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708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708A
KR20110029708A KR1020090087498A KR20090087498A KR20110029708A KR 20110029708 A KR20110029708 A KR 20110029708A KR 1020090087498 A KR1020090087498 A KR 1020090087498A KR 20090087498 A KR20090087498 A KR 20090087498A KR 20110029708 A KR20110029708 A KR 20110029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circulation
cold wat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일
노진환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708A/ko
Publication of KR20110029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한동안 취출 동작이 없는 경우라도 오랜만에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때에 원래 설정된 온도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될 수 있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상기 정수기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저장하는 정수 저장부;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 저장부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정수기 코크와, 상기 정수 저장부와 상기 정수기 코크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취출유로를 포함한 취출부; 및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상기 취출유로까지를 순환구조로 연결하는 순환유로가 구비되어 상기 정수기 코크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순환시켜주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동안 취출 동작이 없는 경우라도 오랜만에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때에 상온 수준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되지 않고 원래 설정된 온도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순환부, 취출유로, 순환유로, 순환펌프, 3방향 밸브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한동안 취출 동작이 없는 경우라도 오랜만에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때에 원래 설정된 온도에 근접한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에 함유된 유해한 발암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정수된 물은 냉각 및 가열수단에 의해 냉각 및 가열되어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와 같은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다.
종래의 정수기에서 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냉수나 온수는 취출유로를 통해 정수 저장부에 연결되는 정수기 코크에 의해 외부로 취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는 정수기 코크에 의한 취출동작이 장시간 동안 없는 경우, 오랜만에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하게 되면 취출유로 상에 있던 냉수나 온수의 온도가 상온 수준에 근접하게 되어 정수기 코크로 취출되는 냉수의 온도는 원래 설정된 온도(대략 10℃ 이하)보다 조금 올라가게 되고(대략 15℃ 이상으로), 온수의 온도는 원래 설정된 온도(대략 80℃ 이상)보다 조금 내려가게 되므로(대략 75℃ 이하로)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동안 취출 동작이 없는 경우라도 오랜만에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때에 상온 수준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되지 않고 원래 설정된 온도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수 또는 온수를 저장하는 정수 저장부;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 저장부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정수기 코크와, 상기 정수 저장부와 상기 정수기 코크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취출유로를 포함한 취출부; 및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상기 취출유로까지를 순환구조로 연결하는 순환유로가 구비되어 상기 정수기 코크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순환시켜주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순환부에 연계되어 상기 순환부가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부는: 상기 취출유로 상에 구비된 밸브부재; 및 상기 순환유로에 의해 일측은 상기 정수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밸브부재에 연결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취출부가 개방되면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상기 정수 기 코크를 향해 냉수 또는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되고 상기 취출부가 폐쇄되면 상기 순환부에 의해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취출유로 상으로 유입되도록 제공된 3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에서 한동안 취출 동작이 없는 경우라도 오랜만에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때에 상온 수준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되지 않고 원래 설정된 온도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
또한, 취출유로 상에 존재하는 냉수나 온수가 정수 저장부를 거쳐 순환되도록 순환펌프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정수기 코크가 설치되는 높이는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a)을 갖는 정수기 본체(110)와, 케이싱(110a) 내부에 설치된 여과부(120)와, 냉수 또는 온수를 저장하는 정수 저장부(130)와, 취출부(140)와, 순환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정수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60)와, 저장부(170)와,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여과필터, 살균여과필터 및 멤브레인 여과필터와 같은 복수의 필터(122)를 포함하고, 급수부(미도시)에서 공급 되는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 저장부(130)로 보낸다.
정수 저장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120)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냉각수단(미도시)에 의해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132)와, 여과부(120)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가열수단(미도시)에 의해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1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정수 저장부(130)는 냉수탱크(132)와 온수탱크(134)가 별개로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정수 저장부(130)는 하나의 탱크로 마련되어 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필요에 따라서 냉수나 온수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취출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정수 저장부(130)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정수기 코크(142,144)와, 정수 저장부(130)와 정수기 코크(142,144)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취출유로(146)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정수기 코크(142,14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냉수탱크(132)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냉수 코크(142)와, 온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온수탱크(134)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온수 코크(144)를 포함한다.
순환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저장부(130)로부터 취출유로(146)까지를 순환구조로 연결하는 순환유로(151)가 구비되어 정수기 코크(142,144)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정수 저장부(130)로부터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 수를 순환시켜준다.
좀더 구체적으로, 순환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유로(146) 상에 구비된 밸브부재(152,153)와, 순환유로(151)에 의해 일측은 정수 저장부(130)에 연결되고 타측은 밸브부재(152,153)에 연결되는 순환펌프(154,155)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152,153)는, 냉수탱크(132)와 냉수 코크(142)를 연결하는 취출유로(146) 상에 구비된 냉수 밸브부재(152)와, 온수탱크(134)와 온수 코크(144)를 연결하는 취출유로(146) 상에 구비된 온수 밸브부재(153)를 포함하고, 순환펌프(154,155)는, 순환유로(151)에 의해 일측은 냉수탱크(132)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수 밸브부재(152)에 연결되는 냉수 순환펌프(154)와, 순환유로(151)에 의해 일측은 온수탱크(134)에 연결되고 타측은 온수 밸브부재(153)에 연결되는 온수 순환펌프(15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취출유로(146) 상에 존재하는 냉수나 온수가 정수 저장부(130)를 거쳐 순환되도록 순환펌프(154,155)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정수기 코크(142,144)가 설치되는 높이는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밸브부재(152,15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코크(142,144)가 개방되면 정수 저장부(130)로부터 정수기 코크(142,144)를 향해 냉수 또는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되고 정수기 코크(142,144)가 폐쇄되면 순환펌프(154,155)에 의해 냉수 또는 온수가 순환유로(151)를 따라 순환되어 취출유 로(146) 상으로 유입되도록 제공된 3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코크(142)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냉수 순환펌프(154)에 의해 주기적으로 냉수탱크(132)의 냉수가 순환유로(151)를 통하여 냉수 순환펌프(154)를 거쳐 취출유로(146) 상에 구비된 냉수 밸브부재(152)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에, 냉수 밸브부재(152)로 유입된 냉수의 일부는 냉수 밸브부재(152) 및 냉수 코크(142) 사이를 연결하는 취출유로(146)로 유입되고, 냉수 밸브부재(152)로 유입된 냉수의 다른 일부는 냉수 밸브부재(152) 및 냉수탱크(132) 사이를 연결하는 취출유로(146)로 유입된다. 즉, 냉수탱크(132) 및 냉수 밸브부재(152) 사이를 연결하는 취출유로(146)와 순환유로(151)는 동일한 유로관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냉수를 취출하고자 냉수 코크(142)를 작동시키게 되면, 냉수 순환펌프(154)의 작동은 멈추게 되고, 냉수탱크(132)의 냉수는 취출유로(146)를 통하여 냉수 밸브부재(152)를 거쳐 냉수 코크(142)로 유입되어 사용자 측을 향해 취출되어진다.
또한, 온수 코크(144)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온수 순환펌프(155)에 의해 주기적으로 온수탱크(134)의 온수가 순환유로(151)를 통하여 온수 순환펌프(155)를 거쳐 취출유로(146) 상에 구비된 온수 밸브부재(153)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에, 온수 밸브부재(153)로 유입된 온수의 일부는 온수 밸브부재(153) 및 온수 코크(144) 사이를 연결하는 취출유로(146)로 유입되고, 온수 밸브부 재(153)로 유입된 온수의 다른 일부는 온수 밸브부재(153) 및 온수탱크(134) 사이를 연결하는 취출유로(146)로 유입된다. 즉, 온수탱크(134) 및 온수 밸브부재(153) 사이를 연결하는 취출유로(146)와 순환유로(151) 또한 동일한 유로관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온수를 취출하고자 온수 코크(144)를 작동시키게 되면, 온수 순환펌프(155)의 작동은 멈추게 되고, 온수탱크(134)의 온수는 취출유로(146)를 통하여 온수 밸브부재(153)를 거쳐 온수 코크(144)로 유입되어 사용자 측을 향해 취출되어진다.
입력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및 온수의 설정 온도, 냉수 순환펌프(154) 및 온수 순환펌프(155)의 구동 주기를 비롯한 제어부(180)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80)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여 보관하며, 제어부(180)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응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순환부(150)에 연계되어 순환부(150)가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시간 설정에 의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60)로부터 전달된 냉수 순환펌프(154) 및 온수 순환펌프(155)의 구동 시간 주기를 비롯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180)는 냉수 순환펌프(154)와 온수 순환펌프(155)가 주기적으로 구동되도록 냉수 순환펌프(154) 및 온수 순환펌프(155)를 제어하고, 냉수 코크(142)나 온수 코크(144)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냉수 순환펌프(154)나 온수 순환펌프(155)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냉수 순환펌프(154) 또는 온수 순환펌프(155)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정수기에서 한동안 취출 동작이 없는 경우라도 오랜만에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때에 상온 수준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되지 않고 원래 설정된 온도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순환부(150)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순환펌프(154,155)가 구동될 시간 간격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다(S100).
다음에, 제어부(180)는 냉수 코크(142)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냉수 코크(142)의 조작 여부를 판단한다(S200).
단계 200에서 냉수 코크(142)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냉수 순환펌프(154)의 구동을 정지시키고(S300), 단계는 200번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200에서 냉수 코크(142)의 조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냉수 순환펌프(154)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구동되도록 냉수 순환펌프(154)를 제어하고(S301), 온수 코크(144)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온수 코크(144)의 조작 여부를 판단한다(S400).
단계 400에서 온수 코크(144)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온수 순환펌프(155)의 구동을 정지시키고(S500), 단계는 400번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400에서 온수 코크(144)의 조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부(180)는 온수 순환펌프(155)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구동되도록 온수 순환펌프(155)를 제어하고(S501), 단계는 종료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에서 한동안 취출 동작이 없는 경우라도 오랜만에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때에 상온 수준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되지 않고 원래 설정된 온도에 근접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순환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정수기 본체 120: 여과부
130: 정수 저장부 132: 냉수탱크
134: 온수탱크 140: 취출부
142: 냉수 코크 144: 온수 코크
146: 취출유로 150: 순환부
151: 순환유로 152: 냉수 밸브부재
153: 온수 밸브부재 154: 냉수 순환펌프
155: 온수 순환펌프 160: 입력부
170: 저장부 180: 제어부

Claims (4)

  1. 냉수 또는 온수를 저장하는 정수 저장부;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 저장부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정수기 코크와, 상기 정수 저장부와 상기 정수기 코크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취출유로를 포함한 취출부; 및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상기 취출유로까지를 순환구조로 연결하는 순환유로가 구비되어 상기 정수기 코크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순환시켜주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에 연계되어 상기 순환부가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취출유로 상에 구비된 밸브부재; 및
    상기 순환유로에 의해 일측은 상기 정수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밸브부재에 연결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취출부가 개방되면 상기 정수 저장부로부터 상기 정수기 코크를 향해 냉수 또는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되고 상기 취출부가 폐쇄되면 상기 순환부에 의해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취출유로 상으로 유입되도록 제공된 3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90087498A 2009-09-16 2009-09-16 정수기 KR20110029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498A KR20110029708A (ko) 2009-09-16 2009-09-1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498A KR20110029708A (ko) 2009-09-16 2009-09-16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08A true KR20110029708A (ko) 2011-03-23

Family

ID=4393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498A KR20110029708A (ko) 2009-09-16 2009-09-1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97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687B1 (ko) * 2015-05-20 2016-06-27 쿠쿠전자주식회사 냉수공급장치
WO2024049047A1 (ko) * 2022-09-01 2024-03-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687B1 (ko) * 2015-05-20 2016-06-27 쿠쿠전자주식회사 냉수공급장치
WO2024049047A1 (ko) * 2022-09-01 2024-03-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887B2 (en) Instantaneous hot water circulation unit with scale cleaning function
KR20110008627A (ko) 냉정수기
KR100735515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CN114477583B (zh) 净水器
KR20110029708A (ko) 정수기
KR20180103580A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10062568A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RU24609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ипячения воды с функцией стерилизации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US11148084B2 (en)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09099576A (zh) 一种燃气热水器
KR100852511B1 (ko) 정수기의 온수 가열 장치
KR20170133199A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CN216364729U (zh) 饮水机和饮水系统
KR20050088004A (ko) 냉온수기 또는 냉온정수기의 살균시스템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CN110754939A (zh) 一种节能直饮机
KR200338971Y1 (ko) 이온 냉온정수기
KR102310021B1 (ko) 정수기용 살균 키트
CN113854831A (zh) 饮水机、饮水系统和饮水系统出水量调节方法
CN219160604U (zh) 可调出水温度的净水装置
KR101305327B1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20130011447A (ko) 정수기
KR20210007104A (ko) 온수 살균운전을 구비한 음용수 디스펜서 및 그 운전방법
KR100995132B1 (ko) 펌프를 이용한 유체순환시스템의 약품투입장치
KR102540181B1 (ko) 냉온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