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517B1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517B1
KR100879517B1 KR1020060077315A KR20060077315A KR100879517B1 KR 100879517 B1 KR100879517 B1 KR 100879517B1 KR 1020060077315 A KR1020060077315 A KR 1020060077315A KR 20060077315 A KR20060077315 A KR 20060077315A KR 100879517 B1 KR100879517 B1 KR 10087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mode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key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677A (ko
Inventor
안대일
여재우
김성한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517B1/ko
Priority to US11/775,744 priority patent/US9467556B2/en
Publication of KR2008001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른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확인하고,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가 존재하면, 해당 모드의 키 배열을 적용하여 해당 모드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른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해당 모드를 수행한기 위한 키 배열이 변경됨으로써 해당 모드의 수행이 용이하다.
휴대 단말기, 자세, 모드, 키 배열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자세 검출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모드에 따른 키 매핑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5의 자세에 대응한 모드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도 5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 선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의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의 다른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의 다른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여 자세에 대응된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기능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모든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표시되는 메뉴항목의 수도 증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다수번의 입력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은 모닝콜, 스케줄, 오디오 파일 재생, 카메라 촬영,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출력 기능 등등이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재생 기능이 멀티미디어 메뉴의 하위 메뉴라는 전제하에 설명한다. 오디오 재생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메뉴키를 입력하여 멀티미디어 메뉴를 선택하고, 그의 하위 메뉴 중 오디오 재생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번 이상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
즉, 기능 선택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어,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신속하게 진입하 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의 키 배열을 설정하여 해당 모드를 간편하게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확인하는 자세 검출부,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와 미리 저장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비교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검색부, 상기 모드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의 키 배열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 배열로 설정하는 키배열 설정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해당 자세에 대응된 모드의 이미지의 회전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자세에 대응된 모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은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와 미리 저장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검색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의 키 배열을 해당 모드의 키 배열로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키 배열을 이용하여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모드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통신모드는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모드는 오디오 파일 재생, DMB 출력, 카메라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며, 통신모드는 호 착/발신, 및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통신모드 및 멀티미디어 모드의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저장부(110), 자세 검출부(120), 검색부(130), 키배열 설정부(140), 제어부(150), 표시부(160), 입력부(170), 및 통신부(18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장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및 상태 또는 제어부(150)의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된다. 이때 데이터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특히 저장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대응하여 설정된 모드를 저장하는 자세별 모드 저장영역(111)과 해당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키 배열에 해당하는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모드별 키 배열 저장영역(1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모드별 키 배열 저장영역(113)은 휴대 단말기(100)제조 시 해당 모드의 미리 설정된 키 배열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모드별 키 배열 저장영역(113)은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따라 모드의 키 배열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모드별 키 배열 저장영역(1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 매핑 테이블(20)을 저장한다. 키 매핑 테이블(20)은 키 버튼(21)과 그에 대응된 킷값(23)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키 버튼(21) '8'의 키 값(23)은 '▶'로 정의되어 있다. 이때 키 값(23)'▶'은 오디오 재생을 위한 키 값이다.
자세 검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확인한다. 특히 자세 검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121)와 측정된 가속도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계산하는 자세 계산부(123)로 구성된다. 자세 검출부(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검색부(130)는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확인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저장부(110)에 저장된 자세와 비교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검색부(130)는 저장부(110)로부터 검색된 휴대 단말기(100) 자세와 동일한 휴대 단말기(100) 자세의 존재 여부에 따라 모드 신호를 다르게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와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확인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동일한 자세이면, 저장부(110)로부터 확인된 자세에 대응된 모드를 검색하여 해당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키배열 설정부(150)는 검색부(130)로부터 출력된 모드 신호를 수신하여 키 배열을 저장부(110)로부터 검색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에 대응된 키 배열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키 배열 중 키 버튼(21) '8'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하나의 키 값(23)을 의미하나, 멀티미디어 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키 배열 중 키 버튼(21) '8'은 오디오 파일 재생하기 위한 키 값(23)이다.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0)는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수집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동일한 자세인 경우, 검색부(130)로 확인된 자세를 전송한다. 여기서 소정시간은 1초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00)는 검색부(130)의 검색 결과에 따라 해당 모드의 이미지의 회전 여부를 결정한다. 덧붙여 해당 모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부(170)가 지면과 수직 상향으로 놓여진 자세를 오디오 재생 모드로 설정되었다는 전제 하에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오디오 재생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자세로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오디오 재생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따라 회전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오디오 재생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역상으로 회전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자세에 따라 회전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 한 표시부(160)는 키배열 설정부(15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의 키 배열을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모드변경에 따라 키 배열의 변경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50)로 키 값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7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터치 패드 등의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또한 입력부(170)는 캐배열 설정부(160)에 의해 설정된 키 배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의 키 배열을 표시한다. 이때 입력부(170)는 LED의 온/오프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키 배열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정보를 주고받는 송수신 회로이다. 발산자의 휴대 단말기(100)가 발송하는 호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거나,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자의 휴대 단말기(1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자세 검출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세 검출부(120)는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121)과 센서로부터 측정된 중력가속도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계산하는 자세 계산부(123)로 구성된다.
센서(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다. 특히 센서(121)는 가속도 센서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서(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자세 계산부(123)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센서(121)가 3축 가속도 센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없으면 도 3에 표시된 X, Y,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한다. 특히 센서(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없으면, 센서(121)는 중력 가속도만 측정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부(170)가 지면과 수직 상향인 것을 Y축 중력가속도의 음의 방향,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60)가 지면과 수직 상향인 것을 Y축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60)가 지면과 수직 상향으로 놓여 있는 경우, 센서(121)에 의해 측정된 중력 가속도는 X, Z축 성분은 0m/Sec2로 측정되고, Y축 성분은 9.8m/Sec2로 측정된다. 한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부(170)가 지면과 수직 상향으로 놓여 있는 경우, 센서(121)에 의해 측정된 중력 가속도 X, Z축 성분은 0m/Sec2로 측정되고, Y축 성분은 -9.8m/Sec2로 측정된다.
덧붙여 휴대 단말기(100)가 지면과 비스듬하게 놓여진 경우, 센서(121)에 의해 측정된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이 0m/Sec2이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백터합의 크기는 9.8m/Sec2이 된 다. 상기와 같은 경우, 센서(130)는 좌표계에서의 X, Y,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중력가속도를 감지한다. 이때 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가속도를 a라고 나타낼 수 있고, a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a =[a x a y a z]T
수학식 1에서 a x, a y, a z는 각각 X축, Y축, 그리고 Z축 방향에 대한 가속도를 나타낸다.
이때 센서(130)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세 계산부(123)는 센서(121)로부터 측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놓여진 자세를 계산한다.
특히 자세 계산부(123)는 센서(121)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성분에 의해 측정된 경우, 각 축에 대한 가속도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놓여진 자세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자세 계산부(123)는 센서(121)로부터 획득된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0)와 각 축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놓여진 자세를 연산한다. 이때 자세는 롤각(roll angle), 피치각(pitch angle), 및 요각(yaw angle)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을 'φ', 'θ', 그리고 'ψ'로 표시하기로 한다. 이때 롤각은 도 3에서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말하고, 피치각은 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말하며, 요각 은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계산부(123)는 센서(121)로부터 전달된 중력가속도 중 Y축 중력가속도가 9.8m/sec2 이면, 휴대 단말기(100)의 놓여진 자세는 상기 중력 가속도로부터 롤각 및 요각이 '0ㅀ'로 산출되어 Y축으로 중력 가속도를 받는 표시부(160) 또는 입력부(170)가 중력 방향으로 놓인 자세임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자세 계산부(123)는 휴대 단말기(100)의 놓여진 어떠한 자세라도 감지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자세 계산부(123)는 별도로 구성이 가능하고, 센서(121)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200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신호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50)는 S210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S210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150)는 S220 과정에서 모드 전환 기능이 동작중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모드 전환 기능이 동작 중이면, 제어부(150)는 S230 과정에서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수신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자세 검출부(120)는 센서(121) 및 자세 계산부(123)로 구성된다. 이때 센서(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전기적으로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자세 계산부(123)로 전달한다. 이때 센서(121)는 3축 가속도 센서이고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라 X, Y, Z축의 중력 가속도를 측정한다. 특히 센서(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동 가속도 및 중력 가속도를 동시에 측정하지만,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가속도만 측정한다. 이때 자세 계산부(123)는 센서(121)로부터 측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놓여진 자세를 확인한다. 상기 자세 검출 과정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전술하였다.
제어부(150)는 검색부(130)를 제어하여 S240 과정에서 상기 S230 과정으로부터 확인된 자세에 대응된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S240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어부(150)는 S250 과정에서 S240 과정으로부터 선택된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S260 과정에서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변경되었으면, 제어부(150)는 S230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확인결과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유지되었으면, 제어부(150)는 S270 과정에서 종료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종료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S240 과정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5의 자세에 대응한 모드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211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정보 에 의거하여 자세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제어부(150)는 S212 과정에서 센서(121)를 동작한다. 제어부(150)는 S213 과정에서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전달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소정시간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유지되면, 제어부(150)는 S214 과정에서 유지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의 설정을 완료한다. 이때 소정시간은 1초 이내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 소정시간동안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유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S215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모드 설정항목을 선택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S216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S214 과정에서 설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 및 모드의 키 배열을 설정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모드의 키 배열은 휴대 단말기(100)제조 시 미리 설정된 키 배열임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모드의 키 배열을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5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 선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230 과정에서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241 과정에서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전송받은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소정시간동안 동일한지 확인한다. 이때 소정시간은 1초 이내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150)가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자세가 잠시 동안 변경된 경우 동작모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확인 결과, 전송 받은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소정시간동안 동일하면, 제어부(150)는 검색부(130)를 제어하여 S243 과정에서 확인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와 저장부(110)에 저장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비교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검색부(130)는 저장부(110)로부터 검색된 휴대 단말기(100) 자세와 동일한 휴대 단말기(100) 자세의 존재 여부에 따라 모드 신호를 다르게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S245 과정에서 검색부(130)로부터 출력된 모드 신호를 수신하여 키배열 설정부(150)를 제어하여 그에 대응된 모드의 키 배열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키배열 설정부(150)는 수신된 모드 신호에 따라 저장부(110)를 검색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키 배열을 모드에 대응된 키 배열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70)가 터치 패드인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 배열을 키배열 설정부(150)에 의해 설정된 키 배열로 액정의 온/오프 기능을 이용하여 도 10b와 같이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17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도 11a 같은 키 배열을 키배열 설정부(150)에 의해 설정된 키 배열로 도 11b와 같이 액정의 표시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덧붙여 제어부(15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키배열 설정부(150)에 의해 설정된 키 배열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사용자에게 모드 변경에 따라 키 배열이 변경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S247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따라 해당 모드의 이미지를 자세에 따라 회전하여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역전된 이미지를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S241 과정에서 전송받은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소정시간 동안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S249 과정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모드 변경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모드 변경 요청 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50)는 상기 S245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모드 변경 요청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동작 중인 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S243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상기 S249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동작중인 모드를 수행한다. 덧붙여, 미리 설정된 기본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본 모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선택된 모드이다. 예를 들어, 기본 모드는 통신모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300 과정에서 센서(121)를 이용하여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검색부(130)에 의거하여 자세 검출부(120)로부터 확인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와 저장부(110)에 저장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를 비교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검색부(130)로부터 출력된 모드 신호에 의거하여 확인된 자세에 대응된 모드가 멀티미디어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자세로 확인되면 S310 과정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S320 과정에서 해당 기능 수행 중, 착신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착신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제어부(150)는 S330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통신모드 자세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통신모드 자세가 아니면, 제어부(150)는 S340 과정에서 착신 이벤트 처리를 위한 입력신호의 종류를 확인한다. 상기 입력신호 확인 결과 착신 이벤트 수락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S350 과정에서 통신모드로 전환하여 S355 과정에서 착신 이벤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착신 이벤트가 호 착신 이벤트이면, 제어부(150)는 통신모드로 전환하여 착신 호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착신 이벤트가 메시지 착신 이벤트이면, 제어부(150)는 통신 모드로 전한하여 착신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다.
한편 S330 과정에서 통신모드 자세이면, 제어부(150)는 S355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S340 과정에서 입력 신호 확인 결과 착신 이벤트 처리 거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S360 과정에서 멀티미디어 모드를 유지하고 S365 과정에서 착신이벤트 처리를 중단한다. 예를 들어, 착신 이벤트가 호 착신 이벤트이면, 제어부(150)는 S360 과정에서 멀티미디어 모드를 유지하고, 착신 호를 부재중 수신으로 처리하고, 착신 호 정보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100)로 자동응답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착신 이벤트가 메시지 착신 이벤트이면, 제어부(150)는 S360 과정에서 멀 티미디어 모드를 유지하고, 착신 메시지의 수신여부만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S370 과정에서 종료신호의 입력여부를 확인하여 종료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해당모드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S350 과정에서 통신모드로 전환된 경우, 통신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S360 과정에서 멀티미디어 모드로 유지된 경우, 멀티미디어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가 변경되면, 해당 자세에 대응된 모드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른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키 배열을 해당 모드의 키 배열로 변경됨으로써,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데 용이하다.

Claims (17)

  1.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확인하는 자세 검출부;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와 미리 저장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비교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검색부;
    상기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대응된 모드의 키 배열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 배열로 설정하는 키배열 설정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해당 자세에 대응된 모드 이미지의 회전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자세에 대응된 모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검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측정된 중력 가속도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계산하는 자세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특정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휴대 단말기의 자세 및 해당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키 배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된 키 배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키 배열을 표시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멀티미디어 모드 및 통신모드 수행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와 미리 저장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검색되면, 확인된 상기 자세에 대응되는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 배열을 상기 선택된 모드의 키 배열로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키 배열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수행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해당 자세에 대응된 모드의 이미지를 회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14. 멀티미디어 모드 및 통신모드 수행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자세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 배열을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의 키 배열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설정된 키 배열을 이용하여 해당 모드 수행 중, 착신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착신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통신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자세인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통신모드 자세이면, 상기 통신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착신 이벤트를 처리하고,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통신모드 자세가 아니면,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착신 이벤트의 처리를 중단하는 이벤트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과정은
    상기 착신 이벤트가 문자 메시지인 경우,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통신모드 자세이면, 상기 착신 이벤트의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통신모드 자세가 아니면, 상기 착신 이벤트의 착신여부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과정은
    상기 착신 이벤트가 호 착신 이벤트인 경우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통신모드 자세이면, 상기 착신 이벤트를 호 연결 처리하고,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통신모드 자세가 아니면, 상기 착신 이벤트를 부재중 수신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과정은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가 통신모드 자세가 아니면, 호 처리 수락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통신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착신 이벤트를 호 연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KR1020060077315A 2006-08-16 2006-08-16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879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315A KR100879517B1 (ko) 2006-08-16 2006-08-16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US11/775,744 US9467556B2 (en) 2006-08-16 2007-07-10 Mode switch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315A KR100879517B1 (ko) 2006-08-16 2006-08-16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677A KR20080015677A (ko) 2008-02-20
KR100879517B1 true KR100879517B1 (ko) 2009-01-22

Family

ID=3910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315A KR100879517B1 (ko) 2006-08-16 2006-08-16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67556B2 (ko)
KR (1) KR100879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425B1 (ko) 2009-05-20 2010-12-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센서 기반 피티제트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0233B2 (en) * 2008-06-16 2011-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mobile devices using sensors
EP2144135A1 (en) * 2008-07-09 2010-01-13 Topseed Technology Corp. Automatic key function switch device for a handheld apparatus by detecting the gravity direction
JP4628483B2 (ja) * 2008-07-15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装置及びその位置特定方法
JP5280800B2 (ja) 2008-10-29 2013-09-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機器、操作検出方法および操作検出プログラム
TWI384850B (zh) * 2008-12-25 2013-02-01 Inventec Appliances Corp 手機及自動切換手機來電提示之方法
JP5414303B2 (ja) * 2009-02-24 2014-02-1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44024B1 (ko) * 2009-07-23 2011-06-23 주식회사 텔레칩스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시 재생 구간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1679420B1 (ko) * 2009-08-11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26809A (ko) * 2009-09-08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707647A (zh) * 2009-10-22 201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设置移动终端主题的方法
CN102118488B (zh) * 2009-12-30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一种应用重力感应功能的方法及其移动终端
CN102821186A (zh) * 2011-06-08 2012-12-12 基伍知识产权(新加坡)私人有限公司 一种手机
CN102572115A (zh) * 2012-02-17 2012-07-11 广东步步高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可靠地根据环境自动调整ui界面的方法
CN102638613A (zh) * 2012-03-12 2012-08-15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多卡手机及卡的切换方法
US20150105036A1 (en) 2012-06-24 2015-04-16 Proudlion It Mobile device operating mode alteration
CN102929406A (zh) * 2012-09-26 2013-02-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躺卧模式下移动终端屏幕切换的方法及其移动终端
CN103034416B (zh) * 2012-12-25 2015-09-09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通过摇动使设备屏幕显示转到重力方向的方法
CN103034423B (zh) * 2012-12-25 2015-09-09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通过摇动设备实现其屏幕显示方向转动的方法
CN103297622A (zh) * 2013-06-27 2013-09-11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自适应通话方法
WO2015042074A1 (en) * 2013-09-17 2015-03-26 Nokia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an operation
CN104244182A (zh) * 2014-09-13 2014-12-24 北京智谷技术服务有限公司 移动设备位置确定方法及确定装置、移动设备
CN104598132A (zh) * 2015-01-29 2015-05-0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移动终端的应用的方法和装置
CN107037955A (zh) 2016-10-24 2017-08-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显示图像信息的方法及装置
US11026051B2 (en) * 2019-07-29 2021-06-01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modes based on mobile device orientation
CN112908329B (zh) * 2021-02-26 2023-07-1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语音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45A (ko) * 2004-11-23 2006-05-26 주식회사 팬택 개인 휴대 단말기의 키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KR100612997B1 (ko) * 2005-08-17 2006-08-16 주식회사 팬택 키패드 배열 전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키패드 배열 전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102B2 (en) * 2000-07-17 2007-10-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sensors in a device with a display
US7071916B2 (en) * 2003-09-29 2006-07-04 Danger, Inc. User input configurations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JP2005284999A (ja) * 2004-03-30 2005-10-13 Sharp Corp 電子機器
JP4559140B2 (ja) * 2004-07-05 2010-10-06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070004451A1 (en) * 2005-06-30 2007-01-04 C Anderson Eric Controlling functions of a handheld multifunction device
US7283841B2 (en) * 2005-07-08 2007-10-16 Microsoft Corporation Transforming media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45A (ko) * 2004-11-23 2006-05-26 주식회사 팬택 개인 휴대 단말기의 키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KR100612997B1 (ko) * 2005-08-17 2006-08-16 주식회사 팬택 키패드 배열 전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키패드 배열 전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425B1 (ko) 2009-05-20 2010-12-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센서 기반 피티제트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45207A1 (en) 2008-02-21
US9467556B2 (en) 2016-10-11
KR20080015677A (ko)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1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77836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이벤트 처리 방법
US10261603B2 (en) Motion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9739669B (zh) 一种未读消息提示方法及移动终端
CN105259981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9465454B2 (en) Mobile terminal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display control of mobile terminal device
US90156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access to an application when unlock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86700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change operation mode
US20100265269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US201403068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US20070004451A1 (en) Controlling functions of a handheld multifunction device
EP3115868A1 (en) Camera-based orientation fix from portrait to landscape
US20160334936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odifying touched position
US20140210703A1 (en) Method of unlocking and subsequent application launch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via orientation sensing
CN108363524B (zh) 一种应用程序图标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8287655A (zh) 一种界面显示方法、界面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20140128127A1 (en) Method of adjusting event prompt degre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ing the same
CN108287650A (zh) 基于移动终端的单手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8762613B (zh) 一种状态图标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20160147313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Orientation Control Method
CN10876286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9710151B (zh) 一种文件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8469968A (zh) 一种应用程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11124345A (zh) 一种音频源处理的方法及移动终端
CN108712563B (zh) 通话控制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