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885A -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885A
KR20110028885A KR1020090086516A KR20090086516A KR20110028885A KR 20110028885 A KR20110028885 A KR 20110028885A KR 1020090086516 A KR1020090086516 A KR 1020090086516A KR 20090086516 A KR20090086516 A KR 20090086516A KR 20110028885 A KR20110028885 A KR 2011002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ag
order
parcel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076B1 (ko
Inventor
송재관
구훈영
김영곤
허홍석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8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076B1/ko
Priority to JP2010088484A priority patent/JP5156789B2/ja
Priority to DE102010027781A priority patent/DE102010027781A1/de
Publication of KR2011002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B07C3/1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detec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편물 공급부에 설치된 센서가 태그가 부착된 소포 우편물의 공급을 감지하면, RFID 리더부는 소포 우편물의 태그를 읽어들여 태그 ID를 추출하고, 추출한 태그 ID를 이용하여 순로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순로 파일 정보를 토대로, 소포 우편물이 적재된 트레이를 순서화한 후 순로 파일을 토대로 순서화된 트레이를 검증한다. 검증이 완료되면, 트레이에 적재된 소포 우편물을 적재부로 적재되도록 하여, 우편물이 자동으로 순서화되도록 한다.
소포 우편물, 순로 구분, 분기, 태그 ID, 트레이

Description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Delivery sequence sorting system and method of parcel item}
본 발명은 소포 우편물을 배달하기 앞서 순서화하는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편 집중국으로 모아지는 소포 우편물을 처리하는 절차는 도 1의 일반적인 소포 우편물 처리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우체국 직원이 소포 우편물을 발송하길 원하는 발송인에게 방문하여 소포 우편물을 수취하거나 발송인이 소포 우편물을 직접 접수국에 접수하면, 소포 우편물은 발송 우편 집중국으로 보내져 지역별로 발송 구분된다. 그리고 나서 교환 센터를 통해 구분된 소포 우편물이 지역별로 교환되고, 교환된 소포 우편물은 도착 우편 집중국으로 보내져 관할 우체국 단위로 도착 구분된다.
관할 우체국 단위로 구분된 소포 우편물은 배달국으로 운송되고, 배달국으로 운송된 우편물은 배달원의 담당 구역 별로 구분된다. 그 다음 배달원에 의해 배달원이 우편물을 배달하는 순서에 따라 수작업으로 순로 구분되고, 발송 목적지로 배달된다. 이때, 교환 센터를 거치지 않고 발송 우편 집중국과 도착 우편 집중국간에 직접적으로 교환되는 우편물도 있는데, 이는 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예외적으로 진행하는 교환이다.
여기서 발송 우편 집중국에서 수행되는 발송 구분이란, 타 지역으로 우편물을 보내기 위해 발송 집중국에서 전국의 25개 집중국 단위로 소포 우편물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착 우편 집중국에서 수행되는 도착 구분이란 자국이 관할하는 배달국 단위로 소포 우편물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발송 구분과 도착 구분을 위해 소포 구분기(PSM: Parcel Sorting Machine)를 사용한다. 소포 우편물에 부착된 우편 번호 바코드를 소포 구분기 내의 스캐너를 통해 인식하거나 작업자가 우편 번호를 소포 구분기를 통해 입력하여, 소포 우편물에 대응하는 집중국이나 배달국 구분 칸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한다. 집중국이나 배달국 단위로 구분된 우편물은 운송 용기인 파렛(Pallet)에 담겨 차량에 실려 운송된다.
배달국으로 운송된 소포 우편물은 도 2의 일반적인 배달국 소포 우편물 처리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에 도시된 절차에 따라 처리된다. 발송 목적지로 소포 우편물을 배달하기 위해, 소포 우편물이 배달원별로 할당되고, 배달원은 각각 자신의 우편물 배달 순서에 따라 순로 구분한 뒤 배달을 시작한다.
이때 배달을 위해 배달원이 하는 순로 구분 작업은 전적으로 배달원의 경험에 의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의 과다 소요, 작업 결과의 부정확, 작업 효율의 저하로 이어지고, 결국 소포 우편물 처리 원가가 상승하거나 배달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RFID 기반으로 소포와 같은 우편물의 배달 순서를 소포 순로 구분기를 이용하여 순서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소포 우편물을 순서화하는 시스템은,
태그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소포 우편물들을 인지하고, 상기 태그로부터 태그 ID를 추출하는 우편물 투입부; 상기 우편물 투입부에서 추출한 태그 ID 및 상기 태그 ID에 대응하는 소포 우편물의 도착지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순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태그 ID에 대한 순로 파일 정보를 생성하는 순로 생성부; 상기 시스템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소포 우편물들이 각각 적재되어 있는 트레이를 순서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순서화된 트레이의 순서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소포 우편물을 순서화하는 방법은,
태그가 부착된 소포 우편물의 공급을 감지하면, 상기 소포 우편물의 태그를 읽어들여 태그 I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태그 ID를 이용하여 순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순로 파일 정보를 토대로, 상기 소포 우편물이 적재된 트레이를 순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순로 파일을 토대로 순서화된 트레이를 검증하 여,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소포 우편물을 적재부로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편물 배달 순서화 시스템을 이용한 순로 구분을 통해 우편물의 순서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순서화 작업 결과의 정확성이 증대된다. 또한, 우편물 처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우편물 배달 순서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배달 순서화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 배달 순서화 시스템(100)은 우편물 투입부(110), 정보 저장부(120), 제어부(130), 순로 파일 생성부(140), 검증부(150) 및 적재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우편물 투입부(110)는 우편물 공급부(111) 및 RFID 리더부(112)를 포함한다. 정보 저장부(120)는 주소 ID 저장부(121) 및 태그 ID 저장부(122)를 포함하며, 정보 저장부(120)는 우편물 배달 순서화 시스템(100) 내부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디버터(diverter) 제어부(131), 트레이(Tray) 제어부(132) 및 시스템 제어부(133)를 포함한다.
우편물 공급부(111)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태그가 부착된 소포 우편물을 감지하여 RFID 리더부(112)가 활성 상태로 상태 변환될 수 있도록 시스템 제어부(133)에 상태 변환 요청 정보를 전달한다.
RFID 리더부(112)는 시스템 제어부(133)로부터 상태 변환 지시 정보를 받으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소포 우편물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 ID를 추출한다. RFID 리더부(112)가 추출한 태그 ID는 태그 ID 저장부(122)로 전달된다.
태그 ID 저장부(122)는 RFID 리더부(112)에서 추출한 태그 ID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태그 ID 저장부(122)는 주소 ID 저장부(121)와 연동하여, 태그 ID에 대응되는 소포 우편물의 도착지 주소 정보를 전달받아 함께 저장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33)에서 센싱한 트레이를 해당 구간에 순로 구분기 서클로 분기한 경우, 소포 우편물의 분기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소포 우편물을 적재하고 있는 트레이가 센싱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도 저장한다.
주소 ID 저장부(121)는 태그 ID에 대응되는 소포 우편물의 도착지 주소와 태그 ID가 일대 일 대응되도록 저장되어 있으며, 주소 ID 저장부(121)와 태그 ID 저장부(122)는 서로 연동되어 태그 ID의 추출만으로도 태그 ID에 대응되는 도착지 주 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순로 파일 생성부(140)는 소포 우편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순로 정보를 토대로, 소포 우편물의 배송 순서를 결정하여 순서화하기 위한 순로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디버터 제어부(131)는 수평 상태의 트레이가 순로 구분기의 바깥쪽 서클(Circle)(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서클이라 지칭함)에서 안쪽 서클(이하, 제2 서클이라 지칭함)로 분기되어 유입되도록 디버터를 제어한다. 또한, 제2 서클에 위치한 트레이가 제1 서클의 해당 위치로 트레이가 유입되도록 제2 서클에 위치한 복수의 디버터를 제어한다.
트레이 제어부(132)는 소포 우편물이 적재되어 있는 트레이의 상태를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변화시켜, 순서화가 완료된 트레이에 적재되어 있는 소포 우편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133)는 우편물 투입부(110), 정보 저장부(120), 디버터 제어부(131), 트레이 제어부(132), 검중부(150) 및 적재부(160)를 제어한다. 그리고 순로 구분기의 트레이 서클을 따라 이동하고 있는 트레이 중에서 첫 번째 배달되어야 할 소포 우편물을 적재하고 있는 트레이를 찾아내어, 이후 트레이들이 순서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순로 구분기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트레이에 적재된 소포 우편물의 정보를 수신하고 순로 파일 생성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순로 파일과 비교하여 확인한다.
검증부(150)는 소포 우편물이 트레이에 놓여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정렬되 어 순서화되면, 정렬된 순서를 감지하여 순로 파일 생성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순로 파일에 따라 정렬되어 있는지 검증한다. 검증이 완료될 때까지 트레이는 계속 이동하게 된다.
적재부(160)는 검증부(150)에서 검증이 완료되면 트레이에 놓인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다. 이때 트레이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트레이의 상태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기울여져 트레이에 적재된 소포 우편물이 파렛트 등과 같은 적재장비에 적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우편물 배달 순서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포 우편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배달 처리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배달 순서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순서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 공급부(111)는 태그가 부착된 소포 우편물이 투입되는 것을 감지한다(S100). 그러면, 활성 상태로 상태가 변환된 RFID 리더부(112)는 소포 우편물에 부착된 태그를 읽어들여 태그 ID를 추출한 후(S110), 추출한 태그 ID를 태그 ID 저장부(122)로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다(S120). 이와 동시에 태그 ID 저장부(122)는 주소 ID 저장부(121)를 참조하여, 태그 ID에 대응되는 소포 우편물의 도착지 주소 정보도 함께 저장한다(S120).
여기서 주소 ID 저장부(121)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 ID는 전국의 소포 우편물이 배달되는 도착지 번지까지의 주소와 대응되는 유일한 것이다. 주소 ID 저장 부(121)는 순로 구분기 내부의 서버에 위치할 수도 있고, 혹은 외부의 서버에 구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소포 우편물에 부착된 태그를 RFID 리더부(112)가 인식하여 태그 ID를 추출하면, 추출한 태그 ID에 대응하는 주소도 자동으로 알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순로 파일 생성부(140)는 배달될 소포 우편물의 순로 파일도 생성된다(S140).
RFID 리더부(112)는 소포 우편물의 공급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30). 만약, 소포 우편물의 공급이 계속되면, RFID 리더부(112)는 소포 우편물의 감지를 지속하면서 태그 ID를 추출한다. 그러나 소포 우편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순로 파일 생성부(140)는 태그 ID 저장부(122)에 저장된 태그 ID 및 도착지 주소 정보를 토대로, 감지한 소포 우편물의 배달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순로 파일을 생성한다(S14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포 우편물의 공급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RFID 리더부(112)가 확인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RFID 리더부(112)가 RFID 태그를 읽어 들이지 않을 경우 소포 우편물의 공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순로 파일 생성부(140)가 순로 파일을 생성하면, 시스템 제어부(133)는 순로 구분기로 유입된 소포 우편물의 순서화를 수행한다(S150). 여기서 시스템 제어부(133)는 순로 파일 생성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순로 파일을 토대로 소포 우편물의 순서화를 수행하는데, 순로 구분기의 트레이가 우편물을 적재하고 있기 때문 에 트레이를 순서화하는 작업이 곧 소포 우편물의 순서화를 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트레이를 순서화하는 절차를 도 5와 도 6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시스템 제어부(133)는 순로 구분기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센싱한 정보를 전달받아 순로 파일을 토대로 가장 먼저 배달될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 트레이(이하, 제1 트레이라 지칭함)를 찾는다(S151). 여기서 센서의 위치는 순로 구분기의 여러 곳에 장착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트레이들을 센싱하는 센서의 위치가 도 6의 A 지점(Point A) 근처에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제어부(133)는 센서가 센싱한 트레이가 제1 트레이인지 판단한다(S152). 만약 제1 트레이라면, 디버터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해, A 지점에 있는 디버터는 해당 트레이가 제1 서클을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분기한다(S153). 이와 동시에 태그 ID 저장부(122)는 제1 트레이에 적재된 소포 우편물의 태그 ID 저장 위치에 별도의 표시를 통해, 제1 트레이가 센싱 되었음을 표기해둔다. 그러나 S15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센싱한 트레이가 제1 트레이가 아니라면, 제1 트레이를 센싱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트레이들을 센싱한다.
다음 S152 단계 및 S153 단계에 따라 제1 트레이가 제1 서클로 분기되면, 시스템 제어부(133)는 제1 트레이 뒤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레이가 제2 트레이인지 판단한다(S154). 여기서 제2 트레이는 두 번째 순서로 배달되어야 할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 트레이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S153 절차에 따라 태그 ID 저장부(122)에는 제1 트레이가 센싱 되었음을 알리는 표기 이외에 다른 표시가 표기되어 있지 않으므로, S154 단계에서 판단하는 제2 트레이는 두 번째 순서로 배달되어야 할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 트레이가 된다.
즉, S153 단계에서 제1 트레이가 센싱되면 시스템 제어부(133)는 태그 ID 저장부(122)에 제1 트레이에 적재된 소포 우편물의 태그 ID가 저장된 위치에 제1 트레이가 센싱 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입력되도록 지시한다. S152 단계를 통해 트레이를 센싱하여 구분하는 것은, 가장 처음 배달되어야 할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 트레이를 센싱하여 분기한 것이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태그 ID 저장부(122)의 센싱 정보 입력 영역에는 제1 트레이의 센싱 완료 정보만이 저장되어 있다.
S154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트레이가 두 번째 순서로 배달되어야 할 소포 우편물이 아니라면, 디버터 제어부(131)는 해당 트레이를 제2 서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A 지점의 디버터를 제어하여, 센싱한 트레이가 순서화 구간(Tray Sequencing Section)에 위치하도록 한다(S156). 이와 동시에 태그 ID 저장부(122)는 제2 서클로 이동한 트레이의 태그 ID에 해당 트레이를 센싱하였음을 알리는 별도의 표시를 해둔다.
그러나 제2 트레이가 두 번째 순서로 배달되어야 할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 트레이라면, 디버터 제어부(131)는 해당 트레이를 제1 트레이 뒤를 이어 제1 서클로 분기하여 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디버터를 제어한다(S155). 이와 같은 절차를 반복하면서 시스템 제어부(133)는 트레이를 제1 서클 또는 제2 서클로의 분기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다음으로, 순로 파일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순로 파일에 맞게 제2 서클에 있는 트레이들을 제1 서클의 사이에 끼워 넣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시스템 제어부(133)는 센싱한 트레이가 마지막으로 배달되어야 할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 트레이(이하, N 트레이라 지칭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7). 만약 센싱한 트레이가 N 트레이가 아니라면, 디버터 제어부(131)는 해당 트레이가 제1 서클 또는 제2 서클로 분기할 수 있도록 디버터를 제어한다. 그러나, 해당 트레이가 N 트레이라면, 시스템 제어부(133)는 N 트레이 뒤를 이어 이동하는 트레이가 우편물 배달 순서상 제1 트레이인지 판단한다(S158).
즉, N 트레이라면 디버터 제어부(131)는 그 다음의 트레이가 첫 번째 배달될 우편물을 적재한 트레이인지 찾게 되고(S158), N 트레이가 아니라면 제1 서클 또는 제2 서클로 분기하는 작업을 계속하여 수행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S157 단계 내지 S159 단계에서 설명한 작업은 N 트레이와 제1 트레이 사이에 트레이가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한다. 이와 함께 순방향 즉, 제1 서클에서 제외해야 할 트레이들은 제2 서클로 분기되어 모이게 된다.
마지막 배달되어야 할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 N 트레이까지 분기한 후, 시스템 제어부(133)는 제2 서클에 있는 트레이를 제1 서클에 끼워 넣는 순서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2 서클로 분기된 특정 트레이가 n 트레이와 그 이후 센싱한 n+1 트레이 사이에 위치할 트레이인지 판단한다(S160). 만약 사이에 위치할 트레이로 판단하였다면, 디버터 제어부(131)는 순서화 구간에 있는 디버터를 제어하여 해당 트레이가 n 트레이와 n+1 트레이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S161).
그리고 나서 시스템 제어부(133)는 순서화 구간에 트레이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2), 순서화 구간에 트레이가 없을 때까지 S160 및 S161 단계를 반복한다.
도 5에 도시된 절차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S152 단계를 통해 센싱하여 판단한 제1 트레이 이후의 트레이들이 1-6-11-2-7-3-5-4-10-9-8의 순서로 연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1, 2, 3, 4, 8번 트레이는 바깥쪽의 제1 서클 방향으로 분기되고, 트레이 6, 11, 7, 5, 10, 9 는 제2 서클 방향으로 모두 분기하게 된다.
그런 다음 안쪽으로 분기된 트레이는 순서화 구간에서 대기하게 되고, 순방향 트레이의 위치 중 자신이 위치할 곳에 끼어들어가게 된다. 즉, 6번 트레이는 제1 서클에서 움직이는 트레이 중 4번 트레이와 8번 트레이 사이에 끼어들어야 하기 때문에, 4번 트레이가 6번 트레이 앞을 지나갈 때 디버터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해, 6번 트레이가 4번 트레이와 8번 트레이의 사이에 끼어들어가게 된다.
트레이가 제1 서클을 한 바퀴돌면서 순서화 작업을 하고 나면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중부(150)는 순로 파일 대로 트레이의 순서화가 잘 되었는지 판단한다(S170). 만약 트레이가 순로 파일 대로 제대로 순서화 되었으면 소포 우편물은 순로 구분기에서 적재부(160)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순서화가 제대로 되지 않았으면 S150의 순서화 단계를 다시 거치게 된다. 이런 과정은 투입된 소포의 수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한 바퀴로 끝날 수도 있고, 몇 바퀴에 걸쳐 반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포 우편물 처리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배달국의 소포 우편물 처리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배달 순서화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배달 처리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배달 순서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순서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Claims (10)

  1. 소포 우편물을 순서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태그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소포 우편물들을 인지하고, 상기 태그로부터 태그 ID를 추출하는 우편물 투입부;
    상기 우편물 투입부에서 추출한 태그 ID 및 상기 태그 ID에 대응하는 소포 우편물의 도착지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순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태그 ID에 대한 순로 파일 정보를 생성하는 순로 생성부;
    상기 시스템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소포 우편물들이 각각 적재되어 있는 트레이를 순서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순서화된 트레이의 순서를 검증하는 검증부
    를 포함하는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투입부는,
    상기 복수의 소포 우편물들의 공급을 인지하는 우편물 공급부; 및
    상기 우편물 공급부에서 소포 우편물들의 공급을 인지하면서 상기 태그를 읽어들여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 ID를 추출하고, 추출한 태그 ID를 상기 정보 저장부로 전달하는 RFID 리더부
    를 포함하는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태그 ID에 대응하는 도착지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주소 ID 저장부; 및
    상기 RFID 리더부에서 추출한 태그 ID를 저장하고, 상기 주소 ID 저장부로부터 상기 태그 ID에 대응되는 도착지 주소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태그 ID에 대응되도록 저장하는 태그 ID 저장부
    를 포함하는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순로 파일 정보를 토대로 순서화되기 위해 제1 서클과 제2 서클로 분기되도록 디버터를 제어하는 디버터 제어부;
    상기 검증부에 의해 검증이 완료된 트레이가 적재하고 있는 소포 우편물을 적재부로 분기하도록 제어하는 트레이 제어부; 및
    상기 소포 우편물들을 적재하고 있는 트레이를 순서화하기 위하여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5. 소포 우편물을 순서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태그가 부착된 소포 우편물의 공급을 감지하면, 상기 소포 우편물의 태그를 읽어들여 태그 I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태그 ID를 이용하여 순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순로 파일 정보를 토대로, 상기 소포 우편물이 적재된 트레이를 순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순로 파일을 토대로 순서화된 트레이를 검증하여,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소포 우편물을 적재부로 적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 순서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태그 ID에 대응되는 배송지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순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한 배송지 주소 정보에 대한 태그 ID의 순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 순서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순서화하는 단계는,
    순로 구분기로 유입되는 트레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한 트레이가 제1 트레이인지 판단하는 단계;
    제1 트레이라면 제1 서클로 분기하고, 상기 제1 트레이에 이어 유입되는 트레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레이에 이어 유입되는 트레이가 제2 트레이인지 판단하는 단계;
    제2 트레이가 아니라면 제2 서클로 분기하는 단계;
    상기 제2 트레이에 이어 유입되는 트레이가 순로상 마지막 트레이인지 판단하는 단계;
    순로상 마지막 트레이라면, 상기 순로상 마지막 트레이에 이어 유입되는 트레이가 상기 제1 트레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레이라면, 상기 순로상 마지막 트레이를 제1 서클로 분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클로 분리된 트레이를 상기 제1 서클로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 순서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클로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서클에 있는 트레이가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 사이에 삽입될 트레이인지 판단하는 단계;
    사이에 삽입될 트레이라면, 상기 제2 서클의 디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 사이에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클에 트레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 순서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한 트레이가 제1 트레이가 아니라면, 제1 트레이가 센싱될 때까지 트레이를 센싱하고, 제1 트레이가 센싱될 때까지 센싱한 트레이를 제2 서클로 분기하지 않는 우편물 순서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는 상기 순로 파일을 토대로 가장 먼저 배달되는 소포 우편물을 적재한 트레이인 우편물 순서화 방법.
KR1020090086516A 2009-09-14 2009-09-14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25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16A KR101255076B1 (ko) 2009-09-14 2009-09-14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
JP2010088484A JP5156789B2 (ja) 2009-09-14 2010-04-07 小包郵便物の順序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02010027781A DE102010027781A1 (de) 2009-09-14 2010-04-15 System und Verfahren zum Sequenzieren von Paket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16A KR101255076B1 (ko) 2009-09-14 2009-09-14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885A true KR20110028885A (ko) 2011-03-22
KR101255076B1 KR101255076B1 (ko) 2013-04-15

Family

ID=4373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516A KR101255076B1 (ko) 2009-09-14 2009-09-14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56789B2 (ko)
KR (1) KR101255076B1 (ko)
DE (1) DE102010027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32B1 (ko) * 2016-06-13 2017-11-07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화물 정렬 시스템
CN106423883B (zh) * 2016-10-31 2019-01-18 紫光智云(江苏)物联网科技有限公司 快件智能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391484B (zh) * 2016-10-31 2018-09-28 紫光智云(江苏)物联网科技有限公司 具有检错功能的快件智能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889928B1 (ko) 2017-01-17 2018-08-21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류 이동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N106984548A (zh) * 2017-04-14 2017-07-28 东华大学 一种基于rfid的环形物流分拣系统
CN109848055A (zh) * 2018-10-31 2019-06-07 苏州工业园区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物流的智能分拣管理系统
CN110263886A (zh) * 2019-06-13 2019-09-20 北京计算机技术及应用研究所 一种基于rfid的仓库自动拣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5881A (ja) * 1990-02-21 1991-11-01 Nec Corp 配達区分装置
JPH07185470A (ja) * 1993-12-28 1995-07-25 Hitachi Ltd 郵便物の道順組立装置
WO1999037411A1 (en) * 1998-01-21 1999-07-29 Atecs Mannesmann Ag Dispatch system for containers of sorted mail and method therefor
JP2000262977A (ja) * 1999-03-17 2000-09-26 Hitachi Ltd 物品配達システム
JP4407403B2 (ja) * 2004-07-06 2010-02-03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KR100860403B1 (ko) * 2006-08-04 2008-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태그를 이용한 우편물 순로구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37317A (ja) * 2006-12-04 2008-06-19 Sato Corp 配送伝票および配送情報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56497A (ja) 2011-03-24
DE102010027781A1 (de) 2011-04-14
JP5156789B2 (ja) 2013-03-06
KR101255076B1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076B1 (ko)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
US118422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including space efficient distribution stations and automated output processing
CN114918144B (zh) 提供物体的分离以供处理的系统和方法
US119450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or the processing of objects in vehicles
US9108224B2 (en) Sorting installation and sorting method for jointly sorting different kinds of articles
US110345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provided in vehicles
JP5971694B2 (ja) 荷物仕分システム
JP2008506521A (ja) 郵便分別方法および装置
JP6440852B2 (ja) 取り扱われた小包を識別するための設備
US20070073578A1 (en) Dock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of product
CN106779537A (zh) 中转场包裹卸车条码识别方法
JP2020201580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プログラム
JP2015147653A (ja) 搬送順序決定装置、配達物仕分けシステム及び搬送順序決定方法
JP2020045194A (ja) 搬送システム
JP2010104948A (ja) 郵便物処理装置
US8857706B2 (en) Mail processing system with loaded tray validation
JP2000318811A (ja) ピッキング・仕分けシステム
JPH04365713A (ja) 荷物仕分け装置
JPH05169030A (ja) 区分装置
JPH0824796A (ja) 郵便物区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