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279A -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279A
KR20110029279A KR1020090086891A KR20090086891A KR20110029279A KR 20110029279 A KR20110029279 A KR 20110029279A KR 1020090086891 A KR1020090086891 A KR 1020090086891A KR 20090086891 A KR20090086891 A KR 20090086891A KR 20110029279 A KR20110029279 A KR 2011002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nformation
function
memo
targe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466B1 (ko
Inventor
황윤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466B1/ko
Priority to US12/882,294 priority patent/US9477401B2/en
Publication of KR2011002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 아이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조합되는 대상 아이템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메뉴 아이템들 중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에 의한 이벤트 실행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과; 상기 본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메뉴 아이템, 제스처, 위젯, 선택 아이템, 대상 아이템

Description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ACTUAT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에 의하여, 휴대단말의 특정 기능을 간편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및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에서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들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휴대단말에서는 하나의 메뉴 아이템에 하나의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일대일 매칭(matching)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화면을 통해 현재 제공되는 메뉴 아이템들의 개수가 9개라 가정할 시, 상기 화면에 제공되는 메뉴 아이템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실행 가능하며, 상기 메뉴 아이템들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9개로 제한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9개의 메뉴 아이템들을 통해 실행 가능한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차 또는 3차 메뉴 진입을 통해 해당 기능에 대한 검색 및 선택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이때, 만약 사용자가 해당 기능이 포함된 메뉴 진입 루틴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 경우, 해당 기능을 검색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의 기능 사용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기능을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에 의해 특정 기능 실행에 따른 입력 또는 선택 등의 절차를 간소화 하여, 특정 기능 실행을 간편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메뉴 아이템들 중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이 선택될 시, 해당 선택 아이템의 정보에 의하여 대상 아이템의 특정 기능을 간편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모 아이템에 사용자가 필요한 작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한 상태에서, 이후 상기 메모 아이템을 대상 아이템과 결합하는 제스처만으로, 희망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간편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메뉴 아이템들 중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에 의한 이벤트 실행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과; 상기 본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선택 아이템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아이템을 이용한 조합 기능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아이템과 조합 요청되는 대상 아이템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하는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과; 상기 파싱하는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아이템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진입 절차 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의 기능 사용에 대한 사용자 편의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 아이템들 간 조합 기능에 의해,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메뉴 진입 절차, 각 기능별 반복적인 정보 입력 절차 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즉,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여러 작업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가 기록된 선택 아이템을 희망하는 대상 아이템으로 결합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다양한 기능들을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으며, 그의 조작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서 간단한 제스처 입력을 통 해, 희망하는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의한 메뉴 조합을 통해 희망 기능을 빠르고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기본 메뉴 아래에 종속되는 서브 메뉴로 진입하여 작성 및 저장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위젯 기능을 활용하여 아이들 상태에서 메모(본문 정보)를 작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하는 메모(본문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선택 아이템을 다수개의 대상 아이템들 중 희망하는 대상 아이템과 각각 조합함으로써, 메시지 전송, 메시지 작성, 폰북 데이터 생성, 콜 발신, 알람 설정, 음악 재생, 영상 재생 등 다양한 기능에 대한 접근 및 작업이 한 번의 제스처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필요한 작업을 기록해 두었다가 한꺼번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젯을 이용하여 아이들 화면에서 희망하는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간단하게 기록한 후, 해당 선택 아이템을 대상 아이템과 조합하는 간단한 제스처만으로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서브 메뉴로 매번 접근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각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는, 휴대단말의 특정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서, 반복적인 메뉴 진입 절차, 정보 입력 절차 등을 생략하고, 빠른 기능 실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뉴 아이템(menu item)들 간 조합에 의하여 특정 기능을 간편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메뉴 아이템들 중 소정의 선택 아이템에 희망하는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을 가지는 선택 아이템을, 상기 메뉴 아이템들 중 소정의 대상 아이템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만으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 실행은 상기 선택 아이템에 기록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아이템의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 아이템들을 조합하는 사용자 제스처(gesture)를 통해, 각 메뉴 아이템들에서 조합되는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메뉴 아이템들을 조합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화면상에 제공되는 메뉴 아이템들 중 두 개 이상의 특정 메뉴 아이템들을 선택하여 조합하는 사용자 행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제스처는 하나의 메뉴 아이템 선택 후 조합 대상이 되는 다른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하여 합치는 것과 같은 행위의 드래그앤드롭 이벤 트(Drag&Drop eve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하나의 메뉴 아이템 선택 후, 상기 선택을 유지하는 상태 즉, 상기 하나의 메뉴 아이템에 접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조합 대상이 되는 다른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행위의 멀티터치 이벤트(Multi-touch eve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사용자가 하나의 메뉴 아이템 선택을 통해 메뉴 아이템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조합 대상이 되는 다른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과 같이 싱글터치 이벤트(Single-touch event)에 의해 조작하는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상기한 각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을 명령하기 위하여 키패드/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에 해당 제어 입력을 발생하는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이벤트에 따라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으로서,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스처와 메뉴 아이템들 간 조합에 의해 해당 기능 실행을 명령하는 제스처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제스처는 적어도 두 개의 메뉴 아이템들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모든 행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앤드롭 이벤트를 이용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메뉴 아이템은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메뉴 또는 기능 실행을 위해 설정된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휴대단말의 화면상에서 자신에게 매핑되는 특정 기능 또는 하위 메뉴가 실행되도록 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며, 이러한 메뉴 아이템은 텍스트, 아이콘, 위젯,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은 터치스크린(Touchscreen)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조합되는 메뉴 아이템들을 식별하고, 해당 메뉴 아이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한 특정 기능을 추적하고, 상기 추적하는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110)와, 입력부(120)와, 오디오처리부(130)와, 표시부(140)와,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안테나(ANT, Antenna) 등을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스피커(SPK, Speaker) 및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100)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기지국)와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통신(음성 통신, 영상 통신)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인터넷(internet) 통신 등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다중 통신 지원에 대응하여 다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100)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20)는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에 의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무선 통신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성분(예컨대, MP3 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메뉴 아이템들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시, 이를 알람하기 위한 오디오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선택 아이템이 지정되고, 상기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의 조합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될 시, 이를 알람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 기능 실행을 알람하는 오디오신호 출력은 사용자 설정 또는 설계 의도에 따라 생략되거나, 설정된 특정 진동 패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50)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4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각 화면에 소정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아이템은 텍스트, 아이콘 및 위젯 등의 다양한 GUI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메뉴 아이템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모드가 활성화될 시, 이를 알람하기 위한 아이콘이나 이미지 등을 화면 일 측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예컨대, 메모 아이템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등), 상기 휴대단말(100)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기지국, 상대방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100)의 지원 기능들 중 설정된 해당 기능/메뉴의 바로 실행을 위한 메뉴 아이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한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100)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의 운용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메뉴 아이템 조합 기능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들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장부(150)는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150)는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100)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와, 상기 입력부(1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130)와, 상기 표시부(140) 및 상기 저장부(15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과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템에 기록되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아이템의 특정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의 타입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템에 기 록된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아이템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16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16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와 분리되어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피사체 촬영을 통해 그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100)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의 운용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뉴 아이템들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선택 아이템을 설정할 수 있다(201단계). 여기서, 상기 선택 아이템 설정은 상기 선택 아이템 선택, 또는 상기 선택 아이템의 기능 실행 요청에 따른 정보 입력창(예컨대, 후술하는 메모창) 실행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아이템은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입력되어 기록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이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 입력창 실행 시, 상기 정보 입력창은 이전에 입력되어 기록된 정보가 존재할 시 해당 정보를 표시하거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공백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임의의 정보를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은 메모 기능의 실행이 가능한 메모 아이템을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의 실행에 의하여, 사용자 희망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양한 정보는 상기 메모 기능에 의해 실행된 정보 입력창(즉, 메모창)을 통해 입력되는 숫자, 자국어, 영어 등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Hello"와 같이 일반적인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는 텍스트 정보와, "samsung@samsung.com"과 같은 전자메일 주소 형태의 메일주소 정보와, "010-5555-5555"와 같은 전화번호 형태의 숫자로 이루어진 전화번호 정보와, "www.samsung.com"과 같은 웹 주소 형태의 웹주소 정보와, "홍길동", "Samsung"과 같이 특정 명칭(이름, 노래 제목, 영화 제목)을 지칭하는 명칭 정보와, "yyyy년 mm월 dd일", "yyyy-mm-dd", "yyyy/mm/dd", "mm-dd", "mm-dd-yy" 등과 같이 다양한 형식의 날짜를 나타내는 날짜 정보, 다양한 형식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일주소 정보, 전화번호 정보, 웹주소 정보, 명칭 정보,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은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통칭하여 본문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다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아이템이 설정된 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아이템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203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아이템에 대한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가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조합 기능 실행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205단계).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선택 아이템을 특정 대상 아이템으로 이동하는 무브 이벤트, 드래그 이벤트, 드래그앤드롭 이벤트 등과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을 직접 움직이는 사용자 제스처와, 상기 선택 아이템 선택(제1터치 이벤트) 후 상기 제1터치 이벤트를 유지하면서 특정 대상 아이템을 선택(제2터치 이벤트)하는 멀티터치 이벤트 등과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 및 대상 아이템을 함께 선택하는 사용자 제스처와, 상기 선택 아이템을 선택(제1탭 이벤트) 후 새로운 입력으로 특정 대상 아이템을 선택(제2탭 이벤트)하는 싱글터치 이벤트 등과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 및 대상 아이템을 각각 선택하는 사용자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05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이벤트가 조합 기능 실행을 위한 이벤트가 아니면, 즉,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의한 이벤트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상기 이벤트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207단계). 예를 들면, 상기 201단계에서 입력한 정보를 특정 파일명으로 저장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추가 입력하거나, 이전 입력된 정보를 삭제하는 등의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이벤트가 특정 대상 아이템에 발생하는 이벤트이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해당 대상 아이템에 종속되는 2차 메뉴를 실행하거나, 또는 해당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05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이벤트가 조합 기능 실행 이벤트이면, 즉,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사용자 제스처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이벤트이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이루어지는 해당 대상 아이템을 분석한다(209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아이템이 이동되는 영역의 해당 대상 아이템에 대한 타입을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아이템의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멀티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아이템에 대한 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입력 행위에 의해 지정되는 해당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분석하는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를 파싱(parsing)할 수 있다(211단계). 예를 들면, 상기 분석에 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이 메시지 아이템 또는 콜 아이템 등과 같이 송신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이면,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 파싱에 의하여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폰북 아이템 등과 같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이면,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 파싱에 의하여 전화번호 정보, 명칭 정보(이름), 메일주소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폰북 아이템의 폰북 데이터 생성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음악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능을 가지는 재생 아이템(뮤직재생 아이템, 비디오재생 아이템)이면,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 파싱에 의하여 특정 명칭 정보(예컨대, 노래 제목, 영화 제목 등)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브라우저 아이템과 같이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이면,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 파싱에 의하여 웹주소 정보, 메일주소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일정 아이템 또는 알람 아이템과 같이 일정관리, 시간관리 또는 알람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이면,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 파싱에 의하여 명칭 정보,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 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텍스트 형식에 의하여 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각 정보들은 해당 특성을 나타내는 특정 규약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메일 정보의 경우 "samsung@samsung.com"과 같이 전자메일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식을 가지며, 상기 웹주소 정보의 경우 "www.samsung.com"과 같은 인터넷 웹 주소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날짜 정보는 특정 나타내는 일정 규격의 텍스트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전화번호 정보는 특정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일정 규격의 텍스트 형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명칭 정보의 규격 단어/문장 추출 알고리즘 등에 의해 추출하고, 관련 단어/문장을 검색하는 방식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211단계에서 파싱하는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아이템의 해당 기능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213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211단계에서의 정보 파싱에 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파싱에 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추출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콜 아이템이면 상기 콜 아이템에 의해 운용될 수 있는 전화번호 정보가 추출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본문 정보에서 추출하는 해당 정보(파싱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제1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파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메시지 아이템이고 상기 정보 파싱에 의해 전화번호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전체 또는 일부)를 메시지 내용에 포함하고,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 전화번호로 설정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화면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반면,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제2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메시지 아이템이고 상기 정보 파싱에 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예컨대, 전화번호 정보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일부 또는 전체)를 메시지 내용에 포함하는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화면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뉴 아이템들의 조합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운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301 및 참조부호 S3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들을 화면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아이템들은 상기 휴대단말(100)의 화면 크기 또는 휴대단말 제조사 별로 소정 개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 아이템은 특정한 기능이 매핑된 위젯으로 제공되거나, 특정한 기능으로 바로가기 기능이 매핑된 아이콘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위젯 및 아이콘이 혼재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는 참조부호 310의 메뉴 아이템이 선택 아이템이고, 참조부호 320 내지 참조부호 390의 메뉴 아이템들이 각각의 대상 아이템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315는 상기 선택 아이템(310)의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선택 아이템(310)이 위젯으로 제공되고, 상기 대상 아이템들(320 내지 390) 각각은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거나 종속되는 2차 메뉴를 실행할 수 있는 위젯 또는 아이콘으로 제공되는 것을 가정한다.
특히, 상기 도 3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310)은 메모 아이템이고, 상기 참조부호 315는 상기 선택 아이템(310)의 메모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의 정보 입력창(예컨대, 메모창)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참조부호 320의 대상 아이템은 메시지 작성 및 전송 등의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 아이템이고, 상기 참조부호 330의 대상 아이템은 전화번호 및 이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의 저장 기능을 가지는 폰북 아이템이고, 상기 참조부호 340은 상기 휴대단말(100)의 통화 발신 기능을 가지는 콜 아이템이고, 상기 참조부호 350의 대상 아이템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예컨대, 음악데이터 등)의 재생 기능을 가지는 뮤직재생 아이템이고, 상기 참조부호 360의 대상 아이템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예컨대, 영상데이터 등)의 재생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재생 아이템이고, 상기 참조부호 370의 대상 아이템은 일정관리, 달력, 디데 이(D-day) 등의 기능을 가지는 일정 아이템이고, 상기 참조부호 380의 대상 아이템은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브라우저 아이템이고, 상기 참조부호 390의 대상 아이템은 모닝콜 또는 알람 기능을 가지는 알람 아이템인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뮤직재생 아이템 및 비디오재생 아이템을 재생 아이템으로 통칭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음악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를 하나의 재생 아이템에 의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대상 아이템으로 상기 참조부호 320 내지 참조부호 390과 같이 8개의 대상 아이템 및 상기 8개의 대상 아이템들이 화면상에 정렬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대상 아이템들의 수, 대상 아이템들의 종류, 대상 아이템들의 배치 구조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301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 예시에서, 조합 기능 실행을 위한 선택 아이템(310)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310)으로 메모 아이템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로서 설명한다. 즉, 상기 메모 아이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본문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본문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대상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를 예시로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선택 아이템은 상기 참조부호 310의 메모 아이템을 지정하는 것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310)을 이용하여 본문 정보 작성을 위해 상기 메모 아이템(310)의 기능 실행을 명령하는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 면, 상기 제어부(160)는 참조부호 S303의 참조부호 3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모 아이템(310)의 기능 실행에 의하여 메모창(315)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315)에 의하여 희망하는 본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315)을 통해 "Samsung", "hello", 01055553333"과 같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 아이템(310)이 이전에 입력된 본문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인 경우, 상기 메모창(315) 활성화 시 상기 이전에 입력된 본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이전에 입력된 본문 정보 또는 상기 메모창(315) 실행에 의해 입력한 본문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해당 기능이 매핑된 대상 아이템과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 아이템(310)이 이전에 입력된 본문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이고 상기 참조부호 S303의 과정과 같은 정보 입력 동작을 생략할 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301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310)을 선택한 후 희망하는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대상 아이템과의 조합을 명령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S303의 과정과 같이 상기 메모창(315)을 이용한 정보 입력 동작을 수행할 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3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모창(315)을 선택한 후 희망하는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대상 아이템과의 조합을 명령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참조부호 S3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303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활성화한 상기 메모창(315)을 클로즈(close)한 후, 상기 메모창(315)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선택 아이템(310)을 선택한 후 희망하는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대상 아이템과의 조합을 명령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이벤트, 드래그앤드롭 이벤트, 무브 이벤트, 멀티터치 이벤트, 싱글터치 이벤트 등과 같은 사용자 제스처 중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조합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즉,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과,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에 의하여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및 그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에서 메뉴 아이템들을 조합하는 제스처에 따라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화면 예시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모 아이템과 메시지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동작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4에서 참조부호 410은 선택 아이템인 메모 아이템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415는 상기 선택 아이템(410)이 실행되는 경우의 메모창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420 내지 참조부호 490은 각각의 대상 아이템들을 나타낸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4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개수의 메뉴 아이템들로 이루어진 대기화면(idle screen)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아이템들은 상기 휴대단말(100)의 화면 크기 또는 휴대단말(100) 제조사 별로 소정 개수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뉴 아이템들 중 사용자가 초기 선택하는 아이템을 선택 아이템이라 칭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이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이동되어 소정의 메뉴 아이템과 조합되는 대상의 메뉴 아이템을 상기 대상 아이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 아이템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아이템을 나타내며, 메모 기능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메모 아이템, 메시지 작성 기능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메시지 수신 기능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아이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상 아이템은 상기 휴대단말(100)이 지원하는 특정 기능이 각각 매핑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아이템을 나타내며,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아이템, 개별적인 사용자 정보의 입력 및 저장이 가능한 폰북 아이템, 휴대단말(100)의 통신 기능(음성 통화, 영상 통화)에 따른 발신 기능의 콜 아이템, 멀티미디어 데이터(음악데이터, 영상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재생 아이템, 인터넷 기능의 실행을 위한 브라우저 아이템, 일정관리, 달력기능, 디데이 기능을 위한 일정관리 아이템, 알람 기능 의 실행을 위한 알람 아이템, 메모 기능을 가지는 메모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선택 아이템이 메모 아이템(410)이고, 상기 대상 아이템들(420 내지 490) 중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과 상기 메모 아이템(410)을 조합하는 동작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01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상기 메모 아이템(410)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은 상기 메모 아이템(410)에 직접 입력되는 더블탭 이벤트, 탭 이벤트 등의 제스처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410)을 실행하여 참조부호 S403과 같이 상기 메모 아이템(410)을 실행하는 메모창(415)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휴대단말(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입력 방식에 의하여 상기 메모창(415)에 사용자 희망에 따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S405에 나타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S401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410)에 이전에 입력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메모창(415) 실행 시 상기 참조부호 S405와 같이 상기 메모창(415)에 이전에 입력된 해당 정보가 포함된 상태로 바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410)이 실행된 메모창(415)을 선택하고, 참조부호 S4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모창(415)과 조합 가능한 대상 아이템 예컨대, 참조부호 420의 메시지 아이템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처는 드래그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참 조부호 S4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모창(415)이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대상 아이템 즉,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 상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을 위한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메모 아이템(410)과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과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을 명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처는 드롭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S407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415)을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 상에 드롭하는 드래그앤드롭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425는 상기 메모창(415) 또는 상기 선택 아이템(410)에 대한 가상 아이템(Virtual item)으로, 상기 선택 아이템(410) 또는 상기 메모창(415)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 아이템(410)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비주얼적인 이펙트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 아이템(410)의 가상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제스처의 움직임에 대응하게 이동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상기 메모창(415)을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으로 이동하여 조합하는 동작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만약 상기 참조부호 S401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410)이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선택 아이템(410)을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으로 바로 조합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S4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415)에 의한 정보 입력을 완료하고, 상기 메모창(415)을 닫음으로서 다시 선택 아이템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 환하는 선택 아이템을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으로 조합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드래그되는 선택 아이템(410) 또는 메모창(415)이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에 드롭됨을 감지할 시, 상기 선택 아이템(410) 또는 메모창(415)과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의 조합으로 실행 가능한 기능을 추적하고, 추적하는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선택 아이템(410)이 포함하는 정보에 따라 메시지 아이템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특정 선택 아이템과 특정 대상 아이템을 조합하는 제스처를 감지할 시, 상기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 아이템이 어떠한 아이템의 종류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도 4의 예시를 통해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아이템(410)과 메시지 아이템(420)을 조합하는 제스처를 감지할 시,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의 타입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에 의한 실행 가능한 설정된 기능을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이 메시지 관련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판별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템(4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아이템(410)의 본문 정보 중 상기 메시지 기능과 접목할 해당 정보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전화번호 정보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60)는 참조부호 S4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기능 중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시지 작성 기능 실행 시 상기 참조부호 S4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410)의 본문 정보를 메시지 내용으로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참조부호 S4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기능 중 메시지 전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아이템(410)의 본문 정보 중 상기 추출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자 정보로 하고, 상기 본문 정보를 메시지 내용으로 포함하여 메시지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메시지는 상기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 수신자에게 발송된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선택 아이템(410)을 상기 대상 아이템 즉, 메시지 아이템(420)으로 이동하는 드래그앤드롭 이벤트의 사용자 제스처를 통해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상기 도 4에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아이템(410)을 제1터치로 선택하고, 상기 제1터치를 상기 선택 아이템(410)에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메시지 아이템(420)에 제2터치를 발생하는 멀티터치 이벤트의 사용자 제스처를 통해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서는 선택 아이템이 메모 아이템이고, 대상 아이템이 메시지 아이템인 것을 가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메모 아이템과 상기 메시지 아이템의 조합 기능 실행 시, 상기 메모 아이템에 입력된 본문 정보의 파싱의 의하여,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하거나, 메시지 전송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능은 휴대단말 제조 시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 및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시를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56631273-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선택 아이템은 다양한 메뉴 아이템들 중 상기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문 정보의 입력 또는 본문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메뉴 아이템(예컨대, 메모 아이템, 메시지 아이템 등)이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아이템은 다양한 메뉴 아이템들 중 선택 아이템으로 지정된 아이템과 조합되는 모든 메뉴 아이템들이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은 위젯 및/또는 아이콘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지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의 조합으로 실행될 실행 기능은 상기 선택 아이템에 포함하는 본문 정보에 따라 해당 대상 아이템의 설정된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임의로 변경 설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표 1>의 예시를 통해 상기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선택 아이템 및 대상 아이템을 조합하는 명령(예컨대, 드래그앤드롭 이벤트, 멀티터치 이벤트 등)이 발생할 시, 상기 대상 아이템의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에서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문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아이템의 해당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이 "메모 아이템"이고, 상기 대상 아이템이 "메시지 아이템"인 경우, 상기 선택 아이템인 "메모 아이템"과 상기 대상 아이템인 "메시지 아이템"이 조합되는 경우의 실행 기능은 "메시지 작성" 또는 "메시지 전송" 기능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 아이템이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 아이템을 통해 입력되는 본문 정보에서 파싱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시지 전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싱되는 정보에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본문 정보를 메시지의 내용으로 포함하여 메시지 작성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파싱되는 정보에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본문 정보를 메시지의 내용으로 포함하고,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자 정보로 하여 메시지의 자동 전송 및 그에 따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선택 아이템, 대상 아이템 및 실행 기능 간의 관계는, 반드시 상기 <표 1>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은 선택 아이템, 대상 아이템 및 실행 기능 간의 매핑은 사용자 설정(편집/추가/삭제)에 따르거나, 이러한 매핑 관계를 제공하는 관련 서버(예컨대, 제조사 서버 등)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예시들에 대하여 하기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하기에서는 상기 선택 아이템이 메모 아이템이고, 위젯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선택 아이템이 반드시 메모 아이템 및 위젯으로 제공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 및 응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모 아이템과 폰북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동작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5에서 참조부호 510은 선택 아이템인 메모 아이템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515는 상기 선택 아이템(510)이 실행되는 경우의 메모창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530은 대상 아이템인 폰북 아이템을 나타낸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5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501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상기 메모 아이템(510)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510)을 실행하여 참조부호 S503과 같이 상기 메모 아이템(510)의 메모창(515)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515)을 이용하여 사용자 희망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화번호(예컨대, 01055553333), 전자메일 주소(예컨대, samsung@samsung.com), 저장할 사용자의 이름(예컨대, Samsung) 등의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본문 정보를 임의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515)의 일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참조부호 S5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하는 메모창(515)을 대상 아이템인 상기 폰북 아이템(530)으로 이동하여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510) 또는 메모창(515)을 상기 폰북 아이템(530)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상기 폰북 아이템(530) 상에 드롭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5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메모 아이템(510) 또는 상기 메모창(515)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 아이템(510)의 가상 이미지를 비주얼적인 이펙트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510)/메모창(515)이 드래그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510)/메모창(515)을 이동하는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점 또는 상기 메모 아이템(510)/메모창(515)이 상기 폰북 아이템(530)에 드롭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510)/메모창(515)을 드롭하는 드롭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5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각 시점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510)/메모창(515)이 이동되는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폰북 아이템(530)인 것으로 인지하면, 상기 폰북 아이템(530)에 대응하는 정보 추출을 위하여 상기 메모 아이템(5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상기 폰북 아이템(530)으로 인지할 시, 상기 메모 아이템(510)의 본문 정보 중 전화번호 정보, 메일주소 정보, 명칭 정보, 웹주소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폰북 데이터를 구성하여 참조부호 S5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폰북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S5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정보를 폰북 데이터를 입력하는 해당 필드에 각각 입력된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당 필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란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아이템(510)과 폰북 아이템(530)의 조합 기능 실행 시 상기 참조부호 S5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폰북 데이터를 설정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나,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조합 기능 실행 시 상기 참조부호 S505와 같이 설정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상기에서 추출하는 폰북 데이터를 반영하여 바로 저장하는 단계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모 아이템과 콜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동작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6에서 참조부호 610은 선택 아이템인 메모 아이템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615는 상기 선택 아이템(610)이 실행되는 경우의 메모창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640은 대상 아이템인 콜 아이템을 나타낸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6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601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상기 메모 아이템(610)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610)을 실행하여 참조부호 S603과 같이 상기 메모 아이템(610)의 메모창(615)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615)을 이용하여 사용자 희망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 명칭 정보, 전자메일 주소, 웹주소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본문 정보를 임의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615)의 일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참조부호 S6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하는 메모창(615)을 대상 아이템인 상기 콜 아이템(640)으로 이동하여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610) 또는 메모창(615)을 상기 콜 아이템(640)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상기 콜 아이템(640) 상에 드롭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6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메모 아이템(610) 또는 상기 메모창(615)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 아이템(610)의 가상 이미지를 비주얼적인 이펙트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610)/메모창(615)이 드래그되는 시점, 즉 상기 선택 아이템(610)/메모창(615)을 이동하는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점 또는 상기 메모 아이템(610)/메모창(615)이 상기 콜 아이템(640)에 드롭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610)/메모창(615)을 드롭하는 드롭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6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각 시점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610)/메모창(615)이 이동되는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콜 아이템(640)인 것으로 인지하면, 상기 콜 아이템(640)에 대응하는 정보 추출을 위하여 상기 메모 아이템(6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상기 콜 아이템(640)으로 인지할 시, 상기 메모 아이템(610)의 본문 정보 중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참조부호 S6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콜 발신 및 그에 따른 콜 발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S6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게 콜 발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에서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참조부호 S6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 기능의 해당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최근 통화 목록을 제공하는 화면, 또는 전화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모 아이템과 재생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동작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7에서 참조부호 710은 선택 아이템인 메모 아이템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715는 상기 선택 아이템(710)이 실행되는 경우의 메모창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750은 대상 아이템인 재생 아이템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참조부호 750은 상기 재생 아이템의 예시로 뮤직 아이템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재생 아이템(750)은 뮤직재생 아이템 및 비디오재생 아이템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7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701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상기 메모 아이템(710)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710)을 실행하여 참조부호 S703과 같이 상기 메모 아이템(710)의 메모창(715)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715)을 이용하여 사용자 희망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래 제목, 영화 제목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명칭 정보를 포함하는 본문 정보를 임의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715)의 일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참조부호 S7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하는 메모창(715)을 대상 아이템인 상기 재생 아이템(750)으로 이동하여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710) 또는 메모창(715)을 상기 재생 아이템(750)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상기 재생 아이템(750) 상에 드롭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7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메모 아이템(710) 또는 상기 메모창(715)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 아이템(710)의 가상 이미지를 비주얼적인 이펙트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재생 아이템은 음악파일의 재생을 위한 뮤직재생 아이템, 영상파일의 재생을 위한 비디오재생 아이템 및 음악파일/영상파일을 통합 재생이 가능한 통합재생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도 7에서는 상기 재생 아이템이 음악파일 및 영상파일 모두의 재생이 가능한 통합재생 아이템인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710)/메모창(715)이 드래그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710)/메모창(715)을 이동하는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점 또는 상기 메모 아이템(710)/메모창(715)이 상기 재생 아이템(750)에 드롭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710)/메모창(715)을 드롭하는 드롭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7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각 시점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710)/메모창(715)이 이동되는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재생 아이템(750)인 것으로 인지하면, 상기 재생 아이템(750)에 대응하는 정보 추출을 위하여 상기 메모 아이템(7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상기 재생 아이템(750)으로 인지할 시, 상기 메모 아이템(710)의 본문 정보 중 명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명칭 정보 추출은 단어/문장 추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어/문장들 간의 구분은 띄어쓰기, 다음 줄 쓰기(엔터 기능)와 같이 공백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특정 노래 제목, 영화 제목을 임의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명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100) 내 저장부(15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들 중 상기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참조부호 S7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그에 따른 재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S7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명칭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명칭 정보에 대응하게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에서 상기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150)로부터 추출되지 않는 경우, 참조부호 S7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검색 및 다운로드를 위한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인터넷 상에서 검색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상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모 아이템과 브라우저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동작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8에서 참조부호 810은 선택 아이템인 메모 아이템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815는 상기 선택 아이템(810)이 실행되는 경우의 메모창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870은 대상 아이템인 브라우저 아이템을 나타낸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8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801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상기 메모 아이템(810)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810)을 실행하여 참조부호 S803과 같이 상기 메모 아이템(810)의 메모창(815)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815)을 이용하여 사용자 희망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일주소 정보, 웹주소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본문 정보를 임의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815)의 일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참조부호 S8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하는 메모창(815)을 대상 아이템인 상기 브라우저 아이템(870)으로 이동하여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810) 또는 메모창(815)을 상기 브라우저 아이템(870)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상기 브라우저 아이템(870) 상에 드롭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8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메모 아이템(810) 또는 상기 메모창(815)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 아이템(810)의 가상 이미지를 비주얼적인 이펙트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810)/메모창(815)이 드래그되는 시점, 즉 상기 선택 아이템(810)/메모창(815)을 이동하는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점 또는 상기 메모 아이템(810)/메모창(815)이 상기 브라우저 아이템(870)에 드롭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810)/메모창(815)을 드롭하는 드롭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8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각 시점 중 설정되는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810)/메모창(815)이 이동되는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브라우저 아이템(870)인 것으로 인지하면, 상기 브라우저 아이템(870)에 대응하는 정보 추출을 위하여 상기 메모 아이템(8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상기 브라우저 아이템(870)으로 인지할 시, 상기 메모 아이템(810)의 본문 정보 중 웹주소 정보 및 메일주소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브라우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하는 정보가 웹주소 정보인 경우, 참조부호 S8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웹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웹 사이트로 접속하고, 그에 따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문 정보 중 특정 명칭 정보 예컨대, 특정 단어가 검색될 시, 상기 웹 사이트 접속 후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을 명령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검색어 자동 입력에 의한 검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하는 정보가 메일주소 정보인 경우, 참조부호 S8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메일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전자메일 기능에 따른 수신자 메일주소를 상기 메일주소 정보로 하고, 본문 내용을 상기 본문 정보로 하는 메일 작성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S803에서 상기 추출하는 정보가 웹주소 정보 및 전자메일 정보를 모두 포함할 시, 상기 제어부(160)는 참조부호 S8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890)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890)에서 희망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참조부호 S807을 참조한 동작 또는 상기 참조부호 S809를 참조한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모 아이템과 일정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동작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9에서 참조부호 910은 선택 아이템인 메모 아이템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915는 상기 선택 아이템(910)이 실행되는 경우의 메모창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980은 대상 아이템인 일정 아이템을 나타낸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9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901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상기 메모 아이템(910)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910)을 실행하여 참조부호 S903과 같이 상기 메모 아이템(910)의 메모창(915)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915)을 이용하여 사용자 희망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짜 정보, 시간 정보, 텍스트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본문 정보를 임의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915)의 일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참조부호 S9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하는 메모창(915)을 대상 아이템인 상기 일정 아이템(980)으로 이동하여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910) 또는 메모창(915)을 상기 일정 아이템(980)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상기 일정 아이템(980) 상에 드롭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9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메모 아이템(910) 또는 상기 메모창(915)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 아이템(910)의 가상 이미지를 비주얼적인 이펙트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910)/메모창(915)이 드래그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910)/메모창(915)을 이동하는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점 또는 상기 메모 아이템(910)/메모창(915)이 상기 일정 아이템(980)에 드롭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910)/메모창(915)을 드롭하는 드롭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9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각 시점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910)/메모창(915)이 이동되는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일정 아이템(980)인 것으로 인지하면, 상기 일정 아이템(980)에 대응하는 정보 추출을 위하여 상기 메모 아이템(9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상기 일정 아이템(980)으로 인지할 시, 상기 메모 아이템(910)의 본문 정보 중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일정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하는 정보가 "2009.09.03"과 같은 날짜 정보와 "Samsung Birthday"와 같은 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날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에 일정을 자동 설정하고, 그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즉, 참조부호 S9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9년 9월 3일에 "Samsung Birthday"라는 일정을 자동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하는 정보가 "PM3:00"과 같은 시간 정보와 "미팅"과 같은 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현재 날짜를 체크하고, 현재 날짜(예컨대, 2009년 6월 10일)에서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일정을 자동 설정하고, 그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즉, 참조부호 S9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날짜가 2009년 6월 10일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2009년 6월 10일에 "PM3:00 미팅"이라는 일정을 자동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모 아이템과 알람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동작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0에서 참조부호 1010은 선택 아이템인 메모 아이템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015는 상기 선택 아이템(1010)이 실행되는 경우의 메모창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090은 대상 아이템인 알람 아이템을 나타낸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10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1001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상기 메모 아이템(1010)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1010)을 실행하여 참조부호 S1003과 같이 상기 메모 아이템(1010)의 메모창(1015)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1015)을 이용하여 사용자 희망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짜 정보, 시간 정보, 텍스트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본문 정보를 임의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창(1015)의 일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참조부호 S10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하는 메모창(1015)을 대상 아이템인 상기 알람 아이템(1090)으로 이동하여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메모 아이템(1010) 또는 메모창(1015)을 상기 알람 아이템(1090)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상기 알람 아이템(1090) 상에 드롭하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10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메모 아이템(1010) 또는 상기 메모창(1015)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 아이템(1010)의 가상 이미지를 비주얼적인 이펙트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 아이템(1010)/메모창(1015)이 드래그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1010)/메모창(1015)을 이동하는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점 또는 상기 메모 아이템(1010)/메모창(1015)이 상기 알람 아이템(1090)에 드롭되는 시점, 즉 상기 메모 아이템(1010)/메모창(1015)을 드롭하는 드롭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10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각 시점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기 메모 아이템(1010)/메모창(1015)이 이동되는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이 상기 알람 아이템(1090)인 것으로 인지하면, 상기 알람 아이템(1090)에 대응하는 정보 추출을 위하여 상기 메모 아이템(1010)의 본문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상기 알람 아이템(1090)으로 인지할 시, 상기 메모 아이템(1010)의 본문 정보 중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하는 정보가 "AM6:00"와 같은 시간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모닝콜/알람을 자동 설정하고, 그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즉, 참조부호 S10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M6:00 모닝콜"이라는 모닝콜/알람을 자동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로 상기 추출하는 정보가 "월/수/금"과 같은 텍스트 정보와 "AM6:00"과 같은 시간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모닝콜/알람을 자동 설정하고, 그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알람 기능을 실행하여 월, 수, 금요일에 AM6:00 시간으로 모닝콜/알람을 자동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로 상기 알람 아이템(1090)에 대응하는 정보가 추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60)는 참조부호 S10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닝콜/알람을 설정할 수 있는 알람 기능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알람 기능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후 선택 아이템을 제공하는 방식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1은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에 따른 대상 아이템의 기능 실행 후, 상기 선택 아이템에 대한 처리 방식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1101 및 참조부호 S11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 아이템(1110)의 본문 정보에 따라 대상 아이템(1150)의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1125는 상기 선택 아이템(1110)에 대한 가상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 아이템(1110)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 아이템(1110)에 대응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비주얼적인 이펙트로 처리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 아이템(1130)의 기능 실행 후, 또는 상기 실행하는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 아이템(1150)의 기능을 종료할 시,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템(1110)의 본문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S1105 및 참조부호 S1107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S1105는, 상기 선택 아이템(1110)의 본문 정보를 삭제하여 초기화된 선택 아이템(1110)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본문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1110)을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로 제공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부호 S1107은, 상기 선택 아이템(1110)의 본문 정보를 새로운 선택 아이템(1130)으로 제공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상기 본문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선택 아이템을 생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새로운 선택 아이템(1130)은 메모창 등을 통해 입력된 상기 본문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이고, 상기 선택 아이템(1110)은 상기 본문 정보의 삭제에 의하여 초기화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합 기능 실행 시, 이전에 설정된 본문 정보의 선택 아이템을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본문 정보 입력을 위하여 초기화된 선택 아이템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 및 그의 동작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LCD로 구성된 표시부와 키패드 또는/및 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메뉴아이템들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을 위한 제어는 터치패드 또는 키패드의 조작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의 방향키 및 선택키 등의 조작에 의해 표시부의 선택 아이템을 선택하고, 이후 조합하고자 하는 특정 대상 아이템을 지정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조합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을 상기 키패드, 터치패드 등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마이크(MIC) 및 모션센서 등에 의해 메뉴 아이템들 간 조합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에 의해 메뉴 아이템들 간 조합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조합 기능을 실행하는 입력으로, 드래그앤드롭 이벤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대표적인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멀티터치 이벤트 및 싱글터치 이벤트 등의 다른 입력 방식을 사용자 제스처로서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선택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제1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상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제2터치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선택 아이템과 상기 대상 아이템의 조합에 의해 매핑된 기능 실행을 명령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멀티터치 이벤트에 의한 사용자 제스처의 응용으로, 상기 선택 아이템에 대한 제1터치와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한 제2터치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1터치 및 상기 제2터치 각각을 이동하여 서로 모아지는 것과 같은 사용자 제스처를 더 부가하여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을 명령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노트북,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 타입의 휴대단말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 풀 터치스크린 타입의 휴대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폴더 타입,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의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제스처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비롯하여,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는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뉴 아이템들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메뉴 아이템들의 조합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운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동작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아이템들 간의 조합에 의한 기능 실행 후 선택 아이템을 제공하는 방식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메뉴 아이템들 중 선택 아이템과 대상 아이템에 의한 이벤트 실행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과,
    상기 본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 아이템을 상기 대상 아이템과 조합하는 사용자 제스처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싱하는 과정은,
    상기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대상 아이템의 타입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 파싱에 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문 정보 파싱에 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본문 정보에서 추출하는 파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제1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본문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템의 가상 이미지를 비주얼 이펙트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아이템은 정보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아이템의 특정 기능 실행 후,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 유지, 상기 선택 아이템의 본문 정보 삭제, 상기 본문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선택 아이템의 생성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8.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선택 아이템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아이템을 이용한 조합 기능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아이템과 조합 요청되는 대상 아이템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하는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과,
    상기 파싱하는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아이템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 아이템 선택, 또는 상기 선택 아이템의 기능 실행 요청에 따른 정보 입력창 실행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 아이템을 상기 대상 아이템과 조합하는 사용자 제스처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싱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 파싱에 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 파싱에 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제1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템의 가상 이미지를 비주얼 이펙트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아이템은 정보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아이템의 특정 기능 실행 후,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 유지, 상기 선택 아이템의 정보 삭제,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선택 아이템의 생성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0090086891A 2009-09-15 2009-09-15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178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891A KR101784466B1 (ko) 2009-09-15 2009-09-15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12/882,294 US9477401B2 (en) 2009-09-15 2010-09-15 Function exec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891A KR101784466B1 (ko) 2009-09-15 2009-09-15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279A true KR20110029279A (ko) 2011-03-23
KR101784466B1 KR101784466B1 (ko) 2017-11-06

Family

ID=4373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891A KR101784466B1 (ko) 2009-09-15 2009-09-15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77401B2 (ko)
KR (1) KR101784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3588A (zh) * 2017-04-24 2018-11-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操作方法及装置
US11068085B2 (en) 2012-04-28 2021-07-20 Huawei Device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screen terminal object and touch screen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89B1 (ko) 2006-08-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항목이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GB201011146D0 (en) * 2010-07-02 2010-08-18 Vodafone Ip Licensing Ltd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660746B1 (ko) * 2010-08-24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US9521244B2 (en) * 2010-10-13 2016-12-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displaying application execution icon groups for corresponding predetermined events
US20120173995A1 (en) * 2010-12-30 2012-07-05 Motorola-Mobility, Inc. Electronic gate filter
EP2490113B1 (en) * 2011-02-15 2016-11-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1948645B1 (ko) 2011-07-11 2019-0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24835B1 (ko) * 2011-10-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2662576B (zh) * 2012-03-29 2015-04-29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触摸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US9684398B1 (en) * 2012-08-06 2017-06-20 Google Inc. Executing a default action on a touchscreen device
KR102053901B1 (ko) * 2012-08-16 201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KR101929301B1 (ko) 2012-08-20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제스처 인식을 통한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47686B1 (ko) * 2013-06-21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2136602B1 (ko) 2013-07-10 2020-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USD756391S1 (en) * 2013-10-23 2016-05-17 Ares Trading S.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I517021B (zh) * 2014-02-17 2016-01-1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項目變換之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KR102204554B1 (ko) * 2014-05-27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373326B (zh) * 2014-09-01 2020-11-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数据处理系统及方法
CN107850975B (zh) * 2015-07-28 2021-07-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应用程序功能进行定制用户访问的方法和用户界面(ui)
USD808955S1 (en) * 2015-08-24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7153498B (zh) * 2016-03-30 2021-01-08 斑马智行网络(香港)有限公司 一种页面处理方法、装置和智能终端
USD819019S1 (en) 2016-05-2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14456S1 (en) * 2016-06-02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623569B2 (en) * 2017-06-08 2020-04-14 Avaya Inc. Document detection and analysis-based routing
US10630844B1 (en) * 2018-12-19 2020-04-21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video call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6410A (en) * 1997-02-10 2000-02-15 Actioneer, Inc.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collaboration tool for processing notes and action requests in computer systems
KR100381583B1 (ko) 2001-04-24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US7607102B2 (en) * 2002-03-14 2009-10-20 Apple Inc. Dynamically changing appearances for user interface elements during drag-and-drop operations
US8543379B1 (en) * 2005-01-07 2013-09-24 Interactive TKO, Inc. System and method for parsing a text buffer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552399B2 (en) 2005-12-27 2009-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sible icons with multiple drop zones
KR20070113022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8085B2 (en) 2012-04-28 2021-07-20 Huawei Device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screen terminal object and touch screen terminal
CN108733588A (zh) * 2017-04-24 2018-11-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操作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66976A1 (en) 2011-03-17
US9477401B2 (en) 2016-10-25
KR101784466B1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466B1 (ko)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102752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lipboard contents on a mobile terminal
US8631350B2 (en) Graphical context short menu
US10282084B2 (en)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execution in a mobile terminal by recognizing writing gestur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1015219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a message-based conversation for grouping of messages
KR1015694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US20100162165A1 (en) User Interface Tools
KR102039553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입력 문자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87834A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9691A (ko) 전자 장치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20092487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KR20120020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739858B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multiple recording of data
EP2587356A2 (en)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therefore
KR20110047422A (ko)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31101B1 (ko) 휴대단말의 폰북 제공 방법 및 장치
JP4796131B2 (ja) 筆記による及び/又は可聴音によるユーザ指示に応える、電子デバイス内のデータ管理のための、方法、電子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90110173A1 (en) One touch connect for calendar appointments
KR101756696B1 (ko)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EP2806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data in electronic device
KR101608668B1 (ko) 문자메시지의 수신자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30052752A (ko)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57413A (ko) 복합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