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131A - 공압출된 백코팅층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압출된 백코팅층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131A
KR20110027131A KR1020090085084A KR20090085084A KR20110027131A KR 20110027131 A KR20110027131 A KR 20110027131A KR 1020090085084 A KR1020090085084 A KR 1020090085084A KR 20090085084 A KR20090085084 A KR 20090085084A KR 20110027131 A KR20110027131 A KR 2011002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resin
flat panel
back coating
panel display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
원종선
박상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7131A/ko
Publication of KR2011002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13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수지 및 직경이 0.8 ~ 20 ㎛인 구상필러를 0.01 ~ 1중량% 포함하고 있는 백코팅층과 폴리에틸렌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이 공압출에 의해서 적층되어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상필러는 실리카 또는 실리콘인 무기성분 및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유기성분인 것에 대한 것으로,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공압출, 백코팅, 구상필러

Description

공압출된 백코팅층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POLYETHYLENE RESIN FLIM HAVING CO-EXTRUSION COATING LAYER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THEREOF}
확산필름, 마이크로랜즈필름, 프리즘필름 등과 같은 LCD용 광학용 필름에는 조립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광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백코팅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백코팅 기능은 LCD 외에도 빛투과율이 85 % 이상으로 높은 투명한 필름을 다른 부품과 같이 적층하여 조립하는 공정에서 서로 달라붙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며, 다른 부품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다른 평판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광학필름에는 조립공정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부속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구형의 필러가 포함된 UV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필름 이면에 코팅 후 경화시킴으로서 그 특성을 부여하였으며, 이러한 공정을 백코팅 공정이라고 한다. 이런 백코팅공정은 롤 형태로 감겨진 필름을 다시 리와인딩 하면서 백코팅을 실시하므로, 시간적 비용적 손실이 발생하며, 필름표면에 오염이나 상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동 시에 코팅을 실시하는 기술도 개발되었으나, 코팅층이 얇고 강도가 낮아서 필러의 부착력이 약하여 상용성이 저하된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77406호에 의하면 공압출 필름을 제작하면서 한 층에 확산제 또는 필러를 첨가함으로서 헤이즈(Haze)가 높고 집광효과를 도모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상기 특허에서 사용된 필러는 빛의 굴절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표면에 볼록렌즈 형태를 유지해야 하며, 빛이 새는 틈이 없도록 많은 함량을 포함해야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공압출층의 층비 및 두께가 두꺼우면 빛투과율이 지나치게 감소하고, 너무 얇으면 빛이 새는 틈이 많아지게 되는 어려운 점이 있다.
백코팅을 필요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필름에 있어서, 기존의 리와인딩 후의 코팅에 따른 필름표면의 오염이나 상처 및 시간적 비용적 손실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백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인 PET필름은 1대의 압출기를 사용해서 1층의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본 발명은 2대의 압출기를 사용하는 공압출 공정을 통해 2층 구조의 PET필름을 제조하고, 그 2층 중 한 층에 백코팅 기능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첨가하여 제작된 필름이 백코팅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리와인딩(Re-winding) 후 코팅을 하여야하는 기존의 백코팅 필름 제조방법에 비해 제조원가 및 생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ET필름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공압출을 이용해 백코팅기능을 부여할 경우 오프라인 코팅으로 제작한 백코팅 필름과 동등한 수준의 품질을 가지면서도 공정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백코팅층에 대전방지제를 첨가하거나 추가적인 경화제 코팅을 실시하여 간편하고 저렴하게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거나 표면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수지 및 직경이 0.8 ~ 20 ㎛인 구상필러를 0.01 ~ 1중량% 포함하고 있는 백코팅층과 폴리에틸렌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이 공압출에 의해서 적층되어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수지는 반복단위의 50 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고유점도가 0.4 ~ 0.9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구상필러는 실리카; 실리콘;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에 대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구상필러는 실란코팅으로 표면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코팅층은 대전방지제, 열안정제, UV안정제 및 색상보정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백코팅층 표면에 경화제, 슬립제, 대전방지제 및 방오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에 대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기재층 표면은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의 추가적인 표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수지 및 직경이 0.8 ~ 20 ㎛인 구상필러를 0.01 ~ 1중량% 포함하고 있는 백코팅층과 폴리에틸렌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공압출에 의해서 적층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수지는 반복단위의 50 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고유점도가 0.4 ~ 0.9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구상필러는 실리카; 실리콘;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사한 방법으로 공압출을 실시하되, 빛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표면에 돌출된 필러의 유형에도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백코팅층의 두께가 얇아도 충분한 백코팅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두껍다 하더라도 빛투과율 감소가 크지 않아 공정적으로 더욱 용이한 생산을 할 수 있다. 또한 그 목적에 있어서도 광학적인 특성보다는 물리적인 슬립성과 대전방지 기능과 같은 표면기능성을 구현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작된 백코팅기능 PET필름의 기재층에는 프리즘이나 마이크로랜즈필름과 같은 광학기능 부여를 위한 후가공을 위해 이접착 프라이머의 코팅처리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공압출 PET 필름의 각각의 층은 반복 단위의 50 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머지 50 몰% 이내는 다른 성분과의 공중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PET수지는 35 ℃에서 오르토클로로페놀 25 ㎖당 0.3 g의 농도로 측정한 고유점도가 0.4~0.9 dl/g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극한점도가 0.4 dl/g 미만인 PET로 필름을 제작하면 연신 중 파단이 빈번히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최종 필름에서 기계적 강도 등 물성의 저하가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극한점도가 0.9 dl/g을 초과할 경우에는 용융점도가 매우 상승하고, 이에 따른 전단 응력의 증가로 압출 불안정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상 어려움이 발생하여, 후공정에서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공압출된 PET 필름은 기계적/열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평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총 9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공압출필름에서 백코팅기능을 부여한 층을 백코팅층, 그 외의 층을 기재층이라고 한다면, 기재층의 경우 빛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 필러 및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마찰계수를 줄이고 외관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0.1% 이하의 필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1% 이상이 첨가될 경우 빛투과율이 감소하고 헤이즈가 증가하게 되어 헤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한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권장되지 않는다.
백코팅층에는 슬립성을 부여하고 융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필러가 첨가 되며 구상의 투명한 필러가 적합하고, 그 재질로는 실리카, 가교아크릴수지 및 그 공중합체, 가교스티렌수지 및 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러는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처리를 한 것이 적합하며,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면 빛투과율이 감소하고 헤이즈가 증가하여 적합하지 않다. 이 구상의 필러는 0.8 ~ 20 ㎛, 바람직하게는 6 ~ 20 ㎛의 크기가 적합하며, 그 함량은 백코팅층의 0.01 ~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 0.2 중량%일 경우 적합한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렇게 구성된 공압출 PET 필름은 빛투과율이 85% 이상이 되고, 헤이즈가 2~ 10 % 수준이 된다.
일반적인 PET 필름의 제조과정은 압출기에 PET 수지를 넣고 용융시킨 후 T-다이를 통해 넓게 펼쳐서 냉각 후 양방향으로 연신을 하여 얇은 필름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공압출은 2대 또는 그 이상의 압출기에서 서로 다른 성분 또는 조성을 가지는 수지를 압출하면서, 연신과정을 통해 한 장의 필름을 만들면서도 그 내부적으로는 여러 층을 가지게 된다. 이때 한쪽 층에 백코팅 기능을 할 수 있는 필러와 기타 첨가제를 추가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서로 다른 기능성을 가지는 층들로 구성된 다층 공압출 필름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때 기재층 또는 백코팅층에 사용되는 첨가제로서는, 필러와 PET수지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용화제, 대전방지성을 나타내기 위한 대전방지제,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안정제, 표면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러와 첨가제들은 필름의 제조공정온도가 260 ℃ 이상이므로, 그 온도에서 분해나 변형이 되지 않는 내열성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여야 한 다. 또한, 필러를 제외한 첨가제들은 일반적으로 빛투과율을 저하시키므로 그 양을 최소화시키는게 바람직하다. 한편 백코팅면에 대전방지성 및 표면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코팅할 수도 있다.
기재층에 사용되는 PET 수지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단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화반응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교환반응으로 중합하는게 일반적이다. 이때 앞에서 언급한 공중합성분을 첨가하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작할 수도 있다.
백코팅층에 사용되는 PET 수지에는 필러가 포함되어있으며, 필러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트윈스크류압출기를 이용해서 수지와 필러를 혼합하는 컴파운딩공정이 필요하다. 이때 필러의 열적/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균일한 혼합을 하기 위해서는 320 ℃이하, 바람직하게는 280 ℃ 이하에서 혼합하고, 트윈스크류도 과도한 분해를 일으키지 않는 조합으로 작업하여야 한다. 크기가 작은 필러나 일부 첨가제는 PET 수지의 중합반응단계에서 다른 원료와 함께 투입할 수도 있다.
기재층과 백코팅층의 원료수지가 만들어지게 되면, 공압출을 하기 전에 각각의 원료수지들을 건조시켜서 수분함량을 0.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이하가 되게 한다.
건조된 각각의 수지를 공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시킨 후 다층으로 합지 및 T-다이를 통해 넓게 펼치고 급냉시켜 다층 PET 시트를 제작한다. 이 시트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신하면 한쪽면에 백코팅기능이 있는 공압출필름이 만들어진 다. 백코팅층이 두꺼워지면 빛투과율이 감소하고 헤이즈가 증가하게 되므로 전체 필름두께의 10 %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헤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한 특별한 용도에서는 필러가 포함된 백코팅층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9 ㎛ 실리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28 ㎛인 공압출 필름의 제조
기재층과 백코팅층에 사용하는 PET수지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0 %이며, 고유점도가 0.64 dl/g이었다. 기재층에는 특별한 첨가제 없이 PET수지만으로 되어있으며, 백코팅층에는 평균직경 9 ㎛인 구형 실리카비드가 0.05 % 분산된 수지를 사용하였다. 백코팅층에 구형 실리카비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먼저 PET수지에 실리카비드를 1 % 분산시킨 마스터배치를 다시 PET수지에 5% 비율로 혼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실리카비드와 PET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카비드 표면을 실란커플링제로 코팅하여 사용하였다.
준비된 PET수지를 기재층용 압출기에, 실리카비드가 분산된 PET수지를 백코팅층용 압출기에 각각 투입하고 공압출을 실시하였으며, 압출된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 으로 각각 3.2배 및 3.5배 연신하여 두께 188 ㎛인 2층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필름의 단면을 분석한 결과 기재층의 두께는 160 ㎛였으며, 백코팅층의 두께는 28 ㎛였다.
실시예 2. 15 ㎛ 실리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28 ㎛인 공압출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층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되, 백코팅층에 분산된 실리카비드의 평균직경이 15 ㎛인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6 ㎛ 실리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28 ㎛인 공압출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층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되, 백코팅층에 분산된 실리카비드의 평균직경이 6 ㎛인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9 ㎛ 실리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10 ㎛인 공압출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층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되, 백코팅층의 두께가 10 ㎛였으며 기재층의 두께가 178 ㎛였다.
실시예 5. 9 ㎛ 아크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28 ㎛인 공압출 필름 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층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되, 백코팅층에 분산되는 광학용 비드로, 직경이 9 ㎛인 구상 아크릴비드를 사용하였으며, 이 아크릴 비드와 PET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acryloxypropyl)trimethoxy silane)으로 코팅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9 ㎛ 아크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28 ㎛인 공중합수지 공압출 필름의 제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2층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되, 백코팅층에 사용되는 수지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68 몰%, 싸이클로핵산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32 몰%로 공중합되어있는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는 아크릴 비드가 열에 약하므로, 상대적으로 용융점이 낮은 공중합 수지를 사용하여 가공온도를 낮춤으로써 아크릴 비드의 변형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실시예 7. 미코팅 9 ㎛ 실리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28 ㎛인 공압출 필름의 제조
기재층과 백코팅층에 사용하는 PET수지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0 %이며, 고유점도가 0.64 dl/g이었다. 기재층에는 특별한 첨가제 없이 PET수지만으로 되어있으며, 백코팅층에는 코팅처리하지 아니한 평균직경 9 ㎛인 구형 실리카비드가 0.05 % 분산된 수지를 사용하였다. 백코팅층에 구형 실리카비드 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먼저 PET수지에 실리카비드를 1 % 분산시킨 마스터배치를 다시 PET수지에 5% 비율로 혼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준비된 PET수지를 기재층용 압출기에, 실리카비드가 분산된 PET수지를 백코팅층용 압출기에 각각 투입하고 공압출을 실시하였으며, 압출된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3.2배 및 3.5배 연신하여 두께 188 ㎛인 2층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필름의 단면을 분석한 결과 기재층의 두께는 160 ㎛였으며, 백코팅층의 두께는 28 ㎛였다.
비교예 1. 9 ㎛ 아크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3 ㎛인 오프라인 코팅 필름의 제조
실시예 1에서의 PET수지로 만들어진 단층의 투명한 필름 위에,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acryloxypropyl)trimethoxy silane)으로 코팅한 평균직경이 9 ㎛인 구상 아크릴비드가 0.2 중량% 포함되도록 메이어바를 이용해 코팅하였다.
비교예 2. 6 ㎛ 아크릴비드를 사용한 백코팅층의 두께 3 ㎛인 오프라인 코팅 필름의 제조
실시예 1에서의 PET수지로 만들어진 단층의 투명한 필름 위에, 아크릴수지에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acryloxypropyl)trimethoxy silane)으로 코팅한 평균직경이 6 ㎛인 구상 아크릴비드가 0.2 중량% 포함되도록 메이어바를 이 용해 코팅하였다.
시험예 . 물성측정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백코팅기능 공압출 필름의 광학적특성 및 표면특성 평가는 다음의 측정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휘도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백코팅 기능을 가지면서도 휘도 감소를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휘도 평가가 가장 중요하다. 기재층면에 마이크로랜즈 패턴을 형성하여 LCD TV의 백라이트유니트 광원에서 휘도록 분석하였다. 탑콘(TOPCON)사의 BM7 휘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각 2˚, 거리 50 cm에서 측정하였다.
(2) 헤이즈 / 빛투과율
MLF 및 프리즘시트와 같은 후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광학적 품질을 설계하기위해 헤이즈 및 빛투과율의 파악이 필수적이다. 헤이즈를 높여서 빛의 분산을 높이기 위한 특별한 목적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헤이즈는 낮고 빛투과율이 높은 PET 필름이 선호된다. ASTM D1003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 표면조도
필름들이 서로 달라붙지 않고 슬립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광학적 품질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조도가 높은 필름이 유리하다. KOSAKA사의 3차원 조도측정기를 이용하였다.
(4) 마찰계수
필름의 슬립성이 향상되게 되면 마찰계수가 낮아지게 되고, 겹쳐지는 다른 필름과 쉽게 떨어져서 작업성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너무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게 되면 주행성이 저하되고 자중에 의해서도 미끄러지게 되어 보관이나 작업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ASTM D1894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5) 외관 및 표면상태
평판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은 외관 결함이라 해도 화면에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외관 결함이 적어야 하고 표면상태가 깨끗하고 균일해야 한다. 외관 및 표면상태는 제존램프를 비추어 표면에 반사시켜 드러나는 불균일한 얼룩이 있거나 핀홀 등의 결하이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가로와 세로가 각각 1m인 샘플을 분석하였으며, 결함이 5개 이하면 양호(O), 5 ~ 30개 범위이면 보통(△), 그 이상이면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백코팅층 및 필러 빛투과율
(%)
헤이즈
(%)
휘도
(cd/m2)
표면조도
Rmax(㎛)
마찰계수
(정/동)
외관 및
표면상태
실시예 1 9 ㎛ 실리카비드 92 4.5 6935 4.8 0.46/0.30 O
실시예 2 15 ㎛ 실리카비드 91 4.8 6902 9.3 0.44/0.28 O
실시예 3 6 ㎛ 실리카비드 91 4 6890 3.2 0.47/0.30 O
실시예 4 9 ㎛ 실리카비드
(층두께감소)
92 2.7 6977 5.9 0.41/0.28
실시예 5 9 ㎛ 아크릴비드 89 2.5 6735 5.7 0.45/0.30 X
실시예 6 9 ㎛ 아크릴비드
(공중합수지사용)
91 1.9 6954 5.5 0.42/0.29
비교예 1 9 ㎛ 아크릴비드 92 2 6990 8.7 0.35/0.23 O
비교예 2 6 ㎛ 아크릴비드 91 2 6912 5.4 0.37/0.27 O
상기 표 1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백고팅 기능 공압출필름의 경우, 오프라인 코팅한 백코팅 필름과 동등 수준의 광학물성 및 표면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다만, 실시예 4의 경우에는 백코팅층의 두께가 감소되어 외관 및 표면상태가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실시예 5는 아크릴비드를 사용하여 외관 및 표면상태가 불량하였다. 실시예 6의 경우에는 아크릴비드를 사용하였지만, 공중합수지를 도입한 경우로 외관 및 표면상태는 보통인 경우이다. 다만, 표면처리하지 아니한 실시예 7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광학물성 및 표면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에틸렌수지 및 직경이 0.8 ~ 20 ㎛인 구상필러를 0.01 ~ 1중량% 포함하고 있는 백코팅층과 폴리에틸렌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이 공압출에 의해서 적층되어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수지는 반복단위의 50 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고유점도가 0.4 ~ 0.9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필러는 실리카; 실리콘;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필러는 실란코팅으로 표면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코팅층은 대전방지제, 열안정제, UV안정제 및 색상보정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코팅층 표면에 경화제, 슬립제, 대전방지제 및 방오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표면은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의 추가적인 표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8. 폴리에틸렌수지 및 직경이 0.8 ~ 20 ㎛인 구상필러를 0.01 ~ 1중량% 포함하고 있는 백코팅층과 폴리에틸렌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공압출에 의해서 적층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수지는 반복단위의 50 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고유점도가 0.4 ~ 0.9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필러는 실리카; 실리콘;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가교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90085084A 2009-09-09 2009-09-09 공압출된 백코팅층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27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84A KR20110027131A (ko) 2009-09-09 2009-09-09 공압출된 백코팅층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84A KR20110027131A (ko) 2009-09-09 2009-09-09 공압출된 백코팅층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131A true KR20110027131A (ko) 2011-03-16

Family

ID=4393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084A KR20110027131A (ko) 2009-09-09 2009-09-09 공압출된 백코팅층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71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22B1 (ko) * 2019-08-16 2020-11-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실리콘 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22B1 (ko) * 2019-08-16 2020-11-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실리콘 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596B1 (ko) 광 확산 필름 및 평면 스크린에서의 그의 용도
WO2005116699A1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WO2005056291A1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761060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다층 광학 필름 구조물 및 그의 용도
KR102313775B1 (ko)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4927246B2 (ja) 共押出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994909B1 (ko) 내열성이 향상된 다층구조 광확산판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8613A (ko) 다기능 폴리에스터 필름과 그 제조 방법
JP2004042318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93784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97049B2 (ja) 帯電防止性多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4866075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KR20110027131A (ko) 공압출된 백코팅층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1310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574190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JP2001253031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001119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형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45916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05045B1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광확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82281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111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형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23054181A1 (ja) マイクロled画像表示装置
KR101195428B1 (ko) 고투명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897884B2 (ja) 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材
KR101466346B1 (ko) 저경도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