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179A -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 - Google Patents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179A
KR20110029179A KR1020117004672A KR20117004672A KR20110029179A KR 20110029179 A KR20110029179 A KR 20110029179A KR 1020117004672 A KR1020117004672 A KR 1020117004672A KR 20117004672 A KR20117004672 A KR 20117004672A KR 20110029179 A KR20110029179 A KR 2011002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eam
radio access
network
access technolog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찬드리카 케이 워랠
해리스 지시모폴로스
앨런 에드워드 존스
Original Assignee
아이피와이어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와이어리스, 인크. filed Critical 아이피와이어리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2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의 공급이 기술된다.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은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한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 확립된다.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운반하고,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한다. 수신기에서,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은 응용 계층에서 하나의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되는데, 이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은 사용자에게 제시되기 위한 출력으로 디코딩된다.

Description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APPLICATION-LAYER COMBINING OF MULTIMEDIA STREAMS DELIVERED OVER MULTIPLE RADIO ACCESS NETWORKS AND DELIVERY MODES}
본 발명은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모바일 오퍼레이터들은 전세계에 그들의 기존의 3G 유니버셜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TV 및 라디오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스트리밍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기존의 UMTS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전반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많은 수의 사용자들을 위한 텔레비전과 같이 고품질의 주파수 대역폭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3GPP 표준 협회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 서비스("MBMS", Multimedia Broadcasting/Multicasting Service) 프레임워크를 도입하였다. MBMS 프레임워크는 UMTS 무선 인터페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를 통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UMTS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UMTS Radio Access Network) 및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 아키텍처의 최적화(optimization)를 식별한다.
MBMS가 많은 수의 사용자 인구를 서빙하도록 고안된 것이기 때문에, 무선 자원의 사용은, 다른 서비스들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MBMS 서비스에 기인한 시스템 과부하를 피하도록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종래의 MBMS/멀티미디어 스트리밍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은 주어진 시간에 단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다. 따라서, 전달은 무선 신호 결합(over-the-air signal combining)을 위해 최적화는데, 이와 같은 결합은 낮은 프로토콜 계층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 장치에서 보이고 들리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신뢰도 및 해상도(resolution)의 면에서 여전히 유감스러운 점이 많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지각적인 품질(perceptual quality)을 향상시키는 것은 이로울 것이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에 대한 과부하 트래픽 조건의 가능성(likelihood)은 다른 서비스들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과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전달을 위해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많이 집결되어 있는 지역 및 서비스 요청이 많은 지역(예컨데, 핫스팟)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많은 수의 사용자 인구에 대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그러나, 큰 지리적 영역에 걸쳐 서비스 이용 가능성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서비스는 또한, 네트워크가 오버레이되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큰 스케일의 네트워크는 적은 수의 사용자들을 위해서도 최적화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네트워크가 동일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급을 위해 상이한 전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적인 상이한 전송 모드들(즉, 전달 모드들)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모드의 예로는, "멀티캐스트 MBMS 베어러" 및 "유니캐스트 스트리밍 베어러"가 있다. 서비스를 활성화한 사용자는 독립적인 전달 모드들을 이용하여 하나보다 많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상이한 전달 모드들은 무선 상에서의 신호의 결합을 제한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정의된 프로토콜 계층들에서 신호가 결합되는 것을 막는다. 대신에, 사용자 장치("UE")의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은,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의 결합시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하기 위해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절차들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지각적인 멀티미디어 품질을 달성한다.
특히,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하는 서비스 센터는, 각각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한 각각의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의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확립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운반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각각의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는 또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한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 및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이 확립되는 2개의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장치 식별자들에 시그널링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수신기 측에서, 사용자 장치는 각각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운반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각각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응용 계층에서 제1 데이터 스트림과 제2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그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출력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장치는 제2 데이터 스트림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제1 데이터 스트림의 신호 신뢰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유닛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에 대한 과부하 트래픽 조건의 가능성(likelihood)은 다른 서비스들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과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RAT들로부터의 신호 수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용-계층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트림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트림 결합을 추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GPP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2개의 RAT, 즉 RAT1과 RAT2를 포함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아키텍처(10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RAT은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04)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제어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무선 제어기는 무선 자원 및 이동성(mobility) 관리를 다룬다. 서비스 센터(SC, Service Center)(106)는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멀티미디어 소스들(108)에 접속된다. SC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코어 네트워크(110)에 제공한 다음, 동시에 RAT1 및 RAT2를 통해 사용자 장치(112)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수신 장치(UE)는 이중 수신기 기능을 포함하고, 2개의 RAT으로 동시에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RAT(102)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SC(106)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기화하고, UMTS에서 알려진 서비스 서술/광고 메시지 포맷을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는 RAT(102)의 아이덴티티를 UE(112)에 시그널링한다.
도 2는 소정 기간 동안에(T0 부터 T2) RAT1 및 RAT2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도시한다. 신호의 세기는 무선 채널에서 경험하는 고속 및 저속 페이딩에 기인하여 변동한다. 각각의 신호의 저속 페이딩 컴포넌트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시간 T1에서, RAT2 상의 신호는 RAT1 상의 신호보다 강해진다. 그러나, (도면에서 원으로 표시된) 몇몇의 경우, RAT2 상의 신호는 고속 페이딩에 기인하여 RAT1 상의 신호보다 약해질 수 있다. 주목할 것은, T1은 UE가 RAT1의 커버리지 영역의 에지에 도달할 때의 시간 인스턴스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콘텐츠는 상이한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 및 상이한 전달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는 2개의 독립적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아마도 다른 프로토콜 스택들이 상이한 모드들을 제어하는 단말 상에 존재할 것이고, 이러한 경우, 수신 장치의 낮은 프로토콜 계층(RAT 지정 프로토콜 스택)에서의 신호 결합은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이 수신 장치의 응용 계층에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12)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디코딩 이전에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응용 계층에서 결합하는 스마트 응용 절차(smart application procedure)(302)를 포함한다. 스트림 결합은 디코더(304)로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고, 디코더(304)는 디코딩된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유닛(306)에 제공한다. 연 판정 디코딩(soft decision decoding)이 멀티미디어 디코더에서 이용된다면, 디코더는 수신된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로부터 연 판정 디코딩을 돕기 위해 (SC에 의해 삽입된) 추가 정보를 추출한다. UE(112)는 또한, 응용 계층에서의 결합 이전에 별도의 RAT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들을 시간 동기화한다.
도 4는 UE 응용 계층에서 구현된 스트림 결합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멀티미디어 디코더로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구성하기 위하여 시간 동기화된 데이터 스트림들로부터 데이터 유닛들이 선택된다. "데이터 유닛"이란, 예컨대 데이터 비트와 같은 임의의 응용 계층 비트 그룹, (고정된 또는 가변적인) 개수의 비트로 구성된 데이터 블록, 전달(transport) 데이터 블록(데이터그램), 응용 계층 패킷, 또는 예컨대 비디오 프레임, 비디오 패킷, 또는 매크로-블록과 같은 임의의 다른 응용 계층 비트 그룹을 말한다.
디코딩 후에, 미디어의 높은 지각적인 품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들로부터 데이터 유닛들이 선택된다. 선택 기준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방법에 따라, 이동 시간 윈도우 상에서 측정된, 예컨대 각각의 스트림에서 올바르게 수신된 비트의 개수, 올바르게 수신된 블록의 개수, 비트 에러 율, 블록 에러 율, 또는 높은 지각적인 품질 또는 디코더 피드백의 달성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상대적인 중요도에 기초할 수 있다. 도 5는 선택 기준에 기초하여 올바르게 수신된 블록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미디어 공급에 관련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통신 확립을 위한 각각의 단계 내에서의 본질적 요소들 중 일부는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단계 1: RAT1을 통한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무선 베어러의 확립에 필수적인, (RAT1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통한) SC와 RAT1의 무선 제어기와 목적지 UE 간의 필수 시그널링으로서, RAT1을 통한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무선 베어러의 확립은 전달방법1을 이용한다. 전달방법은, 예컨대 유니캐스트 또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를 포함한다.
단계 2: SC는 전달방법1을 이용하여 RAT1을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전달을 시작한다.
단계 3: UE는 전달방법1을 이용하여 RAT1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한다.
단계 4: RAT2를 통한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무선 베어러의 확립에 필수적인 시그널링으로서, RAT2를 통한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무선 베어러의 확립은 전달방법2를 이용한다.
단계 5: SC는 RAT2를 통한 서비스의 전달을 시작하고, RAT2를 통한 서비스의 전달은 전달방법2를 이용한다.
단계 6: UE는 RAT1과 RAT2를 통해 동시에 서비스를 수신한다.
도 7은 멀티미디어의 전달을 위해 W-DCMA 기반의 FDD 및 TD-CDMA 기반의 TDD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702, 704)이 이용되는 3GPP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적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따라, Rel.6 TDD 및 pre-Rel.6 FDD 네트워크가 이용된다(Rel. 6은 3GPP 표준의 릴리즈 6을 말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p-t-m) MBMS 베어러를 이용하여 TDD를 통해 제공되지만, FDD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공급을 위해 유니캐스트 스트리밍 베어러가 이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Rel.6 TDD 및 Rel.6 FDD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는, p-t-m MBMS 베어러를 이용하여 TDD를 통해 공급될 수 있고, 포인트 투 포인트 (p-t-p) MBMS 베어러를 이용하여 FDD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Rel.6 TDD 및 Rel.6 FDD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지만, 서비스는 p-t-m MBMS 베어러를 이용하여 TDD를 통해 제공되고, p-t-m MBMS 베어러를 이용하여 FDD를 통해 제공된다.
UE는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무선 액세스 기술 각각의 프로토콜 스택을 통과한 후에,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은 응용 계층 결합을 위해 응용 계층으로 전송된다. 결합 절차의 결과로서, 응용 계층은 수신된 복수의 입력 스트림들로부터 한 개의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 및 예증적인 도면들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기술된 실시예들 또는 도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UMTS 기술을 이용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시스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적당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몇몇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된(hard-wired) 로직의 제어 하에서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디지털 회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로직"은, 고정형 하드웨어, 프로그래머블 로직, 및/또는 기술된 기능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고정형 하드웨어와 프로그래머블 로직의 적당한 조합을 말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몇몇 다른 프로세스들은 해당 기술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는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컴포넌트와 더불어 메모리 또는 다른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처리 기능성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컴퓨팅 시스템(8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종류의 컴퓨팅 시스템은, 예컨대 SC, 무선 제어기, 기지국, 및 UE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또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또는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구현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예컨데 데스크탑,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PDA, 셀폰, 팸탑 등), 메인프레임, 서버, 클라이언트 또는 주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환경에 바람직하거나 또는 적당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특수 용도의 컴퓨팅 장치 또는 범용 컴퓨팅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프로세서(804)와 같은 프로세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4)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다른 제어 로직과 같은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처리 엔진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서(804)는 버스(802) 또는 다른 통신 매체에 접속된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또한, 정보, 및 프로세서(804)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하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동적 메모리와 같은 메인 메모리(8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808)는 또한 프로세서(804)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들의 실행 동안, 임시 변수들 또는 다른 중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마찬가지로, 정적 정보 및 프로세서(804)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해 버스(802)에 결합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다른 정적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또한, 예컨대 매체 드라이브(812) 및 탈착 가능한 저장 인터페이스(820)를 포함할 수 있는 정보 저장 시스템(810)을 포함할 수 있다. 매체 드라이브(81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CD 또는 DVD 드라이브(R 또는 RW), 또는 다른 탈착 가능한 매체 드라이브 또는 고정형 매체 드라이브와 같은 고정형 또는 탈착 가능한 저장 매체를 지원하기 위한 드라이브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818)는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 디스크, CD 또는 DVD, 또는 매체 드라이브(814)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다른 고정형 또는 탈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이 설명될 때, 저장 매체(818)는 특정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정보 저장 시스템(810)은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어 또는 데이터가 컴퓨팅 시스템(800)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는 다른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프로그램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인터페이스, 탈착 가능한 메모리(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탈착 가능한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슬롯과 같은 탈착 가능한 저장 유닛(822) 및 인터페이스(820), 및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탈착 가능한 저장 유닛(818)으로부터 컴퓨팅 시스템(800)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다른 탈착 가능한 저장 유닛(822) 및 인터페이스(820)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8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24)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팅 시스템(800)과 외부 장치들 간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24)의 예들은, 모뎀, (이더넷 또는 다른 NIC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컨대 USB 포트와 같은) 통신 포트, PCMCIA 슬롯 및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24)를 통해 전달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전자 신호, 전자기 신호, 광학 신호일 수 있는 신호의 형태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824)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다른 신호의 형태이다. 이러한 신호들은 채널(828)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824)에 제공된다. 이러한 채널(828)은 신호를 운반할 수 있고, 무선 매체, 유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 또는 다른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채널의 몇몇 예들은, 전화선, 셀룰러 폰 링크, RF 링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근거리 또는 장거리 통신망, 및 다른 통신 채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등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메모리(808), 저장 장치(818), 또는 저장 유닛(822)과 같은 매체를 언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이러한 형태 및 다른 형태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프로세서(804)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 또는 다른 그룹의 형태로 그룹화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로 불리는 이와 같은 명령어들은, 실행시 컴퓨팅 시스템(800)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주목할 것은, 코드는 직접적으로 프로세서로 하여금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고,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파일링되도록 하며, 및/또는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요소들(예컨대, 표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브러리)과 결합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요소들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예컨대 탈착 가능한 저장 드라이브(814), 드라이브(812),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824)를 이용하여 컴퓨팅 시스템(800)으로 로딩될 수 있다. 제어 로직(이 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은, 프로세서(80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804)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명료한 이해를 위해, 상술한 내용은 상이한 기능 유닛들 및 프로세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 유닛들, 프로세서들, 또는 도메인들 간의 임의의 적당한 기능성 분배가 본 발명의 범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별도의 프로세서들 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기능성들은 동일한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기능 유닛들에 대한 참조는,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 또는 조직을 나타내기 보다는 오히려 기술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에 대한 참조로서만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몇몇 실시예들과 함께 기술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특정 형태로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특징이 특정 실시예들과 함께 기술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당업자는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이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개별적으로 열거되기는 했지만, 복수의 수단, 요소,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예컨대 단일 유닛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특징들이 상이한 청구항들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러한 개개의 특징들은 아마도 이롭게 결합될 수 있고, 상이한 청구항들에 포함됨(inclusion)은 특징들의 결합이 실행될 수 없거나 및/또는 이롭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한 카테고리의 청구항들에 한 특징을 포함하는 것은 이러한 카테고리에 대한 한정을 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특징은 적당히 다른 청구항 카테고리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모든 특허, 출원, 공보, 및 다른 공개 자료들은, 아래의 참조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조문헌으로서 포함된다:
[1]. 3GPP TS 23.246, "Multimedia/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User Services; Stage 1", Release 6.
[2]. 3GPP TS 26.346, "Multimedia/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Protocols and codecs", Release 6.
[3]. 3GPP TR 29.846, "Multimedia/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CNl procedures", Release 6.
[4]. 3GPP TS 33.246, "Security of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Release 6.
[5]. 3GPP TS 25.346, "Introduction of the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MBM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Stage 2", Release 6.
[6].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v2, http://www.ietf.org/rfc/rfc2236.txt
[7]. "Multicast Listener Discovery (MLD) for IPv6", http://www.ietf.org/rfc/rfc2710.txt
[8]. 3GPP TS 32.240, "Charging management; Charging architecture and principles", Release 6.
[9]. 3GPP TS 24.008, "Mobile radio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Core network protocols; Stage 3", Release 6.
[10]. 3GPP TS 29.060,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GPRS Tunnelling Protocol (GTP) across the Gn and Gp interface", Release 6.
[11]. 3GPP TS 25.331,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6.

Claims (51)

  1.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공급하는 서비스 센터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확립하기 위한 로직으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각각의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것인,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 전송 확립을 위한 로직;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동기화하기 위한 로직
    을 포함하는 서비스 센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인 것인, 서비스 센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이 확립되는 상기 2개의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장치 식별자에 시그널링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서비스 센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모드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인 것인, 서비스 센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인 것인, 서비스 센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서비스 센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서비스 센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 판정 디코딩(soft decision decoding)을 돕기 위한 정보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 전송에 삽입하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센터.
  9.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확립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운반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각각의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것인,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공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인 것인, 서비스 공급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확립되는 상기 2개의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장치 식별자에 시그널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공급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모드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인 것인, 서비스 공급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인 것인, 서비스 공급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서비스 공급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서비스 공급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 판정 디코딩(soft decision decoding)을 돕기 위한 정보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 전송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공급 방법.
  17.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각각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응용 프로토콜 계층에 확립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운반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각각의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것인,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의 수행을 야기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확립되는 상기 2개의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장치 식별자에 시그널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모드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2. 제 17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 판정 디코딩(soft decision decoding)을 돕기 위한 정보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 전송에 삽입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5. 각각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사용자 장치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운반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각각 이용하는 것인, 무선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용 계층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출력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운반하는 것인, 무선 사용자 장치.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제2 데이터 스트림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의 신호 신뢰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상기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하기 위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유닛을 동적으로 선택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인, 무선 사용자 장치.
  28.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연 판정 디코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연 판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인, 무선 사용자 장치.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장치.
  30. 제 25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모드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인 것인, 무선 사용자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인 것인, 무선 사용자 장치.
  32. 제 25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무선 사용자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무선 사용자 장치.
  34.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에서,
    각각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운반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각각 이용하는 것인,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응용 프로토콜 계층에서 응용 계층의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출력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운반하는 것인, 콘텐츠 수신 방법.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 스트림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의 신호 신뢰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상기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하기 위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유닛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수신 방법.
  37. 제 34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연 판정 디코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연 판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수신 방법.
  38.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수신 방법.
  39. 제 34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모드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인 것인, 콘텐츠 수신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인 것인, 콘텐츠 수신 방법.
  41. 제 34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콘텐츠 수신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액세스 기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콘텐츠 수신 방법.
  43.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의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수신기에서,
    각각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제1 전송 모드 및 제2 전송 모드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콘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각각 이용하는 것인,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응용 프로토콜 계층에서 응용 계층의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출력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의 수행을 야기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운반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 스트림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의 신호 신뢰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상기 결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결합하기 위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유닛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6. 제 43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연 판정 디코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연 판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7. 제 43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동기화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8. 제 43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모드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50. 제 43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51. 제 50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무선 액세스 기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인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17004672A 2006-08-11 2007-08-08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 KR20110029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02,928 US8396472B2 (en) 2006-08-11 2006-08-11 Providing multiple data streams by different networks for the same content
US11/502,928 2006-08-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518A Division KR101047091B1 (ko) 2006-08-11 2007-08-08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179A true KR20110029179A (ko) 2011-03-22

Family

ID=388283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672A KR20110029179A (ko) 2006-08-11 2007-08-08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
KR1020097004518A KR101047091B1 (ko) 2006-08-11 2007-08-08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518A KR101047091B1 (ko) 2006-08-11 2007-08-08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96472B2 (ko)
EP (1) EP2055123B1 (ko)
JP (2) JP5143837B2 (ko)
KR (2) KR20110029179A (ko)
CN (1) CN101518105B (ko)
AU (1) AU2007283554B2 (ko)
WO (1) WO2008017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9063B1 (en) * 2006-07-12 2010-1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network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access systems to connect to remote communications network(s)
US20100062800A1 (en) * 2008-09-08 2010-03-11 Agere System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simultaneously
TWI455630B (zh) 2008-12-03 2014-10-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載波聚合上鏈功率餘裕報告
CN102308640A (zh) 2009-02-09 2012-01-0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利用多载波的无线发射/接收单元的上行链路功率控制的装置和方法
KR20120085274A (ko) 2009-10-01 2012-07-3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767536B2 (en) * 2009-11-06 2014-07-01 Intel Corporation Multi-radio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US8521109B2 (en) * 2010-07-29 2013-08-2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information provid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vider
US8712353B2 (en) 2010-07-29 2014-04-2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information provid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vider
US8891438B2 (en) * 2010-09-08 2014-11-18 Intel Corporation Packet-data network and methods for RAN-agnostic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EP2761780A1 (en) 2011-09-30 2014-08-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poin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3056746A1 (en) * 2011-10-21 2013-04-25 Nokia Siemens Networks Oy Bearer service in communications
KR101314472B1 (ko) * 2012-03-08 2013-10-07 주식회사 팬택 원격의 싱크 장치를 표시하는 방법, 이를 위한 소스 장치 및 시스템
KR101598621B1 (ko) * 2012-10-09 2016-03-02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6244009B2 (ja) 2013-04-03 2017-12-0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累積された送信電力制御コマンドおよび対応するアップリンクサブフレームセットに基づいてアップリンク送信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401850B2 (en) * 2013-05-08 2016-07-26 Vringo Infrastructure Inc. Cognitive radio system and cognitive radio carrier device
US9907006B2 (en) 2013-06-03 2018-02-2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ross radio access technology access with handoff and interference management us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data
US9730271B2 (en) * 2013-06-03 2017-08-0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plitting and recombining communications in multi-network environments
US9888422B2 (en) 2013-06-03 2018-02-0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access and handover configuration based on prior history in a multi-RAT environment
US9900637B2 (en) 2013-11-20 2018-02-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WO2016078699A1 (en) * 2014-11-18 2016-05-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uplicated data stream on a dual sim mobile device
US20160174195A1 (en) * 2014-12-11 2016-06-16 Qualcomm Incorporated Embms audio packets protection in dual-sim dual-standby or srlte mobile device
CN111741494B (zh) * 2015-07-14 2023-0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发送设备及接收设备
EP3420695B1 (en) * 2016-02-23 2020-04-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d in user equipment and associated ues
EP4029180A4 (en) * 2019-09-13 2023-10-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 AND MACHINE-READABLE MEDIA RELATING TO TRANSMISSION AND RECONSTRUCTION OF DATA STREAMS USING DUPLICATION OF DAT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6626B (en) * 1994-12-23 1999-07-28 Nokia Mobile Phones Ltd Multi-mode radio telephone
JP3348274B2 (ja) * 1996-10-11 2002-11-20 富士通株式会社 サイトダイバーシチシステム及び基地局及び移動局及び通信制御方法
JP3712812B2 (ja) 1997-03-05 2005-11-02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トダイバシティ受信方法、サイトダイバシティ受信方式を採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上位装置
ATE350868T1 (de) * 2001-05-10 2007-01-15 Nortel Networks Ltd System und verfahren zur umleitung von kommunikation zwischen mobiltelekommunikationsnetzen mit unterschiedlichen funkzugangstechnologien
US7813311B2 (en) 2002-02-05 2010-10-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base stations
US6879574B2 (en) * 2002-06-24 2005-04-12 Nokia Corporation Mobile mesh Ad-Hoc networking
US6954504B2 (en) * 2002-10-25 2005-10-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de combin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869399B2 (en) 2003-01-06 2011-01-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multimedia broadcast services
JP4186705B2 (ja) * 2003-05-21 2008-11-26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の補完視聴サービスサーバ、携帯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補完視聴サービス方式
KR100978924B1 (ko) * 2003-06-19 2010-08-30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전송 모드의 변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전송 서비스 장치
US7318187B2 (en) 2003-08-21 2008-01-08 Qualcomm Incorporated Outer coding methods for broadcast/multicast content and related apparatus
JP4191623B2 (ja) * 2004-01-30 2008-12-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及び移動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091B1 (ko) 2011-07-07
JP5329597B2 (ja) 2013-10-30
JP5143837B2 (ja) 2013-02-13
AU2007283554A1 (en) 2008-02-14
EP2055123A1 (en) 2009-05-06
JP2011142693A (ja) 2011-07-21
CN101518105A (zh) 2009-08-26
CN101518105B (zh) 2012-12-26
US8396472B2 (en) 2013-03-12
AU2007283554B2 (en) 2011-05-19
EP2055123B1 (en) 2015-04-15
JP2010500801A (ja) 2010-01-07
WO2008017694A1 (en) 2008-02-14
US20080039057A1 (en) 2008-02-14
KR20090041418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091B1 (ko) 다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전달 모드를 통해 전달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응용-계층 결합
US11700544B2 (en) Communicating ove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RU23428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объектов радиопротокол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090252076A1 (en) Switching carriers to join a multicast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824351B2 (en) Regulating broadcast overhead message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U2011213704A1 (en) Application-layer combining of multimedia streams delivered over multiple radio access networks and delivery m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