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809A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809A
KR20110026809A KR1020090084606A KR20090084606A KR20110026809A KR 20110026809 A KR20110026809 A KR 20110026809A KR 1020090084606 A KR1020090084606 A KR 1020090084606A KR 20090084606 A KR20090084606 A KR 20090084606A KR 20110026809 A KR20110026809 A KR 20110026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ignal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손주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809A/ko
Priority to EP10009006A priority patent/EP2293530A1/en
Priority to US12/876,998 priority patent/US8959458B2/en
Publication of KR2011002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고,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만으로 화면을 재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고르기, 본체, 부는 신호,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이벤트 동작에 따라 화면을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는,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이 적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도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과 다른 새로운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이벤트 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만으로 화면을 재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부는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본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A/V 입력부, 및 상기 A/V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부는 신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본체의 움직임이나 부는 신호의 입력 등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만으로 화면을 재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이벤트 동작에 따라 원하는 객체만으로 화면을 재구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 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 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 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 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 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 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 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5 사용자 입력부(130e)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6 사용자 입력부(130f)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 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포함하는 본체의 움직임을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전화번호부 조회, 통화 목록 조회,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방송 시청 등과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S200), 제어부(180)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 다(S205).
동작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이때, 미리 설정된 본체의 움직임은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되어 있는 본체의 움직임을 말한다.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되는 본체의 움직임에 대한 예로는, 본체를 기울이기, 본체를 뒤집기, 본체를 흔들기 등이 있다. 이외에도, 본체의 기울어진 정도나 방향, 본체의 움직임 패턴, 본체를 움직이는 세기 등에 따라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 후 본체를 움직이는 경우에만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인식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체의 움직임은 모션 센서(145)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변화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S210 단계의 판단 결과,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동작 화면에 표시된 객체 중에서 미리 설정된 화면 고르기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동작 화면을 재구성한다(S215).
이때, 동작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의 예로는, 동작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이미지, 콘텐츠, 특정 항목 등이 있다. 또한, 화면 고르기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의 예로는, 즐겨 찾기가 설정된 객체, 빈도, 날짜, 시간 등에 따라 결정되는 객체, 종류, 용량,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되는 객체, 단축 번호가 설정된 객체, 특정 그룹에 속하는 객체, 모양이나 색깔 등에 따라 결정된 객체 등이 있다.
동작 화면을 재구성하는 경우, 선택된 동작 모드와 관련된 다른 객체 중에서 설정된 화면 고르기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화 면이 전화번호부 조회 화면인 경우, 재구성되는 화면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항목중에서 현재 동작 화면에 표시된 항목외에 설정된 화면 고르기 조건에 부합하는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작 화면을 재구성하는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특정 화면 효과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225).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화면 효과외에 음향 효과나 촉각 효과 등을 발생할 수도 있다.
동작 화면이 재구성되면, 제어부(180)는 재구성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25). 이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만으로 구성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기타, 터치 입력이나 키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S230),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35). 다른 동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210 단계 이후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S23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체의 움직임 등과 같은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객체는 제거되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만으로 재구성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화면을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S320 단계 내지 S340 단계의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마이크(123) 등을 통해 입으로 '후'하고 부는 경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부는 신호'로 정의하고, 이와 같은 '부는 신호'의 입력을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으로 사용한다.
'부는 신호'의 입력 여부는 마이크(123)나 스피커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한 후, 필터링된 신호의 파형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부는 신호'의 경우, 강약의 변화나 장단의 변화가 가능하므로, 부는 신호의 패턴 변화에 따라 동작 화면에서 제거되는 객체가 달라지게 구성하거나, 재구성된 화면이 표시되는 속도가 달라지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는 신호'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만으로 재구성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부는 신호'는 화면 고르기 이벤트 외에, 배경화면이나 테마의 전환, 밝기 조절, 사진 촬영, 사용자의 폐활량 측정이나 풍선 터뜨리기, 종이 날리기, 호루라기 불기 등과 같은 게임 등에 응용할 수도 있다.
다음의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전화번호부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화번호부 화면(400)에서, 즐겨 찾기가 조건으로 설정된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즐겨찾기 항목(★)만으로 구성된 전화번호부 화면(4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부 화면, 통화목록 화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화면 등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흔들거나, 부는 신호의 입력 등과 같은 화면 고르기 이벤 트를 발생에 따라, 즐겨찾기 항목만이 표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즐겨찾기 항목, 우선 순위 또는 선호도 항목 등의 표시는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를 흔드는 횟수가 3회 미만인 경우, 일주일 동안 통화 횟수가 5회 이상 발생하는 통화 목록들을 표시하고, 3회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일주일 동안 통화 횟수가 10회 이상 발생하는 통화 목록들만 표시하여, 10회 미만으로 발생한 통화 목록들은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통화 빈도가 높은 통화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휴대 단말기(100)를 흔드는 횟수가 3회 미만인 경우 일주일 동안 통화 횟수가 10회 이상 발생하는 통화 목록들을 표시하고, 3회 이상인 경우에는 일주일 동안 5회 이상 발생하는 통화 목록들을 추가로 또는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하여, 적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으로 통화 빈도가 높은 대상들을 먼저 접근하게 하고 추가 동작에 의하여 우선 순위가 비교적 낮은 통화 목록들에 접근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멀미티디어 재생 목록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흔드는 횟수가 3회 미만인 경우 사용자 선호도가 전체 5단계 중 3단계 이상인 재생 목록들을 표시하고, 3회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3단계 미만인 재생 목록들까지 추가로 또는 이전 표시된 항목들을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면 고르기 이벤트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표시된 가운데 수행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위에 관련 리스트들이 나타나거나 사라질 수 있다. 화면 고르기 이벤트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이와 관련된 관련 리스트들이 표 시된 가운데 수행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또는 표시가 유지되는 가운데 표시된 리스트들이 사라지거나 나타날 수 있다. 화면 고르기 이벤트는 대기 화면 상에서 관련되는 메뉴 리스트들이 나타나거나 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입김의 세기가 제1 기준값 이전에는 사용자 우선 순위(발생 횟수)가 전체 5단계 중 3단계 이상인 재생 목록들을 표시하고, 제1 기준값 이전에는 3단계 미만의 재생 목록들까지 추가로 또는 이전 표시된 목록들을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입김의 세기가 제1 기준값 이하에는 전체 5단계 중 3단계 이전의 재생 목록들을 표시하고, 제1 기준값 이상에서는 3단계 이상의 재생 목록들만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입김의 세기가 제1 기준 시간 이전에 도달할 때는 사용자 우선 순위(발생 횟수)가 전체 5단계 중 3단계 이상인 재생 목록들을 표시하고, 제1 기준 시간이 지나면 3단계 이전의 재생 목록들까지 추가로 또는 이전 표시된 목록들을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기준 시간 미만에서는 전체 5 단계 중 3단계 이전의 재생 목록들을 표시하고, 제1 기준 시간이 초과하면 3단계 이후의 재생 목록들만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영상통화 목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상통화 목록 화면(420)에서 통화 횟수가 조건으로 설정된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되는 항목만으로 구성된 영상통화 목록 화면(43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 횟수의 증가에 따라, 화면에 남 게되는 객체의 조건에 부합하는 통화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부 화면, 통화 목록 화면, 메시지 목록 화면 등에서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통화 수신이나 발신 빈도가 높은 순이나, 메시지 수신이나 발신 빈도가 높은 순 등으로 화면을 재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 회수가 증가 또는 계속됨에 따라 화면에 남게 되는 객체의 조건에 부합되는 통화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적은 이벤트로 우선 순위(선호도)가 높은 객체에 먼저 접근시키고, 계속되는 또는 증가되는 이벤트에 따라 추가의 객체들에 접근할 수가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화번호부 화면(450)에서,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목록에서 최근 저장된 항목만으로 구성된 화면(46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저장된지 일주일이 지난 데이터, 한 달이 지난 데이터 등이 추가로 또는 이전 표시된 항목들을 대체하여 보여질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받은 문자 화면(500)에서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번호가 설정된 항목만으로 구성된 화면(51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단축번호가 10부터 20까지, 20부터 100까지 등에 해당되는 항목들이 추가로 또는 이전 표시된 항목들을 대체하여 보여질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화번호부 화면(520)에서,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그룹에 속하는 항목만 으로 구성된 화면(530)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메시지목록 등에서 화면 고르기 이벤트에 따라, 단축번호가 설정된 항목만을 표시하거나, 특정 그룹에 속하는 항목만으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각 그룹에 속하는 항목들이 추가로 표시하거나, 이전 표시된 항목들을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 고르기 이벤트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만으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나 세기 등에 따라 화면이 재구성되는 속도가 달라지도록 구성하거나,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나 세기에 따라, 화면에 남게 되는 객체에 대한 조건이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들이 사라지거나,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들이 걸러지는 화면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음향효과나 진동효과 등을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부는 신호나 휴대 단말기 흔들기 등과 같은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수신되면, 이벤트의 진행 정도에 부합되지 않는 관련 리스트들은 단계적으로 화면의 특정 부분에 동그란 객체 형태로 말려져서 모이고, 부합되는 관련 리스트들은 재정렬될 수 있다. 이때, 조건에 부합되지 않은 항목이 빠진 자리를 다음 순서의 항목이 채우는 방법으로 재정렬되거나 우선 순위(발생 횟수)에 따라 재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 리스트가 표시된 가운데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수신되면, 이벤트의 진행 정도에 따라 부합되지 않는 관련 객체들은 화면의 특정 영역을 통과하 여 사라지거나 나타날 수 있다. 화면의 특정 영역을 통과한 항목은 페이드 인(fade-in) 또는 페이드 아웃(fade-out) 효과를 제공하면서 나타나거나 사라질 수 있다.
상기한 예들에서 동그란 형태로 말려진 항목들은 해당 내용을 표시하는 대신에 우선 순위나 발생 횟수 등의 정보를 표시하며, 이러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우선 순위나 발생 횟수 등에 따른 항목들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540)에서, 콘텐츠의 종류를 기준으로 하는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파일(543, 545)을 제외된 화면(5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 고르기 이벤트에 따라, 이미지 파일인지 동영상 파일인지 등과 같은 컨텐츠의 종류, 콘텐츠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만으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580)에서,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콘만으로 구성된 화면(59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조건에 따라, 아이콘 객체의 크기, 모양, 색깔 등의 조건에 일치하는 아이콘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들이 걸러지 면서, 객체의 위치, 순서 등이 변경될 수 있으며, 객체들이 걸러지면서, 객체의 크기, 모양, 색깔 등이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화면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화면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620)에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여 제거되는 객체(621, 623, 625)는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엽과 같은 형태(631, 633, 635)로 변형되어 화면 아래로 떨어지면서 사라질 수 있다.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려지는 형태(641, 643, 645)로 변화된 후 사라질 수 있다. 이외에도, 화면 고르기 이벤트에 의해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객체들은 콩처럼 둥근 형태로 말려져서 사라지거나 동그란 형태로 나타나 펼쳐지면서 보여질 수 있다.
이외에도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들이 걸러지면서, 걸러진 객체들로 기존 화면상에 팝업, OSD,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하고, 일정 시간 경과시까지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지속되지 않으며, 다시 원래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고르기 이벤트와 함께 터치 입력 등의 통해 다이얼이나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은 기능 연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리스트가 표시된 가운데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수행된 후 해당 항목들 및 이들과 연관되어 수행할 수 있는 그룹 통화, 그룹 메시지 전송 등의 어플리케이션 후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포토 앨범 상에 이미지, 동영상 항목들이 표시된 가운데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수행된 후 해당 항목들 및 이들과 연관되어 수행할 수 있는 MMS, 이메일, 사진 편집(이미지들을 이용한 슬라이드 쇼 생성, 동영상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동영상 파 일로 재생) 등의 어플리케이션 후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동작 화면(650)의 상단에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아이콘(653)이 표시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아이콘 등을 표시하여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16의 (a)는 메뉴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메뉴 선택 화면(660)에 화면 고르기 설정을 위한 아이콘(663)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6의 (b)는 메뉴 선택 화면(660)에서 화면 고르기 설정을 위한 아이콘(663)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화면 고르기 설정 화면(67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화면 고르기 설정 화면(670)에는 '이벤트 종류 설정', '동작 메뉴 설정'. '효과 설정', '연관 동작 설정' 등과 같은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종류 설정' 항목을 선택한 경우, 부는 신호나, 본체의 움직임 등과 같은 화면 고르기 이벤트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동작 메뉴 설정' 항목을 선택한 경우,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화면 고르기가 수행되는 동작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나 세기 등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효과 설정' 항목을 선택한 경우, 화면 고르기 이벤트가 진행과정에서 출력되는 진동 효과, 음향 효과, 화면 효과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사라지거나 대체되는 객체에 대한 화면 효과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관 동작 설정' 항목을 선택한 경우, 화면 고르기 이벤트와 함께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수행되는 연관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화면 고르기 이벤트와 관련된 다양한 설정 사항을 화면 고르기 설정 화면(670) 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그리고
도 16은 화면 고르기 이벤트 설정을 위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에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는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된 다른 객체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의 재구성에 대응하는 화면 효과, 음향 효과, 및 촉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되는 객체의 크기, 모양, 색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움직임은 모션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 상기 화면 고르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화면의 재구성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화면 고르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9. 본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된 다른 객체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포함시켜 상기 제2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의 재구성에 대응하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상기 햅틱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의 재구성에 대응하는 화면 효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의 재구성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출력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디스플레이부에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화면 고르기 이벤트로 설정된 부는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는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된 다른 객체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부는 신호의 패턴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부는 신호의 입력 횟수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의 재구성에 대응하는 화면 효과, 음향 효과, 및 촉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A/V 입력부; 및
    상기 A/V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부는 신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객체를 제거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재구성한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된 다른 객체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포함시켜 상기 제2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084606A 2009-09-08 2009-09-08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6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06A KR20110026809A (ko) 2009-09-08 2009-09-08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10009006A EP2293530A1 (en) 2009-09-08 2010-08-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12/876,998 US8959458B2 (en) 2009-09-08 2010-09-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06A KR20110026809A (ko) 2009-09-08 2009-09-08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809A true KR20110026809A (ko) 2011-03-16

Family

ID=4327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606A KR20110026809A (ko) 2009-09-08 2009-09-08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59458B2 (ko)
EP (1) EP2293530A1 (ko)
KR (1) KR201100268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CN102150470B (zh) * 2008-06-09 2013-10-16 Sk普兰尼特有限公司 用于在空闲屏幕上显示缩略图组的方法和移动通信终端
JP4600548B2 (ja) * 2008-08-27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70708B2 (en) * 2010-04-07 2015-10-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8620296B2 (en) * 2010-09-10 2013-12-31 Cox Communications, Inc. Integration of contact information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20001723A1 (en) * 2010-09-13 2012-01-05 Motorola Mobility, Inc. Display of Devices on an Interface based on a Contextual Event
KR20130017241A (ko) * 2011-08-10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입출력 방법 및 장치
JP6105850B2 (ja) * 2012-03-16 2017-03-2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9288840B2 (en) 2012-06-27 2016-03-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ing a blowing action
USD745050S1 (en) * 2013-01-09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4142791A (zh) * 2013-05-09 2014-11-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更换方法、装置及终端
CN105849675B (zh) 2013-10-30 2019-09-24 苹果公司 显示相关的用户界面对象
CN104853025B (zh) * 2014-02-18 2017-11-14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装置
KR102124321B1 (ko) * 2014-04-30 2020-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연락처와 통신하는 방법
USD770488S1 (en) * 2014-04-30 2016-11-0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0487S1 (en) * 2014-04-30 2016-11-0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85627B2 (en) 2015-04-24 2018-02-06 Apple Inc. Drift compensation for force sensing device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US10904211B2 (en) 2017-01-21 2021-01-26 Verisign,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omain name using a user interface
USD844649S1 (en) 2017-07-28 2019-04-02 Verisign,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sequenti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2602S1 (en) 2017-07-28 2020-04-28 Verisign,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sequential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mobile device
CN111770517B (zh) 2017-09-15 2023-05-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配置频率优先级的方法、终端设备、基站和核心网设备
USD865785S1 (en) * 2017-12-28 2019-11-05 Facebook, In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11099635B2 (en) * 2019-09-27 2021-08-24 Apple Inc. Blow event detection and mode switch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859A (ja) * 2004-10-15 2006-04-27 Nec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100640420B1 (ko) * 2005-04-06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8145717B2 (en) * 2005-09-21 2012-03-27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sence age information in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US8769408B2 (en) * 2005-10-07 2014-07-01 Apple Inc. Intelligent media navigation
US8139026B2 (en) * 2006-08-02 2012-03-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presentation of text and images o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orientation of the device
KR100879517B1 (ko) * 2006-08-16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US20080183313A1 (en) * 2007-01-29 2008-07-31 Johan Lundquist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steering a mobile terminal
US20080207271A1 (en) * 2007-02-27 2008-08-28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bridged contact list creation based on communication history
JP4928333B2 (ja) * 2007-04-12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KR100876754B1 (ko) * 2007-04-18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작동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20090039206A (ko) * 2007-10-17 2009-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장치
US10095375B2 (en) * 2008-07-09 2018-10-09 Apple Inc. Adding a contact to a home screen
US20110053577A1 (en) * 2009-08-31 2011-03-03 Lee Changkee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y vibrating or moving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9733A1 (en) 2011-03-10
US8959458B2 (en) 2015-02-17
EP2293530A1 (en)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680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53842B1 (ko) 멀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280448B2 (en) Haptic effect provision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72381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525160B1 (ko)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6770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360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081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11652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360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7502A (ko) 플렉서블 디스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360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0168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050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10577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863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500399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0151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컨텐츠 편집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6806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90363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0364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375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4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581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8631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