 농도에서 전형적인 것임). 시험 슬러리를 교반하고, 규정된 접촉 시간(전형적으로는 30 초 내지 5 분) 후에, 샘플을 회수하고, 임의의 추가의 항미생물 활성을 중단시키기 위해서 급냉액에 옮긴다. 이어서 샘플을 희석시키고, 적합한 성장 배지, 예를 들면 트립톤 소이 브로쓰(Tryptone Soy Broth)(세균 성장 배지) 상에 놓고, 적합한 온도(전형적으로 28 내지 37 ℃)에서 배양한다. 배양한지 18 내지 24 시간이 지난 후에, 콜로니의 개수를 계수한다. 이러한 개수로부터, 시험 슬러리와 접촉하는 동안에 죽은 세균의 개수를 계산하고 세균 개수의 log 감소분으로 표현한다. log 감소분이 보다 크다는 것은 살균력과 관련해서 항미생물 활성이 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세균 성장 억제력 분석>
개인용 세정 조성물(바 형태)의 수성(10 중량%) 슬러리를 제조한다. 시험 슬러리를 트립톤 소이 브로쓰와 같은 세균 성장 배지에서 반복적으로 희석한다. 이어서 대장균의 표준 세균 접종물을 시험 슬러리의 각각의 희석물에 첨가하고, 샘플을 상기와 같이 배양한다. 이렇게 해서, 다양한 배합물 농도를 갖는 일련의 샘플들을 생성한다. 효과적인 조성물은 기준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낮은 농도에서 감지될만한 세균 성장 억제력을 보인다. 각각의 희석물에서 성장을 보이는 재분석 샘플(replicate)의 %를 결정하여, 생성물이 세균 성장의 억제와 관련해서 항균 효과를 여전히 나타내면서도 어느 정도까지 희석될 수 있는지를 알아낸다. 생성물이 보다 잠재적으로 항균성일수록, 생성물은 여전히 세균 성장을 억제하면서도 보다 많이 희석될 수 있다.
<실시예 1>
<살균력 및 세균 성장 억제력에 대한 TFM의 효과>
이러한 실험에서는, 세균(대장균)의 살균력 및 성장 억제력에 미치는 다양한 TFM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각각의 조성물 A, D 및 E의 10% 슬러리(상기 표 1에 명시된 바와 같음)를 이러한 실험에서 사용하였고, 상기에서 제시된 해당 방법을 사용하여 살균력 및 성장 억제력을 결정하였다. 모든 조성물은 임의의 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았다.
Figure pct00002
표 2에는, 세균 개수의 log 감소분과 관련해서, 5 분의 접촉 시간에서 살균력(대장균)에 미치는 TFM의 효과가 명시되어 있다. 표 2에는 또한 성장을 보이는 샘플의 %가 명시되어 있다. 성장이 보다 높다는 것은 효능이 보다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대장균을 살균 및 성장 억제하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의 능력은 TFM에 직접 비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살균력에 미치는 킬레이트제의 효과>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0.15 중량%의 펜타소디움 DTPA를 함유하는, 각각 표 1의 조성물 C 및 D인, 54% TFM 및 48% TFM)에 의해 제공되는 살균력을, 상업적인 70% TFM 비누(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는 표 1의 조성물 A) 및 항균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교용 64% TFM 비누(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는 표 1의 조성물 B)의 살균력과 비교하였다. 살균력을,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조성물에 대해, 2 분 및 5 분의 접촉 시간에서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03
상기 표의 결과는, 0.15 중량%의 펜타소디움 DTPA의 존재 하에서, 비교적 낮은 48% 및 54%의 TFM에서, 감지될만한 세균 개수의 log 감소분(살균력의 척도)이 얻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세균 성장 억제력에 대한 킬레이트제의 효과>
이러한 실험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디소디움 EDTA 및 펜타소디움 DTPA를 함유하는 48% 및 30% TFM 조성물(다양한 수준의 킬레이트제를 함유하는, 각각 표 1의 조성물 C 및 D)의 세균 성장 억제력을 상업적인 70% TFM 비누(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는 표 1의 조성물 A)와 비교하였다. 상기에서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세균 억제력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가 하기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04
표 4의 결과는 펜타소디움 DTPA 또는 디소디움 EDTA를 48% TFM 비누 조성물에 첨가하면, 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는 상업적인 70% TFM 비누에 비해, 비교적 높은 세균 성장 억제력을 달성함을 보여준다. 30% TFM 비누에 펜타소디움 DTPA를 첨가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볼 수 있다.
<실시예 4>
<살균력에 대한 킬레이트제 및 pH의 효과>
이러한 실험에서는, 0.15 중량%의 DTPA의 펜타소디움염 및 조성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수준의 Na2CO3를 함유하는 48% TFM 비누 바(표 1의 조성물 D)에 대해, 살균력에 대한 킬레이트 및 pH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첨가된 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동량의 물을 조성물로부터 제거하였다.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조성물에 대해 2 분 및 5 분의 접촉 시간에서 살균력을 결정하였다. 살균력에 대한 데이터가 하기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는 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는 상업적인 70% TFM 바(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는 표 1의 조성물 A) 뿐만 아니라 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는 64% TFM 비누(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는 표 1의 조성물 B)를 사용하여 얻어진 비교 결과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pH를 30 ℃에서 10% 수용액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5
데이터는, pH가 증가하면, 킬레이트제를 함유하는 48% 및 54% TFM 비누 조성물에서 킬레이트제의 항균 효과가 추가로 개선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5>
<살균력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킬레이트제 및 pH의 효과>
또다른 셋트의 실험에서, TFM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다양한 수준의 킬레이트제 및 pH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실험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킬레이트제(펜타소디움 DTPA) 및 (pH를 조절하기 위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일련의 48% TFM 비누 조성물(표 1의 조성물 D)을 제조하였다. 첨가된 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동량의 물을 조성물로부터 제거하였다.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조성물에 대해 2 분의 접촉 시간에서 살균력을 시험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가 하기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를 위해, 그 결과를, 킬레이트제 또는 탄산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70% TFM 및 64% TFM 비누 조성물(각각 표 1의 조성물 A 및 B)에 대해 비교하였다.
Figure pct00006
상기 결과는, pH와 킬레이트제의 조합이, 심지어는 2 분의 짧은 접촉 시간에서 조차도, 비교적 높은 log 감소분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6>
<킬레이트제들의 조합의 효과>
또다른 셋트의 실험에서는, 하기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배합비를 갖는 조성물에 대해, 살균력에 대한 킬레이트제들의 조합의 효과(2 분의 접촉 시간에서의 log 감소분)를 연구하였다.
Figure pct00007
모든 조성물의 TFM은 48%였고, 표 1의 조성물의 비누 바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을 사용하여 비누 바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의 살균 효능을 시험하였고, 얻어진 결과가 하기 표 8에 제시되어 있다. 그 결과를 표 1의 64% TFM 및 70% TFM 비누 조성물의 것과 비교하였다.
Figure pct00008
따라서, 킬레이트제들의 조합은 비교적 높은 log 감소분을 제공한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항균 활성을 갖는 비교적 낮은 TFM을 갖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는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에 대해 특히 효과적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는 현저한 정균 작용(즉 세균 성장의 억제) 뿐만 아니라 살균 작용(즉 살균 능력)을 나타내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원에서 예시되고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한 형태는, 개시된 내용의 명백한 교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특정하게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는 단지 대표적인 것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양태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해당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을 많은 기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4)

  1. (i) 10 내지 55%의 총 지방질 물질; 및
    (ii) 0.1 내지 1.2 중량%의 킬레이트제
    를 포함하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의 염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의 염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의 염 또는 상기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의 염이 0.1 내지 0.4 중량%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의 염이 디소디움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염 또는 테트라소디움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의 염이 펜타소디움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 내지 25 중량%의 전분을 포함하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인용 세정 조성물이 고체 형태일 때, 총 지방질 물질이 25 내지 50%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인용 세정 조성물이 비-고체 형태일 때, 총 지방질 물질이 10% 내지 25% 미만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9 내지 11.5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pH가 9.8 내지 10.8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5 내지 10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소디움 라우릴 술페이트, 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또는 1차 알콜 술페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개인용 세정 조성물.
  13.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개인용 세정 조성물의 항균 이점을 위한 용도.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개인용 세정 조성물을 피부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세정 방법.
KR1020117000409A 2008-07-10 2009-06-23 개인용 세정 조성물 KR20110031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440/MUM/2008 2008-07-10
IN1440MU2008 2008-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185A true KR20110031185A (ko) 2011-03-24

Family

ID=4094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409A KR20110031185A (ko) 2008-07-10 2009-06-23 개인용 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2296616B1 (ko)
KR (1) KR20110031185A (ko)
CN (1) CN102088951B (ko)
AR (1) AR072799A1 (ko)
AU (1) AU2009268238A1 (ko)
BR (1) BRPI0909938B1 (ko)
CL (1) CL2011000031A1 (ko)
EA (1) EA023242B1 (ko)
ES (1) ES2533661T3 (ko)
MX (1) MX2011000320A (ko)
MY (1) MY155954A (ko)
PL (1) PL2296616T3 (ko)
PT (1) PT2296616E (ko)
WO (1) WO2010003819A1 (ko)
ZA (1) ZA2010089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871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항균 상승 효과를 갖는 항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2339B (en) 2012-05-25 2018-02-07 Cosmetic Warriors Ltd Solid cosmetic composition
BR112018006335B1 (pt) * 2015-10-21 2022-04-05 Unilever Ip Holdings B.V. Composição antimicrobiana, uso não terapêutico de uma composição e uso de um tensoativo aniônico
US11554157B2 (en) * 2018-04-11 2023-01-17 New Mexico Tech University Research Park Corporation Anti-infective form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77743A (en) * 1965-03-08 1967-08-02 Procter & Gamble Ltd Soap compositions
CA771609A (en) * 1965-04-21 1967-11-14 Unilever Limited Detergent compositions
DE2020967A1 (de) * 1970-04-29 1971-11-18 Henkel & Cie Gmbh Bactericide Seife
US3793214A (en) * 1971-10-22 1974-02-19 Avon Prod Inc Transparent soap composition
US5262079A (en) * 1992-03-20 1993-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med neutral pH cleansing bar
FR2723465B1 (fr) * 1994-08-08 1996-09-20 Gesteau Philippe Procede et produit pour la decontamination des surfaces souillees par des substances radiaoctives et/ou des toxiques chimiques
DE19620644A1 (de) * 1996-05-22 1997-11-27 Ciba Geigy Ag Verwendung von stickstoffhaltigen Komplexbildnern zur Desodorierung und antimikrobiellen Behandlung der Haut und textilen Fasermaterialien
JP3699719B1 (ja) * 2004-03-30 2005-09-28 株式会社ピーアンドピーエフ 固型石鹸組成物
WO2006094586A1 (en) * 2005-03-04 2006-09-14 Unilever Plc A low tfm detergent bar
US8080503B2 (en) * 2005-06-18 2011-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bar compositions comprising a high level of 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871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항균 상승 효과를 갖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09938A2 (pt) 2015-10-06
PL2296616T3 (pl) 2015-06-30
CN102088951A (zh) 2011-06-08
CN102088951B (zh) 2013-07-17
MY155954A (en) 2015-12-31
EA023242B1 (ru) 2016-05-31
EA201100182A1 (ru) 2011-08-30
EP2296616B1 (en) 2014-12-24
ZA201008965B (en) 2012-02-29
PT2296616E (pt) 2015-02-20
ES2533661T3 (es) 2015-04-13
CL2011000031A1 (es) 2011-06-24
AU2009268238A1 (en) 2010-01-14
WO2010003819A1 (en) 2010-01-14
BRPI0909938B1 (pt) 2016-08-23
AR072799A1 (es) 2010-09-22
EP2296616A1 (en) 2011-03-23
MX2011000320A (es) 201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30834T2 (de) Zusammensetzungen gegen schlechte Gerüch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WO2007054177A1 (de) Oxidationsmittel enthaltende, wohlriechende verbrauchsprodukte
US10793808B2 (en) Potassium soaps that can be thickened with chloride salts
BR112021004666A2 (pt) composição detergente para lavanderia e método doméstico para tratar um tecido
JP2005530861A (ja) α−スルホン化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及び多価アルコールを含む固形石鹸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10031185A (ko) 개인용 세정 조성물
CN107849502A (zh) 低总脂肪物质(tfm)抗微生物清洁条
JP2023075279A (ja) カプリル酸を含む非石鹸液体洗浄剤組成物
AU2004292747B2 (en) Stable personal wash soap composition and process to prepare the same
WO1998055581A1 (en) A process employing an amine oxide/acid premix for making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N101475884A (zh) 一种含维生素类活性添加剂的香皂组合物
US20080125340A1 (en)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with enhanced skin feel characteristics
CA2859594C (en)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isethionate ester surfacta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3038022A1 (de) Betainesterhaltige mittel
US20200399566A1 (en) Potassium soaps that can be thickened with chloride salts
JP6110934B2 (ja) 棒状石鹸組成物
WO2013050201A1 (de) Hydrogelbildner enthaltende wasch- oder reinigungsmittel
RU2038366C1 (ru) Порошковое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WO2007133582A1 (en) Soap bar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 sulfonated alkyl ester or sulfonated fatty acid and synthetic surfacta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24068248A1 (en) A solid cleaning and disinfection composition
EP4282944A1 (en) Unit dose for personal care or household care composition
GB2571184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hypochlorite bleach
WO1998055585A1 (en) A process for incorporating amine oxide into laundry bars
WO1998055584A1 (en) A laundry bar comprising soap, linear alkyl benzene sulfonate and amine oxide
DE102016201295A1 (de) C8-10-Alkylamidoalkylbetain als Antiknitterwirkst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