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124A -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124A
KR20110030124A KR1020090088114A KR20090088114A KR20110030124A KR 20110030124 A KR20110030124 A KR 20110030124A KR 1020090088114 A KR1020090088114 A KR 1020090088114A KR 20090088114 A KR20090088114 A KR 20090088114A KR 20110030124 A KR20110030124 A KR 20110030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plate
light
fram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850B1 (ko
Inventor
천인기
박종철
김남주
김아나
이민종
Original Assignee
(주)뉴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옵틱스 filed Critical (주)뉴옵틱스
Priority to KR102009008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8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의 광원을 이용하여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면광원을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 및 색채를 이용하여 다채로운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조성할 수 있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고리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LED 모듈과, 상면 및 하면에 패턴 및 이미지가 각각 인쇄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반사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확산판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면광원, 도광판, LED 모듈, 반사시트, 확산판, 패턴, 이미지

Description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ILLUMINATION DEVICE USE LIGHT GUIDE PANEL}
본 발명은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최소한의 광원을 이용하여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면광원을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 및 색채를 이용하여 다채로운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조성할 수 있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조명기구는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실내외를 밝게 비추는 조명의 일종으로, 최근에는 전등이 갖는 본래의 목적 이외에 장식적 효과와 미관을 높이기 위한 인테리어의 한 분야로도 간주되어 이에 적합한 형태로 개발 및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의 광원에는 여러 종류가 존재하며,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이하 LED라 함)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기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LED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합된 구조를 가지며,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반도체의 밴드갭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광으로 방출하는 광전자 소자(photoelectronic device)이다. 이러한 LED는 조명기구용 광원뿐만 아니 라,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원, 전광판용 광원, 교통 신호등의 광원 등 그 사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LED 광원은, 발광부분인 LED 모듈부와 제어부분인 회로모듈부로 구성되는데, LED 모듈부와 회로모듈부가 서로 다른 기판 상에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LED 모듈과 회로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배선들이 많아서 모듈 배열이 복잡해져, 조명기구화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기구는 휘도를 높이기 위해 다수의 LED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다수의 LED를 사용할 경우 높은 휘도에 따른 시인성의 저하, 발열문제 및 눈부심 등의 부작용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소한의 광원을 이용하여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면광원을 제공하기 위해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 및 색채를 이용하여 다채로운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조성할 수 있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는,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고리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LED 모듈과, 상면 및 하면에 패턴 및 이미지가 각각 인쇄되는 도광판과, 상 기 도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반사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확산판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는,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패턴에 의해 상기 도광판의 하면을 통하여 발산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도광판에 인쇄된 이미지가 상기 확산판에 어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는, 최소한의 광원, 즉 최소의 LED를 이용하여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우수하고 눈부심이 없는 면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 점등 시 도광판에 인쇄된 다양한 형태 및 색채의 이미지가 확산판에 어리게 되므로 다채로운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조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 용한 조명기구(100, 이하 조명기구라 함)는, 조명기구의 기본 틀인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이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도광판(120)이 설치되고, 도광판(120)의 측면을 따라 LED 모듈(130)이 위치된다. 또한, LED 모듈(130)에 의해 둘러싸인 도광판(120)의 상면(출광면의 반대쪽 일면)에 반사시트(140)가 설치되며, 도광판(120)의 하면(출광면)에 확산판(150)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면에는 커버(160)가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중 프레임과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프레임의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그리고 커버는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고리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의 프레임은(110), 확산판(도 2의 150)이 안착되는 수평부재(112a)와, 수평부재(112a)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수직부재(11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평부재(112a) 상에는 다수의 고정홈(114)이 형성되며, 수직부재(112b) 상에는 여러 쌍의 체결공(116)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프레임(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기구(도 1의 100)의 기본 틀로서, 조명기구(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좌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10)이 사각 고리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형상 이외에 원형 및 타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원몰드방 식(one mold type)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코너 캡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위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레임에 비해 생산성 및 조립성이 우수하고, 생산 및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0)는 개방된 프레임(110)을 상부에 결합되어, 조명기구(도 1의 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커버(160)는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되고, 그 테두리(162)는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110) 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테두리(162)의 수평부재(162a) 상에는 결합공(164)이 형성되며, 수직부재(162b) 상에는 후크(166)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160)의 내측 상면 각 모서리에는 스토퍼(172)가 설치된다.
이때, 커버(160)에 형성된 결합공(164) 및 후크(166)는 프레임(110)에 형성된 고정홈(114) 및 체결공(116)과 함께 프레임(110)과 커버(160)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결합공(164)은 테두리(162)의 수평부재(162a) 중 고정홈(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후크(166)는 테두리(162)의 수직부재(162b) 중 체결공(11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스토퍼(170)는 프레임(110)을 상부에 안착되는 도광판(도 2의 120) 및 확산판(도 2의 150)의 흔들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용도의 스토퍼(170)는, 커버(160)의 내측 상면 각 모서리에 압입, 고정되는 팸너트(172, pem nut)와, 팸너트(17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실리콘 부싱(174)으로 구성된다.
스토퍼(170)의 팸너트(172)는, 몸체(172a)와, 몸체(172a)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가압부(172b)와, 제1가압부(172b)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가압부(172b)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가압부(172c)와, 제1 및 제2가압부(172b,172c)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172d)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팸너트(172)는 커버(160)에 형성된 관통공(168)을 통해 압입되는데, 몸체(172a)의 상단에 형성된 제2가압부(172c)와 삽입홈(172d)이 관통공(168)의 내부에 위치되며, 제1가압부(172b)가 커버(160)의 내측 상면에 밀착하도록 압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프레임(110) 측으로 돌출된 팸너트(172)의 몸체(172a) 하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부싱(174)이 끼워진다.
상술한 스토퍼(170)는 커버(160)의 내측 상면 각 모서리에 압입, 고정되어, 도광판(120), 즉 반사시트(140)가 부착된 도광판(120)을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지지한다. 또한, 프레임(110) 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70)의 하단이 확산판(150)을 가압하여 프레임(110)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광판(120)이 전후좌우방향으로 흔들릴 우려가 없으며, 확산판(150)의 경우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방향의 흔들림까지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팸너트(172)에 끼워진 실리콘 부싱(174)은 팸너트(172)가 직접 접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도광판(120), 반사시트(140) 및 확산판(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의 단면도이다.
프레임(110)과 커버(160)는, 체결공(116)에 삽입되는 후크(166)와, 결합공(164)을 관통하여 고정홈(114)에 결합되는 고정나사(180)에 의해 고정, 결합된 다.
이때, 테두리(162)의 수평부재(162a)와 수직부재(162b)는, 프레임(110)의 수평부재(112a) 상면과 수직부재(112b) 내측 벽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프레임(110)과 커버(16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조명기구(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없다.
또한, 프레임(110)과 커버(160)의 결합 시 그 내부에 도광판(120), LED 모듈(130), 반사시트(140) 및 확산판(150)이 위치되며, 이 중 도광판(120), 반사시트(140) 및 확산판(150)은 상술한 스토퍼(17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온도, 습도와 같은 외부환경에 의한 팽창 및 수축, 그리고 진동, 충격에 의한 도광판(120), 반사시트(140) 및 확산판(150)의 흔들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중 LED 모듈의 사시도이다.
LED 모듈(130)은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생하는 광원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0)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는 서멀패드(132, thermal pad)와, 서멀패드(132)에 의해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134, Printed Circuit Board; PCB)과, 인쇄회로기판(134)을 따라 실장되는 다수의 LED 패키지(136)로 구성된다.
이때, 서멀패드(136)는 인쇄회로기판(134)을 고정함과 동시에 LED 패키지(136)가 발광할 때 발생되는 열을 커버(16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즉, LED 패키지(136)에서 발생된 열은 인쇄회로기판(134)과 서멀패드(136)를 통해 커버(160)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커버(160)가 박판 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서멀패드(136)가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경우 조명기구(도 1의 100)의 방열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은 형상의 조명기구(도 2의 100)의 프레임(도 2의 110)은 사각의 고리형상이므로,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134)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조명기구(100)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경우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절곡이 가능한 연성의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중 도광판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광판(120, Light Guide Panel; LGP)은 광원, 즉 LED 모듈(도 6의 130)에서 발생된 선광원 형태의 광학분포를 갖는 빛을 면광원 형태의 광학분포를 갖는 광으로 변경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도광판(120)은 강도가 높고 투과율이 우수한 PMMA(Polymethyl Methacrylate)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20)은 소정 두께를 갖는 PMMA 판재로, 그 상면에는 LED 모듈(130)에서 발생된 빛을 산란, 굴절 및 반사시키기 위한 패턴(122)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다양한 형태 및 색채의 이미지(124)가 인쇄된다.
도광판(120)을 이용하여 빛을 산란, 굴절 및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도 7과 같이 도광판(120)의 일면에 산란, 굴절 및 반사패턴(122)을 도트(dot)가공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광판(120)의 일면에 다양한 형상의 미세한 요철 도트를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도광판 내에 광산란 폴리머를 분포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빛의 난반사가 가능하도록 도광판을 중공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서는 산란, 굴절 및 반사패턴(122)을 도트가공 인쇄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20)의 하면에는 다양한 형태 및 색채의 이미지(124)가 인쇄된다. 이 이미지(124)는 확산판(150)을 다채롭게 연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도광판(120)에서 발산되는 빛은 도광판(120)의 출광면, 즉 도광판(120)의 하면에 인쇄된 이미지(124)에 조사하여, 이 이미지(124)와 동일한 형태 및 색상의 투영이미지(도 9의 190) 확산판(150)에 어리게 된다.
결국, 확산판(150)에는 도광판(120)에 인쇄된 이미지(124)와 동일한 투영이미지(190)가 어리게 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투영이미지(190)를 이용하여 조명기구(100)가 설치된 실내 분위기를 다채롭게 연출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124)가 도광판(120)의 하면에 인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광판(120)의 상면에 패턴(122)과 함께 인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이미지(124)가 도광판(120)의 하면에 인쇄되면 확산판(150)에는 선명한 투영이미지가 어리게 된다. 선명한 투영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입체감과 생동감을 준다. 반면, 이미지(124)가 도광판(120)의 상면에 인쇄되면 확산판(150)에는 흐 릿한 투영이미지가 어리게 된다. 이와 같은 흐릿한 투영이미지는 입체감과 생동감을 주지는 않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특히, 도광판(120)의 상면에 패턴(122)을, 그리고 하면에 투과율과 확산율이 높은 잉크로 이미지(124)를 2도 인쇄할 경우, 패턴(122)에 의해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빛이 이미지(124)의 형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투과되어 발산될 수 있다.
상술한 도광판(120)의 모서리에는 스토퍼(170), 좀 더 상세하게는 실리콘 부싱(174)의 측면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17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착홈(176)에 스토퍼(170)가 삽입된 구조에 의해 도광판(120)이 전후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5를 참조하여 반사시트(140) 및 확산판(15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사시트(140, reflector sheet)는 LED 모듈(130)에서 발생된 빛을 도광판(120)의 출광면 방향으로 반사시켜 빛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고, 입사된 빛(LED 모듈(130)에서 발생된 빛)의 반사량을 조절하여 발산되는 빛의 휘도분포가 균일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반사시트(140)는 도광판(120)의 상부에 마련되며, 도광판(120)의 평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각 모서리마다 안착홈(142)이 형성된 사각의 시트 형상을 갖는다.
반사시트(140)의 소재로는 주로 폴리에스테르(PET)가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 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반사층과 패킹층을 추가로 코팅할 경우 은폐성이 우수한 고반사층 구조가 되고, 이에 따라 입사된 빛이 새어나가지 못하여 휘도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광판(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확산판(150, diffuser plate)은 도광판(120)을 통해 입사된 빛을 확산 및 산란시켜 출광면의 정면방향의 휘도를 증대시키고 균일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확산판(150)은 광확산능력이 양호하고 고휘도화가 가능한 폴리에스테르(PET) 수지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입사된 광이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로 발산되도록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표면에 광 확산용 부재를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조명기구(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LED 모듈(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LED 패키지(136)의 전자와 전공이 결합하며 빛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빛은 도광판(120)으로 조사되는데, 도광판(120)에 인쇄된 산란, 굴절 및 반사패턴(122)과 반사시트(140)를 통해 하향으로 발산된다.
이와 같이, 도광판(120)에서 발상되는 빛은 도광판(130)의 출광면, 즉 도광판(120)의 하면에 인쇄된 이미지(124)에 조사하여, 이 이미지(124)와 동일한 형태 및 색상의 투영이미지(190) 확산판(150)에 어리게 된다.
이때, 이미지(124)가 도광판(120)의 하면에 인쇄되면 확산판(150)에는 선명한 투영이미지가 어리게 되어, 사용자에게 입체감과 생동감을 준다. 반면, 이미지(124)가 도광판(130)의 상면에 인쇄되면 확산판(150)에는 흐릿한 투영이미지가 어리게 되어, 선명한 투영이미지와 같은 입체감 및 생동감을 주지는 않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결국, 도광판(120)에 인쇄된 이미지(124)의 형태와 색채 및 이미지(124)의 인쇄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투영이미지(190)를 이용할 경우 조명기구(100)가 설치된 실내 분위기를 다채롭게 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100)는 최소한의 광원, 즉 최소의 LED 모듈(130)을 이용하여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우수하고 눈부심이 없는 면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100) 점등 시 도광판(120)에 인쇄된 다양한 형태 및 색채의 이미지(124)가 확산판(150)에 어리게 되므로 다채로운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조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중 프레임과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중 LED 모듈의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중 도광판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조명기구 110: 프레임
120: 도광판 130: LED 모듈
140: 반사시트 150: 확산판
160: 커버 170: 스토퍼
180: 고정나사 190: 투영이미지

Claims (8)

  1.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고리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LED 모듈;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상기 LED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된 빛을 균일하게 발산시키기 위한 패턴이 상면에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이미지가 인쇄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확산판;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패턴에 의해 상기 도광판의 하면을 통하여 발산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도광판에 인쇄된 이미지가 상기 확산판에 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 상면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과 반사시트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커버의 내측 상면 모서리에 압입되는 팸너트와, 상기 팸너트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실리콘 부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반사시트의 모서리에는 상기 스토퍼의 측면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면에 접촉된 상기 스토퍼의 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그 테두리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U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재와 상기 커버의 수직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수평부재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수평부재 중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서멀패드를 통해 상기 커버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KR1020090088114A 2009-09-17 2009-09-17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KR10107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14A KR101078850B1 (ko) 2009-09-17 2009-09-17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14A KR101078850B1 (ko) 2009-09-17 2009-09-17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24A true KR20110030124A (ko) 2011-03-23
KR101078850B1 KR101078850B1 (ko) 2011-11-02

Family

ID=4393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114A KR101078850B1 (ko) 2009-09-17 2009-09-17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8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41B1 (ko) * 2011-04-15 2012-06-29 주식회사 엘이디플러스 장식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조립체
KR101355503B1 (ko) * 2011-12-30 2014-01-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차폐가 용이한 엘이디 면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05091B1 (ko) * 2021-07-27 2022-06-07 신승라이텍 주식회사 팸너트 체결식 교체형 led모듈이 구비된 주문제작형 고출력 투광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179B1 (ko) 2015-08-24 2017-05-30 현대금속산업(주) 사이드 에지 타입 led 조명기구
KR102000225B1 (ko) 2018-07-27 2019-07-15 윤재진 Led엣지 평판등기구
KR102659738B1 (ko) 2022-07-27 2024-04-22 그린맥스 주식회사 Led 라인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26B1 (ko) * 2008-12-31 2009-06-08 제이엔피(주)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41B1 (ko) * 2011-04-15 2012-06-29 주식회사 엘이디플러스 장식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조립체
KR101355503B1 (ko) * 2011-12-30 2014-01-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차폐가 용이한 엘이디 면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05091B1 (ko) * 2021-07-27 2022-06-07 신승라이텍 주식회사 팸너트 체결식 교체형 led모듈이 구비된 주문제작형 고출력 투광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850B1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0505B2 (ja)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5661455B2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装置
US8733970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light controlling reflective layer
US20120033420A1 (en) Led lamp having broad and uniform light distribution
KR101078850B1 (ko)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JP2009266780A (ja)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JP2010239021A (ja) 光源モジュール
JP2008192609A (ja) 照明装置及びその集光板
JP6624550B2 (ja) 照明器具
US20140301086A1 (en) Optical shee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2243680A (ja) 照明装置
JP2012243679A (ja) 照明装置
KR101059781B1 (ko) Led 조명기구
TWI557369B (zh) 照明用罩以及照明裝置
KR100757746B1 (ko) 엘이디의 조도 향상을 위한 렌즈
JP6575620B2 (ja) 照明装置
JP2011077002A (ja) 照明器具
JP5853128B2 (ja) 照明器具
JP5449098B2 (ja) 照明装置
JP2011009055A (ja) Led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2013110030A (ja) 照明装置
CN209762867U (zh) 照明器具
JP6300052B2 (ja) 照明装置
JP2014049275A (ja) 照明装置
JP6086190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