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021B1 - 정수기용 살균 키트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살균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021B1
KR102310021B1 KR1020190076801A KR20190076801A KR102310021B1 KR 102310021 B1 KR102310021 B1 KR 102310021B1 KR 1020190076801 A KR1020190076801 A KR 1020190076801A KR 20190076801 A KR20190076801 A KR 20190076801A KR 102310021 B1 KR102310021 B1 KR 102310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filter
flow path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156A (ko
Inventor
김종화
라강윤
송광석
이동연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19007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21B1/ko
Priority to CN202020972936.1U priority patent/CN213326806U/zh
Publication of KR2021000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는 하나 이상의 필터가 마련되는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하는 살균 키트로, 정수기의 물을 최종 정화하는 말단 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에 말단 필터를 대체하여 일단이 연결되는 제1 공급 배관과, 제1 공급 배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대체 필터가 마련되어 제1 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최종 정화하는 전단부와, 전단부와 연결되고 히터가 마련되어 전단부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그리고 일단이 가열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말단 필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배관에 말단 필터를 대체하여 연결되어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을 정수기 공급하는 제2 공급 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살균 키트{STERILIZATION KIT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살균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된 물을 정수기로 공급함으로써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 처리하는 정수기용 살균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원수를 정화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되어 원수 내의 오염물질과 냄새 등을 제거하고, 필터에서 정화된 정수는 유로를 따라 냉각 또는 가열되어 냉수 또는 온수 형태로 토출된다. 그리고 정수를 냉각 및 가열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냉각 장치 및 가열 장치가 필요하고, 정수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냉수조 및 온수조가 구비된다.
이때, 정수기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살균 또는 소독해주지 않으면, 정수된 물이 통과하거나 저장되는 유로, 냉수조 및 온수조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정수를 오염시킬 수 있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정수기의 내부를 살균 또는 소독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정수기 내부의 유로와 냉수조 및 온수조를 분해하여 살균 또는 소독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성이 요구되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일반 작업자는 작업이 난해하고,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한다.
이에, 최근에는 내부의 수조를 제거하여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수도 시설 등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한 후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그대로 공급 출수하는 방식의 직수형 정수기가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직수형 정수기 역시 내부의 유로는 존재하기 때문에, 유로에서의 세균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내부 유로를 주기적으로 살균 또는 소독하거나 교체해야 하고, 냉수가 제공되는 직수형은 원활한 냉수 제공을 위해 냉수조가 구비되거나 길이가 긴 파이프가 구비되기 때문에 냉수조의 살균 또는 소독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34211호 (2018.12.18)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정수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는 정수기용 살균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간단한 배관 연결을 통해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는 정수기용 살균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 또는 소독하는데 사용된 가열된 물이 내부에 잔존하지 않도록 모두 배출시키거나 온도를 낮춤으로써, 살균 또는 소독 작업 후 즉시 정수기를 사용하여도 정수기의 냉각 장치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 정수기용 살균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최종 정화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 또는 소독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정수기의 내부에 살균 또는 소독에 이용된 물이 잔존하는 상태에서 즉시 정수기를 사용하여도 배출되는 물을 음용 가능하도록 하는 살균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정화된 물이 배수되기까지 통과하는 모든 구간의 유로 및 수조가 살균 또는 소독될 수 있도록 하는 살균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살균 또는 소독을 위해 살균 키트에서 가열되어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는 정수기용 살균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는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하는 살균 키트로, 전단부에서 분기된 물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정수기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정수기의 내부 유로 또는 수조로 공급하여 정수기의 내부 유로 또는 수조를 살균하는 가열부와, 전단부에서 분기된 물을 가열부를 우회하여 정수기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정수기 내부 유로 또는 수조로 공급하는 우회부를 포함한다.
이때, 살균 키트는 전단부에서 정수된 물이 선택적으로 가열부로 흐르도록 유로 형성하거나 가열부를 우회하여 우회부로 흐르도록 유로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키트는 정수기에 체결되는 정수기 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의 체결 출수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전단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 공급 배관과, 정수기에 체결되는 정수기 필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정수기의 체결 입수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열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 공급 배관을 더 포함하며, 제1 공급 배관 및 제2 공급 배관은 정수기에 체결된 정수기 필터를 정수기에서 분리 후 정수기의 체결 출수구 및 체결 입수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단부는 정수기에서 분리된 정수기 필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체 필터와, 대체 필터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부 또는 우회부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기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에서 분리된 정수기 필터는 정수기에 체결되는 필터 중 말단에 체결되어 정수기의 물을 최종 정화하는 필터일 수 있다.
또한, 가열부는 분기 밸브에서 분기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분기 밸브에서 분기되어 히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 그리고 히터에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회부는 분기 밸브에서 분기된 물을 제2 공급 배관을 통해 정수기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분기 밸브에서 분기된 물이 히터로 제공되는 제1 유로 또는 분기 밸브에서 분기된 물이 히터를 우회하여 제2 공급 배관으로 제공되는 제2 유로를 유량 조절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설정된 가열 살균 시간 동안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며, 가열 살균 시간 이후 설정된 세척 시간 동안 제2 유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온도 센서부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 값에 기초하여 히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유량 조절 밸브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의 외부에서 간단한 배관 연결을 통해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 또는 소독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 또는 소독하는데 사용된 가열된 물이 살균 또는 소독 작업 중에 밀려서 배출되거나 온도가 낮아져서 살균 또는 소독 작업 후 즉시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정화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 또는 소독이 이뤄져 살균 또는 소독 작업 후 정수기 내부의 잔존하는 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수기를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화된 물이 배수되기까지 통과하는 모든 구간의 유로 및 수조가 살균 또는 소독되도록 하여 정화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또는 소독을 위해 살균 키트에서 가열되어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여, 낮은 온도의 물이 공급되어 살균 또는 소독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너무 높은 온도의 물이 공급되어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가 정수기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가 정수기에 연결된 상태에서의 물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의 물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의 제어부에 의해 물의 이동경로가 선택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의 제어부에 의해 유량 조절 밸브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10)가 정수기(20)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10)가 정수기(20)에 연결된 상태에서의 물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1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10)의 물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살균 키트(이하, '살균 키트'라 한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마련되는 정수기(20)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하기 위해 마련되고, 이를 위해 배관부(100), 하우징(200), 전단부(300), 가열부(400), 우회부(500), 제어부(600) 및 ER 캡(C)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부(100)는 정수기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키트를 서로 연결하는 배관으로, 배관부(100)는 정수기(2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전단부(300)로 제공하거나 살균 키트의 가열부(400)에서 가열된 물 또는 우회부(500)를 통해 가열부(400)를 우회하여 공급되는 물을 다시 정수기로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배관부(100)는 제1 공급 배관(110) 및 제2 공급 배관(120)을 포함한다.
정수기를 살균 소독하기 위하여, 먼저 정수기에 배치되는 다수의 필터 중 정수 과정의 말단에 위치하는 말단 필터를 분리 후 제1 공급 배관(110)과 제2 공급 배관(120)을 각각 말단 필터가 체결되는 체결 출수구 또는 체결 입수구에 연결한다.
즉, 제1 공급 배관(110)은 말단 필터로 공급되던 물이 전단부(300)로 공급되도록, 일단이 정수기의 물을 최종 정화하는 말단 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의 체결 출수구(21)에 말단 필터를 대체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전단부(300)에 연결된다. 한편 제2 공급 배관(120)은 가열부(400)에서 가열된 물이 정수기에 공급되어 정수기의 내부 유로 또는 수조를 살균하도록 하기 위해, 일단이 가열부(400)와 연결되고 타단이 말단 필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정수기의 체결 입수구(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정수기의 말단에 배치되어 정수기의 물을 최종 정화하는 말단 필터가 제거된 후, 말단 필터가 연결되었던 정수기의 체결 출수구(21) 및 체결 입수구(22)에 제1 공급 배관(110) 및 제2 공급 배관(120)이 각각 연결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가 내부 유로 및 수조의 살균을 요하는 정수기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10)를 이용한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의 살균 작업은 정수기 내부의 밸브가 모두 개방된 상태로 실시되는데, 바람직하게 정수기는 별도의 살균 모드를 구비하며 살균 모드로 설정 시 정수기 내부의 모든 밸브가 개방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10)가 정수기(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의 살균 작업을 위한 물의 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물이 정수기(20)에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정수기의 필터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화되며 말단 필터를 대신하여 연결된 제1 공급 배관(110)을 통해 전단부(300)에 공급되고, 전단부(300)에 공급된 물은 가열부(400)를 거쳐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2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물은 가열부(400)를 거치는 동안 가열된다.
가열된 상태로 정수기(20)에 공급된 물은 내부 유로 및 정수기의 냉수 배출을 위한 냉각조(24)을 거쳐 외부로 배수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정수기의 체결 입수구(22)로부터 외부로 배수되기까지의 내부 유로 및 냉각조(24)가 가열된 물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수기에는 다수의 필터가 장착되어 물을 정화시키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10)는 정수기의 말단 필터를 분리 후 살균 키트를 연결함으로써, 정수기에 장착된 나머지 필터로는 가열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나머지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정수기 내부에서 최종 정화된 물이 이동 또는 저장되는 모든 유로 및 수조를 살균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00)은 살균 키트의 외벽을 이루며 전단부(300), 가열부(400), 우회부(500) 및 제어부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손잡이가 구비된 가방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은 유입관(210), 배출관(220) 및 교체 도어(23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관(210)은 제1 공급 배관(110)이 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단부(30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유입관(210)의 일단은 전단부(3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입관(210)의 타단은 제1 공급 배관(1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220)은 제2 공급 배관(120)이 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가열부(40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유입관(210)의 일단은 가열부(4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입관(210)의 타단은 제2 공급 배관(1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교체 도어(230)는 대체 필터(31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교체 도어(230)는 대체 필터(310) 부근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대체 필터(3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체 도어(230)의 내벽에는 제1 및 제2 공급 배관(110, 120)이 감긴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살균 키트(10)는 보관 시에 제1 및 제2 공급 배관(110, 1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공급 배관(110, 120)의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전단부(300)는 대체 필터(310), 고탁도 필터(320), 유량계(330), 제1 온도 센서(340) 및 분기 밸브(35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 필터(310)는 제1 공급 배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말단 필터를 대신하여 최종 정화하도록 하기 위해, 전단부(300)의 최 전단에 배치되고 제1 유입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대체 필터(310)에 의해 최종 정화 처리된 물이 정수기로 공급되도록 하기 때문에, 살균 작업을 완료한 후에 살균 키트(1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정수기 내부에 잔존한 상태에서도 정수기에서 배수되는 물을 바로 음용 가능할 수 있다.
대체 필터(310)는 말단 필터를 대신하기 위해 말단 필터와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마련되며, 연결되는 정수기에 따라 다른 종류로 교체될 수 있다.
고탁도 필터(320)는 대체 필터(310)의 후단에 연결되어 대체 필터(310)에서 정화된 물에 포함된 큰 입자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유량계(330)는 고탁도 필터(320)의 후단에 연결되어 고탁도 필터(3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한다.
한편, 제1 온도 센서(340)는 고탁도 필터(320)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분기 밸브(350)는 제1 온도 센서(340)의 후단에 연결되어 고탁도 필터(320)에서 정화된 물이 가열부(400) 및 우회부(400)로 분기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가열부(400)는 분기 밸브(350)를 통해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며, 가열한 물을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로 공급한다. 여기서 가열부(400)는 유량 조절 밸브(410), 히터(420), 제2 온도 센서(430) 및 제1 체크 밸브(4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조절 밸브(410)는 분기 밸브(350)로부터 히터(42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데, 유량 조절 밸브(410)는 밸브의 개폐 정도에 따라 히터(42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한다. 유량 조절 밸브(410)를 통해 공급된 물은 히터(420)를 통과하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되고, 히터(420)에서 가열한 물은 정수기의 내부 유로와 냉각조를 살균하기 위해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로 공급된다.
제2 온도 센서(430)는 히터(420)의 후단에서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로 공급되는 가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제1 체크 밸브(440)는 히터(420)로부터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이 히터(4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히터(420)에서 가열된 물이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 쪽으로만 흐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크 밸브(440)는 우회부(500)를 통해 히터(420)를 우회하여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이 히터(4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1 체크 밸브(440)는 제2 온도 센서(430)와 결합된 하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우회부(500)는 전단부(300)에서 정수된 물이 가열부(400)를 우회하여 가열부(400)에서 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에 공급되도록 하는데, 우회부(500)는 솔레노이드 밸브(510) 및 제2 체크 밸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510)는 개폐 동작을 통해 분기 밸브(350)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가열부로부터 우회시키는데, 솔레노이드 밸브(510)가 개방되고 유량 조절 밸브(410)에서 히터(420)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는 경우 전단부(300)에서 정수된 물은 가열부(400)를 우회하여 가열부(400)에서 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2 체크 밸브(520)는 솔레노이드 밸브(5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전단부(300)로부터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이 전단부(3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전단부(300)에서 정수된 물이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정수기 쪽으로만 흐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크 밸브(520)에 의해 히터(420)에서 가열된 물이 제2 공급 배관(120)을 통해 우회부(500)의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된다.
제어부(600)는 분기 밸브(350)를 통해 가열부(400) 및 우회부(500)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유량 조절 밸브(410), 솔레노이드 밸브(5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살균 키트(10)가 동작하면 유량 조절 밸브(410)가 개방되도록 하고 솔레노이드 밸브(510)가 차단되도록 하여 분기 밸브(35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가열부(400)로만 유입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유량 조절 밸브(410)가 차단되도록 하고 솔레노이드 밸브(510)가 개방되도록 하여 분기 밸브(35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우회부(500)로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10)는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된 물이 정수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수조가 가열된 물에 의해 살균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가열되지 않은 물이 정수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수조에 잔존하는 가열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가열된 물이 유로 및 수조에 잔존하는 상태에서 정수기가 재가동 되면, 수조에 가열된 물에 의해 정수기의 냉각 모듈(24)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냉각 모듈(24)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가열된 물을 정수기(20)에 공급하여 일정 시간동안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살균한 후에는 가열되지 않은 최종 정수된 물을 정수기(20)에 공급하여 내부에 잔존하는 가열된 물을 밀어내거나 물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정수기의 냉각 모듈(24)의 과부하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10)는 살균 작업이 완료된 후 대기 시간 없이 정수기(20)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10)는 정수기(20)에 장착되어 있던 말단 필터를 분리한 후 말단 필터가 장착되는 체결 출수구 및 입수구(21, 22)에 연결되어 살균 키트(10)에는 최종 정화되기 전 단계의 물이 유입되고, 살균 키트(10)에 유입된 물이 대체 필터(310)를 통해 최종 정화된 상태로 정수기(20)로 다시 공급되도록 한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10)는 정수기(20)의 내부 유로 또는 수조를 살균하거나 살균에 이용된 물을 밀어내기 위해 살균 키트(1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정수기(20)의 내부 유로 또는 수조에 잔존하여도, 별도의 잔존하는 물을 제거하는 과정 없이 정수기로부터 출수되는 물을 음용 가능토록 한다.
제어부(600)는 일정한 온도의 열을 방출하도록 마련되는 히터(420)를 통과하여 제2 공급 배관(120)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기 위해, 유량 조절 밸브(41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단위 시간당 히터(42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유량계(330)로부터 측정된 유량 값과 제1 온도 센서(340)로부터 측정된 제1 온도 값을 인가받아, 인가받은 유량 값, 인가받은 제1 온도 값, 히터(420)의 온도, 히터(420)로부터 가열되는 면적 등을 기반으로 하여 히터(420)를 통과하여 제2 공급 배관(120)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되도록, 유량 조절 밸브(41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제2 온도 센서(430)로부터 측정된 제2 온도 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제2 온도 값을 기반으로 유량 조절 밸브(41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히터(420)에 의해 가열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2 온도 센서(430)로부터 인가받은 가열된 물의 제2 온도 값이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유량 조절 밸브(410)가 추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2 온도 센서(430)로부터 인가받은 가열된 물의 제2 온도 값이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유량 조절 밸브(410)의 개방 정도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량 조절 밸브(410)의 개방 정도의 변화 폭은 가열된 물의 온도 값과 설정된 목표 온도 간의 온도차와 비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ER 캡(C)은, 필터와 연결되는 배관이 노출되지 않게 마련되어 ER(Easy Replacement Filter) 필터와 결합하는 정수기에 제1 및 제2 공급 배관(110, 120)이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ER 캡(C)은 ER 필터의 정수기와의 결합 수단을 모사하여 정수기와 결합되고 정수기의 체결 출수구 및 입수구가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각각의 배관이 마련되어, 노출된 각각의 배관이 제1 및 제2 공급 배관(110, 120)에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공급 배관(110, 120)이 정수기의 체결 출수구 및 입수구에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의 제어부(600)에 의해 물의 이동경로가 선택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0)는 동작 신호가 생성되면, 솔레노이드 밸브(510)가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분기 밸브(350)에서 분기되는 물이 우회부(5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S510).
그리고 제어부(600)는 유량 조절 밸브(41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분기 밸브(350)에서 분기되는 물이 가열부(400)로 유입되도록 하여(S520), 가열된 물이 정수기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유량 조절 밸브(410)가 개방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530),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S530-N),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반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530-Y), 유량 조절 밸브(410)가 차단되도록 제어하고(S540), 솔레노이드 밸브(510)는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S550), 분기 밸브(350)에서 분기되는 물이 우회부(500)로 유입되도록 하여, 가열되지 않은 물이 정수기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분기 밸브(350)에서 분기되는 물이 우회부(500)를 통해 공급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는(600) 솔레노이드 밸브(510)도 차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정수기로의 모든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의 제어부(600)에 의해 유량 조절 밸브(410)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유량계(330)가 최종 정화된 물의 유량을 측정하고(S610), 제1 온도 센서(340)가 최종 정화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S620), 제어부(600)는 유량계(330) 및 제1 온도 센서(340)로부터 측정된 유량 값 및 온도 값을 인가받아 정수기에 공급되는 가열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가열부(400)에 공급되어야 하는 유량 값을 산출한다(S640).
그리고 제어부(600)는 산출된 유량 값만큼 가열부(400)에 물이 공급되도록 유량 조절 밸브(410)에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430)는 히터(420)에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S650), 제어부(600)는 제2 온도센서(430)로부터 가열된 물의 온도 값을 인가받아 인가받은 온도 값이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S660).
제어부(600)는 인가받은 온도 값이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의 값이면(S660-Y) 유량 조절 밸브(410)의 개방 정도를 유지하되, 인가받은 온도 값이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S660-N), 유량 조절 밸브(410)의 개방 정도를 재조정하며(S670), 개방 정도가 재조정 되면, 제2 온도센서(430)가 가열된 물의 온도를 다시 측정하도록 하여(S650), 제2 온도 센서(430)에서 측정된 가열된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 이내가 될 때까지 개방 정도를 재조정 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S650 ~ S67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정수기용 살균 키트
20: 정수기
100: 배관부
110: 제1 공급 배관
120: 제2 공급 배관
200: 하우징
210: 유입관
220: 배출관
230: 교체 도어
300: 전단부
310: 대체 필터
320: 고탁도 필터
330: 유량계
340: 제1 온도 센서
350: 분기 밸브
400: 가열부
410: 유량 조절 밸브
420: 히터
430: 제2 온도 센서
440: 제1 체크 밸브
500: 우회부
510: 솔레노이드 밸브
520: 제2 체크 밸브
600: 제어부
C: ER 캡

Claims (10)

  1. 정수기의 내부 유로 및 수조를 살균하는 살균 키트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분기하는 전단부;
    상기 전단부에서 분기된 물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정수기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상기 정수기의 내부 유로 또는 수조로 공급하여 상기 정수기의 내부 유로 또는 수조를 살균하는 가열부;
    상기 전단부에서 분기된 물을 상기 가열부를 우회하여 상기 정수기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정수기 내부 유로 또는 수조로 공급하는 우회부;
    상기 정수기에 체결되는 정수기 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상기 정수기의 체결 출수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단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 공급 배관;
    상기 정수기에 체결되는 정수기 필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상기 정수기의 체결 입수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 공급 배관; 및
    상기 정수기에 체결되는 ER 필터(Easy Replacement Filter)의 체결 수단을 모사하여 상기 ER 필터를 대신하여 정수기에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정수기의 체결 출수구 및 체결 입수구가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각각의 배관이 마련되어 상기 제1 공급 배관이 상기 체결 출수구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공급 배관이 상기 체결 입수구에 연결되도록 하는 ER 캡을 포함하며,
    상기 ER 캡은 상기 정수기에 체결된 ER 필터를 상기 정수기에서 분리 후, 분리한 ER 필터를 대신하여 상기 정수기에 체결되고, 상기 제1 공급 배관 및 제2 공급 배관은 상기 ER 캡에 연결되어 상기 체결 출수구 및 체결 입수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키트는
    상기 전단부에서 정수된 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가열부로 흐르도록 유로 형성하거나 상기 가열부를 우회하여 상기 우회부로 흐르도록 유로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는
    상기 정수기에서 분리된 ER 필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체 필터; 및
    상기 대체 필터에서 정화된 물을 상기 가열부 또는 우회부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기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서 분리된 ER 필터는
    상기 정수기에 체결되는 필터 중 말단에 체결되어 정수기의 물을 최종 정화하는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분기 밸브에서 분기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분기 밸브에서 분기되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 및
    상기 히터에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부는
    상기 분기 밸브에서 분기된 물을 상기 제2 공급 배관을 통해 상기 정수기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기 밸브에서 분기된 물이 상기 히터로 제공되는 제1 유로 또는 상기 분기 밸브에서 분기된 물이 상기 히터를 우회하여 상기 제2 공급 배관으로 제공되는 제2 유로를 상기 유량 조절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가열 살균 시간 동안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가열 살균 시간 이후 설정된 세척 시간 동안 상기 제2 유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부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키트.
KR1020190076801A 2019-06-27 2019-06-27 정수기용 살균 키트 KR10231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01A KR102310021B1 (ko) 2019-06-27 2019-06-27 정수기용 살균 키트
CN202020972936.1U CN213326806U (zh) 2019-06-27 2020-06-01 杀菌套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01A KR102310021B1 (ko) 2019-06-27 2019-06-27 정수기용 살균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56A KR20210001156A (ko) 2021-01-06
KR102310021B1 true KR102310021B1 (ko) 2021-10-08

Family

ID=7412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801A KR102310021B1 (ko) 2019-06-27 2019-06-27 정수기용 살균 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0021B1 (ko)
CN (1) CN213326806U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066B1 (ko) * 2015-10-28 2017-05-19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용 살균 및 세정 키트
KR20180103580A (ko) * 2017-03-10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58059B1 (ko) 2017-06-08 2019-12-20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3326806U (zh) 2021-06-01
KR20210001156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2131B1 (en) Water dispenser with disinfection circuit
US7988852B2 (en) Water treatment assembly
KR100567730B1 (ko)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US7718054B2 (en) Water treatment system
US20070102357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JPH0648488A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KR101164722B1 (ko) 정수기와 정수기의 살균 및 청소 방법
KR20170133197A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US20120087845A1 (en) Steam sterilization system for a water purifier
KR102310021B1 (ko) 정수기용 살균 키트
JP7190703B2 (ja) 連続滅菌装置及び連続滅菌方法
KR20180103580A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133198A (ko)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KR101849075B1 (ko) 수처리장치 및 그 살균방법
KR100688388B1 (ko)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KR101612815B1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JP4183212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給水装置
KR101325119B1 (ko) 정수기용 살균 크리닝장치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20190081221A (ko) 정수기의 순간온수모듈을 이용한 스팀 세척 방법
JP3236202U (ja) 飲用水殺菌装置
KR20090125919A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102540181B1 (ko) 냉온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17295A (ko)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JP4719005B2 (ja) 給水蛇口、及び、無菌水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