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476A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476A
KR20110029476A KR1020090087160A KR20090087160A KR20110029476A KR 20110029476 A KR20110029476 A KR 20110029476A KR 1020090087160 A KR1020090087160 A KR 1020090087160A KR 20090087160 A KR20090087160 A KR 20090087160A KR 20110029476 A KR20110029476 A KR 2011002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operator identification
referen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464B1 (ko
Inventor
조형식
정진섭
하경민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09008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4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가 없거나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운영하는 다른 사업자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되, 기지국이나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의 일시적인 장애나 오류에 의해 중계기 동작을 중지시키는 불합리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a) 단계; 상기 주기 도달 시점부터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 전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통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상태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c) 단계 및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 또는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기지국, 중계기, 제어, 주파수, 중지, 시간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repeater of base s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가 없거나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운영하는 다른 사업자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어느 곳에서든 가입자에게 양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불량인 음영지역들을 찾아서 그 음영지역에 무선중계기(repeater)(이하 간단히 '중계기'라 한다)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음영지역에 설치되는 중계기는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중계기는 시스템(이동통신에서의 기지국 및 교환기 등을 포함하는 구성) 측에서 송신된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단말측으로 중계하고, 단말측에서 송신된 역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시스템측으로 중계한다.
한편, 이동통신 사업자는 정부로부터 배정받은 주파수 내에서 정해진 통신 접속 방식을 통해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통신 요금을 징수하여 사업을 영위한다. 그러나 무선 주파수는 공공의 재산이기 때문에 다른 사업자에게 재분배될 수도 있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통신 방식이 다른 통신 방식으로 바뀔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운용중인 주파수가 다른 사업자에게 재분배되거나 빈 주파수로 되는 경우 또는 통신 방식이 바뀌는 경우에 당해 주파수 또는 통신 방식에 맞추어 설계된 중계기를 계속적으로 운용하게 되면, 당해 주파수 대역의 다른 사업자의 신호 또는 인접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간섭을 줄 뿐만 아니라 커다란 노이즈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등록특허 제852675호(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로 공개되었는바, 도 1은 이러한 선행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선행발명의 무선 중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3)는 W-CDMA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S)과 이동국(MS)의 사이의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로서, 기지국의 송신 신호를 기지국측 안테나(10)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다운링크 중계부(34)에 포함되는 증폭기(341)에 의해 증폭하며, 증폭 후의 다운링크(Down Link; DL) 신호를 이동국측 안테나(11)로부터 송출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을 향하는 DL 방향의 신호 중계가 실행된다.
무선 중계 장치(3)는 또한 이동국의 송신 신호를 이동국측 안테나(11)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업링크 중계부(35)에 포함되는 증폭기(351)에 의해 증폭하고, 증폭 후의 업링크(Up Link; UL) 신호를 기지국측 안테나(10)로부터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을 향하는 UL 방향의 신호 중계가 실행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측 안테나(1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과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을 행하는 안테나이다. 이동국측 안테나(11)는 이동국으로의 신호 송신과,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을 행하는 안테나이다.
듀플렉서(duplexer)(12)는 기지국측 안테나(10)를 송신 및 수신으로 공용하기 위해 구비되고, 듀플렉서(13)는 이동국측 안테나(11)를 송신 및 수신으로 공용하기 위해 구비된다.
다음으로, 다운링크 중계부(34)는 증폭기(341) 및 스위치(342)를 갖는다. 증폭기(341)는 다운링크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전력 증폭을 행하는 증폭기이며, 듀플렉서(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스위치(342)는 증폭기(341)와 듀플렉서(13)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342)는 후술하는 중계 제어부(3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S1)에 따라 증폭기(341)와 이동국측 안테나(11)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절단하는 회로이다. 즉, 스위치(342)는 다운링크 중계부(34)에 의한 다운링크의 중계 처리를 중지시키기 위해 증폭기(341)로부터 이동국측 안테나(11)로의 신호 입력을 차단하는 회로이다.
업링크 중계부(35)는 증폭기(351) 및 스위치(352)를 갖는다. 증폭기(351)는 업링크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전력 증폭을 행하는 증폭기이며, 듀플렉서(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스위치(352)는 증폭기(351)와 듀플렉서(12)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352)는 후술하는 중계 제어부(3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S1)에 따라 증폭기(351)와 기지국측 안테나(10)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절단하는 회로이다. 즉, 스위치(352)는 업 링크 중계부(35)에 의한 업링크의 중계 처리를 중지시키기 위해 증폭기(351)로부터 기지국측 안테나(10)로의 신호 입력을 차단하는 회로이다.
증폭기(341 및 351)는 증폭후의 신호 전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를 가지는 가변이득 증폭기로 해도 좋고, 이득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고정이득 증폭기로 해도 좋다.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사업자 식별 정보를 취득(단계 S10)한다. 여기서, 사업자 식별 정보란 이동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사업자 식별 정보는, 기지국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임과 함께 그 신호의 송신원인 통신 사업자를 나타내는 신호이기도 하다.
중계 제어부(37)는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에 의해 취득된 사업자 식별 정보와 조합용 정보를 조합(단계 S20)한다. 여기서, 조합용 정보란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에 의해 취득된 사업자 식별 정보가 신호 중계의 대상이 되는 사업자를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검증하기 위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중계의 대상으로 해야 할 사업자에 대응한 사업자 식별 정보를 조합용 정보로 하면 좋다. 일 예로서 W-CDMA 방식이면 신호 중계의 대상으로 해야 할 사업자에 대응한 PLMNid(Public Land Mobile Network Country Code)를 조합용 정보로 하면 좋다.
또한, 중계 제어부(37)는 사업자 식별 정보와 조합용 정보와의 조합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S1)에 의해 스위치(342 및 352)의 동작을 제어(단계 S30 내지 S50)한다. 구체적으로, 사업자 식별 정보와 조합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중계 제어부(37)는 스위치(342 및 352)를 닫아 다운링크 방향 및 업링크 방향의 신호 중계를 가능(단계 S40)하게 한다.
한편, 사업자 식별 정보와 조합용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중계 제어부(37)는 스위치(342 및 352)를 개방하여 다운링크 방향 및 업링크 방향의 신호 중계를 중지(단계 S50)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선행발명의 무선 중계 장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자기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회수되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업자 식별 정보 자체를 획득할 수 없음에도 이에 대한 대책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이나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의 일시적인 장내나 오류에 의해 사업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를 감안하지 않고 바로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더 치명적인 문제점을 유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호가 없거나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운영하는 다른 사업자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되, 기지국이나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의 일시적인 장애나 오류에 의해 중계기 동작을 중지시키는 불합리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a) 단계; 상기 주기 도달 시점부터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 전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통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상태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c) 단계 및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 또는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h) 단계; 상기 주기 도달 시점부터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i) 단계; 스위치온 기준 시간(TR3) 동안 중계기를 동작시키고 스위치오프 기준 시간(TR2) 동안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통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j) 단계; 상기 (i) 단계에서 총 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j) 단계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상태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k) 단계 및 상기 (i) 단계에서 총 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j) 단계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 또는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l)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중계기의 동작 및 그 중지는 중계기의 전력증폭기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이나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의 일시적인 장애나 오류까지도 충분히 감안하여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를 감안하지 않고 바로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과 같이 더 치명적인 문제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 계기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도 1에서 중계 제어부(37)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무선 중계 장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먼저 단계 S100에서 중계 제어부(37)는 미리 정해진 주기, 예를 들어 직전의 동작(테스트) 시점부터 1일, 1주일, 1달 또는 1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0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110으로 진행하여 스위치(342),(352)가 현재 온되어 있는지, 즉 현재 기지국 중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10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스위치(342),(352)가 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현재 기지국 중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테스트를 위해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스위치(342),(352)를 일시적으로 온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동작을 중지시켰던 기지국 중계기를 다시 중계기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위치(342),(352)가 온되면 증폭기(341),(351)와 듀플렉서(12),(13) 사이에 RF 신호가 송수신되게 된다. 이 경우에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취득을 시도한 후에 그 결과를 중계 제어부(37)에 전달하는데, 이에 따라 중계 제어부(37)는 단계 S130에서 사업자 식별 정보 추출 여부 정보를 수신하고 다시 단계 S140에서는 그 추출 성공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 S140에서의 판단 결과,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경우에 프로그램은 단계 S170으로 진행하여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에 의해 취득된 사업자 식별 정보와 조합용 정보를 비교한다. 여기서, 조합용 정보란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에 의해 취득된 사업자 식별 정보가 신호 중계의 대상이 되는 사업자를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검증하기 위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중계의 대상으로 해야 할 사업자에 대응한 사업자 식별 정보를 조합용 정보로 하면 좋다. 일 예로서 W-CDMA 방식이면 신호 중계의 대상으로 해야할 사업자에 대응한 PLMNid(Public Land Mobile Network Country Code)를 조합용 정보로 하면 좋다.
다음으로, 중계 제어부(37)는 단계 S180에서 사업자 식별 정보와 조합용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300으로 진행하여 스위치(342),(352)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다운링크 방향 및 업링크 방향의 신호 중계 처리를 계속 수행하는 반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400으로 진행하여 스위치(342),(352)를 개방시킴으로써 다운링크 방향 및 업링크 방향의 신호 중계를 중지시킨다.
한편, 단계 S140에서의 판단 결과,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단계 S100에서의 주기 도래 시점부터 미리 정해진 소정의 총 테스트 기준 시간(TR1), 예를 들어 기지국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복구까지의 평균 요구 시간(MTTR; Mean Time To Repair)인 2~4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60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 지 않은 경우에는 사업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원인이 현재까지는 기지국이나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의 일시적인 장애나 오류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130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할 때까지 사업자 정보 획득에 실패한 경우에는 그 원인이 기지국이나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의 장애나 일시적인 오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기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자체가 회수되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판단하고, 단계 S400으로 진행하여 스위치(342),(352)를 개방시킴으로써 다운링크 방향 및 업링크 방향의 신호 중계를 중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단계 S140까지는 도 3의 흐름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40에서의 판단 결과,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 S150으로 진행하여 미리 정해진 스위치온 기준 시간(TR3), 예를 들어 정상적인 경우에 사업자 식별 정보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인 1~2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50에서의 판단 결과, 스위치온 기준 시간(TR3)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프로그램은 단계 S140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경과한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상기한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60에서의 판단 결과,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90으로 진행하여 전력증폭기 스위치(14),(20)를 오프시키고, 다시 단계 S200에서는 이 시점부터 미리 정해진 스위치오프 기준 시간(TR2), 예를 들어 5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0에서의 판단 결과, 스위치오프 기준 시간(TR2)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반면에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다시 스위치(342),(352)를 폐쇄시킨 후에 단계 S130 이하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 S160에서의 판단 결과,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한 경우에는 사업자 식별 정보 추출 실패의 원인이 기지국이나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36)의 장애나 일시적인 오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기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자체가 회수되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판단하고, 단계 S400으로 진행하여 스위치(342),(352)를 개방시킴으로써 다운링크 방향 및 업링크 방향의 신호 중계를 중지시킨다. 도 4에서 각 기준 시간의 크기는 TR1>TR2>TR3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즉, 이상에서는 중계기에서 가장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전력증폭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으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방법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부 또는 제어부와 단말모뎀을 제외한 중계 기의 나머지 부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다운 컨버젼(중간 주파수) 방식의 중계기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로 컨버젼 방식의 중계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CDMA 또는 WCDMA 이동통신 시스템 이외에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선행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선행발명의 무선 중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 안테나, 12, 13: 듀플렉서,
34: 다운링크 중계부, 35: 업링크 중계부,
341, 351: 증폭기, 342, 352: 스위치,
36: 사업자 식별 정보 취득부, 37: 중계 제어부

Claims (3)

  1.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a) 단계;
    상기 주기 도달 시점부터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 전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통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상태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c) 단계 및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 또는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2.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h) 단계;
    상기 주기 도달 시점부터 총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i) 단계;
    스위치온 기준 시간(TR3) 동안 중계기를 동작시키고 스위치오프 기준 시 간(TR2) 동안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통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j) 단계;
    상기 (i) 단계에서 총 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j) 단계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상태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k) 단계 및
    상기 (i) 단계에서 총 테스트 기준 시간(TR1)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j) 단계에서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 또는 상기 사업자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합용 정보와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에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l)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계기의 동작 및 그 중지는 중계기의 전력증폭기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KR1020090087160A 2009-09-15 2009-09-15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KR10107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160A KR101073464B1 (ko) 2009-09-15 2009-09-15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160A KR101073464B1 (ko) 2009-09-15 2009-09-15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476A true KR20110029476A (ko) 2011-03-23
KR101073464B1 KR101073464B1 (ko) 2011-10-17

Family

ID=4393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160A KR101073464B1 (ko) 2009-09-15 2009-09-15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6365A (zh) * 2022-04-29 2022-07-29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开关信令指示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14584A (en) * 2006-09-07 2008-03-16 Softbank Bb Corp Radio repeat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adio repeate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6365A (zh) * 2022-04-29 2022-07-29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开关信令指示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464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5845B2 (en) Channelization for signal boosters
EP15111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boosting and monitoring
US8755328B2 (en) Relay device, relay system, relay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CN102711151B (zh) 智能数字无线直放站的控制方法及智能数字无线直放站
JP2007267341A (ja) 順方向及び逆方向リンク自動電力制御中継器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A2562045A1 (en) Repeater that reports detected neighbors
KR20040004261A (ko) 시분할 복신 중계 방법 및 장치
EP1590899B1 (en) Intelligent gain control in an on-frequency repeater
KR1010734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 제어 방법
JP5171529B2 (ja) 中継送受信装置
KR100682075B1 (ko) 무선 중계기 시스템의 간섭 잡음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101742671A (zh) 一种具有载波调度功能的无线数字直放站和实现载波调度的方法
JP4034332B1 (ja) 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中継装置の制御方法
JP4925925B2 (ja) 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中継装置の制御方法
CN101395822B (zh) 无线通信系统、通信终端设备以及控制其发射功率的方法
JP2007068192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100852675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무선 중계 장치의 제어 방법
CN201557260U (zh) 一种具有载波调度功能的无线数字直放站
CN113348635B (zh) 低功耗广域网用中继器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0734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중계기의 제어 방법
CN201282461Y (zh) 一种能自行检测隔离度的智能时分同步码分多址直放站
KR10107346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중계기의 제어 방법
KR20040078088A (ko) 호 통계 분석 기능을 가진 중계 방법 및 장치
KR102308196B1 (ko) 중계 장치 및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90449A (ko) 동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