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866A -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866A
KR20110028866A KR1020090086487A KR20090086487A KR20110028866A KR 20110028866 A KR20110028866 A KR 20110028866A KR 1020090086487 A KR1020090086487 A KR 1020090086487A KR 20090086487 A KR20090086487 A KR 20090086487A KR 20110028866 A KR20110028866 A KR 2011002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layer
layer capacitor
electric double
external terminals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177B1 (ko
Inventor
이상균
정창렬
이성호
박동섭
조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177B1/ko
Priority to US12/654,751 priority patent/US20110002084A1/en
Priority to JP2010002220A priority patent/JP4994464B2/ja
Priority to CN2010100033990A priority patent/CN101944440A/zh
Priority to DE102010001062A priority patent/DE102010001062A1/de
Publication of KR2011002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177B1/ko
Priority to US13/568,483 priority patent/US907051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01G2/065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for surface mounting, e.g. chip capaci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31Leadless components
    • H05K3/3442Leadless components having edge contacts, e.g. leadless chip capacitors, chip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가 형성된 외장 케이스; 상기 외장 케이스에 매립되되, 일면은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부영역으로 노출되고, 타면은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의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된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을 포함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하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표면 실장, 실링(sealing)

Description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Chip-typ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패키지의 실링성 및 내구성을 강화시킨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기와 같은 각종 전자제품에서 안정적인 에너지의 공급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능은 커패시터(Capacitor)에 의해 수행된다. 즉, 커패시터는 정보통신 기기 및 각종 전자제품의 회로에서 전기를 모았다가 내보내는 기능을 담당하여 회로 내의 전기흐름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커패시터는 충방전 시간이 매우 짧고 수명이 길며, 출력 밀도가 높지만 에너지 밀도가 작아 저장장치로의 사용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충방전 시간이 짧으면서 출력 밀도가 높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와 같은 새로운 범주의 커패시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차전치와 함께 차세대 에너지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는 극성이 서로 다른 한 쌍의 전하층(전극층)을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계속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다른 커패시터에 비하여 에너지 효울과 출력이 높고 내구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전류로 충방전 할 수 있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가 핸드폰용 보조 전원, 전기 자동차용 보조 전원, 태양전지용 보조 전원 등과 같이 충방전 빈도가 높은 축전 장치로서 유망시되고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공성 전극과 같이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전극(electrode), 전해질(electrolyte), 집전체(current collector), 분리막(separator)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위 셀 전극의 양단에 수 볼트의 전압을 가해 전해액 내의 이온들이 전기장을 따라 이동하여 전극 표면에 흡착되어 발생되는 전기 화학적 메카니즘을 작동원리로 한다.
이러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Surface Mount Technology, SMT)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안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상하에 브라킷(bracket)을 용접하여 상기 브라킷을 통해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고, 표면 실장을 위해 필요한 추가 구조물(브래킷 등)에 의해 그 두께는 더 두꺼워 지게 된다. 이러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사용할 경우, 두께의 증가로 인하여 고용량 제품을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나아가, 추가 공정의 발생에 따른 제품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표면 실장이 가능하며, 실링성 및 내구성을 강화시킨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가 형성된 외장 케이스; 상기 외장 케이스에 매립되되, 일면은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부영역으로 노출되고, 타면은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의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된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외부단자가 매립된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수납공간을 덮도록 상기 실링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장착된 상부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캡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하여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 케이스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수지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또는 액정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서로 같거나 다른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동일 면의 양 끝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동일 면의 중앙 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은 제1 및 제2 집전체,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이온 투과성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의 타면과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은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집전체, 제1 및 제2 전극 및 분리막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은 제1 및 제2 전극이 권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외장 케이스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부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외장 케이스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수납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은, 제1 및 제2 외부단자가 매립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수납공간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의 일면은 외부 영역으로 노출되고, 타면은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의 외부단자의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납공간을 덮도록 상기 실링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상부 캡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하여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서로 같거나 다른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와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의 연결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캡의 장착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외장 케이스와 외부단자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소형화, 경량화 및 고용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자체로서 표면 실장이 가능하다. 솔더링 방식을 이용한 일괄적인 실장 기술이 적용될 수 있어 표면 실장 공정이 단순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케이스의 성형시 내부 수납공간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캡과 융착되는 하부 케이스의 융착면이 극대화되어, 외장 케이스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실링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기 실링부가 형성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을 따라 자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는 내부에 수납공간(180)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180)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170)가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외장 케이스(110)와 상기 외장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80)에 배치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을 포함한다.
상기 외장 케이스(110)에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가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일면은 외장 케이스(110)의 외부영역으로 노출되고, 타면은 상기 수납공간(180)으로 노출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는 외장 케이스(110)의 외부영역과 상기 수납공간(180)의 내부 영역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상기 외장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80)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이 배치되며,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은 상기 수납공간(180)으로 노출된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외장 케이스(110)의 외부영역으로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일면은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을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일 수단일 수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이 실장된 하부 케이스(110b)의 수납공간(180)에는 전해액이 충진되어 있다. 상기 전해액은 수계 전해액 또는 비수계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는 외장 케이스(110)의 동일 면(1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는 각각 외장 케이스(110)의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가 동일 면(111)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는 추가 구조물 없이 그 구조 자체로 표면 실장(SMT)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형성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는 외장 케이스(110)의 동일 면(111)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는 외장 케이 스(110)의 동일 면(111)의 양 끝단으로부터 동일 면(111)과 연결되는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가 표면 실장되는 경우, 측면으로 확장된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영역은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의 성능 검사에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20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외부단자(220a,220b)는 외장 케이스(210)의 동일 면(211)에 형성되되, 동일 면(21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80)에 배치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은 상기 수납공간(180)으로 노출되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과 상기 수납공간(180)으로 노출되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타면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은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140a,140b), 상기 제1 및 제2 전극(140a,140b) 사이에 형성되는 이온투과성 분리막(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전극(140a,140b)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시트로서, 도전성 폴리머 또는 금속박(metallic foil)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은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에 의하여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는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그 형상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변경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의 형상이나 크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집전체(130a)는 제1 외부단자(120a)와 연결되기 위해 일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는 적절한 연결 수단을 통하여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가 매립된 외장 케이스(110)의 일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제2 집전체(130b)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이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제1 및 제2 전극(140a,140b)이 상기 수납공간(180)으로 노출되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40a,140b)은 분극성 전극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비표면적이 비교적 높은 활성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40a,140b)은 분말 활성탄을 주재료로 한 전극 물질을 고체 상태의 시트로 제조 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 상에 전극 물질 슬러리를 고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150)은 이온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유리섬유 등의 다공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장 케이스(110)는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180)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180)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170)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가 매립된 하부 케이스(110b) 및 상기 수납공간(180)을 덮도록 상기 실링부(170)를 포함한 하부 케이스(110b) 상에 장착된 상부 캡(11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장 케이스(110)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성 수지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또는 액정 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LCP)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는 높은 온도(약 240-270℃ 정도)로 진행되는 표면 실장 과정에서 내부 구조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가 매립된 하부 케이스(110b)와 인서트 사출 성형 등에 의하여 절연성 수지와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b)와 동일한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b)와 일체로 성형되는 대신 에, 상기 하부 케이스(110b)와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10b) 내부의 수납공간(180) 각 모서리부에 상기 하부 케이스(110b)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b)와 동일한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하부 케이스(110b)와 다른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170)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110b)와 상기 상부 캡(110a)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P는 실링부(170)를 포함한 하부 케이스(110b) 및 상부 캡(110a)의 결합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가 외장 케이스(110)에 매립된 구조로써, 공간활용도가 높다. 이에 따라 내부에 실장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의 적층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및 고용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는,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 자체로서 표면 실장이 가능하다. 즉 솔더링 방식을 이용한 일괄적인 실장 기술이 적용될 수 있어 표면 실장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케이스(110b) 내부의 수납공간(180)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170)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캡(110a)과 융착되는 하부 케이스(110b)의 융착면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 터(100)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실링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링부(170)를 형성함으로써, 하부 케이스(110b)와 상부 캡(110a) 간의 결합 영역(P), 즉 이들이 융착되는 면적을 확장하여, 이들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켜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30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360)은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집전체, 제1 및 제2 전극 및 분리막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300)는 공간 활용도가 높아 다층 구조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36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제1 집전체(331a) 및 제2 집전체(331b)가 각각 제1 및 제2 외부단자(320a,320b)에 연결된다. 상기 첫번째 제1 집전체(331a)에는 첫번째 제1 전극(341a)이 연결되고, 첫번째 제2 집전체(331b)에는 첫번째 제2 전극(341b)이 연결되며, 상기 첫번째 제1 전극 및 제2 전극(341a,341b) 사이에는 첫번째 이온 투과성 분리막(351)이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첫번째 제1 집전체(331a)에는 두번째 제1 전극(342a)이 연결되고, 두번째 제2 집전체(332b)에는 두번째 제2 전극(342b)이 연결되며, 상기 두번째 제1 전극 및 제2 전극(342a,342b) 사이에는 두번째 이온 투과성 분리막(352)이 형성되어 또 하나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 상기 두번째 제2 집전체(332b)는 절곡되어 제2 외부단자(3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두번째 제2 집전체(332b)에는 세번째 제2 전극(343b)이 연결되고, 두번째 제1 집전체(332a)에는 세번째 제1 전극(343a)이 연결되며, 상기 세번째 제1 전극 및 제2 전극(343a,343b) 사이에는 세번째 이온 투과성 분리막(353)이 형성되어 또 다른 하나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 상기 두번째 제1 집전체(332a)는 절곡되어 제1 외부단자(32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단위 셀을 적층함으로써 보다 높은 전기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단위 셀 적층체의 외부에 절연 물질을 도포하여 의도하지 않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외부단자(320a,320b)는 외장 케이스(310)의 일 면(311)에 매립되되, 외장 케이스(310)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장 케이스(310)의 외부 영역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360)은,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370)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310b)의 수납공간(280)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40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460)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400)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460)은 제1 및 제2 전극이 권취된 형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440a), 첫번재 분리막(450a), 제2 전극(440b), 및 두번째 분리막(45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물이 권취되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460)을 구성한다. 상기 제1 전극(440a) 및 제2 전극(440b)에는 각각 제1 집전체(430a) 및 제2 집전체(430b)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460)은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470)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410b)의 수납공간(480)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집전체(430a) 및 제2 집전체(430b)는 절곡되어 각각 제1 및 제2 외부단자(420a,4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외부단자(420a,420b)는 외장 케이스(410)의 일 면(411)에 매립되되, 외장 케이스(410)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장 케이스(410)의 수납공간(480)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하부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가 매립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180)을 가지면서, 상기 수납공간(180)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170)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110b)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b)에 매립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의 일면은 외부 영역으로 노출되고, 타면은 상기 수납공간(180)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110b)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와 하부 케이스(110b)를 형성하는 방법은 절연성 수지와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를 일체로 성형하여, 상기 절연성 수지에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가 매립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 성형(insert injection molding)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하는 하부 케이스(110b)의 형상을 갖는 금형 내에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를 배치하고, 상기 금형 내에 절연성 수지를 충진한다. 금형에 충진된 절연성 수지는 금형 내에서 냉각 또는 가교에 의하여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와 함께 고화된다. 인서트 사출 성형에 따라 다른 재질을 갖는 절연성 수지 및 제1 및 제2 외부단자(120a,120b)는 일체화된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110b)의 수납공간(18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b)의 인서트 사출 성형시 상기 하부 케이스(11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170)와 하부 케이스(110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대신에,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하여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170)와 하부 케이스(110b)는 서로 같거나 다른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10b)의 수납공간(180)으로 노출된 제1 및 제2의 외부단자(120a,120b)의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납공간(180)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을 실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은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140a,140b), 상기 제1 및 제2 전극(140a,140b) 사이에 형성되는 이온투과성 분리막(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130a,130b)는 상기 제1 및 제2의 외부단자(120a,120b)의 수납공간(180)으로 노출된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집전체(130a)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 2 외부단자(120a,120b)와 제 1 및 제2 집전체(130a,130b)의 연결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용접은 저항 용접 또는 아크 용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160)을 하부 케이스(110b)에 실장한 후, 수납공간(180)에 전해액을 충진한다. 상기 전해액은 수계 전해액 또는 비수계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80)을 덮도록 상기 실링부(170)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110b) 상에 상부 캡(110a)을 장착한다.
상기 실링부(170)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110b) 및 상부 캡(110a)의 장 착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용접은 저항 용접 또는 아크 용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하부 케이스(110b) 및 상부 캡(110a)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외장 케이스(110) 내의 내부 소자의 보호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케이스(110b)에 실링부(17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캡(110a)과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10b)의 결합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장 케이스(110)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실링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을 따라 자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하부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10: 외장 케이스
110a: 상부 캡 110b: 하부 케이스
120a: 제1 외부단자 120b: 제2 외부단자
130a: 제1 집전체 130b: 제2 집전체
140a: 제1 전극 140b: 제2 전극
150: 분리막 160: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
170: 실링부 180: 수납공간

Claims (24)

  1.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가 형성된 외장 케이스;
    상기 외장 케이스에 매립되되, 일면은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부영역으로 노출되고, 타면은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의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된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
    을 포함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외부단자가 매립된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수납공간을 덮도록 상기 실링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장착된 상부 캡;을 포함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캡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결합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하여 별도로 형성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또는 액정 고분자인 칩형 전기 이 중층 커패시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서로 같거나 다른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동일 면에 형성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동일 면의 양 끝 단에 형성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동일 면의 중앙 부에 형성된 칩형 전기 이 중층 커패시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은 제1 및 제2 집전체,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이온 투과성 분리막을 포함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의 타면과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연결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은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집전체, 제1 및 제2 전극 및 분리막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은 제1 및 제2 전극이 권취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외장 케이스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부영역으로 돌출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는 상기 외장 케이스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수납공간으로 돌출된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8. 제1 및 제2 외부단자가 매립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수납공간의 각 모서리부에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의 일면은 외부 영역으로 노출되고, 타면은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납공간으로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의 외부단자의 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납공간을 덮도록 상기 실링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상부 캡을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하여 별도로 형성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서로 같거나 다른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단자와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의 연결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수행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를 포함한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캡의 장착은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수행되는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20090086487A 2009-07-06 2009-09-14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06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487A KR101067177B1 (ko) 2009-09-14 2009-09-14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12/654,751 US20110002084A1 (en) 2009-07-06 2009-12-30 Chip-typ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002220A JP4994464B2 (ja) 2009-07-06 2010-01-07 チップ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0100033990A CN101944440A (zh) 2009-07-06 2010-01-19 贴片型双电层电容器及其制造方法
DE102010001062A DE102010001062A1 (de) 2009-07-06 2010-01-20 Chip-Doppelschichtkondensa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US13/568,483 US9070513B2 (en) 2009-07-06 2012-08-07 Method of manufacturing chip-typ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487A KR101067177B1 (ko) 2009-09-14 2009-09-14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866A true KR20110028866A (ko) 2011-03-22
KR101067177B1 KR101067177B1 (ko) 2011-09-22

Family

ID=4393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487A KR101067177B1 (ko) 2009-07-06 2009-09-14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493A1 (ko) * 2011-12-27 2013-07-04 비나텍 주식회사 표면 실장형 슈퍼 커패시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373B1 (ko) * 2012-03-15 2013-12-05 비나텍주식회사 표면 실장형 슈퍼 커패시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42A (ko) * 2000-05-03 2001-11-16 김선욱 전해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WO2007013223A1 (ja) * 2005-07-29 2007-02-01 Sii Micro Parts Ltd. 電気化学セル
JP5013772B2 (ja) 2006-01-31 2012-08-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9200161A (ja) * 2008-02-20 2009-09-03 Nec Tokin Corp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493A1 (ko) * 2011-12-27 2013-07-04 비나텍 주식회사 표면 실장형 슈퍼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177B1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168B1 (ko)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41447B1 (ko)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CN102195025B (zh) 电极组件和使用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
CN104247094A (zh) 不规则结构的电池单元和采用该电池单元的电池模块
KR20140100032A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JP5594497B2 (ja) チップ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907051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hip-typ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KR101060869B1 (ko)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패키지
KR20150133165A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067177B1 (ko)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079400B1 (ko)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셀,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패키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060839B1 (ko) 칩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4356462A (ja) チップ型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及びチップ型電解質電池
KR101070084B1 (ko)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374B1 (ko)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8422198B2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60850B1 (ko) 칩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KR101549812B1 (ko) 세라믹 기판 및 그를 이용한 표면 실장형 슈퍼 커패시터
KR101297093B1 (ko) 배선기판 및 그를 이용한 표면 실장형 슈퍼 커패시터
KR20100100482A (ko) 슈퍼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