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326A -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326A
KR20190072326A KR1020170173589A KR20170173589A KR20190072326A KR 20190072326 A KR20190072326 A KR 20190072326A KR 1020170173589 A KR1020170173589 A KR 1020170173589A KR 20170173589 A KR20170173589 A KR 20170173589A KR 20190072326 A KR20190072326 A KR 20190072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management
user terminal
management apparatus
network
roam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101B1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7Selecting a data network PoA [Point of Attac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가 타 데이터 망에 접속 시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청 메시지인 NSSAI 내에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접속 필요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에 대한 선택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함으로써 타 데이터 망 내 구축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aming Service based on Network Slicing}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타 국가로 이동 시 사전 로밍 절차의 신청없이도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한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5G 네트워크 기술은 4G LTE 이동 통신 기술의 후속 기술로서, 유선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모든 대상들이 고도로 융합된 단대단 (End-to-End; E2E)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5G 네트워크의 새로운 구조적 특징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라디오 엑세스 네트워크 (Radio Access Network; RAN) 및 코어 네트워크 (Core Network; CN) 구조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기술의 도입이다. 이는 네트워크 자원과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들을 개별 서비스에 따라 하나의 독립적인 슬라이스로 묶어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시스템 기능 및 자원의 분리(Isolation), 맞춤형(Customization), 독립적 관리(Independent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등의 속성을 이동 통신 네트워크 구조에 적용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이용하면, 서비스, 사용자, 비즈니스 모델 등의 기준에 따라 5G 시스템의 네트워크 기능들을 선택 및 조합하여 독립적이고 유연한 5G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최근,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다양한 5G 서비스에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통한 로밍 서비스의 지원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방법 및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통한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그 복잡도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가 타 데이터 망에 접속 시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청 메시지인 NSSAI 내에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접속 필요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에 대한 선택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함으로써 타 데이터 망 내 구축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에 기반한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상기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 식별번호 및 상기 선택 보조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할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상기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를 선별하고,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한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최초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경로 변경(NAS Rerout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으로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절차를 통지하는 관리부; 및 상기 기지국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신호를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접속 요청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선택된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의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로밍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상기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식별번호 및 상기 선택 보조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할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상기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를 선별하고,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로밍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최초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으로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절차를 통지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타 데이터 망에 접속 시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청 메시지인 NSSAI 내에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접속 필요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에 대한 선택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함으로써 타 데이터 망 내 구축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으로의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전 로밍 절차의 신청없이도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으로의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국내 통신 사업자의 정책, DPI, 과금 처리방식 및 부가서비스 등을 타 지역에서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성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성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활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구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제1 데이터 망(110) 및 제2 데이터 망(12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를 포함한 통신 중개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및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로밍 서비스의 지원 대상이되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각각이 가입한 국내 통신 사업자의 정책 및 자원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한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타 지역(국가) 내로 이동 시 종래와 같이 해당 지역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망에 접속하는 방식이 아닌 국내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화 데이터 망으로의 접속이 적응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을 통해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전 로밍 절차의 신청 없이도 타 지역 내에서 국내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정책 및 자원을 그대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로밍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는 타 데이터 망에 접속 시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청 메시지인 NSSAI 내에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접속 필요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에 대한 선택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한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데이터 망(110)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타 지역(국가) 내로 이동 시 로밍 서비스의 지원과 관련하여 최초 접속을 시도하는 데이터 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 데이터 망(110)는 로밍 영역 내 타 통신 사업자에 의해 기 제공되는 데이터 망을 의미한다.
제1 데이터 망(110)은 자국(=타 지역) 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독립적인 인프라 환경이 구축된다. 이러한, 인프라 환경은 기본적으로 5G의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데이터 망(110)은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로밍 서비스의 지원과 관련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 경로를 설정 및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상기 로밍 서비스의 지원과 관련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이하, 제2 데이터 망으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으로의 이동이 적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해,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 망(120)에 대한 검색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화 인프라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가상화 인프라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검색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합한 제2 데이터 망(120)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2 데이터 망(120)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로밍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가 로밍 서비스의 지원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 경로를 설정 및 변경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의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데이터 망(12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 실질적인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2 데이터 망(120)은 국내 통신 사업자에 의해 타 지역 내에서 구축된 가상화 데이터 망을 의미한다. 즉, 제2 데이터 망(120)은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국내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 사업자를 통해 기 제공되던 국내 인프라 환경을 가상화된 방식으로 구현하여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토록 동작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 데이터 망(120)은 타 지역 내 구비된 가상화 인프라 장치 내 소프트웨어의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데이터 망(120)은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국내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기 제공되던 네트워크 자원 및 기능들을 하나의 독립적인 슬라이스 형태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데이터 망(120)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를 포함하며,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로밍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상기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내 이동성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부터 수신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로밍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해,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부터 수신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으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를 통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가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부터 수신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의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200) 및 수행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의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요소 중 본 실시에에 따른 로밍 서비스 지원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혹은 상이한 구성요소를 가짐을 인식하여야 한다.
통신부(200)는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데이터 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00)는 기지국을 통해 제1 데이터 망(110) 내 존재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 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통신부(200)가 최초 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기지국의 정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통신부(200)가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 송신하는 접속 요청신호 내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 사업자에 대하여 기 부여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ID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이하, 선택 보조정보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는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일 수 있다. 이러한, NSSAI에는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접속 필요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NSSAI에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슬라이스/서비스 타입정보 및 슬라이스 구별 속성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NSSAI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도 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부(200)가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 송신하는 접속 요청신호 내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번호, 기기 ID, SUPI 및 GUTI 등의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수행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실질적인 로밍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수행부(210)는 상기의 접속 요청신호에 기반하여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부터 선택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 및 기지국 사이에 연동을 통해 적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행부(210)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적응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접속 요청 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와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접속 요청신호의 재송수신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
한편, 수행부(210)가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와의 사이에 수행하는 접속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성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통신부(300), 선택부(310) 및 전송부(320)를 포함한다.
통신부(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이 사이에 데이터 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필요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선택부(310)는 통신부(300)를 통해 수신한 접속 요청신호 내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선택 보조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할당할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선택부(310)에 수행되는 기능은 타 데이터 망 내 구축된 국내 통신 사업자의 가상화 데이터 망 중 상기의 로밍 서비스의 지원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할당 가능한 최적의 가상화 데이터 망을 선별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하, 선택부(310)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선택부(310)는 네트워크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로밍 서비스에 대한 대상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선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부(310)는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검색 요청신호를 가상화 인프라장치로 송신하고, 검색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가상화 인프라장치로부터 상기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군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가상화 인프라장치는 타 통신 사업자와 국내 통신 사업자와 사이에 협약을 통해 구축될 수 있으며,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국내 서비스의 지원과 관련된 복수 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소프트웨어 형태로 저장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가상화 인프라장치 내 저장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는 각각이 고유의 가상화 데이터망으로써 상기의 국내 서비스별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기 제공되던 네트워크 자원 및 기능들을 하나의 독립적인 슬라이스 형태로 제공한다.
한편, 선택부(310)가 가상화 인프라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후보군 정보는 후보 대상이 되는 네트워스 슬라이스 인스턴스 내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 중 이동성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ex: 이동성 관리장치)에 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부(310)는 가상화 인프라장치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후보군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후보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어느 하나의 후보군을 최종 후보군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부(310)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00)와 각각의 후보군 정보에 상응하는 이동성 관리장치 사이에 논리적 또는 물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의 최종 후보군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택부(310)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00)와 각각의 후보군 정보에 상응하는 이동성 관리장치 사이의 통신 구간에 대한 대역폭 및 지연시간에 기반하여 상기의 최종 후보군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전송부(320)는 선택부(310)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스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상기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이동성 관리장치(이하,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를 선별한다.
전송부(320)는 선별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접속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320)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 사용자 단말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에 대한 콘텍스트(Context) 정보를 포함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로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청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성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프로세서(400), 메모리(410), 통신부(412), 관리부(414) 및 수행부(416)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은 각각 별도의 소프트웨어 장치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메모리(4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410)는 프로세서(4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때, 메모리(4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프로세서(4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0)로 하여금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국내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기 제공되던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예컨대, 프로세서(400)에 의해 상기의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 통신부(412), 관리부(414) 및 수행부(416)와 같은 기능 모듈들을 순차적으로 불려와 동작될 수 있다.
통신부(412)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부터 경로 변경(NAS Rerout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412)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부(414)는 통신부(412)를 통해 수신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으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를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부(414)는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 내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통해 현재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 중인 기지국을 식별하고, 식별된 기지국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관련한 이동성 관리장치의 재배치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관리부(414)과 기지국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이동성 관리장치를 재배치하는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수행부(416)는 관리부(414)와 기지국 사이에 수행되는 상기의 재배치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행부(416)는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 내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통해 접속 절차의 수행 대상이 되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상기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행부(416)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접속 요청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수행부(416)가 상기의 접속 요청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상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활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활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은 ① 내지 ⑪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① 사용자 단말기(100)는 기지국을 통해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 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①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한 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②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단계 ①의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로밍 서비스 대상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③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단계 ①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 망(120)에 대한 검색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화 인프라 장치로 제공한다.
④, ⑤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단계 ③의 검색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가상화 인프라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에 할당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후보군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⑤에서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가 가상화 인프라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후보군 정보는 후보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내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 중 이동성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⑥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단계 ⑤에서 수신하는 후보군 정보 중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합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스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이동성 관리장치(ex: 제2 이동성 관리장치)를 선별한다.
⑦ 제1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단계 ⑥에서 선별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⑧ ~ ⑨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단계 ⑦에서 수신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기지국으로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으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를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⑩ ~ ⑪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602).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단계 S602에서 수신한 네트워크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로밍 서비스 대상 여부를 확인한다(S604).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단계 S604의 확인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가 로밍 서비스 대상 단말기인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계 S602에서 수신한 선택 보조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할당할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한다(S608). 단계 S608에서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검색 요청정보를 가상화 인프라장치로 송신하고, 검색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가상화 인프라장치로부터 상기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는 단계 S608에서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를 선별하고, 선별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다(S610).
여기서, 단계 S602 내지 S610은 앞서 설명된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112)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와 관련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702).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단계 S702에서 수신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으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를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704). 단계 S704에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 내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통해 현재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 중인 기지국을 식별하고, 식별된 기지국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관련한 이동성 관리장치의 재배치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단계 S70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S706). 단계 S706에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 내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통해 접속 절차의 수행 대상이 되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식별한다.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접속 요청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계 S702 내지 S706은 앞서 설명된 제2 이동성 관리장치(122)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6 및 도 7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 및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 및 도 7에 기재된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구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싱 구조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자원과 네트워크 기능들을 개별 서비스에 따라 하나의 독립적인 슬라이스로 묶어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시스템 기능 및 자원의 분리, 맞춤형, 독립적 관리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스 슬라이싱 구조에 의하는 경우 5G 시스템의 네트워크 기능들을 선택 및 조합하여 독립적이고 유연한 5G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싱 구조는 가상화 인프라 장치를 통해 국내 서비스별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기 제공되던 네트워크 자원 및 기능들을 하나의 독립적인 슬라이스 형태로 제공한다. 이러한, 가상화 인프라장치 내 저장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는 각각이 고유의 가상화 데이터 망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스라이싱 구조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전 로밍 절차의 신청 없이도 타 지역 내에서 국내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정책 및 자원을 그대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로밍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제1 데이터 망
112: 제1 이동성 관리장치 120: 제2 데이터 망
122: 제2 이동성 관리장치 200, 300, 412: 통신부
210, 416: 수행부 310: 선택부
320: 전송부 400: 프로세서
410: 메모리 414: 관리부

Claims (16)

  1.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에 기반한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상기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 식별번호 및 상기 선택 보조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할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상기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를 선별하고,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보조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하는 슬라이스/서비스 타입정보 및 슬라이스 구별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네트워크 식별번호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로밍 서비스에 대한 대상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 보조정보에 기반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과정을 선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검색 요청정보를 가상화 인프라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검색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화 인프라장치로부터 상기 로밍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후보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는,
    상기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국내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기 제공되던 네트워크 자원 및 기능들을 하나의 독립적인 슬라이스 형태로 제공하는 가상화 데이터 망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군 정보는,
    후보 대상이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내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 중 이동성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
  8.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한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최초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경로 변경(NAS Rerout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으로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절차를 통지하는 관리부; 및
    상기 기지국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수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하여금 상기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국내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기 제공되던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기지국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상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에 매칭되는 특정 기지국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한 이동성 관리장치의 재배치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행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상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
  12.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신호를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접속 요청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선택된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의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수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성 관리장치는, 로밍 영역 내 타 통신 사업자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 망 상에 존재하는 이동성 관리장치이며,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는 상기 로밍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상화 인프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내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행부는,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와의 사이에 추가 접속 요청신호 송수신없이 상기 접속 요청신호에 기반한 상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5.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로밍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정보 및 상기 로밍 서비스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선택을 위한 선택 보조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식별번호 및 상기 선택 보조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할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상기 로밍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를 선별하고,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접속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
  16.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로밍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제2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밍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최초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으로 상기 제2 이동성 관리장치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절차를 통지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성 관리장치의 이동성 관리방법.
KR1020170173589A 2017-12-15 2017-12-15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01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89A KR102014101B1 (ko) 2017-12-15 2017-12-15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89A KR102014101B1 (ko) 2017-12-15 2017-12-15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326A true KR20190072326A (ko) 2019-06-25
KR102014101B1 KR102014101B1 (ko) 2019-10-21

Family

ID=6706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589A KR102014101B1 (ko) 2017-12-15 2017-12-15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637A (ko) * 2019-07-12 2021-01-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지컴퓨팅관리장치 및 에지컴퓨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31674A (ko) * 2019-07-12 2021-03-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지컴퓨팅관리장치 및 에지컴퓨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3100A1 (en) * 2015-12-29 2017-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enabl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7135860A1 (en) * 2016-02-05 2017-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enabl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70332226A1 (en) * 2016-05-16 2017-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aming support for next generation slice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3100A1 (en) * 2015-12-29 2017-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enabl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7135860A1 (en) * 2016-02-05 2017-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enabl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70332226A1 (en) * 2016-05-16 2017-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aming support for next generation slice architec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637A (ko) * 2019-07-12 2021-01-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지컴퓨팅관리장치 및 에지컴퓨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WO2021010661A1 (ko) * 2019-07-12 2021-01-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지컴퓨팅관리장치 및 에지컴퓨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31674A (ko) * 2019-07-12 2021-03-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지컴퓨팅관리장치 및 에지컴퓨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CN113396574A (zh) * 2019-07-12 2021-09-14 Sk电信有限公司 边缘计算管理装置以及边缘计算管理装置的操作方法
US11882622B2 (en) 2019-07-12 2024-01-23 Sk Telecom Co., Ltd. Edge computing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edge computing management device
CN113396574B (zh) * 2019-07-12 2024-04-12 Sk电信有限公司 边缘计算管理装置以及边缘计算管理装置的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101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711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サービスレベル合意を保証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N107295609B (zh) 网络切片处理方法及装置、终端、基站
US10939404B2 (en) User-equipment location area updating method, access network entity, user equipment and core network entity
CN108322937B (zh) 无线接入网中用于网络切片的资源分配方法和编排器
JP6908720B2 (ja) コアネットワーク制御プレーンデバイス選択方法および装置
JP7184922B2 (ja) Ueのためにポリシー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1102827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9429283B (zh) 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09561485A (zh) 一种通信方法、接入网设备、核心网设备和用户设备
US2007029442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network addresses
US10779201B1 (en) Mobile phone authentication in WiFi coverage
CN115039391A (zh) 用于提供边缘计算服务的方法和装置
CN110062391A (zh) 用于具有扩展覆盖能力的设备的自适应寻呼技术
KR20200043456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WO2019024617A1 (zh) 一种终端接入核心网的方法、基站及终端
US20210289388A1 (en) Network Offload Method and Relevant Device
KR20190072326A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EP3955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nd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in edge computing system
CN116782345A (zh) 通信方法、通信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15412993A (zh) 中继发现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EP415678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5362713A (zh) 用于网络切片感知公共陆地移动网络选择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JP2020194990A (ja) ノード群及びマイグレーション方法
WO2024032156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4915617B (zh) 一种http更新的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