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830A -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830A
KR20110025830A KR1020117000976A KR20117000976A KR20110025830A KR 20110025830 A KR20110025830 A KR 20110025830A KR 1020117000976 A KR1020117000976 A KR 1020117000976A KR 20117000976 A KR20117000976 A KR 20117000976A KR 20110025830 A KR20110025830 A KR 2011002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rmation information
delivery confirmation
control channel
data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기시야마
테루오 카와무라
노부히코 미키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2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통신장치는, 소정의 전송기간마다 데이터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데이터채널마다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다.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수신한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각각 마련된다.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이 송신된 후,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이 송신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서는, 이른바 제3 세대의 후계가 되는 이동통신방식이, 와이드밴드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방식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고 있다. 특히, W-CDMA 방식,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방식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방식 등의 후계로서,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뿐 아니라 더 후속의 이동통신방식에 관한 검토도 추진되고 있다. LTE 방식의 시스템의 후계로서는, 예를 들면 IMT 어드밴스트(IMT-Advanced) 시스템, LTE 어드밴스트(LTE-Advanced) 시스템 또는 제4 세대 이동통신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LTE 방식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이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싱글 캐리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에 멀티 캐리어 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OFDM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축상에 직교시키면서도 촘촘하게 나열함으로써 고속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리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SC-FDMA 방식은, 푸리에 변환 후의 주파수영역 안에서,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단말간의 간섭을 간이하고 그리고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에 더해 송신전력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식은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커버리지의 확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SC-FDMA 방식은, 예를 들면 DFT-스루풋 OFDM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의 맵핑위치를, 일련의 연속하는 주파수대역으로 제한한 것, 혹은, 신호를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빗살모양(comb-tooth shape)으로 일정 간격으로 맵핑한 것에 상당한다. 상향링크에서 싱글 캐리어 방식의 FDMA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종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LTE 등의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도 상향링크에서도 유저장치에 하나 이상의 리소스블록(RB:Resource Block) 또는 리소스유닛(RU:Resource Unit)을 할당함으로써 통신이 수행된다. 리소스블록은 시스템 내의 다수의 유저장치에서 공유된다. 기지국장치는, LTE에서는 1ms인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복수의 유저장치 중 어느 유저장치에 리소스블록을 할당할지를 결정한다. 서브프레임은 송신시간간격(TTI)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리소스의 할당의 결정은 스케줄링이라 불린다. 하향링크에서는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유저장치 앞으로, 기지국장치는 1 이상의 리소스블록에서 공유데이터채널을 송신한다. 이 공유데이터채널은, 하향 물리 공유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 불린다. 상향링크에서는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유저장치가, 1 이상의 리소스블록에서 기지국장치로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이 공유채널은, 상향 물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라 불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원칙으로서 서브프레임마다 어느 유저장치에 공유채널을 할당하는지를 시그널링(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 시그널링에 이용되는 제어채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하향 L1/L2 제어채널(DL-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린다. 하향 제어신호에는, 이 PDCCH에 더해서, 물리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 채널(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이나, 물리 하이브리드 ARQ 인디케이터 채널(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PDCCH에는, 예를 들면 다음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하향 스케줄링 그랜트(Downlink Scheduling Grant),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 및
·송신전력제어 커맨드 비트(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
하향 스케줄링 정보에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구체적으로는, 하향링크의 리소스블록의 할당정보, 유저장치의 식별정보(UE-ID), 스트림 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의 리소스의 할당정보, 유저장치의 식별정보(UE-ID),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업링크 MIMO(Uplink MIMO)에 있어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PCFICH는, PDCCH의 포맷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DCCH가 맵핑되는 OFDM 심볼수가, PCFICH에 의해 통지된다. LTE에서는, PDCCH가 맵핑되는 OFDM 심볼수는 1, 2 또는 3이며, 서브프레임의 선두의 OFDM 심볼로부터 순서대로 맵핑된다.
PHICH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된 PUSCH에 대해 재송을 요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ACK/NACK: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 information)를 포함한다. PHICH는 1패킷과 같은 전송단위마다 옳고 그름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1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그대로는 무선전송에 유리하지 않다. 이 때문에, 몇 명분쯤의 PHICH가 모여져서 다(多) 비트의 정보를 구성하고, 그 정보가 부호다중 방식으로 다중 확산되고, 무선전송된다.
또한, 용어의 정의 문제인데, PDCCH, PCFICH 및 PHICH는 상기와 같이 하향 제어신호 중에서 각각 독립한 채널로서 정의되어도 좋으며, 혹은 PDCCH 중에 PCFICH 및 PHICH가 포함되도록 정의되어도 좋다.
상향링크에서는 PUSCH에 의해 유저데이터(통상의 데이터신호) 및 그에 부수하는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또, PUSCH와는 따로,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Phy 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PDSCH의 송달확인정보(ACK/NACK) 등이 전송된다. CQI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물리채널의 스케줄링처리나 적응 변복조 및 부호화처리 (AMCS: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등에 사용된다. 상향링크에서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이나, 상하링크의 무선리소스의 할당요구를 나타내는 신호 등도 필요에 따라 전송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송달확인정보는, 데이터채널의 수신 후 일정 기간 후에 송신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하향 데이터채널(DL 데이터)이 유저장치에서 수신되고, ACK 또는 NACK인 것이 판정되고, 판정결과가 상향링크에서 송신된다. 송달확인정보는 데이터 전송의 스루풋에 크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확실하게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통신상황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 송달확인정보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도 2는, 하향 데이터채널이 유저장치에서 수신되고, ACK 또는 NACK가 2회 반복적으로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반복(Repetition)에 대해서는, 종래 문헌 등에서 기재된 바 있다.
도 3은, 송달확인정보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1 및 제2 하향 데이터채널이 연속적으로 송신되었다고 하자. 상기한 반복법에 따르면, 제1 하향 데이터채널에 대해, 제1 및 제2 상향 전송기간에(2TTI에 걸쳐)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고, 그리고 제2 하향 데이터채널에 대해서도, 제2 및 제3 상향 전송기간(2TTI에 걸쳐)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경우, 제2 상향 전송기간에 있어서, 제1 하향 데이터채널의 송달확인정보와 제2 하향 데이터채널의 송달확인정보가 충돌하여, 적절하게 전송할 수 없는 것이 우려된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제1 하향 데이터채널의 송달확인정보를 제1 및 제2 상향 전송기간에 완전히 송신한 뒤에, 제2 하향 데이터채널의 송달확인정보를 제3 및 제4 상향 전송기간에 송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를 충돌없이 적절하게 전송하는 것은 가능해지나, 모든 송달확인정보를 송신 종료하기까지는, 보다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발생해버린다.
혹은, 송달확인정보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유저에 대해, 하향 데이터채널을 연속적으로 할당하지 않도록, 스케줄링에 제약을 과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한 충돌의 우려는 해소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스케줄링에 그와 같은 제약을 부여하는 것은, 스케줄링의 처리부하를 무겁게 해버리는 것에 더해, 주파수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방해할, 즉, 셀 단 유저에 대한 하향링크의 데이터 스루풋이 감소할, 우려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향 데이터채널마다 송달확인정보가 복수회 송신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 하향 데이터채널이 연속해서 수신되었을 때라도, 송달확인정보를 지체없이 적절하게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되는 통신장치는, 소정의 전송기간마다 데이터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데이터채널마다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다.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수신한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이 송신된 후,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이 송신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되는 통신장치는, 전송기간마다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각 제어채널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긍정응답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재송 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을 갖는다.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이 수신된 후,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이 수신된다.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는,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각각 표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은,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송신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사용된다. 상기 유저장치는, 소정의 전송기간마다 데이터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데이터채널마다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다. 상기 기지국장치는, 전송기간마다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각 제어채널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긍정응답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재송 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을 갖는다.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상기 유저장치가 수신한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이,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된 후,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이,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하향 데이터채널마다 송달확인정보가 복수회 송신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 하향 데이터채널이 연속해서 수신되었을 때라도, 송달확인정보를 지체없이 적절하게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하향 데이터채널에 대해 일정 기간 후에 A/N이 송신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반복적으로 A/N이 송신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도 7은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그 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그 2)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그 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그 4)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연속하는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수신한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송달확인정보(A/N-1)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PUCCH-1)이 송신된 후,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A/N-1, A/N-2)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PUCCH-2)이 송신된다. 제1 제어채널이 송신된 후,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이 송신되기 때문에, 송달확인정보는 지체없이 적절하게 송신된다.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제1 제어채널(PUCCH-1)에서는 I성분(또는 Q성분)에 반영되고, 제2 제어채널(PUCCH-2)에서는 Q성분(또는 I성분)에 반영되어도 좋다. 직교 변조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를 구별할 수 있다. 이는, 송달확인정보를 지체없이 적절하게 전송할 수 있는 것에 더해, 송달확인정보가 초회의 것인지 또는 반복적인 것인지를 간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기지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어느 쪽의 데이터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인지를 고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 송달확인정보(A/N-2)는, 제2 제어채널(PUCCH-2)에서는, I성분(또는 Q성분)에 반영되고, 제2 제어채널에 이어지는 제3 제어채널(PUCCH-3)에서는, Q성분(또는 I성분)에 반영되어도 좋다. 제1 제어채널에서는, 제1 송달확인정보가 어느 다치수의 데이터 변조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제2 제어채널에서는,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그 다치수보다 많은 다치수의 데이터 변조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된다. 예를 들면, 제1 제어채널에서는, 제1 송달확인정보가 B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제2 제어채널에서는,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어도 좋다. 또, 제1 제어채널에서는, 제1 송달확인정보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제2 제어채널에서는,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16QAM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어도 좋다. 또한 고차(高次)의 변조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2 제어채널에서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를 효율적으로 다중할 수 있다.
제2 제어채널(PUCCH-2)은,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를 시간분할 다중방식으로 포함해도 좋다. 이 방법은,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에 대한 데이터 변조방식에 의존하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제1 제어채널(PUCCH-1)에서는, I성분(또는 Q성분)에 반영되고, 제2 제어채널(PUCCH-2)에서는, Q성분(또는 I성분)에 반영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2 송달확인정보(A/N-2)는, 제2 제어채널(PUCCH-2)에서는 I성분에 반영되고, 제2 제어채널에 이어지는 제3 제어채널(PUCCH-3)에서는, Q성분에 반영되어도 좋다. 또한, 제2 제어채널은,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를 시간분할 다중방식으로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특징사항을 결합시키는 것은, 송달확인정보가 제1 데이터채널 또는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송신된 것을 높은 신뢰도로 판정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눠서 설명되나, 각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항목에 따로따로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지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설명된다.
A. 시스템
B. 동작 흐름
C. 전송법―그 1
D. 전송법―그 2
E. 전송법―그 3
F. 전송법―그 4
G. 유저장치
H. 기지국장치
실시 예 1
〈A. 시스템〉
도 4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동통신시스템은, 셀(50)과, 셀(50) 내에 재권하는 유저장치(UE:User Equipment)(1001, 1002, 1003)와, 유저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200)와, 기지국장치에 접속된 상위노드(300)와, 상위노드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상위노드(300)는,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여도 좋으며, 액세스 게이트웨이(aGW)여도 좋으며,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어도 좋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상하링크에 멀티 캐리어 방식이 사용되어도 좋으며, 싱글 캐리어 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적절한 어떠한 멀티 캐리어 방식이 사용되어도 좋으나, 일 예로서 OFDM 방식 또는 DFT―스프레드(spread) OFDM 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항상 멀티 캐리어 방식이 사용되어도 좋으며, 싱글 캐리어 방식과 멀티 캐리어 방식이 병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 근방과 같은 무선전파상황이 좋은 지역에서 OFDM 방식이 사용되고, 셀 단과 같은 무선전파상황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싱글 캐리어(SC-FDMA) 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B. 동작 흐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단계 S0에서는, 유저장치(UE)가 반복적으로 송달확인정보를 송신하는 동작모드(반복모드라 언급한다)로 이행하는 수순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eNB)은 유저장치 각각의 통신상황을 감시하고, 통신상태가 좋지 않은 유저장치의 동작모드를 반복모드로 이행시킨다.
단계 S1에서는, 하향 데이터채널(PDSCH-1)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단계 S2에서는, 하향 데이터채널(PDSCH-2)이 단계 S1과 동일한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이들 2개의 하향 데이터채널은, 연속적으로 송신된다. 구체적으로는, 하향 데이터채널(PDSCH-1)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 다음의 하향 데이터채널(PDSCH-2)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이 계속된다. 단계 S1, S2 이전에 기지국에서는 스케줄링 등의 처리가 수행되고 있으나, 도시의 간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그들은 생략되어 있다.
단계 S3에서는, 유저장치는, 수신한 하향 데이터채널에 대해 오류검출을 수행하고,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송달확인정보(ACK/NACK)를 데이터채널마다 마련한다. 도시의 예의 경우, 제1 하향 데이터채널(PUSCH-1)에 대한 제1 송달확인정보(A/N-1)와, 제2 하향 데이터채널(PUSCH-2)에 대한 제2 송달확인정보(A/N-2)가 마련된다. 설명의 편의상, 2개의 하향 데이터채널이 연속하여 수신되고 있으나, 3개 이상의 하향 데이터채널이 연속적으로 송신되어도 좋다. 어느 쪽이든, 하향 데이터채널 각각에 대해, 송달확인정보가 마련된다.
단계 S4에서는,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상향 제어신호(PUCCH)가 마련된다. 상향 제어신호는, 3개 마련되고, 편의상 그들은 PUCCH-1, PUCCH-2, PUCCH-3과 같이 표현된다.
단계 S11, S12, S13에서는 그들 3개의 상향 제어신호(PUCCH-1, 2, 3)가 순서대로 송신된다. 단계 S1로부터 단계 S11까지, 단계 S2로부터 단계 S12까지의 기간은, 일 예로서 4TTI 정도이다.
제1 상향 제어채널(PUCCH-1)은, 제1 송달확인정보(A/N-1)를 포함하나, 제2 송달확인정보(A/N-2)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상향 제어채널(PUCCH-2)은, 제1 송달확인정보(A/N-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2)의 쌍방을 포함한다. 이들은 후술할 방법으로 다중되고 있다.
제3 상향 제어채널(PUCCH-3)은, 제1 송달확인정보(A/N-1)를 포함하지 않고, 제2 송달확인정보(A/N-2)를 포함한다.
제1∼제3 상향 제어채널 중, 제2 상향 제어채널의 구성을 다른 제어채널과 다른 형태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를 지체없이 적절하게 송신할 수 있다.
2개의 하향 데이터채널(PDSCH)을 수신한 후에 단계 S3 및 S4가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본 발명의 필수가 아니다. 하향 데이터채널(PDSCH)을 수신하고, 송달확인정보를 판정하여, (PUCCH)을 작성하는 일련의 수순이, 하향 데이터채널(PDSCH)마다 반복되어도 좋다. 단, 제2 상향 제어채널(PUCCH-2)은, 제1 송달확인정보뿐 아니라 제2 송달확인정보도 포함하기 때문에, 그것이 작성될 때,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가 이미 마련되어 있는 것을 요한다.
또한, 하향 데이터채널(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송신할 때, 상향 데이터채널(PUSCH)을 송신하는 허가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 그 상향 데이터채널(PUSCH)에 부수하는 제어정보로 상기한 송달확인정보가 전송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무선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송달확인정보(A/N-1, A/N-2)의 충돌의 문제 자체는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무선리소스가 항상 이용가능하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상향 데이터채널용의 무선리소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라도 사용가능하다.
이하, 제1∼제3 상향 제어채널에서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를 어떻게 전송하는지가 설명된다.
〈C. 전송법―그 1〉
도 6은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그 1)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유저장치에서 최초로 수신된 데이터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A/N-1)는, 제1 상향 제어채널에서는 직교 변조방식의 동상(同相) 성분(I)에, 제2 상향 제어채널에서는 직교 성분(Q)에 반영된다. 송달확인정보와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대한 대응관계는, 반대여도 좋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되는 원리에 따라, 제1,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가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7 하측의 도는, 제1∼제3 상향 제어채널을 시간 및 주파수의 관점에서 표현한 것이다. 도면 중, BW는 시스템 대역폭을 나타낸다.
제1 상향 제어채널(PUCCH-1)에서는, 제1, 제2 송달확인정보(A/N-1, 2) 중, 제1 송달확인정보(A/N-1)가 전송된다. 상기한 원리에 따라, 제1 송달확인정보는 동상 성분(I)에 반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이상(二相) 위상 변조(BPSK)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된다.
제2 상향 제어채널(PUCCH-2)에서는, 제1, 제2 송달확인정보(A/N-1, 2)의 쌍방이 전송된다. 상기한 원리에 따라,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직교 성분(Q)에 반영된다. 제2 송달확인정보(A/N-2)는 동상 성분(I)에 반영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가 사상(四相) 위상 변조(QPSK) 또는 직교 진폭 변조(QAM)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된다. 바꿔 말하면, 신호점 배치도 안의 하나의 신호점의 I성분이, 제2 송달확인정보(A/N-2)를 표현하고, Q성분이 제1 송달확인정보(A/N-1)를 표현한다.
제3 제어채널(PUCCH-3)에서는, 제1, 제2 송달확인정보(A/N-1, 2) 중, 제2 송달확인정보(A/N-2)가 전송된다. 상기한 원리에 따라, 제2 송달확인정보는 직교 성분(Q)에 반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송달확인정보(A/N-2)는 B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제2 제어채널(PUCCH-2)에 있어서, 직교 변조방식의 I성분 및 Q성분을 활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를 지체없이 적절하게 전송할 수 있다. 송달확인정보가, I성분 및 Q성분의 어느 것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그것이 최초로 송신되었다 또는 2회째로 송신되었다는 것을 간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는, 간헐 송신 기간(DTX)을 검출한다, 즉, 기지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어느 쪽의 데이터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인지를 고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향 데이터채널이 2회 연속하여 송신되었으나, 3회 이상 송신되어도 좋다. 송달확인정보가 2회 반복하여 송신되는 경우, 제1∼제4의 일련의 상향 제어채널(PUCCH-1∼4)이 송신된다. 제1 상향 제어채널은, B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된 송달확인정보(A/N-1)를 포함한다. 제2 및 제3 상향 제어채널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된 송달확인정보(A/N-2, 3)를 포함한다. 제4 상향 제어채널은, B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된 송달확인정보(A/N-4)를 포함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다수의 하향 데이터채널이 연속적으로 송신되어도 좋다. 또한, 송달확인정보의 반복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보다 큰 변조 다치수의 데이터 변조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송달확인정보의 각각을 지체없이 적절하게 전송할 수 있다.
〈D. 전송법―그 2〉
도 8은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그 2)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 하측의 도는, 제1∼제3 상향 제어채널을 시간 및 주파수의 관점에서 표현한 것이다. 도면 중, BW는 시스템 대역폭을 나타낸다. 시스템대역의 양측에 전용으로 확보된 대역에서, 상향 제어채널(PUCCH)이 송신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서브프레임(TTI)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반의 슬롯과 후반의 슬롯에서 따로따로의 신호가 송신되어도 좋다. 본 방법은 이 성질을 활용하여 제2 상향 제어채널을 구성한다.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제1 상향 제어채널의 전(全) 서브프레임과 제2 상향 제어채널의 전반의 슬롯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제1 송달확인정보(A/N-2)는, 제2 상향 제어채널의 후반의 슬롯과, 제3 상향 제어채널의 전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즉, 제2 상향 제어채널은, 전반의 슬롯에서 제1 송달확인정보(A/N-1)를 전송하고, 후반의 슬롯에서 제2 송달확인정보(A/N-2)를 전송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를 시간분할 다중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송달확인정보의 각각을 지체없이 적절하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송달확인정보의 데이터 변조방식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 상향 제어채널에서 변조 다치수를 늘리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전술한 전송법에서는, 제2 상향 제어채널에서 변조 다치수가 2에서 4로 증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예를 들면 제1∼제3 상향 제어채널에서, 송달확인정보의 데이터 변조방식이, 간이하고 그리고 신뢰도가 높은 BPSK로 통일되어도 좋다는 등의 점에서 본 방법은 바람직하다.
〈E. 전송법―그 3〉
도 9는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그 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대체로 본 방법은, 전송법(그 1―도 7)과 전송법(그 2―도 8)을 조합한 것에 상당한다. 도 9 하측의 도는, 제1∼제3 상향 제어채널을 시간 및 주파수의 관점에서 표현한 것이다. 도면 중, BW는 시스템 대역폭을 나타낸다. 시스템대역의 양측에 전용으로 확보된 대역에서 상향 제어채널(PUCCH)이 송신된다.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제1 상향 제어채널(PUCCH-1)에서는 I성분에, 제2 상향 제어채널(전반의 슬롯)에서는 Q성분에 반영된다. 제2 송달확인정보(A/N-2)는, 제2 상향 제어채널(후반의 슬롯)에서는 I성분에, 제3 상향 제어채널(PUCCH-3)에서는 Q성분에 반영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송달확인정보가, I성분 및 Q성분의 어느 것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그것이 최초로 송신되었다 또는 2회째로 송신되었다는 것을 간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제3 상향 제어채널에서, 송달확인정보의 데이터 변조방식이, 간이하고 그리고 신뢰도가 높은 BPSK로 통일되어도 좋다. 따라서, 본 방법에 따르면, 송달확인정보가 제1 데이터채널 또는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송신된 것을 높은 신뢰도로 판정할 수 있다는 상승(相乘)효과가 있다.
〈F. 전송법―그 4〉
상기한 전송법(그 1)에서는, 제1 제어채널(PUCCH-1)에 있어서 제1 송달확인정보(A/N-1)가 B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제2 제어채널(PUCCH-2)에서는,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데이터 변조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고차의 데이터 변조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도 10은, 송달확인정보의 전송법(그 4)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방법에서는, 제1 제어채널(PUCCH-1)에 있어서 제1 송달확인정보(A/N-1)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제2 제어채널(PUCCH-2)에서는,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가 16QAM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된다. 도 10은, 제2 제어채널(PUCCH-2)에 있어서,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가, 어떻게 하여 다중되는지를 나타낸다. 다중 전의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QPSK 방식의 신호점의 어느 하나에 대응한다. 편의상, 4개의 신호점 M1∼M4 중, M1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지만, 일반성을 잃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다중 전의 제2 송달확인정보(A/N-2)도, QPSK 방식의 신호점의 어느 하나에 대응한다. 편의상, 4개의 신호점 M1∼M4 중, M3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지만, 일반성을 잃는 것은 아니다.
16QAM 방식인 경우의 신호점 배치도(컨스텔레이션)에 있어서, 4개의 상한(象限)을 각각(1)∼(4)로 한다. 16개의 신호점을 M11, M12, …, M44로 한다.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4개의 상한 중 어느 하나의 상한에 대응지어진다. 도시의 예의 경우, 제1 송달확인정보(A/N-1)를 나타내는 M1은, 제1 상한(1)에 대응지어진다. 이 제1 상한(1) 안의 4개의 신호점 중, 어느 하나의 신호점에 제2 송달확인정보(A/N-2)인 M3이 대응지어진다. 그 결과, 16QAM 방식의 컨스텔레이션에 있어서의 M13의 신호점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채널이 송신된다.
수신측에서는, 판별된 신호점이, 어느 상한에 속하는지, 및 그 상한 안의 어느 신호점인지를 특정함으로써,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를 판별할 수 있다. 현재의 예의 경우, 신호점 M13은 제1 상한(1)에 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송달확인정보(A/N-1)는, QPSK 방식에 있어서의 M1의 신호점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상한(1) 안의 4개의 신호점 M11, M12, M13, M14 중, 신호점은 M13이기 때문에, 제2 송달확인정보(A/N-2)는, QPSK 방식에 있어서의 M3의 신호점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송달확인정보(A/N-2)가 상한에 대응지어지고, 제1 송달확인정보(A/N-1)가 그 상한 중의 신호점에 대응지어져도 좋다.
본 방법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송달확인정보(A/N-1, A/N-2)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기 때문에, B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하는 경우보다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방법에 대해서도, 상기한 전송법(그 2)과 같은 시분할 다중방식과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G. 유저장치〉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1에는, A/N 정보 생성부(101), 반복정보 생성 및 데이터 변조부(102), 상향 제어신호 생성부(103) 및 송신부(104)가 도시되어 있다.
A/N 정보 생성부(101)는, 하향링크에서 수신된 데이터채널(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마련한다. 하향 데이터채널은, 소정의 전송기간(TTI)마다 전송된다. 송달확인정보는, 자 장치 앞으로 송신된 하향 데이터채널마다 마련된다. 송달확인정보는, 긍정응답(ACK) 또는 부정응답(NACK)을 나타낸다.
반복정보 생성 및 데이터 변조부(102)는, 하향 데이터채널마다 송달확인정보를 복수회(전형적으로는, 2회) 송신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유저장치가 송달확인정보를 복수회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적절히 통지된다. 반복정보 생성 및 데이터 변조부(102)는, 상기한 전송법(그 1, 2, 3)의 어느 하나에 따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제어정보를 마련한다. 또한 반복정보 생성 및 데이터 변조부(102)는, 상기한 전송법에 따라, 송달확인정보의 데이터 변조도 수행한다. 이 데이터 변조는, BPSK 또는 QPSK(또는 QAM)이다.
상향 제어신호 생성부(103)는, 반복정보 생성 및 데이터 변조부(102)에서 마련된 반복정보를 상향 제어채널(PUCCH)에 포함시킨다.
송신부(104)는, 생성된 상향 제어채널(PUCCH)을 무선송신한다.
〈H. 기지국장치〉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2에는, 수신부(111), 채널 보상부(112), 반복정보 추출 및 데이터 복조부(113) 및 A/N 판정부(114)가 도시되어 있다.
수신부(111)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되고 있는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특히 상향 제어채널이 수신된다.
채널 보상부(112)는, 수신한 파일럿채널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채널 보상을 수행한다. 상향 제어채널이 송신될 때, 예를 들면 슬롯당 2군데의 타이밍에서 파일럿채널이 송신되고 있다. 이 파일럿채널을 사용하여, 채널 추정이 수행되어도 좋다.
반복정보 추출 및 데이터 복조부(113)는, 수신한 상향 제어채널로부터, 반복정보가 추출되고, 데이터 복조가 수행된다. 반복정보는, 상기한 어느 전송법(그 1, 2, 3)에 따라 유저장치(도 10의 반복정보 생성 및 데이터 변조부(102))에서 마련된 정보이다.
A/N 판정부(114)는, 데이터 복조 후의 반복정보에 기초하여, 자 장치(기지국)가 과거에 송신한 하향 데이터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판정한다. 판정결과에 따라 재송 제어가 수행된다. 재송 제어는, 일반적으로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하지 않고, 송달확인정보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적절한 어떠한 시스템이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HSDPA/HSUPA 방식의 W-CDMA 시스템, LTE 방식의 시스템, IMT-Advanced 시스템, WiMAX, Wi-Fi 방식의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그들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데이터채널의 연속적인 전송은 2회뿐 아니라, 3회 이상이어도 좋다. 또, 송달확인정보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횟수는, 3 이상도 좋다. 또한, 1회째로 송신된 송달확인정보와, 2회째로 송신된 송달확인정보가 항상 동시에 처리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먼저 기지국에 도착한 송달확인정보(1회째의 정보)가, 후자보다도 우선적으로 처리되어도 좋다. 혹은 반대로, 전자보다도 후자가 우선적으로 처리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간이화를 도모하기 위해, 상향 제어채널에서 송달확인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해서는 상하링크의 구별은 필수가 아니다. 하향 제어채널에서 송달확인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좋다. 어느 쪽이든, 수신된 데이터채널에 대해, 송달확인정보가 복수회 송신되는 적절한 어떠한 상황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의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8년 6월 23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16384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일본국 특허출원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50 셀
1001, 1002, 1003 유저장치
200 기지국장치
300 상위노드
400 코어 네트워크
101 A/N 정보 생성부
102 반복정보 생성 및 데이터 변조부
103 상향 제어신호 생성부
104 송신부
111 수신부
112 채널 보상부
113 반복정보 추출 및 데이터 복조부
114 A/N 판정부

Claims (21)

  1. 소정의 전송기간마다 데이터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데이터채널마다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생성하는 생성수단;
    상기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한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상기 판정수단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을 송신한 직후에,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을 송신하도록 한 통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1 제어채널에서는, 직교 변조방식의 동상 성분 또는 직교 성분의 일방에 반영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동상 성분 또는 직교 성분의 타방에 반영되도록 한 통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일방에 반영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 이어지는 제3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타방에 반영되도록 한 통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가 어느 다치수의 데이터 변조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상기 다치수보다 많은 다치수의 데이터 변조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있는 통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가 B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있는 통신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16QAM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있는 통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채널에 있어서,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는, 신호점 배치도의 4개의 상한(象限) 중 어느 하나의 상한에 대응지어지고,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가 대응지어진 상한 안의 4개의 신호점 중 어느 하나의 신호점에 대응지어지고 있는 통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채널은,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 및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를 시간분할 다중방식으로 포함하도록 한 통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1 제어채널에서는, 직교 변조방식의 동상 성분 또는 직교 성분의 일방에 반영되고, 제2 제어채널에서는, 동상 성분 또는 직교 성분의 타방에 반영되고,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일방에 반영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 이어지는 제3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타방에 반영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은,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 및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를 시간분할 다중방식으로 포함하도록 한 통신장치.
  10. 소정의 전송기간마다 데이터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데이터채널마다 판정하는 단계;
    상기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수신한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이 송신된 직후에,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이 송신되도록 한 통신방법.
  11. 전송기간마다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각 제어채널로부터 취득하는 수단;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긍정응답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재송 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을 갖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을 수신한 직후에,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는,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각각 표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은,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해당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인 통신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1 제어채널에서는, 직교 변조방식의 동상 성분 또는 직교 성분의 일방에 반영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동상 성분 또는 직교 성분의 타방에 반영되도록 한 통신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일방에 반영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 이어지는 제3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타방에 반영되도록 한 통신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채널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는, 어느 다치수의 데이터 복조방식으로 데이터 복조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다치수보다 많은 다치수의 데이터 복조방식으로 복조되는 통신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채널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는, BPSK 방식으로 데이터 복조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는,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복조되는 통신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가 QPSK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가 16QAM 방식으로 데이터 변조되고 있는 통신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채널에 있어서,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는, 신호점 배치도의 4개의 상한 중 어느 하나의 상한에 대응지어지고,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가 대응지어진 상한 안의 4개의 신호점 중 어느 하나의 신호점에 대응지어지고 있는 통신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채널은,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 및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를 시간분할 다중방식으로 포함하고 있는 통신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1 제어채널에서는, 직교 변조방식의 동상 성분 또는 직교 성분의 일방에 반영되고, 제2 제어채널에서는, 동상 성분 또는 직교 성분의 타방에 반영되고 있으며,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제2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일방에 반영되고, 상기 제2 제어채널에 이어지는 제3 제어채널에서는 상기 타방에 반영되고 있으며,
    상기 제2 제어채널은,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 및 상기 제2 송달확인정보를 시간분할 다중방식으로 포함하도록 한 통신장치.
  20. 전송기간마다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각 제어채널로부터 취득하는 단계;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긍정응답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재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갖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이 수신된 직후에,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이 수신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는,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각각 표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은,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송신된 것인 통신방법.
  21.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는,
    소정의 전송기간마다 데이터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데이터채널마다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생성하는 생성수단;
    상기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가지며,
    상기 기지국장치는,
    전송기간마다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각 제어채널로부터 취득하는 수단;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긍정응답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재송 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유저장치는, 연속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전송기간에 수신한 제1 및 제2 데이터채널에 대해,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제1 송달확인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채널이,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된 직후에, 상기 제1 및 제2 송달확인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제2 제어채널이,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되도록 한 이동통신시스템.
KR1020117000976A 2008-06-23 2009-06-22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KR201100258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63845 2008-06-23
JPJP-P-2008-163845 2008-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830A true KR20110025830A (ko) 2011-03-11

Family

ID=4144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976A KR20110025830A (ko) 2008-06-23 2009-06-22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0757B2 (ko)
EP (1) EP2293619A4 (ko)
JP (1) JP5398711B2 (ko)
KR (1) KR20110025830A (ko)
CN (1) CN102106170B (ko)
WO (1) WO2009157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982A2 (en) * 2008-11-04 2010-05-14 Nortel Networks Limited Providing acknowledgment information by a wireless device
US20100329206A1 (en) * 2009-06-30 2010-12-30 Thome Timothy A Dual idle-traffic stat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686048B2 (en) 2010-04-06 2017-06-20 Qualcomm Incorporated Delayed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acknowledgment
US9007963B2 (en) 2012-03-16 2015-04-14 Blackberry Limi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mapping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US8923196B2 (en) 2012-03-16 2014-12-30 Blackberry Limi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collision resolu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US8923255B2 (en) * 2012-03-16 2014-12-30 Blackberry Limi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collision avoidance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KR20170042695A (ko) 2014-08-15 2017-04-1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감소된 대역폭을 갖는 wtru에 대한 업링크 송신 및 mbms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993902A (zh) * 2015-02-03 2015-10-21 协同通信技术有限公司 卫星通信系统信道复用的方法
EP3270642A4 (en) * 2015-03-08 2018-10-31 LG Electronics Inc. Time delay adaptiv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6198734A1 (en) * 2015-06-12 2016-12-15 Nokia Technologies Oy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unlicensed spectrum
WO2019157672A1 (zh) * 2018-02-13 2019-08-22 富士通株式会社 控制信息的接收和发送方法、装置及通信系统
CN114340008A (zh) * 2019-01-11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控制信息复用的方法和装置
CN115668827A (zh) * 2020-05-29 2023-01-31 奥罗佩法国有限责任公司 在侧行链路中传输重复的反馈的方法和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6491B1 (en) 2001-08-22 2004-06-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hannel ARQ method and apparatus
US7352797B2 (en) * 2003-06-30 2008-04-01 Conexant Systems, Inc. Procedure for BPSK modulation with reduced envelope peaking
US7882412B2 (en) 2004-10-05 2011-02-01 Sanjiv Nanda Enhanced block acknowledgement
EP1949721B1 (en) * 2005-10-07 2010-08-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8078919A2 (en) * 2006-12-22 2008-07-03 Lg Electronics Inc. Methods for sequenc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based on time and frequency domain transmission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949824B2 (ja) 2006-12-28 2012-06-13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KR101384078B1 (ko) * 2007-01-10 2014-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애크/내크 채널 자원을 할당하고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8542697B2 (en) * 2007-08-14 2013-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3619A1 (en) 2011-03-09
US20110164662A1 (en) 2011-07-07
CN102106170B (zh) 2014-09-17
JP5398711B2 (ja) 2014-01-29
US8520757B2 (en) 2013-08-27
JPWO2009157417A1 (ja) 2011-12-15
WO2009157417A1 (ja) 2009-12-30
EP2293619A4 (en) 2016-05-04
CN102106170A (zh)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4969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10555283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62628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肯定応答/否定応答情報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539871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EP2947938B1 (en) Control channel for enhanced coverage
JP6176551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KR102182156B1 (ko) 기지국 장치, 기지국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EP3293905B1 (en) Method for acquiring resource region information for phich
US9413496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8476494B (zh) 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装置
US20130083741A1 (en) Channel Selection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Collision Handling
JP2017505569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20150312937A1 (en)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11002644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방법
KR20120123848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5085477A1 (en) Flexible harq ti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