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621B1 -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621B1
KR101598621B1 KR1020120111855A KR20120111855A KR101598621B1 KR 101598621 B1 KR101598621 B1 KR 101598621B1 KR 1020120111855 A KR1020120111855 A KR 1020120111855A KR 20120111855 A KR20120111855 A KR 20120111855A KR 101598621 B1 KR101598621 B1 KR 10159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network
receiving
networks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639A (ko
Inventor
김경아
김경수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1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6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하여 수신하는 장치는, 접속 가능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관리부,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의 헤더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컨텐츠의 헤더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헤더 및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요청부는 상기 스케쥴링의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접속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분할 부분을 수신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contents by dividing through multiple networks and method thereof}
동시에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 등의 모바일 단말은 3G/LTE, WiFi, WiMAX 등 여러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주로 이용되는 3G, LTE 및 WiFi 접속을 비교하면, 3G는 WiFi에 비해서 전송 속도가 느리고, 관리의 편의를 위해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의 커널 또는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다중 네트워크의 동시 접속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LTE에서는 3G에 비해서 전송 속도가 확연히 증가하여 WiFi와 병합 접속시, 사용자 편의성 증대 등 고속 통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다중 네트워크의 동시 접속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종래 병합 전송에 대한 여러 시도가 있었다.
첫번째 방법은 별도의 병합전송 지원서버를 설치함으로써, 단말과 병합전송 지원서버는 이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다중 접속한다. 병합전송 지원서버가 컨텐츠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파일, 동영상 등을 수신하고, 단말에게 각각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파일, 동영상 등을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병합전송 지원서버가 단말과 접속한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한 현재 접속 상태를 실시간으로 단말과 통신하여 계속 감시해야 하고, 각각의 네트워크 접속 상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분배해서 전송해야 하므로 복잡도가 증가한다. 또한, 이 때, 단말로 가는 모든 트래픽은 병합전송 지원서버를 통하는 구조여서, SNS 등 소규모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병합전송을 수행하지 않아도 병합전송 지원서버를 통해야 하는 불합리가 따르며, 병합전송 지원서버에서 트래픽의 병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두번째 방법은 단말의 TCP/IP 커널 스팩을 수정하여 virtual network interface를 따로 두거나 TCP 전송 방법을 수정하는 것으로 널리 단말, 서버들에 보급되어 있는 일반 TCP/IP 커널을 수정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서 확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동시에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전송 속도를 높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하여 수신하는 장치는, 접속 가능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관리부,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헤더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헤더 및 상기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요청부는 상기 스케쥴링의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하여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는 단계,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헤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헤더 및 상기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케쥴링의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수신 장치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단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더 빠른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등 이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를 도시한 표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내역을 도시한 표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수신 시스템은 수신 장치(100), 제 1 네트워크(210) 및 제 2 네트워크(2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및 컨텐츠 서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컨텐츠 수신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100)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각의 네트워크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검색된 복수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할 수 있다. 이 후, 수신 장치(100)는 접속한 네트워크로부터 각각의 IP를 받고, 각각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도 1 에서는 수신 장치(100)가 제 1 네트워크(210) 및 제 2 네트워크(220)에 동시 접속된 상태를 가정하고 기술하겠다.
수신 장치(100)는 제 1 네트워크(210) 또는 제 2 네트워크(220)를 통해 웹 브라우저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유튜브, 다음 tv 팟, 앱스토어 등에 접속하여 다운 받으려는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를 보유하는 컨텐츠 서버(3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 받으려는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의 컨텐츠는 유튜브, 다음 tv 팟, 앱스토어 등과 연동되는 각각의 컨텐츠 서버(300)가 직접 보유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이 때,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에게 해당 컨텐츠의 헤더를 우선적으로 요청할 수 있고, 헤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제 1 네트워크(210) 또는 제 2 네트워크(220)를 통해 해당 컨텐츠의 헤더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100)는 수신한 해당 컨텐츠의 헤더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크기를 파악하고 제 1 네트워크(210) 및 제 2 네트워크(220)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300)에게 네트워크별 분할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별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를 제 1 네트워크(210) 및 제 2 네트워크(2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제 1 네트워크(210) 또는 제 2 네트워크(220)를 통해 해당 컨텐츠의 헤더를 포함하여 기수신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 1 네트워크(210) 및 제 2 네트워크(2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별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분할된 여러 부분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각각의 부분을 순서에 맞게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이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 장치(100)와 분리된 장치일 수도 있고, 수신 장치(100)와 일체를 이루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 때,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식은 파일 다운로드 방식,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일 수 있다.
수신 장치(100)는 WiFi가 안정적으로 지원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사무실 또는 가정에 제공될 LTE 인빌딩 소형 기지국(펨토셀)의 경우, WiFi AP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어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수신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위해, 상기 펨토셀을 검색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210) 및 제 2 네트워크(22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컨텐츠 서버(300)는 수신 장치(100)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서버(300)는 수신 장치(100)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헤더를 우선적으로 수신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서버(300)는 각각의 IP를 갖는 TCP 연결로부터 컨텐츠의 일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해당 TCP 세션으로 전달하고, 상기 과정을 반복한 결과로써, 하나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체를 수신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수신하는 서비스는 수신 장치(100)에 설치되어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수신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100)는 네트워크 관리부(110), 컨텐츠 요청부(120), 수신부(130), 스케쥴링부(140) 및 DB(데이터베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수신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관리부(110)는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부(120)는 컨텐츠 서버(300)에게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요청부(120)는 스케쥴링부(140)에서 수행한 스케쥴링의 내역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300)에게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컨텐츠 요청부(120)에서 요청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헤더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30)는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스케쥴링부(140)에서의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케쥴링부(140)는 수신부(130)에서 수신한 헤더 및 네트워크 관리부(110)에서 분석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DB(19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는 수신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수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190)는 네트워크 관리부(110)에서 분석하는 복수의 네트워크의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190)의 일 예에는 수신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네트워크 관리부(110), 컨텐츠 요청부(120), 수신부(130), 스케쥴링부(140) 및 DB(1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100)는 네트워크 관리부(110), 컨텐츠 요청부(120), 수신부(130), 스케쥴링부(14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 결합부(160), 유저 인터페이스(170), DB(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수신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다.
네트워크 관리부(110)는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부(110)는 상기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률, 평균 전송률, 전송률 편차, 접속 에러 이력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DB에 기록할 수 있다. DB에 기록되는 네트워크 상태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를 도시한 표의 일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종류에는 현재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전송률, 평균 전송률, 전송률 편차, 접속 에러 이력에 대한 목록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RTT(Round Trip Time), Throughput, 분산 등 다양한 목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접속 가능하지만 접속되지 않은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와 함께, 현재 접속 여부를 나타내는 목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관리부(110)는 주기적으로 수신 장치(100)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재분석하고, 재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된 네트워크를 유지하거나, 접속된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끊고, 더 높은 수신률을 갖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등, 접속된 네트워크를 갱신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부(120)는 컨텐츠 서버(300)에게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HTTP Get 메시지를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300)에게 요청될 수 있다. (HTTP Get 메시지는 TCP FIN 메시지를 통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요청은 수신 장치(100)와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 중 선택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300)에게 전송될 수 있고, 선택된 하나의 네트워크는 수신 장치의 사용자가 기설정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컨텐츠 요청부(12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300)에게 선택된 해당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요청부(120)는 스케쥴링부(140)에서 수행한 스케쥴링의 내역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300)에게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 전송 요청은 스케쥴링부(140)에서 스케쥴링된 분할 데이터 크기 및 해당 분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스케쥴링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요청부(120)는 스케쥴링 결과에 대응하여, 컨텐츠 서버(300)에게 수신 장치(100)와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 갯수 만큼의 분할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중 어느 네트워크 요청에 대응하는 분할된 컨텐츠가 수신 완료된 경우,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다음 분할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같은 과정의 반복으로 하기 수신부(300)는 전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요청부(120)는 이전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분할된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분할 전송을 요청함으로써, 분할 전송 요청이 컨텐츠 서버(300)에게 전송되는 시간(one-way trip time) 동안에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컨텐츠 요청부(120)에서 요청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헤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헤더는 수신 장치(100)와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 중 선택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하나의 네트워크는 수신 장치의 사용자가 기설정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컨텐츠 헤더는 컨텐츠의 종류 및 데이터 크기 등을 포함하고, 컨텐츠의 종류가 영상인 경우, 컨텐츠 헤더는 영상의 상영시간(play time), 해상도, bit rate 및 인코딩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30)는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스케쥴링부(140)에서의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케쥴링부(140)는 수신부(130)에서 수신한 헤더 및 네트워크 관리부(110)에서 분석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쥴링부(140)는 스케쥴링의 수행 결과로서 스케쥴링 내역을 상기 DB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140)는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분할 부분의 수신 내역을 DB에 기록할 수 있다. DB에 기록되는 스케쥴링 내역은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내역을 도시한 표의 일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분할 부분(데이터)은 0 내지 2MB 으로서, LTE 네트워크를 통해 기수신했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분할 데이터는 2MB 내지 3MB 으로서,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기수신했음을 의미한다. 제 3 분할 데이터는 3MB 내지 5MB 으로서, LTE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수신 중에 있고, 마찬가지로 제 4 분할 데이터는 5MB 내지 6MB 으로서, WiFi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수신 중에 있음을 나타낸다. 제 4 분할 데이터 이후로는 컨텐츠 서버(300)에게 컨텐츠 요청을 하기 전이고, 스케쥴링이 수행되지 않아서 분할하려는 데이터 크기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고, 이용되는 네트워크 역시 정해지지 않았다. 또한, 분할 번호, 요청 범위, 이용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목록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신 착수 시간, 수신 완료 시간, 수신 소요 시간, 해당 네트워크의 평균 전송 속도, 컨텐츠가 영상인 경우 요청 범위에 따른 play time 범위 등 다양한 목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유튜브, 다음 tv 팟, 앱스토어 등에 접속하여 다운 받으려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 요청부(120)에게 선택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데몬형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컨텐츠는 HTTP Get 메시지를 이용하여 컨텐츠 요청부(120)에게 요청될 수 있다.
결합부(160)는 분할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부(130)에서 수신된 복수의 분할된 컨텐츠를 순서에 맞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60)는 수신부(130)에서 수신된 복수의 분할된 컨텐츠의 데이터 합이 기설정된 데이터 크기 이상인 경우, 수신된 복수의 분할된 컨텐츠만을 순서에 맞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데이터 크기가 5MB인 경우, 결합부(160)는 제 1 내지 제 3 분할 데이터를 전송 받은 후에 제 1 내지 제 3 분할 데이터만을 결합할 수 있다. 제 4 분할 데이터가 제 3 분할 데이터보다 먼저 수신된 경우라도, 각각의 분할 데이터간의 순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라도 결합부(160)는 제 1 내지 제 3 분할 데이터만을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160)는 결합된 데이터를 수신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60)는 결합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에게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를 통해 결합된 데이터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수신 장치(100)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의 목록을 표시하고,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DB(19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는 수신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수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190)는 네트워크 관리부(110)에서 분석된 네트워크 상태 및 스케쥴링부(140)에서 수행하는 스케쥴링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190)의 일 예에는 수신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부(110), 컨텐츠 요청부(120), 수신부(130), 스케쥴링부(140) 및 DB(190)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6을 통해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추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자라면, 네트워크 관리부(110), 컨텐츠 요청부(120), 수신부(130), 스케쥴링부(14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 결합부(160), 유저 인터페이스(170) 및 DB(1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또는 도 3의 수신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01에서 수신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 서버(300)와 연결된 웹사이트, 앱스토어 등에 접속하여 다운받을 컨텐츠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수신 장치(100)는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403에서 접속한 네트워크가 복수개 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21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403에서 접속한 네트워크가 복수개가 아닌 경우, 단계 S403에서 접속한 네트워크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31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403에서 접속한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 컨텐츠 수신 불가 표시를 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수신 불가는 수신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소리 또는 LED 등을 통해 기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422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403에서 접속한 네트워크가 있는 경우, 즉, 단계 S403에서 접속한 네트워크가 1개인 경우, 컨텐츠 서버(300)에 전체 컨텐츠 전송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300)에게 별도의 분할 전송 요청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단계 S422는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가 1개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의 경우, 무료 요금제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는 경제적 요인에 의해 단지 WiFi 만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423에서 수신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 수신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수신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공 또는 표시되는 컨텐츠는 수신이 완료되기 전이라도 어플리케이션에게 제공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300)에게 단계 S401에서 다운받으려고 결정된 컨텐츠의 헤더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12에서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컨텐츠 헤더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14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413에서 수행된 스케쥴링 결과에 대응하여 컨텐츠 서버(300)에게 접속된 네트워크별로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15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413에서 수행된 스케쥴링 결과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접속된 네트워크별로 분할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16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415에서 수신이 시작된, 분할된 컨텐츠에 대한 수신이 완료됐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완료에 대한 판단은, 스케쥴링된 네트워크의 최저 전송속도에 대응하여 수신 완료가 예상되는 시간이 초과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416에서 수신 장치(100)가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 분할된 컨텐츠의 수신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 단계 S414으로 돌아갈 수 있고, 이 때, 수신 장치(100)는 DB에 접속 에러 이력을 기록할 수 있다.
단계 S416에서 수신 장치(100)가 소정의 시간 내에 분할된 컨텐츠의 수신을 완료한 경우, 단계 S417에서 수신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를 결합할 수 있고, 결합된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 수신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수신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이다.
단계 S418에서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전체에 대한 수신을 완료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8에서 컨텐츠 전체에 대한 수신이 완료됐다고 판단되는 경우, 모든 과정은 종료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413으로 돌아갈 수 있다. 단계 S413으로 돌아가는 경우,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의 수신된 부분을 제외한, 수신되지 않은 부분에 한하여 컨텐츠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술한 단계들(S401~S431)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 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401은 단계 S403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고, 단계 S416에서 컨텐츠 수신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 단계 S415만을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403은 기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고,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또는 도 3의 수신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01에서 수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100)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701에서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접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는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300)에게 컨텐츠의 헤더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단계 S703에서 요청한 컨텐츠의 헤더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704에서 수신한 헤더 및 단계 S701에서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수신 장치(100)는 단계 S705에서의 스케쥴링 내역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300)에게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수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100)와 접속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단계 S706에서의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분할 부분을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신 장치
210: 제 1 네트워크
220: 제 2 네트워크
300: 컨텐츠 서버

Claims (22)

  1.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하여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관리부;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헤더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헤더 및 상기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요청부는 상기 스케쥴링의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되,
    상기 컨텐츠는 HTTP Get 메시지를 이용하여 요청되고, HTTP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 중 선택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헤더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의 네트워크는 수신 장치의 사용자가 기설정한 네트워크 또는 상기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네트워크인,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WiGig(Wireless Gigabit)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요청한 컨텐츠를 파일 다운로드 방식 또는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하는, 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 요청부에게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요청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데몬형 어플리케이션인, 수신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헤더는 컨텐츠의 종류 및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한 컨텐츠의 종류가 영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헤더는 상기 영상의 상영시간, 해상도, bit rate 및 인코딩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
  11.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하여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관리부;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헤더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헤더 및 상기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요청부는 상기 스케쥴링의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상기 네트워크 관리부는 상기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률, 평균 전송률, 전송률 편차 및 접속 에러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DB(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스케쥴링 내역을 상기 DB에 기록하는,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의 분할 부분의 수신 내역을 DB에 기록하는, 수신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전송의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복수의 분할된 컨텐츠를 순서에 맞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분할된 컨텐츠의 데이터 합이 기설정된 데이터 크기 이상인 경우, 수신된 복수의 분할된 컨텐츠만을 순서에 맞게 결합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게 제공하는, 수신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를 재분석하고, 상기 재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된 네트워크를 갱신하는, 수신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에서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가 하나인 경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 요청 없이 상기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접속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네트워크가 하나인 경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 요청 없이 상기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전송 요청은 스케쥴링된 분할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분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스케쥴링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에서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 컨텐츠 수신 불가를 표시하는, 수신 장치.
  22.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하여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는 단계;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헤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헤더 및 상기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네트워크별 분할 요청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케쥴링의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의 분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할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는 HTTP Get 메시지를 이용하여 요청되고, HTTP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수신 방법.
KR1020120111855A 2012-10-09 2012-10-09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9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855A KR101598621B1 (ko) 2012-10-09 2012-10-09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855A KR101598621B1 (ko) 2012-10-09 2012-10-09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639A KR20140046639A (ko) 2014-04-21
KR101598621B1 true KR101598621B1 (ko) 2016-03-02

Family

ID=5065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855A KR101598621B1 (ko) 2012-10-09 2012-10-09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9739B2 (en) 2018-10-16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data in multi-conne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6472B2 (en) * 2006-08-11 2013-03-12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81 Llc Providing multiple data streams by different networks for the same content
KR101260844B1 (ko) * 2006-09-07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모드 망에서 무선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수행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에 의한 무선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방법
KR101209196B1 (ko) * 2011-02-23 2012-12-06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이종(異種)망을 병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263672B1 (ko) * 2012-09-14 2013-05-21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이종(異種)망을 병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9739B2 (en) 2018-10-16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data in multi-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639A (ko)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1679B2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選択方法、ユーザ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105237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caching of delivered media
US10069705B2 (en) Data usage profiles for users and applications
EP28054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pre-fetching of media
JP7109044B2 (ja) 改善された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の速度およびセキュリティのためのシステム
EP27743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method for delivery of media
US20120303818A1 (en) Edge-based resource spin-up for cloud computing
CN102948125A (zh) 用于传送内容对象的系统和方法
US8787882B2 (en) Resource profile adjustment for pre-fetching of assets to user equipment
US20210360476A1 (en) Method for downloading data and terminal device
US20210022060A1 (en) Pre-steering traffic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0244550B2 (en) Technique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content in an access network
JP6415613B2 (ja) 情報配信装置、プッシュ通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98621B1 (ko)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분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364096A1 (en) Information sharing for third party applications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KR20190072326A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US9824374B1 (en) Radio access network adaptive mobile advertisement delivery
JP6127081B2 (ja) 情報配信装置、プッシュ通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02923B1 (ko) 캐시 장치에 사전 배포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캐시 장치
KR20170045586A (ko) 네트워크 환경 적응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단말 및 시스템
KR102147053B1 (ko)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Sedlar et al. Deploying and managing a network of autonomous internet measurement probes: Lessons learned
CN112491936B (zh) 多接入边缘计算方法、设备和系统
US20180227220A1 (en) Router Cooperation
Ryou Adaptive load balancing metric for wl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