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988A -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988A
KR20110026988A KR1020090084875A KR20090084875A KR20110026988A KR 20110026988 A KR20110026988 A KR 20110026988A KR 1020090084875 A KR1020090084875 A KR 1020090084875A KR 20090084875 A KR20090084875 A KR 20090084875A KR 20110026988 A KR20110026988 A KR 20110026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lock
panel
work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훈
하승진
백태현
홍순익
김지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988A/ko
Publication of KR2011002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흐름식 라인[판계 라인]과 고정식 라인[조립 라인]의 공정 및 작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판넬 및 블록의 제작 공정을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의 철판을 하나의 판넬로 취부하는 판계 취부 장비에서 취부될 철판 판넬과 복수의 판넬을 조립하여 제작하는 블록에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을 부착하고, 흐름식 라인의 장비에 설치되어 있는 FDIU와 고정식 라인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원격 제어기에서 작업중인 판넬 및 블록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으로부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를 읽어와 이를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이력 데이터 및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작업장 적소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공정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공정 관리 시스템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판넬 및 블록의 공정 위치, 작업 진도 현황, 작업 부하를 원격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흐름식 라인[판계 라인]과 고정식 라인[조립 라인]의 작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판넬 및 블록의 제작 공정을 원격 모니터링함으로써, 흐름식 라인과 고정식 라인의 공정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블록, 판넬, 진도 관리, 공정 관리, 작업 이력 데이터

Description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BLOCK ASSEMBLING AND MANAGING PROCESS}
본 발명은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흐름식 라인[판계 라인]과 고정식 라인[조립 라인]의 공정 및 작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판넬 및 블록의 제작 공정을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는 철판을 절단하는 절단공정, 절단된 철판을 용접을 통해 이어나가 블록(Block)을 조립하는 소조립공정, 소조립된 각각의 블록을 조립하여 선박의 형체를 만드는 대조립공정, 대조립한 블록을 도장하는 도장공정, 도장된 블록을 탑재하는 탑재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각각의 공정 중에서 대조립공정은 다시 평블록 조립공정과 곡블록 조립공정으로 나뉘고, 이 공정은 흐름식 라인[판계 라인]과 고정식 라인[조립 라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흐름식 라인에서는 판계 취부, 주판 용접, 마킹, 형강 취부, 형강 용접 등의 공정을 수행하고, 고정식 라인에서는 소조립 블록 탑재, L- BHD 취부 및 용접, 의장품 조립, T/O 취부 등의 공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대조립 공정에서는 판넬 및 블록의 공정 특성에 의해 공정별 작업량이 달라서 공정 중 대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생산 관리를 위해서 각 공정의 공정 흐름 및 진척도 정보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관리가 팀장/작업 반장/작업자의 수기록 등으로 이루어져, 공정 흐름 및 진척도 정보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흐름식 라인[판계 라인]과 고정식 라인[조립 라인]의 공정 및 작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판넬 및 블록의 제작 공정을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의 철판을 하나의 판넬로 취부하는 판계 취부 장비에서 취부될 판넬과, 복수개의 상기 판넬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블록에 부착되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과; 흐름식 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에 설치되며, 작업중인 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으로부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를 읽어와 이를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이력 데이터 및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출하는 FDIU(Fixed Data Input Unit)와; 고정식 라인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이력 데이터와 작업중인 블록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와 자신의 식별 정보 및 블록 위치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와; 작업장 적소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FDIU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작업 이력 데이터 및 FDIU/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판넬 및 블록의 공정 위치, 작업 진도 현황, 작업 부하를 원격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업장에 설치되어,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판넬 및 블록의 작업 실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작업 반장, 작업자가 판넬 및 블록의 작업 정보를 확인케 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업 이력 데이터는, 작업 시작 시간, 작업 종료 시간, 공정 이상 정보, 작업 특이 사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 작업 이력 데이터, FDIU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판넬 공정의 공정 이상 정보 및 작업 특이 정보를 제공받아 공정별로 저장하는 판넬 공정 정보 DB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판넬 공정의 작업 시작/종료 정보,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 FDIU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블록 공정의 공정 이상 정보 및 작업 특이 정보를 제공받아 공정별로 저장하는 블록 공정 정보 DB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 이 력 데이터 중에서 블록 공정의 작업 시작/종료 정보,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 블록 위치 정보, 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와; 상기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와 상기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의거하여 판넬 및 블록의 공정별 작업 진도율을 파악하는 진도율 파악부와; 판넬 및 블록별 기준 작업 일정 정보와 상기 진도율 파악부에서 파악된 판넬 및 블록별 진도율을 비교하여 일정 계획을 재수립하는 계획 수립부와; 상기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와 상기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의거하여 판넬 및 블록 공정별 작업 부하를 분석하는 작업 부하 분석부와; 상기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FDIU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각 판넬의 공정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블록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각 블록의 공정 위치를 파악하는 작업 위치 파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도율 파악부에서 파악된 블록의 작업 진도율과 상기 작업 위치 파악부에서 파악된 각 블록의 위치에 의거하여 블록 반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블록 반출 정보를 연계되어 있는 T/P 배차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블록 반출 정보 파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흐름식 라인[판계 라인]과 고정식 라인[조립 라인]의 작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여 판넬 및 블록의 제작 공정을 원격 모니터링함으로써, 흐름식 라인과 고정식 라인의 공정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1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의 철판을 하나의 판넬로 취부하는 판계 취부 장비에서 취부될 철판 판넬의 적소에 부착되고, 복수개의 판넬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블록의 적소에 부착되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해당 블록으로 조립될 선박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출한다.
전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WiFi, 초광대역(UWB:Ultra WideBand) 무선 통신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DIU(Fixed Data Input Unit)(20)는 흐름식 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 즉, 판계 취부 장비, 주판 용접 장비, 형강 용접 장비 등과 같은 자동 장비와 실링 비드 장비, 마킹 절단 장비 등과 같은 수작업 장비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FDIU(20)가 설치되어 있는 장비가 현재 작업중인 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으로부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읽어와서 이를 게이트웨이(40)를 통해 공정 관리 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FDIU(20)가 설치되어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이력 데이터(작업 시작 시간, 작업 종료 시간, 공정[작업] 이상 정보, 작업 특이 사항 등)를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게이트웨이(4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FDIU(20)가 게이트웨이(40)로 작업 이력 데이터를 전송할 때, 작업중인 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으로부터 수신한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FDIU 자신의 식별 정보 및 현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FDIU의 식별 정보는 판넬이 현재 어떤 장비에서 어떤 공정을 받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작업 대상은 고정되어 있고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고정식 라인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원격 제어기(30)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작업 이력 데이터(작업 시작 시간, 작업 종료 시간, 공정 이상 정보, 작업 특이 사항 등) 및 블록 위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기(30)는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이력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현재 작업중인 블록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와 함께 게이트웨이(40)로 전송 한다. 이때, 원격 제어기(30) 자신의 식별 정보 및 블록 조립의 각 공정별로 투입된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원격 제어기(3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흐름식 라인에서 발생한 작업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현재 작업중인 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으로부터 읽어온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과, 작업의 시작, 작업의 완료, 작업 정지 및 작업 정지 사유를 입력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식 라인에서 발생한 작업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현재 작업중인 블록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으로부터 읽어온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가 표시되고, 현재 작업중인 블록의 각 공정별 작업 완료 여부를 체크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40)는 작업장 적소에 설치되며, 자동 장비 및 고정 위치되어 있는 수작업 장비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FDIU(20)로부터 작업 이력 데이터, 작업중인 판넬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FDIU 식별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고, 작업자 또는 작업 반장 등이 소지하고 있는 원격 제어기(30)로부터 작업 이력 데이터, 블록 위치 정보, 작업중인 블록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FDIU(20) 및 원격 제어기(30)로부터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블록 위치 정보, 작업중인 판넬 또는 블록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FDIU/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공정 관리 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
공정 관리 시스템(50)은 게이트웨이(40)로부터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블록 위치 정보, 작업중인 판넬 또는 블록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FDIU/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 및 작업자 정보에 의거하여 판넬 및 블록 공정 정보, 판넬 및 블록 작업 실적 정보 및 작업 일정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일정 계획 수립, 작업 부하 분석 등을 수행하며, 작업 진척 현황, 블록 반출 정보 등을 관리한다.
또한, 공정 관리 시스템(50)은 수집된 판넬 및 블록 작업 실적 정보를 게이트웨이(40)를 통해 작업장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로 전송하여, 작업 반장, 작업자 등이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를 통해 공정별로 판넬 및 블록 작업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정 관리 시스템(50)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60)과 연계하여 판넬 및 블록의 생상 계획 정보, 생신 실정 정보, 기준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고, T/P 배차 시스템(70)과 연계하여 반출 블록을 관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판넬 작업 정보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현재 작업중인 각 판넬별로 작업 상태(작업 대기, 작업 진행 등),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의 장비명, 작업 시작 시간 등이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블록 작업 정보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현재 작업중인 각 블록별로 공정 진도, 작업 내용, 작업 시작일 등이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6에서 통신부(51)는 게이트웨이(40)로부터 작업 이력 데이터, 블록 위치 정보, 작업중인 판넬 또는 블록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FDIU/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고, 작업 위치 파악부(56)에서 제공받은 각 판넬 및 블록의 위치 정보와 진도율 파악부(55)에서 제공받은 판넬 및 블록의 공정별 작업 진도율 정보를 게이트웨이(40)를 통해 작업장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51)는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작업중인 판넬 또는 블록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10)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FDIU/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분석하여, 판넬 공정 정보 DB(52c),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52d), 블록 공정 정보 DB(52e),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52f), 작업 일정 정보 DB(52g)를 업데이트한다.
FDIU 정보 DB(52a)는 FDIU 식별 정보에 일대일 대응하여 각각의 FDIU(20)가 설치되어 있는 장비의 이름 및 각각의 FDIU(20)가 설치되어 있는 장비가 담당하고 있는 공정 정보(예를 들어, 판계 취부, 주판 용접, 마킹 절단, 형강 취부, 형강 용접 등) 등을 저장한다.
호선별 판넬/블록 정보 DB(52b)는 각 선박별로 각각의 선박 건조에 사용될 판넬 및 블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판넬 공정 정보 DB(52c)는 통신부(51)를 통해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판넬 공정의 공정 이상 정보(용접 불량, 장비 이상, 공정 지연 등) 및 작업 특이 정보를 제공받아 공정별로 저장한다.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52d)는 통신부(51)를 통해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판넬 공정의 작업 시작/종료 정보, 해당 작업 이력 데이터와 함께 수신한 블록 정보, 호선 정보, FDIU 식별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판넬 작업 실적 정보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블록 공정 정보 DB(52e)는 통신부(51)를 통해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블록 공정의 공정 이상 정보 및 작업 특이 정보를 제공받아 공정별로 저장한다.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52f)는 통신부(51)를 통해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블록 공정의 작업 시작/종료 정보, 해당 작업 이력 데이터와 함께 수신한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블록 위치 정보, 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블록 작업 실적 정보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작업 일정 정보 DB(52g)는 판넬 및 블록별 기준 작업 일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계획 수립부(53)는 작업 일정 정보 DB(52g)에 저장되어 있는 판넬 및 블록별 기준 작업 일정 정보와 진도율 파악부(55)에서 파악된 판넬 및 블록별 진도율을 비교하여 일정 계획을 재수립한다.
작업 부하 분석부(54)는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52d)에서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와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52f)에서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의거하여 판넬 및 블록 공정별로 작업 부하를 분석한다.
진도율 파악부(55)는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52d)에서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와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52f)에서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의거하여 판넬 및 블록의 공정별 작업 진도율을 파악한다.
작업 위치 파악부(56)는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52d)에서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FDIU/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각 판넬의 위치(공정 위치)를 파악하고,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52f)에서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블록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각 블록의 위치(공정 위치)를 파악한다.
블록 반출 정보 파악부(57)는 진도율 파악부(55)에서 파악된 블록의 작업 진도율과 작업 위치 파악부(56)에서 파악된 각 블록의 위치에 의거하여 블록 반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블록 반출 정보를 T/P 배차 시스템(7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격 제어기의 입력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근거리 무선 통신칩, 20. FDIU,
30. 원격 제어기, 40. 게이트웨이,
50. 공정 관리 시스템, 51. 통신부,
52a. FDIU 정보 DB, 52b. 호선별 판넬/블록 정보DB,
52c. 판넬 공정 정보 DB, 52d.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
52e. 블록 공정 정보 DB, 52f. 블록 적업 실적 정보 DB,
52g. 작업 일정 정보 DB, 53. 계획 수립부,
54. 작업 부하 분석부, 55. 진도율 파악부,
56. 작업 위치 파악부, 57. 블록 반출 정보 파악부,
60. ERP 시스템, 70. T/P 배차 시스템

Claims (5)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의 철판을 하나의 판넬로 취부하는 판계 취부 장비에서 취부될 판넬과, 복수개의 상기 판넬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블록에 부착되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과;
    흐름식 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에 설치되며, 작업중인 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으로부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를 읽어와 이를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이력 데이터 및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출하는 FDIU(Fixed Data Input Unit)와;
    고정식 라인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이력 데이터와 작업중인 블록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에서 읽어온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와 자신의 식별 정보 및 블록 위치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와;
    작업장 적소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FDIU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블록 정보와 호선 정보, 작업 이력 데이터 및 FDIU/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판넬 및 블록의 공정 위치, 작업 진도 현황, 작업 부하를 원격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작업장에 설치되어,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판넬 및 블록의 작업 실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작업 반장, 작업자가 판넬 및 블록의 작업 정보를 확인케 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이력 데이터는,
    작업 시작 시간, 작업 종료 시간, 공정 이상 정보, 작업 특이 사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 작업 이력 데이터, FDIU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판넬 공정의 공정 이상 정보 및 작업 특이 정보를 제공받아 공정별로 저장하는 판넬 공정 정보 DB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판넬 공정의 작업 시작/종료 정보,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 FDIU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판넬 작업 실적 정 보 DB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블록 공정의 공정 이상 정보 및 작업 특이 정보를 제공받아 공정별로 저장하는 블록 공정 정보 DB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 이력 데이터 중에서 블록 공정의 작업 시작/종료 정보, 블록 정보 및 호선 정보, 블록 위치 정보, 원격 제어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와;
    상기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와 상기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의거하여 판넬 및 블록의 공정별 작업 진도율을 파악하는 진도율 파악부와;
    판넬 및 블록별 기준 작업 일정 정보와 상기 진도율 파악부에서 파악된 판넬 및 블록별 진도율을 비교하여 일정 계획을 재수립하는 계획 수립부와;
    상기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와 상기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의거하여 판넬 및 블록 공정별 작업 부하를 분석하는 작업 부하 분석부와;
    상기 판넬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판넬 작업 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FDIU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각 판넬의 공정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블록 작업 실적 정보 DB로부터 제공받은 블록 작업 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블록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각 블록의 공정 위치를 파악하는 작업 위치 파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도율 파악부에서 파악된 블록의 작업 진도율과 상기 작업 위치 파악부에서 파악된 각 블록의 위치에 의거하여 블록 반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블록 반출 정보를 연계되어 있는 T/P 배차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블록 반출 정보 파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KR1020090084875A 2009-09-09 2009-09-09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10026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75A KR20110026988A (ko) 2009-09-09 2009-09-09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75A KR20110026988A (ko) 2009-09-09 2009-09-09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88A true KR20110026988A (ko) 2011-03-16

Family

ID=4393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75A KR20110026988A (ko) 2009-09-09 2009-09-09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69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09B1 (ko) * 2013-05-30 2014-12-2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이미지를 이용한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09B1 (ko) * 2013-05-30 2014-12-2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이미지를 이용한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118B1 (ko)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242414B (zh) 一种应用于钢铁行业炼钢-连铸流程的计划调度系统
CN103810573A (zh) 基于移动终端的实时生产调度管理系统及方法
JP2019003622A (ja) モジュール型の安全性モニタリング・警告システム、及び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KR102391207B1 (ko) 3d 모델링 기반 작업자 위치 관리 시스템
US20070005166A1 (e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s and processes utilizing the 802.11a wireless standard protocol
KR100695533B1 (ko)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한 생산 관리 시스템
KR20090073643A (ko) 생산 현장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6022576A (zh) 一种应用于智慧环卫系统的调度系统
US10425703B2 (en) Remote monitoring and reporting for mobile plural component manufacturing rigs
CN105045230A (zh) 一种自动化产线控制系统及方法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20110026988A (ko)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KR101179359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관리 업무 시스템 및 방법
KR102454540B1 (ko) 철도 차량 부품의 정비 이력 관리를 위한 이동형 정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10026984A (ko) 흐름식 라인에 대한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40031427A (ko) 실시간 크레인 작업 실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6987A (ko) 고정식 라인에 대한 블록 제작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 관리 시스템
JPH11212624A (ja) 作業管理システム
KR20090001683A (ko) 지능형 호이스트를 이용한 자재/부재의 수직 양중 관리자동화 방법
KR20220145104A (ko)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시뮬레이션 기반의 알고리즘을 활용한 야드 크레인 작업 스케줄링 방법
JP2016208245A (ja) 稼働管理システム及び稼働データ収集装置
CN108062092A (zh) Rtg远程控制方法和系统
Howes et al. Short Interval Control in Today's Underground Mine: A Case Study
EP4174014A1 (en) A loader cra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