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422A -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422A
KR20110047422A KR1020090104044A KR20090104044A KR20110047422A KR 20110047422 A KR20110047422 A KR 20110047422A KR 1020090104044 A KR1020090104044 A KR 1020090104044A KR 20090104044 A KR20090104044 A KR 20090104044A KR 20110047422 A KR20110047422 A KR 2011004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list
output information
window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7422A/ko
Priority to US12/925,439 priority patent/US20110107255A1/en
Publication of KR2011004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리스트 화면에서 내비게이션 수행에 따라 포커싱되는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팝업 창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팝업 기능을 지원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리스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오브젝트들로 이루어지는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들 중 포커싱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정보를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팝업 창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리스트, 메시지, 팝업 창, 출력정보

Description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IST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리스트를 구성하는 오브젝트 관리 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은 다양한 리스트 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통화로그 리스트, 메시지 리스트, 폰북 리스트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휴대단말의 메모리는 기가(Giga) 단위를 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휴대단말에 저장되는 오브젝트들의 수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저장되는 오브젝트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리스트에 구성되는 오브젝트들의 수 역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리스트 탐색 및 리스트의 오브젝트를 관리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 손실과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메시지 송수신 기능은 그의 편리성으로 인해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메시지 송수신 기능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단말에 저장되는 송수신 메시지 내역 즉, 송신 메시지 및 수신 메시 지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에서는 자신이 지원하는 저장용량에 따라 송신 메시지에 대한 오브젝트, 수신 메시지에 대한 오브젝트들을 통합 또는 각 카테고리별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메시지 리스트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의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저장용량에 따라 수 개에서 수천 개까지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광고성의 스팸 메시지 등이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시지 리스트 내의 송신 오브젝트 및 수신 오브젝트들에 대한 관리(삭제, 이동, 복사 등)하는 작업을 빈번하게 수행한다. 이때, 종래에서는 상기 메시지 리스트 내에서 특정 오브젝트가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 확인을 위한 메시지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메시지 리스트 화면에서 메시지 확인 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 확인 화면에서 해당 오브젝트의 메시지 내용을 확인한 후 삭제, 이동, 복사, 유지 등의 결정을 내리게 된다. 그리고 다른 오브젝트의 관리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 확인 화면을 닫고 다시 메시지 리스트 화면으로 전환하여 상기 다른 오브젝트에 대해 상기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메시지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에서는 메시지 리스트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이러한 삭제 기능에는 각 오브젝트들을 하나씩 삭제, 모든 메시지를 한 번에 삭제, 또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오브젝트들을 선택 지정하고 선택된 다수개의 오브젝트들만을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방식을 지원하고 있 다. 이러한 삭제 방식들 중 상기 오브젝트를 하나씩 삭제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방식은 해당 오브젝트의 삭제를 위해 내용을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단말에서는 리스트에서 각 오브젝트들에 대해 전화번호 정보 또는 일부 제한된 글자 수 정도만 리스트 화면상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기능에 의해 메시지 내용의 일부를 천천히 슬라이드 하면서 제공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전화번호, 일부 제한된 글자, 또는 슬라이드 되는 일부 내용만으로 해당 오브젝트의 전체 내용을 유추하거나 메시지 확인 화면으로 전환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전체 내용을 파악한 후 삭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메시지 리스트를 관리함에 있어서 정확한 내용 파악이 어려우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스트 제공 시 팝업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 및 이를 이용한 리스트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팝업 기능을 이용하여 리스트 내 오브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리스트 제공 시 리스트 내의 각 오브젝트들에 대한 출력정보를 팝업 기능에 의해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스트 제공 시 사용자 내비게이션에 대응하여 포커싱되는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실시간으로 팝업 창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리스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오브젝트들로 이루어지는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들 중 포커싱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정보를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팝업 창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다수개의 오브젝트들로 이루어지는 리스트, 상기 리스트 내의 특정 오브젝트에 대 한 포커싱 상태 및 포커싱된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팝업 창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한 포커싱을 제어하고 포커싱된 오브젝트가 가지는 출력정보의 추출 및 상기 팝업 창의 팝업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상기 출력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팝업 창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팝업기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팝업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리스트를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스트 내의 각 오브젝트들에 대한 출력정보를 내비게이션을 수행하면서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리스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삭제, 이동, 복사, 유지 등의 여부를 보다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시지 리스트에서 불필요한 출력정보(메시지 내용)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삭제하고자 할 시 각 오브젝트들의 해당 출력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삭제를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들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정하여 삭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들과 팝업 창을 통한 출력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각 오브젝트에 대한 해당 출력정보를 실시간으로 팝업 창을 통해 제공함에 따라 리스트 관리에 따른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팝업 기능을 지원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카테고리의 리스트 제공 시 해당 리스트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에 대한 출력정보를 팝업 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리스트의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 수행에 대응하는 포커싱 이동 시 포커싱되는 해당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팝업 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팝업 창은 포커싱되는 해당 오브젝트가 상기 리스트의 화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팝업 창은 상기 포커싱되는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해당 오브젝트와 인접하는 상측영역, 하측영역, 좌측영역, 우측영역 등에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리스트는 수신된 통화 내역, 발신된 통화 내역 및 메시지 내역을 기록하여 제공하는 통화로그 리스트, 사용자 설정에 따라 각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 및 그에 매핑되는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폰북 리스트, 수신 메 시지 내역을 기록하여 제공하는 메시지 리스트, 발신된 메시지 내역을 기록하여 제공하는 메시지 리스트 및 수신 및 발신 메시지 내역을 기록하여 제공하는 메시지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리스트는 다행 일렬로 구성된 리스트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일행 다열, 격자무늬 즉 다행 다열로 구성된 리스트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상기 휴대단말에서 팝업 기능을 지워하는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 및 그의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팝업 기능을 지원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리스트를 화면상에 표시한다(101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리스트 선택 절차에 따라 특정 리스트를 추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리스트 화면 표시를 처리한다. 상기 리스트는 통화로그 리스트, 메시지 리스트, 폰북 리스트 등과 같이 출력정보(예컨대, 메시지 본문정보, 폰북정보 등)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본문정보는 메시지 수신 또는 메시지 발신에 따라 기록되는 메시지의 본문 내용,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폰북정보는 폰북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이동통신 전화번호, 유선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집주소 등의 정보 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제공되는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리스트 내의 특정 오브젝트를 포커싱할 수 있다(103단계).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희망하는 상기 리스트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포커싱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은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부를 이용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이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할 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은 상기와 같은 입력신호 생성 또는 터치신호 생성에 의해 특정 오브젝트를 지정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싱 동작은 휴대단말의 설정 방식에 따라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초기 시점에서 상기 리스트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자동으로 지정하는 동작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은 특정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트 표시되거나 또는 특정 오브젝트에 커서가 위치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특정 오브젝트가 포커싱 지정될 시 상기 포커싱이 이루어지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파싱(parsing) 한다(105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파싱에 의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가지는 출력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107단계). 예를 들어, 상기 도 1의 예시에서는 상기 리스트가 메시지 리스트인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107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기 출력정보 중 메시지의 본문 내용 및 전화번호 등 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본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를 추출할 시 팝업 창(Pop-up window)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팝업 창에 상기 출력정보를 출력한다(109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상기 추출된 출력정보를 상기 팝업 창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들과 포커싱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팝업 창을 출력할 팝업영역을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팝업영역 산출 시 상기 팝업영역에 출력할 팝업 창의 크기 및 형태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산출된 팝업영역에 상기 팝업 창을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상기 출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팝업 창은 상기 산출되는 팝업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 창의 형태는 상기 출력정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크기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 창은 출력정보의 스크롤을 위한 스크롤바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출력한 후 기능 실행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111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기능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111단계의 Yes)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113단계). 예를 들면, 상기 기능 실행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 지정하거나,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메시지 리스트의 오브젝트 인 경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메시지 기능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등의 기능 실행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 선택 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일측(예컨대, 최좌측 영역)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됨을 알리는 "V"와 같은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기능 실행 요청이 없거나(111단계의 No), 또는 상기 113단계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 실행 후 오브젝트의 포커싱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115단계). 만약, 상기 포커싱 이동이 있을 경우(115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1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포커싱을 이동하여 이전의 포커싱된 오브젝트의 이전 또는 다음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에 포커싱을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이후 전술한 103단계 이하의 과정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포커싱의 이동이 없을 경우(115단계의 No)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17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113단계에서 선택되는 오브젝트를 삭제, 이동, 복사, 보호기능설정 등의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고 상위 메뉴로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통화를 발신하는 등의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스트 관리 방법의 상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리스트를 화면상에 표시한다(201단계). 상기 리스트는 통화로그 리스트, 메시지 리스트, 폰북 리스트 등과 같이 출력정보(예컨대, 메시지 본문정보, 폰북정보 등)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본문정보는 메시지 수신 또는 메시지 발신에 따라 기록되는 메시지의 본문 내용,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폰북정보는 폰북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이동통신 전화번호, 유선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집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리스트 화면 표시 시 상기 리스트의 카테고리를 분석할 수 있다(203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리스트가 통화로그 카테고리, 메시지 카테고리, 폰북 카테고리 등 다양한 카테고리 중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 리스트인지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분석한 결과정보를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제공되는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리스트 내의 특정 오브젝트를 포커싱할 수 있다(205단계).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희망하는 상기 리스트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포커싱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은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부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력신호 또는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되는 입력신호/터치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포커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설정 방식에 따라 리스트 화 면을 표시하는 초기 시점에서 상기 리스트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자동으로 포커싱하거나 또는 포커싱 상태를 제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트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커서가 위치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특정 오브젝트가 포커싱될 시 상기 203단계에서 분석한 상기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속한 상기 리스트가 설정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리스트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207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리스트가 메시지 카테고리 및 폰북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리스트인지 구분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리스트가 메시지 리스트인지 또는 폰북 리스트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카테고리 또는 폰북 카테고리의 경우 해당 리스트(메시지 리스트 또는 폰북 리스트)를 구성하는 모든 오브젝트들이 본문정보 또는 폰북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후술하는 209단계 및 211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213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통화로그 카테고리의 경우 해당 리스트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이 통화 수발신 내역, 메시지 수발신 내역, 부재중 수신 내역 등 다양한 타입의 오브젝트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포커싱되는 해당 오브젝트의 타입을 분석하여 출력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오브젝트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과정(209단계 및 211단계)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207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리스트가 설정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리스트(예컨대, 메시지 리스트, 폰북 리스트 등)인 경우(207단계의 Yes) 후술되는 213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207단계 의 판별결과 상기 리스트가 설정된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 리스트(예컨대, 통화로그 리스트 등)인 경우(207단계의 No) 포커싱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타입을 분석하여(209단계),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설정된 타입의 오브젝트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211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포커싱된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출력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또는 발신 메시지 등의 메시지 타입의 오브젝트인지 구분한다.
다음으로, 상기 211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오브젝트가 설정된 타입 예컨대, 메시지 타입의 오브젝트이면(211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포커싱이 이루어진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파싱 한다(213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 파싱에 의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가지는 출력정보를 추출한다(215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213단계로 바로 진행될 시 상기 설정된 카테고리의 리스트에 대응하여 본문정보 또는 폰북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209단계, 211단계를 거쳐 상기 213단계로 진행될 시 상기 설정된 타입의 오브젝트에 따라 수신 메시지 또는 발신 메시지의 본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를 추출할 시 팝업 창을 출력할 팝업영역을 결정한다(217단계). 상기 팝업영역 결정은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상기 포커싱된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포커싱된 특정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상측영역 또는 하측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 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리스트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단 부분에 위치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팝업영역을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상측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리스트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단 부분에 위치할 시 상기 팝업영역을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하측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팝업영역은 포커싱이 이루어진 해당 오브젝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인접되는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팝업영역을 결정할 시 결정된 팝업영역에 상기 팝업 창을 출력하고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상기 추출된 출력정보를 출력한다(219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팝업영역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상측영역으로 결정될 시 상기 팝업 창을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인접되는 상측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팝업영역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하측영역으로 결정될 시 상기 팝업 창을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인접되는 하측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팝업 창 출력 및 상기 팝업 창을 통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221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 선택 및 상기 선택에 따라 "V"와 같은 아이템을 상기 특정 오브젝트 일 영역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삭제, 이동, 복사하는 등의 편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본문내 용 확인을 위한 메시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은 해당 기능 실행 시 상기 팝업 창의 표시를 생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11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오브젝트가 설정된 타입 예컨대, 메시지 타입의 오브젝트가 아니면(211단계의 No) 상기 휴대단말은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31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포커싱이 이루어진 특정 오브젝트의 일부 정보(예컨대,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제목 및 일부 내용 등)를 천천히 슬라이드하면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해 어떠한 효과도 부여하지 않고 상기 포커싱 상태만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설정 동작 수행 후 오브젝트의 포커싱 이동 요청이 있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23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내비게이션 수행에 따라 스크롤을 제어하며 상기 스크롤 제어 시 포커싱 상태를 상기 내비게이션 진행 방향에 따라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오브젝트의 포커싱 이동이 요청될 시(233단계의 Yes) 상기 이동 요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포커싱을 이동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에 포커싱을 지정할 수 있다(235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오브젝트 포커싱 후 전술한 211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오브젝트의 포커싱 이동 요청이 없을 시(233단계의 No)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 다(223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포커싱된 특정 오브젝트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은 전술한 리스트 화면 표시를 종료하고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메뉴 진입 또는 휴대단말의 기능을 종료하는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창에 제공되는 출력정보를 이용하여 리스트 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팝업 기능 및 상기 팝업 기능을 이용한 리스트 제공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제어 동작 및 후술하는 화면 예시들(도 3 내지 도 6)에 따른 제어 동작은 후술하는 도 3에 나타나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350)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한 기능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지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팝업 기능 및 그에 따른 리스트 관리 방법을 지원하는 상기 휴대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입력부(310)와, 표시부(320)와, 오디오처리부(330)와, 저장부(340) 및 제어부(35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 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스피커(SPK, Speaker) 및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31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310)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1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keypad) 및 쿼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310)는 특정 데이터들의 리스트 화면에서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들 간 내비게이션 제어를 위한 입력신호, 상기 리스트 내의 특정 오브젝트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 등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5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제어를 위한 입력신호는 상기 방향키 조작에 따른 키 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접촉에 따른 터치신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는 상기 입력부(310)에 할당된 기능키(예컨대, 확인키) 조작에 따른 키 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접촉에 따른 터치신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320)는 부팅 화면(boot screen), 대기 화면(idle screen), 메뉴 화면(menu screen), 리스트 화면(list screen), 재생 화면(play screen)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32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320)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2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32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0)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시 리스트 화면에서 오브젝트들 간 내비게이션 제어 및 오브젝트 선택 제어는 터치입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20)에서 상기 선택 희망하는 특정 오브젝트가 제공되는 영역에 터치입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및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20)는 리스트 화면 표시 시 설정 방식에 따라 자동 지정 및 사용자에 의한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해당 오브젝트에 하이라이트 표시 또는 커서 표시 등의 포커싱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20)는 팝업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커싱된 특정 오브젝트와 인접되는 영역에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320)는 특정 오브젝트의 하측영역, 상측영역, 중첩된 좌측영역, 중첩된 우측영역 등의 팝업영역 중 상기 제어부(350)가 결정하는 어느 하나의 팝업영역에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20)는 상기 팝업 창 표시 시 상기 제어부(350)에 의해 추출되어 제공되는 출력정보를 상기 팝업 창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SPK)와, 사용자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35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35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350)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어부(35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성분(예컨대, 팝업 창 출력에 따른 효과 알람을 위한 오디오신호, 데이터 재생에 따른 오디오신호, 오브젝트 내비게이션 시의 효과 알람을 위한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예컨대, 통화로그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폰북 데이터,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방송 데이터, 사진 데이터 등),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 하거나 외부(예컨대, 웹 서버, 외부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의 지원 기능들 중 설정된 해당 기능/메뉴의 바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340)는 팝업 기능 제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40)는 상기 휴대단말 이용 및 상기 팝업 기능에 따른 다양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팝업 창의 크기정보, 팝업 창이 표시되는 팝업영역 정보, 초기 리스트 화면 제공 시 최상위 오브젝트에 대한 포커싱 자동 지정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40)는 출력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4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340)는 팝업 기능 운용 시 추출되는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34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RAM,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입력부(310)와, 상기 표시부(3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330) 및 상기 저장부(34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본 발명의 팝업 기능 및 상기 팝업 기능을 이용한 리스트 제공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32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에서 특정 오브젝트가 포커싱될 시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정보를 출력할 팝업 창의 팝업영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상기 팝업 창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팝업 창 내에 상기 출력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팝업 창 출력 후 일정 시간 경과 또는 포커싱이 이동될 시 상기 출력된 팝업 창의 제거를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팝업 기능 운용 시 제공하는 상기 팝업 창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팝업 기능에 의한 리스트 관리 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특정 오브젝트 선택, 포커싱 이동 등과 같은 기능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5)는 전술한 도 1, 도 2 및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팝업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 및 그의 기능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350)의 일련의 제어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 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단말은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35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35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분리되어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휴대단말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은 특정 리스트를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 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유무선 전화기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본 발명의 기능 운용에 따른 제어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기능 운용에 따른 동작 화면 예시들에 대하여 하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동작 화면 예시에 따른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팝업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350)는 참조부호 4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카테고리의 리스트 화면을 상기 표시부(320)에 의한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희망하는 리스트의 화면을 상기 표시부(320)에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참조부호 410과 같은 해당 리스트의 화면을 상기 표시부(3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리스트는 통화로그 리스트, 메시지 리스트, 폰북 리스트 등과 같이 출력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특정 카테고리의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리스트 화면은 상기 참조부호 4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320)에 표시된 리스트가 속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하는 카테고리 영역(401)과, 상기 리스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오브젝트 영역(403)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하위메뉴 진입, 옵션메뉴 활성화 등의 다양한 기능 실행을 위한 소프트키(soft key)를 제공하는 소프트키 영역(4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키 영역(405)은 사용자 설정 또는 휴대단말 제공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410의 화면 예시에서는 초기 리스트 제공 시 어떠한 오브젝트도 포커싱하지 않는 방식에 대응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다. 만약, 초기 리스트 제공 시 포커싱을 자동 수행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리스트 제공 시 상기 리스트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들 중 최상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에 포커싱을 자동 지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를 살펴보면 하기의 참조부호 420의 화면 예시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들 간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내비게이션 수행에 대응하여 포커싱 생성 및 포커싱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420은 상기 참조부호 410의 화면 예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최초 내비게이션이 수행되는 경우 참조부호 4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위의 오브젝트에 포커싱을 수행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부호 430은 상기 참조부호 420의 화면 예시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 수행에 대응하여 참조부호 4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커싱이 이동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의 화면 예시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오브젝트에 포커싱을 표시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은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부(310)를 이용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이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32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생성된 입력신호 또는 터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포커싱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의 화면 예시에서와 같이 특정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시점에서 해당 오브젝트의 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50)는 포커싱되는 해당 오브젝트가 출력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예컨대, 메시지 타입의 오브젝트)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메시지 리스트이거나 또는 폰북 리스트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 타입을 분석하는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50)는 오브젝트 타입 분석에 의하여 상기 포커싱된 해당 오브젝트가 출력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도 2를 참조한 231단계의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설정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350)는 오브젝트의 타입 분석에 의하여 상기 포커싱된 해당 오브젝트가 출력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도 2를 참조한 213단계 내지 219단계의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참조부호 43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조부호 409의 포커싱된 오브젝트가 임의의 출력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포커싱된 오브젝트의 하측영역에 팝업 창(411) 출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출력된 팝업 창(411)을 통해 상기 출력정보(413)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팝업 창(411)을 출력할 팝업영역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참조부호 430의 화면 예시에서는 상기 제어부(350)가 상기 팝업영역을 상기 오브젝트의 하측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참조부호 430과 같은 화면 예시에서 미리 정의된 일정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 또는 터치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350)는 참조부호 440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팝업 창(411)을 상기 표시부(32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팝업 창(411)의 제거는 설정된 입력신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310)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신호 생성에 의해 상기 팝업 창(411)을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참조부호 430 또는 상기 참조부호 44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이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내비게이션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오브젝트 타입 분석 및 팝업 창 출력을 제어하는 상기의 제어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팝업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350)는 참조부호 5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리스트 화면을 상기 표시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희망하는 상기 리스트의 화면을 상기 표시부(320)에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참조부호 510과 같은 해당 리스트의 화면을 상기 표시부(3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리스트 화면은 상기 참조부호 5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320)에 표시된 리스트가 속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하는 카테고리 영역(501)과, 상기 리스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오브젝트 영역(503)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하위메뉴 진입, 옵션메뉴 활성화 등의 다양한 기능 실행을 위한 소프트키를 제공하는 소프트키 영역(5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키 영역(505)은 사용자 설정 또는 휴대단말 제공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410의 화면 예시에서는 초기 리스트 제공 시 상기 리스트의 오브젝트들 중 최상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1번 항목의 오브젝트)에 포커싱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리스트 화면 제공 시 상기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출력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스트가 메시지 리스트, 폰북 리스트와 같이 리스트 내의 모든 오브젝트들이 각각의 출력정보를 가지는 리스트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 분석 및 출력정보 포함 여부 체크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최상위의 오브젝트(1번 항목의 오브젝트)가 포커싱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 추출 및 팝업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팝업 창(511)을 출력하고, 상기 팝업 창(511)을 통해 상기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팝업영역을 결정한다. 상기 참조부호 510의 화면 예시에서는 상기 오브젝트와 인접된 하측영역을 상기 팝업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51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포커싱된 1번 항목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키 영역(503)에서 오브젝트의 선택을 명령하는 기능이 할당된 선택키(525)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표시부(32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선택키(525)를 접촉하는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터치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입력부(310)에서 상기 선택키(525)에 대응하는 기능키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신호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1번 항목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선택되지 않은 다른 오브젝트와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50)는 참조부호 52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번 항목의 오브젝트 일영역(예컨대, 최좌측 영역)에 "V"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됨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템(545)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팝업 창(511)을 제거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30과 같은 상태에서 다른 오브젝트의 출력정보 확인 및 선택을 위한 내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들 간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내비게이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1번 항목의 오브젝트에 제공된 포커싱을 이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커싱 이동은 사용자 요청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도 5에서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하측 방향의 내비게이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포커싱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530 및 참조부호 540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53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포커싱을 이동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포커싱 이동에 따라 포커싱된 해당 오브젝트(2번 항목의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 추출 및 팝업영역을 결정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팝업 창(511)을 출력하고 상기 팝업 창(511)을 통해 상기 2번 항목의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54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50)는 사용자의 내비게이션 수행에 대응하여 상기 2번 항목 오브젝트에 제공된 포커싱을 3번 항목의 오브젝트로 이동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포커싱 이동에 따라 포커싱된 상기 3번 항목의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 추출 및 팝업영역을 결정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팝업 창(511)을 출력하기 상기 팝업 창(511)을 통해 상기 3번 항목의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50)는 참조부호 55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과정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6번 항목의 오브젝트까지 내비게이션 및 팝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6번 항목의 오브젝트가 포커싱될 시 상기 6번 항목의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 추출 및 팝업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팝업 창(511)을 출력하고, 상기 팝업 창(511)을 통해 상기 6번 항목의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6번 항목의 오브젝트가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팝업영역을 결정한다. 상기 참조부호 550의 화면 예시에서는 상기 오브젝트와 인접된 상측영역을 상기 팝업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350)는 현재 포커싱된 해당 오브젝트가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여백의 비율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팝업 창(511)을 출력할 팝업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55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6번 항목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입 력부(310)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 또는 상기 표시부(320)를 구성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신호 생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6번 항목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선택되지 않은 다른 오브젝트와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50)는 참조부호 55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6번 항목의 오브젝트 일영역(예컨대, 최좌측 영역)에 "V"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됨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템(545)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선택 아이템(545)을 1번 항목의 오브젝트와 6번 항목의 오브젝트 모두에 대해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팝업 창(511)을 제거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전술한 동작의 반복으로 상기 리스트의 1번 항목의 오브젝트 내지 6번 항목의 오브젝트까지 내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의 각 오브젝트가 포함하는 출력정보 확인을 위해 일일이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 확인을 위한 기능 실행 및 상기 리스트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실행 기능의 취소 등과 같은 수행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6번 항목의 오브젝트까지 빠른 내비게이션 및 희망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절차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들에 대하여 삭제, 이동, 복사, 보호기능설정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팝업 기능을 이용한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리스트 내의 각 오브젝트들에 대한 출력정보 를 내비게이션을 수행하면서 실시간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메시지 리스트에서 불필요한 출력정보(메시지 내용)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삭제하고자 할 시 각 오브젝트들의 해당 출력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삭제를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들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들과 팝업 창을 통한 출력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각 오브젝트에 대한 해당 출력정보를 실시간으로 팝업 창을 통해 제공함에 따라 리스트 관리에 따른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제공하는 팝업 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팝업 창은 참조부호 610 내지 참조부호 640의 화면 예시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가 리스트 화면에서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와 인접하는 상측영역 또는 하측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팝업 창은 참조부호 65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가 리스트 화면에서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와 겹치는 형태로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창은 상기 참조부호 610 및 참조부호 620의 화면 예시들에서와 같이 포커싱된 오브젝트가 가지는 출력정보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팝업 창은 상기 출력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최대 크기 또는 최소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창은 상기 참조부호 6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출력정보의 크기에 따라 스크롤바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350)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 기능 제어 시 해당 오브젝트가 리스트 화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팝업 창의 팝업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팝업 창 출력 시 상기 팝업 창의 형태를 상기 출력정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출력정보의 크기 및 그에 따라 상기 팝업 창이 제공될 수 있는 최대 크기에 따라 상기 팝업 창의 일 영역에 스크롤바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에서 내비게이션 제어 및 팝업 기능 제어는 상기 입력부(310)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320)를 이용한 입력신호 생성에 의해 수행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비게이션 제어 및 팝업 기능 제어는 마이크(MIC), 모션센서 또는 가속도센서 등에 의해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350)는 내비게이션에 따른 포커싱 이동 명령, 선택 명령을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에 의해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리스트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측 이동 또는 하측 이동"과 같은 음성 인식 또는 휴대단말의 "하측 방향 기울임 또는 상측 방향 기울임"과 같은 모션 인식 등에 의해 리스트 내 오브젝트들 간 내비게이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내비게이션 명령에 대응하여 리스트 내의 각 오브젝트들에 포커싱 상태를 이동하여 표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리스트 화 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선택"과 같은 음성 인식 또는 휴대단말의 설정된 모션에 의한 모션 인식 등에 의해 포커싱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하여 포커싱된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팝업 기능을 이용한 리스트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팝업 기능을 지원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스트 관리 방법의 상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팝업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제공하는 팝업 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리스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오브젝트들로 이루어지는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들 중 포커싱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정보를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팝업 창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출력정보를 출력할 상기 팝업 창의 팝업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포커싱된 특정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특정 오브젝트와 인접되는 상측영역, 하측영역, 좌측영역, 우측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상기 팝업 창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팝업 창에 상기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출력정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팝업 창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포커싱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타입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타입이 미리 정의되는 타입의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출력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의 이동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포커싱을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포커싱 이동에 의해 포커싱되는 오브젝트의 출력정보 추출 및 팝업영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팝업 창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상기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창 출력 시 상기 출력정보의 스크롤을 위한 스크롤바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제공 방법.
  9. 휴대단말에 있어서,
    다수개의 오브젝트들로 이루어지는 리스트, 상기 리스트 내의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포커싱 상태 및 포커싱된 오브젝트의 출력정보를 팝업 창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한 포커싱을 제어하고 포커싱된 오브젝트가 가지는 출력정보의 추출 및 상기 팝업 창의 팝업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팝업영역에 상기 출력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팝업 창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정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팝업 창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특정 오브젝트와 인접되는 상측영역, 하측영역, 좌측영역, 우측영역 중 어느 하나의 팝업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창은 상기 출력정보의 스크롤을 위한 스크롤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상기 다수개의 오브젝트들 및 상기 출력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되는 오브젝트의 타입을 분석하고 포커싱된 오브젝트가 설정된 타입의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출력정보 추출 및 팝업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포커싱 이동 입력신호 및 오브젝트 선택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포커싱 이동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포커싱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포커싱 이동에 따라 포커싱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출력정보의 팝업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오브젝트 선택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90104044A 2009-10-30 2009-10-30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47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44A KR20110047422A (ko) 2009-10-30 2009-10-30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12/925,439 US20110107255A1 (en) 2009-10-30 2010-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is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44A KR20110047422A (ko) 2009-10-30 2009-10-30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526A Division KR101756696B1 (ko) 2016-04-06 2016-04-06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422A true KR20110047422A (ko) 2011-05-09

Family

ID=4392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044A KR20110047422A (ko) 2009-10-30 2009-10-30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07255A1 (ko)
KR (1) KR201100474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1333A (ja) * 2016-12-21 2018-06-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9494B2 (en) 2011-09-27 2016-12-27 Z124 Unified desktop triad control user interface for a browser
US9678624B2 (en) * 2011-09-27 2017-06-13 Z124 Unified desktop triad control user interface for a phone manager
US20160124698A1 (en) 2011-08-24 2016-05-05 Z124 Unified desktop triad control user interface for an application launcher
US10042547B2 (en) * 2014-06-17 2018-08-07 Vmware, Inc. User interface control based on pinch gestures
CN104331229A (zh) * 2014-10-20 2015-02-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865254B1 (en) * 2016-02-29 2018-01-09 Amazon Technologies, Inc. Compress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JP6390657B2 (ja) * 2016-04-07 2018-09-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WO2019014927A1 (en) 2017-07-21 2019-01-24 Orange METHOD FOR MANAGING A MOBILE TERMINAL OF A CONTENT LIST ASSOCIATED WITH A SUB-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306A (en) * 1990-08-09 1996-04-30 Apple Computer, Inc. Temporal event viewing and editing system
US5565888A (en) * 1995-02-17 1996-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selectability of icons
CA2551692A1 (en) * 2006-07-10 2008-01-10 Ascalade Communications Inc. Intelligent redialing with presence information
US7996045B1 (en) * 2007-11-09 2011-08-09 Google Inc. Providing interactive alert information
KR101646922B1 (ko) * 2009-05-19 2016-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1333A (ja) * 2016-12-21 2018-06-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7255A1 (en)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7422A (ko)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282084B2 (en)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execution in a mobile terminal by recognizing writing gestur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784466B1 (ko)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10825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KR101911804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38705B1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924835B1 (ko)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110085222B (zh) 用于支持语音对话服务的交互装置和方法
KR101716401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이벤트의 통지
JP5743232B2 (ja) タッチ基盤の入力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タッチデバイスのアプリケーション運用方法及び装置
KR101317547B1 (ko) 이모지 캐릭터들을 이용하기 위한 휴대용 터치 스크린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20019603A (ko) 터치 기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컨택트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714057A (zh) 用于便携式装置的触摸输入装置和方法
CN102859481A (zh) 用于在移动终端中显示文本信息的方法和设备
WO2012162895A1 (en) Gestures for selecting text
KR20120019531A (ko) 휴대 단말기의 gui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0122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1947462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4049140A (ja) 使用者デバイスで入力文字を利用した知能型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CN103135760A (zh) 用于数据的多记录的便携式装置和方法
KR101631101B1 (ko) 휴대단말의 폰북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56696B1 (ko) 휴대단말의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20329686A1 (en) Application extensio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9002026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시지 작성 방법
KR1007046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검색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