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746A - 저층용 승강기 - Google Patents

저층용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746A
KR20110030746A KR1020090088316A KR20090088316A KR20110030746A KR 20110030746 A KR20110030746 A KR 20110030746A KR 1020090088316 A KR1020090088316 A KR 1020090088316A KR 20090088316 A KR20090088316 A KR 20090088316A KR 20110030746 A KR20110030746 A KR 2011003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ing
elevating frame
low
a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917B1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102009008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9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2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6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층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에 승강기를 설치할 때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승강기의 작동을 위한 승강장치를 지상에 설치하면서도 출입구의 문턱이 낮아 사용이 편리한 저층용 승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는 저층용 승강기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지주 프레임과 제 1 승하강 프레임 및 제 2 승하강 프레임을 각각 2개 1조로 하여 지주 프레임 2조, 제 1 승하강 프레임 2조, 제 2 승하강 프레임을 2조 구성하고, 상기 제 2 승하강 프레임의 각각의 하부를 바닥 프레임으로 연결하며, 상기 바닥 프레임의 상면에 탑승실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과 제 2 승하강 프레임의 상판에 각각 한 쌍의 도르래 기어를 구성하며, 제 1 승하강 체인의 일단을 지주 프레임 상판에 고정하고, 타단은 도르래 기어를 거쳐 제 2 승하강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하며, 제 2 승하강 체인의 일단을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에 고정하고, 타단은 도르래 기어를 거쳐 제 2 승하강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된 고정박스에 고정하며, 상기 지주 프레임에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를 구성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 로드 단부가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와 유압 모터를 유압 호스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는 승강기를 구성하는 탑승실의 출입구를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구성하여 탑승실에 출입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의 탑승이 용이하 고, 짐을 싣고 내릴 때에도 편리함을 물론이며, 건물내 승강기를 설치할 때 바닥면을 파내는 등의 작업이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외관적으로 미려한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유압 실린더, 탑승실, 승하강 프레임, 도르래 기어, 출입구의 문턱이 낮은 저층용 승강기

Description

저층용 승강기{Bottom elevator}
본 발명은 저층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에 승강기를 설치할 때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승강기의 작동을 위한 승강장치를 지상에 설치하면서도 출입구의 문턱이 낮아 사용이 편리한 저층용 승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4층 이상 고층용으로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 건물에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설치가 불가능하였다.
일반적인 고층용 승강기가 아닌 저층용 승강기로는 대표적인 형식으로 X자형 절첩식 프레임으로 구성된 승강장치를 탑승실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 있다.
종래 승강기들 중에 4층 이상 고층용으로 구성된 승강기의 경우에 건물을 건축하는 단계에서부터 시설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기본적인 설계가 고층 이동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저층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라 할 수 있다.
반면, X자형 절첩식 프레임으로 구성된 승강장치가 탑승실의 하부에 설치된 저층용 승강기의 경우에는 건물을 건축하는 단계에서부터 시설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이동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저층용 승강기는 탑승실의 하부에 X자형 절첩식 프레임으로 구성된 승강장치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장치의 높이만큼 탑승실의 출입구가 바닥면에서 높아지기 때문에 계단형 발판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노약자나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힘이 들었고 또한 짐을 싣고 내리는데 많은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층용 승강기가 설치될 위치에 바닥면을 파내고 X자형 절첩식 프레임으로 구성된 승강장치를 매립하여 출입구의 높이를 바닥면과 동일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승강장치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에는 이동설치가 불가능하고, 또 외관적으로도 미려하지 못하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는 탑승실을 다단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에 의해서 승하강하도록 구성하고 탑승실의 출입구를 바닥면에 근접되게 구성함으로써 노약자와 장애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이고, 짐을 싣고 내리는데 편리함을 제공하며,
또한, 건물 내부에 승강기를 설치할 때 바닥면을 파내는 작업을 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외관적으로도 미려한 저층용 승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는 저층용 승강기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지주 프레임과 제 1 승하강 프레임 및 제 2 승하강 프레임을 각각 2개 1조로 하여 지주 프레임 2조, 제 1 승하강 프레임 2조, 제 2 승하강 프레임을 2조 구성하고, 상기 제 2 승하강 프레임의 각각의 하부를 바닥 프레임으로 연결하며, 상기 바닥 프레임의 상면에 탑승실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과 제 2 승하강 프레임의 상판에 각각 한 쌍의 도르래 기어를 구성하며, 제 1 승하강 체인의 일단을 지주 프레임 상판에 고정하고, 타단은 도르래 기어를 거쳐 제 2 승하강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하며, 제 2 승하강 체인의 일단을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에 고정하고, 타단은 도르래 기어를 거쳐 제 2 승하강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된 고정박스에 고정하며, 상기 지주 프레임에는 한 쌍 의 유압 실린더를 구성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 로드 단부가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와 유압 모터를 유압 호스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는 승강기를 구성하는 탑승실의 출입구를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구성하여 탑승실에 출입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의 탑승이 용이하고, 짐을 싣고 내릴 때에도 편리함을 물론이며, 건물내 승강기를 설치 할 때 바닥면을 파내는 등의 작업이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외관적으로 미려한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상승작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하강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외부 프레임(2)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이며,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보강 프레임(3)이 구성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2)은 사각형의 금속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2)의 하부에는 저층용 승강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이동바퀴(4)가 구성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2)의 상부에는 견인고리(23)가 구성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2)의 내부 공간에는 ㄷ자 형상의 금속판 2개가 1조를 이루는 지주 프레임(5)을 구성하고, 상기 지주 프레임(5)의 상부에는 지주 프레임 상판(6)을 구성하며, 상기 지주 프레임(5)과 지주 프레임 상판(6)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으로 지주 프레임 상판(6)이 지주 프레임(5)의 상부 연장선의 바깥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2) 내부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대칭이 되도록 2조의 지주 프레임(5)이 구성된다.
상기 지주 프레임 상판(6)이 지주 프레임(5)의 상부 연장선의 바깥으로 구성된 이유는 지주 프레임(5) 내부에 구성된 제 1 승하강 프레임(7)의 승하강 작용시 지주 프레임 상판(6)이 제 1 승하강 프레임(7)의 승하강 작동선에서 벗어나기 위함이다.
상기 지주 프레임(5) 내부 공간으로 제 1 승하강 프레임(7)이 2개 1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부에는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이 구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 상판에는 제 1 도르래 기어(9)가 2개 구성되고,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7)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대칭이 되도록 2조의 제 1 승하강 프레임(7)이 구성된다.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7)과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7)의 내부에 구성된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승하강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7) 내부 공간으로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이 2개 1 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승하강 프레임(10) 상부에는 제 2 승하강 프레임 상판(11)이 구성되며, 상기 제 2 프레임 상판에는 제 2 도르래 기어(12)가 2개 구성되고, 상기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대칭이 되도록 2조의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이 구성된다.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7)에는 한쌍의 제 1 승하강 체인(13)이 구성된다. 상기 제 1 승하강 체인(13)은 일단이 지주 프레임 상판(6)에 체인 고정편(14)을 통해 고정되며, 제 1 승하강 체인(13)의 타단은 제 1 도르래 기어(9)를 통해 방향을 180도 전환하여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하단에 체인 고정편(14)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제 2 승하강 프레임(10)에는 한쌍의 제 2 승하강 체인(15)이 구성된다. 상기 제 2 승하강 체인(15)은 일단이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에 체인 고정편(14)을 통해 고정되며, 제 2 승하강 체인(15)의 타단은 제 2 도르래 기어(12)를 통해 방향을 180도 전환하여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하부에 구성된 고정박스(16)에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하부에는 2조의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을 연결하는 바닥 프레임(17)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 프레임(17)의 상부에는 저층용 승강기(1)의 탑승실(18)이 구성된다.
상기 탑승실(18)은 일반적인 승강기의 탑승실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1조의 지주 프레임(5) 양측으로 2개의 유압 실린더(19)가 구성되고, 상 기 외부 프레임(2) 내부 공간으로 총 2조의 지주 프레임(5)이 구성됨에 따라 총 4개의 유압 실린더(19)가 구성되고, 각각의 유압 실린더(19)들은 유압 호스(22)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가 유압 실린더(19)는 작동 로드(20)의 상단부가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19)는 유압 모터(21))와 유압 호스(22)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1)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1)를 건물내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건물내부에 승강기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의 상부가 되는 2층 바닥을 뚫어서 탑승실(18)이 2층으로 출입할 수 있게 공간을 확보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승강기용 출입문을 설치한다.
그리고, 2층 바닥이 뚫어진 공간의 직하부가 되는 1층 바닥면에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1)를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한 상태에서 탑승실(18)에 탑승하고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상승 쪽으로 작동한다.
그러면 유압 모터(21)에서 발생한 유압이 유압 호스(22)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19)로 전달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19)의 작동 로드(20)가 승강하면서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한 제 1 승하강 프레임(7)에 구성된 제 1 승하강 체인(13)은 일단이 지 주 프레임 상판(6)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에 구성된 제 1 도르래 기어(9)를 통해 방향을 180도 전환한 후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승하강 프레임(7)의 상승과 함께 제 2 승하강 프레임(10)도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상승으로 인해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을 연결하는 바닥 프레임(17)에 구성된 탑승실(18)이 상승하게 되어 2층으로 탑승실(18)의 상승작용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하강 쪽으로 작동하면 유압 실린더(19)의 작동 로드(2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한 작동 로드(20)의 하강으로 인해 제 1 승하강 프레임(7)과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탑승실(18)도 하강하게 되어 1층으로 하강 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승하강 작용에서 외부 프레임(2)의 내부에 지주 프레임(5)과 승하강 프레임(7)(10)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양쪽으로 2조 구성되어 있어 탑승실(18) 내부의 탑승인원이나 짐의 무게가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에도 탑승실(18)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상승작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층용 승강기의 하강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저층용 승강기 2: 외부 프레임
3: 보강 프레임 4: 이동바퀴
5: 지주 프레임 6: 지주 프레임 상판
7: 제 1 승하강 프레임 8: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
9: 제 1 도르래 기어 10: 제 2 승하강 프레임
11:제 2 승하강 프레임 상판 12: 제 2 도르래 기어
13: 제 1 승하강 체인 14: 체인 고정편
15: 제 2 승하강 체인 16: 고정박스
17: 바닥 프레임 18: 탑승실
19: 유압 실린더 20: 작동 로드
21: 유압 모터 22: 유압 호스
23: 견인고리

Claims (2)

  1. 저층용 승강기(1)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2)의 내부 공간에 제 1 승하강 프레임(7) 및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을 각각 2개 1조로 하여 지주 프레임(5)이 2조로 구성되고, 외부 프레임(2)의 하부에는 이동바퀴(4)가 구성되며,
    상기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하부를 바닥 프레임(17)으로 연결하고, 상기 바닥 프레임(17)의 상면에 탑승실(18)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에 한쌍의 제 1 도르래 기어(9)를 구성하고, 제 2 승하강 프레임 상판(11)에 한 쌍의 제 2 도르래 기어(12)가 구성되며,
    제 1 승하강 체인(13)의 일단을 지주 프레임 상판(6)에 고정하고, 타단은 제 1 도르래 기어(9)를 거쳐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하부에 고정하며, 제 2 승하강 체인(15)의 일단을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에 고정하고, 타단은 제 2 도르래 기어(12)를 거쳐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의 하부에 구성된 고정박스(16)에 고정되며,
    상기 지주 프레임(5)에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19)를 구성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19)의 작동 로드(20) 단부가 제 1 승하강 프레임 상판(8)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19)와 유압 모터(21)를 유압 호스(22)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용 승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저층용 승강기(1)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 2 승하강 프레임(10)은 제 1 승하강 프레임(7)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고, 제 1 승하강 프레임(7)은 지주 프레임(5)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며,
    상기 제 1 승하강 프레임(7)과 제 2 승하강 프레임(10) 및 지주 프레임(5)은 저층용 승강기(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대칭이 되도록 외부 프레임(2)의 내부 공간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용 승강기.
KR1020090088316A 2009-09-18 2009-09-18 저층용 승강기 KR10114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16A KR101143917B1 (ko) 2009-09-18 2009-09-18 저층용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16A KR101143917B1 (ko) 2009-09-18 2009-09-18 저층용 승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46A true KR20110030746A (ko) 2011-03-24
KR101143917B1 KR101143917B1 (ko) 2012-05-11

Family

ID=4393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316A KR101143917B1 (ko) 2009-09-18 2009-09-18 저층용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883B1 (ko) * 2016-08-12 2017-03-03 김용국 작업용 리프트
CN109809200A (zh) * 2017-11-21 2019-05-28 国机重工集团常林有限公司 一种升降翻桶机构
CN109939403A (zh) * 2019-02-25 2019-06-28 广东宏庭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城市建筑用消防设备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114B2 (ja) * 1989-12-22 1997-02-26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ホームエレベータ
KR19980018469U (ko) * 1996-09-30 1998-07-06 이종수 유압식 엘리베이터용 실린더 고정장치
KR200317693Y1 (ko) * 1999-04-23 2003-06-25 이난영 리프트장치
KR100741960B1 (ko) 2006-10-16 2007-07-23 주식회사 헤브론 다단 리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883B1 (ko) * 2016-08-12 2017-03-03 김용국 작업용 리프트
CN109809200A (zh) * 2017-11-21 2019-05-28 国机重工集团常林有限公司 一种升降翻桶机构
CN109809200B (zh) * 2017-11-21 2024-05-17 国机重工集团常林有限公司 一种升降翻桶机构
CN109939403A (zh) * 2019-02-25 2019-06-28 广东宏庭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城市建筑用消防设备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917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09721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KR101923924B1 (ko)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CN110171761B (zh) 一种具有防冲顶功能的升降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JP503937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KR20110114190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KR101143917B1 (ko) 저층용 승강기
CN104803252B (zh) 一种电梯逃生装置
CN105645223A (zh) 钢结构一体化电梯
CN109095319B (zh) 一种施工电梯与爬架一体化运行系统
JP6586490B2 (ja)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US11713215B2 (en) Elevator arrangement
JP2000274069A (ja) 足場構成部材などの昇降装置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30674Y1 (ko) 고층건물의 고소작업용 곤도라
KR100992596B1 (ko) 상부 개방형 복층 승강기
CN107187998B (zh) 一种便于维修的电梯
JP2001335255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据付用ユニット
CN216272580U (zh) 一种防风雨型残疾人用升降机
KR100574015B1 (ko)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JP5968162B2 (ja) エレベータ用トーガード
KR101303148B1 (ko) 커튼 월 시공방법
CN214658697U (zh) 一种用于井道电梯钢结构安装的升降系统
CN216360334U (zh) 一种无井道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