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893A -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893A
KR20110030893A KR1020090088545A KR20090088545A KR20110030893A KR 20110030893 A KR20110030893 A KR 20110030893A KR 1020090088545 A KR1020090088545 A KR 1020090088545A KR 20090088545 A KR20090088545 A KR 20090088545A KR 20110030893 A KR20110030893 A KR 20110030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int
command
variab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623B1 (ko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주)빅트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빅트론닉스 filed Critical (주)빅트론닉스
Priority to KR102009008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6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멀티 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n개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멀티터치 검출부; 상기 멀티터치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n개의 터치 지점 중 n-1개 이하로 터치 지점 수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감소된 해당 터치 지점에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키며, 이후 상기 가변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의 터치 지점 이동에 따라 대응되도록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가변포인트와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의 터치 지점 이동에 따라 터치패널의 오브젝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의 터치패널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한 손 상황에서도 줌 명령 등과 같은 오브젝트 제어 명령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멀티 터치 중 터치가 종료된 지점에 가상의 터치지점인 가변포인트를 생성시켜, 이를 사용자 터치에 따라 제어, 이동시킴으로써, 터치패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대적으로 작은 터치패널에서 물리적 멀티터치가 갖는 한계, 즉, 두 손가락은 패널의 경계영역을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상의 터치지점인 가변포인트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줌 명령 등과 같이 화면 확대가 필요한 영역에서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터치패널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가변 터치포인트를 생성시켜, 이를 사용자 터치 제스쳐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오브젝트 또한 효과적으로 조작,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존의 멀티터치의 인터렉션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별다른 학습 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손가락으로 인한 폐색(occulusion)을 없앨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Control method and tools for touch panel on multi touch basis, and mobile de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터치패널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인터렉션 터치 포인트를 가지고 여러 터치포인트를 조작할수 있는 멀티터치패널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수단이 접촉(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터치패널의 예로서 압력식(Resistvie Overlay),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의 터치패널이 있다. 압력식 터치패널은 투명한 플라스틱 판 위에 저항성분의 물질을 코팅하여 접촉 시 저항의 변화로 위치를 인식한다. 표면초음파 방식의 터치패널은 음파의 방해유무로 터치점을 인식한다.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은 고주파 파형을 분석하여 터치점을 인식한다. 적외선 방식의 터치패널은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터치패널의 상하좌우에 마주보게 배치함으로써 터치점을 인식한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작은 크기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많은 수의 성분의 물질을 터치패널을 채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터치 포인트들을 추출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식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 터치 입력 방식은 모바일 기기 조작이 흔히 한 손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으로서, 양 손 혹은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을 가진다. 또한, 커다란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멀티터치 테이블탑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도, 일정 크기 이상의 오브젝트(객체)를 다루는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한 손으로 복잡한 조작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터치패널 입력 방식 및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소형화된 터치패널 내에 다수의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상황(예를 들면, 키보드 등)에서는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입력할 때, 많은 터치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도 한 손만으로도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를 간단히 줌-인(확대)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으로 터치 스크린 제어 방법, 터치 스크린 장치 및 휴대용 소형 전자 장치 (특허등록번호 1020090029214 )가 개시되었지만 가상 조작 포인트 및 조작 방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없어 불편함이 야기되었다. 더 나아가, 많은 수의 오브젝트가 동시에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경우, 이를 모두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물리적 입력 수단이 닿지 않는 영역까지도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가상의 조작 포인트와 방향을 효과적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물리적 입력 수단이 닿지 않는 영역까지도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터치패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대적으로 좁은 터치패널을 가지며, 한 손 또는 한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패널 제어방식을 채용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n개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멀티터치 검출부; 상기 멀티터치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n개의 터치 지점 중 n-1개 이하로 터치 지점 수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감소된 해당 터치 지점에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키며, 이후 상기 가변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의 터치 지점 이동에 따라 대응되도록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가변포 인트와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의 터치 지점 이동에 따라 터치패널의 오브젝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여기에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패널 상에서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 터치가 종료된 경우 상기 터치 지점 수가 감소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터치가 종료된 지점에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또한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n개 터치 지점과 동일한 거리를 갖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 거리 및 각도 변화와 동일한 이동 거리 및 각도 변화를 갖도록 상기 가변포인트를 이동시킨다.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n개의 사용자 터치 지점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수행되며, 상기 중심점과 가변포인트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줌 명령이 수행되며,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가변포인트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점과 상기 가변포인트 지점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 줌-인 명령이, 상기 중심점과 상기 가변포인트 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줌-아웃 명령이 수행되며, 이때 상기 줌 명령 비율은 상기 거리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가지며,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n개의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수행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멀티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검출부; 상기 멀티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상태가 종료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가 종료된 지점을 중심점으로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 및 회전각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연산된 거리 및 회전각에 따라 터치스크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중심점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과 점대칭으로 이동하는 가변포인트를 생성시키며, 상기 가변포인트에는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명령부는 또한, 상기 중심점과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제 1 명령과,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 터치 지점의 회전각에 따른 제 2 명령을 수행한다. 제 1 명령 또는 제 2 명령 중 하나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줌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명령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 이전 또는 다음 객체로의 전환
- 이전 또는 다음 동영상 매체의 실행
- 동영상 매체의 되감기 또는 빨리감기
-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
- 특정 객체의 밝기 또는 명도의 조절
- 데이터 리스트의 스크롤링 업 또는 다운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터치에 의한 터치패널 상의 n개의 멀티터치를 제 1 검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멀티터치 중 터치 상태가 종료된 n-1개 이하의 터치 지점을 제 2 검출하는 단계; 터치 상태가 종료된 상기 터치 지점에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변포인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터치 및 가변포인트 이동에 따라 터치패널 상의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가변 포인트 생성은 터치패널 상에서 사용자 터치가 소정 시간 이상 릴리즈된 경우 생성되며, 상기 가변 포인트는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제 1 검출된 n개 터치 지점과 동일한 거리를 갖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사용자 터치 지점과 동일한 거리 및 각도 변화를 갖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n개의 사용자 터치 지점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중심점과 가변포인트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줌 명령이 수행되며,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가변포인트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점과 상기 가변포인트 지점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 줌-인 명령이, 상기 중심점과 상기 가변포인트 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줌-아웃 명령이 수행되며, 이때 상기 줌 명령 비율은 상기 거리에 비례한다. 또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 이동거리를 가지며,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n개의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수행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멀티 터치를 제 1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멀티 터치 중 터치 상태가 종료된 어느 하나의 터치 지점을 제 2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상태가 종료된 터치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사용자 터치 지점의 거리 및 각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점과 사용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에 기반한 제 1명령,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 터치 지점의 회전각에 기반한 제 2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심점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과 점대칭으로 이동하는 가변포인트를 생성시키며, 상기 가변포인트에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표지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명령 또는 제 2 명령 중 하나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줌 명령일 수 있다. 상기 제 2 검출 단계는 또한 상기 멀티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지점이 소정 시간 이상 터치 상태가 종료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방법.
상기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의 터치패널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한 손 상황에서도 줌 명령 등과 같은 오브젝트 제어 명령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멀티 터치 중 터치가 종료된 지점에 가상의 터치지점인 가변포인트를 생성시켜, 이를 사용자 터치에 따라 제어, 이동시킴으로써, 터치패널을 효과적으로 제어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대적으로 작은 터치패널에서 물리적 멀티터치가 갖는 한계, 즉, 두 손가락은 패널의 경계영역을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상의 터치지점인 가변포인트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줌 명령 등과 같이 화면 확대가 필요한 영역에서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터치패널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가변 터치포인트를 생성시켜, 이를 사용자 터치 제스쳐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오브젝트 또한 효과적으로 조작,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존의 멀티터치의 인터렉션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별다른 학습 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손가락으로 인한 폐색(occlusion)을 없앨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에서 손가락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수단의 터치 지점에서 터치가 종료된 후 동일 지점에서 생성되는 가상의 터치 지점, 즉, 가변 포인트(들)를 이용하여, 화면의 확대(줌-인), 축소(줌-아웃), 이동 등과 같은 터치패널의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멀티 터치가 보다 대중화된 현재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개념의 터치패널 제어방식 및 그 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복수 개 사용자 터치를 제 1 검출 후, 이후 상기 복수 개 사용자 터치 중 터치가 종료된 터치 지점을 제 2 검출한 후, 상기 위치에 가상의 터치지점인 가변포인트를 생성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검출되는 터치 지점은 최소 하나 이상이어야 하나, 제 1 검출된 사용자 터치 지점 수보다는 적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다섯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여 터치패널을 터치하는 경우, 제 1 검출된 터치지점은 5개가 된다. 이후, 다섯 손가락 중 어느 하나를 터치패널의 소정 지점에서 떨어뜨리는 경우(릴리즈, release), 상기 손가락 중 어느 하나가 떨어진 지점은 제 2 검출되고, 상기 지점에 가상 터치지점인 가변포인트가 생성된다. 상기 가변포인트는 터치패널의 크기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으므로, 터치패널의 가용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변포인트의 이동 방식으로, 두 가지 방식이 가능한데, 이는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수단에 의한 n개의 멀티터치, 즉, 두 지점 이상의 멀티 터치를 검출하는 멀티터치 검출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터치 검출부는 터치패널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당업계에 사용되는 어떠한 종류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멀티터치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n개의 터치 지점 중 n-1개 이하로 터치 지점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감소된 해당 터치 지점에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키며, 이후 상기 가변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의 터치 지점 이동에 따라 대응되도록 이동시키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수단에 의한 복수 터치 지점에서 터치 상태가 종료되는 터치 지점에 가상의 터치지점에 해당하는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초기 터치 지점 개수 중 일부가 감소되는 경우, 예를 들면, n개의 복수 터치 지점이 가변포인트 생성 전에 검출된 경우라면, 하나 이상, n-1개 이하로 터치 지점 수가 감소된 경우, 가변포인트를 생성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5 손가락에 의한 5개의 터치지점이 초기 검출된 경우, 4개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패널 터치가 릴리즈되면, 상기 릴리즈된 터치패널 지점에 가상 터치포인트인 가변포인트가 생성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반드시 복수의 물리적 터치 입력수단을 사용할 필요 없이, 최소 하나의 입력수단만으로 마치 2개 이상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야 하는 멀티터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변포인트는 터치패널에서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최소의 입력수단과 대응되는 이동 방식을 보이며, 이러한 실제 입력 수단과 가변 포인트의 이동에 의하여 터치패널의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명령, 예를 들면, 줌, 회전 명령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입력장치의 상기 각 구성요소, 즉 멀티 터치 검출부(110), 제어부(120), 명령부(130)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예로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 즉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여러 기능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특히, 1개의 입력수단에 의한 싱글 터치 모드, 복수의 실제 입력 수단에 의한 멀티 터치 모드와 더불어 실제 입력 수단은 1개이지만, 실제 구현되는 명령은 멀티 터치 모드인, 소위 가상 멀티 터치모드를 생성시키며, 상기 가상 멀티터치 모드는 멀티 터치의 터치지점 수가 줄어든 경우 활성화된다. 특히, 본 발명은 멀티터치 모드와 상기 가상 멀티터치 모드 진입 사이에 소정 시간의 시간 딜레이를 주는데, 이는 특히 사용자가 착오나 디바이스 흔들림 등에 의한 터치 릴리즈와 실제 사용자가 의도에 따라 터치 릴리즈를 수행하는 경우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 가변포인트의 이동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포인트 이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터치패널(200)에 3개의 터치 지점(210a, 210b, 210c)이 검출된다. 상기 터치 지점은 실제 사용자 입력수단, 예를 들면,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의 터치패널에 대한 물리적 터치로부터 발생, 생성되는 터치 포인트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상기 검출된 복수 터치 지점(210a, 210b, 210c)으로부터 동일한 거리(d)를 갖는 지점을 중심점(220)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중심점은 특히 터치 지점의 이동 거리 및 그 각도를 설정하는 기준점으로 기능하게 되며, 아울러 줌 명령, 회전 명령 등과 같은 오브젝트 제어명령의 중심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3개의 터치 지점을 각각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드래깅)하게 된다. 이로써 검출되는 3 개의 터치 지점은 새로운 좌표값(210a', 210b', 210c')을 갖게 되며, 중심점 또한 새로운 좌표값(220')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때 상기 복수 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에 대한 각도를 검출하여, 비교하게 된다. 즉, 본 발명자는 사용자가 평행하게 멀티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는 경우와,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 대칭적으로 움직이는 경우로 구분하며, 상기 멀티터치 지점 각각의 드래깅 방향의 사이각을 비교하고, 만약 사이각이 소정 각도보다 큰 경우라면, 상기 멀티지점은 점 대칭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각도 측정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210a→210a'로의 제 1 터치지점 이동방향과 210c→210c' 로의 제 2 터치지점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가변포인트의 이동 패턴을 결정짓게 된다. 즉, 도 2b에서 상기 제 1 터치지점 이동방향과 제 2 터치지점 이동방향 사이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이후 생성되는 가변포인트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3 개의 터치지점 중 2 개의 터치 지점(210a', 210b')에서 물리적 터치 상태가 종료된다. 즉, 사용자는 210a', 210b'까지 드래깅한 후, 사용자 입력 수단을 터치패널로부터 이격, 떨어뜨린다(릴리즈, release). 이로써 초기 검출된 3개의 터치지점 중 2개의 터치지점의 터치 상태가 종료되며, 이로써 터치 지점 수가 3개에서 1개로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상기 터치상태가 종료된 지점(210a', 210b')에 가변포인트를 생성시키며, 사용자는 실제로 1개의 터치지점(210c')에만 터치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실제 터치 지점(210c')로부터 드래깅을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가변포인트는 상기 실제 터치 지점의 이동과 동일한 거리(중심점과의 거리)와 회전각을 갖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터치 입력 수단을 조절, 제어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복수 개의 터치지점을 조절,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터치패널 오브젝트의 줌, 회전 등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3개의 터치 지점의 이동 거리비(즉, 210a→210a;, 210b→210b', 210c→210c')를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제 멀티 터치의 이동 길이비를 기반하여, 가변포인트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 터치의 거리비가 1:2:3이 라고 하면, 상기 거리비에 따라 실제 터치지점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가변포인트 이동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오브젝트의 줌 명령 중심이 고정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 상기 중심점(220')은 줌, 회전 등의 명령이 수행되는 오브젝트 중심이 된다. 예를 들면, 줌을 원하는 영역 주위로 멀티터치를 설정한 후, 멀티터치 중 하나 이상의 터치를 릴리즈하게 되면, 상기 영역 주위로 가변포인트가 생성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터치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입력수단을 드래깅함으로써, 상기 영역의 줌, 회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줌은 상기 중심점과 가변포인트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줌 명령이 수행된다. 만약, 상기 거리가 길어지면 줌-인 명령이, 반대로 상기 거리가 짧아지면 줌-아웃 명령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줌-인, 줌-아웃 비율은 상기 거리에 비례한다. 또한,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가변포인트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명령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변포인트의 최초 생성 지점(제 1 지점)과 이동된 후의 제 2 지점 사이의 회전각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는 회전하며, 이때 상기 회전하는 오브젝트 중심은 상기 중심점(220')이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술한 방식과 다른 가변포인트 이동 방식을 제공한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 2a와 동일한 형식으로 3개의 터치지점(310a, 310b, 310c)가 검출되고, 상기 3개의 터치지점과 동일한 거리를 갖는 중심점(320)이 설정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3개의 터치지점은 이후 사용자의 드래깅 제스쳐 등에 따라 새로운 터치지점(310a', 310b', 310c')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터치지점의 이동 방향(벡터) 각각의 각도차는 소정 각도 이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이후 상기 3개 중 2개의 터치지점에서 터치상태는 종료되며, 그 결과 터치상태가 종료된 터치지점(310a' 310b')에는 소위 가상 터치지점에 해당하는 가변포인트가 생성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여전히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사용자 터치지점(310c')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포인트(310a', 310b')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구성은 가변포인트 생성시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실제 사용자 터치 지점에 대하여 가변포인트가 점대칭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멀티터치 지점 이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변 포인트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엄지, 검지를 이용하여 2 지점을 터치한 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드래깅하고, 다시 엄지 또는 검지 중 어느 하나를 릴리즈, 즉 언터치하는 경우 상기 릴리즈된 엄지 또는 검지에 해당하는 가변 포인트가 생성되고, 이후, 실제 터치지점의 이동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가변 포인트가 이동, 움직이게 된다. 특히, 상기 이동 방향 외에 이동 길이는 실제 터치지점의 이동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전 멀티터치 이동 길이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 외에 상기 중심점을 고정시키는 또 다른 방식의 터치패 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멀티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검출부(410); 상기 멀티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상태가 종료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가 종료된 지점을 중심점으로 설정하는 제어부(420);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 및 회전각을 연산하는 연산부(430);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연산된 거리 및 회전각에 따라 터치패널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부(44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복수의 터치지점 중 어느 하나의 터치상태가 종료되는 경우, 터치 상태가 종료된 터치 지점을 줌 명령, 회전 명령 등을 수행하기 위한 중심점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연산되는 터치지점의 거리, 회전각에 따라 각각 제 1 및 제 2 명령을 수행한다. 제 1 명령 또는 제 2 명령 중 하나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줌 명령 또는 회전 명령일 수 있다. 더 나아가, 회전각 변화에 기반하여 하기 명령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명령으로도 수행할 수 있다. (이전 또는 다음 동영상 매체의 실행, 동영상 매체의 되감기 또는 빨리감기,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 특정 객체의 밝기 또는 명도의 조절, 데이터 리스트의 스크롤링 업 또는 다운)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패널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터치패널에 2 개의 터치 지점(510a, 510b)이 검출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2 개의 터치 지점(510a, 510b) 중 일 터치지점(510a)을 또 다른 일 지점(510b)로 사용자가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에 따른 오브젝트 제어명령의 중심점 또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멀티터치 방식과 동일한 것으로, 상기 방식에서는 오브젝트 제어명령의 기준, 즉 대상 오브젝트 중심이 되는 중심점은 반드시 실제 터치지점들의 중간에 위치하며, 실제 터치지점의 이동에 따라 중심점이 이동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특히 줌-인하고 싶은 오브젝트가 터치패널의 경계에 있는 경우, 실제 사용자 입력수단의 이동은 터치패널의 물리적 크기에 제한되므로, 원하는 수준으로 오브젝트를 확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화면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모서리 부분을 멀티터치 한 후, 이를 벌리게 된다. 하지만, 오브젝트 줌-인의 중심점은 상기 엄지 및 검지의 터치지점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엄지 및 검지의 드래깅에 따라 원하는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중심점이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중심점 이동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브젝트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의 중심(510b)에 멀티터치 중 어느 하나를 위치시킨 후, 다시 이를 터치패널로부터 떼 어낸다. 이때 상기 지점(510b)은 오브젝트 제어명령, 예를 들면, 줌 명령, 회전 명령 등을 수행하는 중심점으로 고정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의도한 터치 종료와 착오로 인한 순간적인 터치 종료를 구분하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 딜레이를 상기 터치 종료 단계와 중심점 고정 단계 사이에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d를 참조하며, 상기 중심점(510b)를 기준으로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510c)에 따라 회전각 또는 거리가 연산될 수 있다.
상기 방식은 특히 통상적인 멀티터치 방식의 터치패널 제어방법과 함께, 종래의 멀티터치 방식이 가지는 오브젝트 제어 수행의 문제, 즉, 중심점이 반드시 검출되는 멀티터치 지점의 중심에 위치한다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직관을 돕기 위하여, 상기 고정된 중심점(510b)에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표지를 생성시키고, 상기 표지를 상기 고정된 중심점(510b)으로부터 점 대칭되는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마치 두 손가락으로 오브젝트 줌-인 등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터치패널에서의 사용자 터치에 의한 터치지점, 즉, n개의 터치지점을 제 1 검출한다(S110). 여기에서 검출된 터치지점은 멀티터치에 의하여 검출되는 터치지점이므로 n은 2 이상이다. 이후, 상기 n개의 멀티터치 중 터치 상태가 종료된 n-1개 이하의 터치 지점을 제 2 검출하는 단계(S210)가 수행된다. 즉, 단계(S210)에서는 전체 터치지점 수보다 종료된 터치지점 수가 적은 경우 를 검출한다. 이후, 상기 터치상태가 종료된, 즉 터치 릴리즈된 지점에는 가상 터치위치인 가변포인트가 생성되며(S310), 상기 가변포인트는 상술한 방식과 같이 실제 사용자 터치지점의 이동 패턴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사용자 터치지점과 가변포인트의 이동 거리 및 회전각 등에 따라 터치패널 상의 오브젝트를 제어한다(S410). 상기 가변포인트의 이동방식, 오브젝트 제어명령 방식 등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터치패널 상의 2개의 멀티터치를 검출하고(S120), 이 후, 터치 종료된 1개의 터치지점을 검출한다(S220). 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에 의한 멀티터치 태스킹 중 엄지만을 터치종료시킨 경우, 엄지가 터치종료된 지점이 단계(S220)에서 검출된다. 이후 상기 터치종료된 지점을 중심으로 사용자 터치지점과의 거리, 각도를 측정, 연산하게 되며(S320), 이를 기초로 거리기반의 제 1 명령, 각도기반의 제 2 명령을 수행한다(S420). 상기 제 1 명령, 제 2 명령 등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포인트 이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Claims (28)

  1. 터치패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n개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멀티터치 검출부;
    상기 멀티터치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n개의 터치 지점 중 n-1개 이하로 터치 지점 수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감소된 해당 터치 지점에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키며, 이후 상기 가변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의 터치 지점 이동에 따라 대응되도록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가변포인트와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의 터치 지점 이동에 따라 터치패널의 오브젝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패널 상에서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 터치가 종료된 경우 상기 터치 지점 수가 감소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터치가 종료된 지점에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n개 터치 지점과 동일한 거리를 갖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 거리 및 각도 변화와 동일한 이동 거리 및 각도 변화를 갖도록 상기 가변포인트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n개의 사용자 터치 지점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과 가변포인트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줌 명령이 수행되며,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가변포인트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명령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과 상기 가변포인트 지점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 줌-인 명령이, 상기 중심점과 상기 가변포인트 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줌-아웃 명령이 수행되며, 이때 상기 줌 명령 비율은 상기 거리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n개의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9. 터치패널 제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멀티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검출부;
    상기 멀티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상태가 종료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가 종료된 지점을 중심점으로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 및 회전각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연산된 거리 및 회전각에 따라 터치스크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부를 포함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과 점대칭으로 이동하는 가변포인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포인트에는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표지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12. 상기 명령부는
    상기 중심점과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제 1 명령과,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 터치 지점의 회전각에 따른 제 2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제 1 명령 또는 제 2 명령 중 하나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줌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명령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
    - 이전 또는 다음 객체로의 전환
    - 이전 또는 다음 동영상 매체의 실행
    - 동영상 매체의 되감기 또는 빨리감기
    -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
    - 특정 객체의 밝기 또는 명도의 조절
    - 데이터 리스트의 스크롤링 업 또는 다운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16. 사용자 터치에 의한 터치패널 상의 n개의 멀티터치를 제 1 검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멀티터치 중 터치 상태가 종료된 n-1개 이하의 터치 지점을 제 2 검출하는 단계;
    터치 상태가 종료된 상기 터치 지점에 가변 포인트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변포인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터치 및 가변포인트 이동에 따라 터치패널 상의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인트 생성은 터치패널 상에서 사용자 터치가 소정 시간 이상 릴리즈된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인트는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제 1 검출된 n개 터치 지점과 동일한 거리를 갖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사용자 터치 지점과 동일한 거리 및 각도 변화를 갖도록 이동하는 것을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n개의 사용자 터치 지점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과 가변포인트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줌 명령이 수행되며,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가변포인트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명령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과 상기 가변포인트 지점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 줌-인 명령이, 상기 중심점과 상기 가변포인트 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줌-아웃 명령이 수행되며, 이때 상기 줌 명령 비율은 상기 거리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 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 이동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포인트 이동은 상기 가변포인트가 생성되기 전, n개의 사용자 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4. 멀티 터치를 제 1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멀티 터치 중 터치 상태가 종료된 어느 하나의 터치 지점을 제 2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상태가 종료된 터치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사용자 터치 지점의 거리 및 각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점과 사용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에 기반한 제 1명령,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 터치 지점의 회전각에 기반한 제 2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사용자 터치 지점과 점대칭으로 이동하는 가변포인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포인트에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표지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제 1 명령 또는 제 2 명령 중 하나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줌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출 단계는 상기 멀티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지점이 소정 시간 이상 터치 상태가 종료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기반 터치패널 제어방법.
KR1020090088545A 2009-09-18 2009-09-18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10117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545A KR101171623B1 (ko) 2009-09-18 2009-09-18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545A KR101171623B1 (ko) 2009-09-18 2009-09-18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893A true KR20110030893A (ko) 2011-03-24
KR101171623B1 KR101171623B1 (ko) 2012-08-07

Family

ID=4393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545A KR101171623B1 (ko) 2009-09-18 2009-09-18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86A1 (ko) * 2011-11-24 2013-05-30 Kim Si-Han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70713B1 (ko) * 2012-05-29 2014-03-06 한국과학기술원 터치패널 컨텐츠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333A (ko)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터치 센싱 장치, 터치 센싱 장치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터치 센싱 방법
WO2024049042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쳐의 궤적을 변경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28B1 (ko) 2009-02-23 2011-03-07 (주)빅트론닉스 터치 패널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86A1 (ko) * 2011-11-24 2013-05-30 Kim Si-Han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7233A (ko) * 2011-11-24 2014-08-06 김시환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8945A (ko) * 2011-11-24 2016-07-26 김시환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370713B1 (ko) * 2012-05-29 2014-03-06 한국과학기술원 터치패널 컨텐츠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623B1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6529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を操作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095849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미디어 항목들을 통해 스크롤하는방법,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을 갖는 사용자-조작되는전자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방법, 디스플레이 및 터치감지 입력 장치를 갖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방법,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장치, 터치 감지 장치를 통해플로팅 컨트롤을 기동시키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컴퓨터구현 방법
JP5702296B2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制御方法
AU2007341930B2 (en)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10509549B2 (en) Interface scanning for disabled users
US9524097B2 (en) Touchscreen gestures for selecting a graphical object
CN109661645A (zh) 用于具有多个触控表面的设备的手势语言
US201201697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zoom function
US20120105367A1 (en) Methods of using tactile force sensing for intuitive user interface
KR20130052749A (ko) 터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08085789A2 (en) Gestures for devices having one or more touch sensitive surfaces
JP200915150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80104858A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제스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 기기
KR20080104857A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렉션 방법 및장치
JP201211879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546066A (ja) デバイスとのユーザのタッチ及び非タッチベースのインタラクション
KR20100136578A (ko) 터치 입력 수단 및 스타일러스 펜,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KR101056088B1 (ko) 터치패널 입력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101171623B1 (ko)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US20140298275A1 (en) Method for recognizing input gestures
KR101090322B1 (ko)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AU2011253700A1 (en)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KR20110006251A (ko) 터치 패널 입력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20140086805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00106638A (ko)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터치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