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542A -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542A
KR20110025542A KR1020090083654A KR20090083654A KR20110025542A KR 20110025542 A KR20110025542 A KR 20110025542A KR 1020090083654 A KR1020090083654 A KR 1020090083654A KR 20090083654 A KR20090083654 A KR 20090083654A KR 20110025542 A KR20110025542 A KR 20110025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supply
vertical support
supply pip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684B1 (ko
Inventor
맹용일
Original Assignee
맹용일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용일, 주식회사 이산 filed Critical 맹용일
Priority to KR102009008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6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실트(silt)』와 『점토』의 유동성의 문제와 보습성 및 통기성의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발아 및 뿌리활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폐기처분되는 하상준설토를 하천 제방이나 호안법면의 식생토양재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이와 함께 막대한 폐기처분비용을 절감시키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으로는
가로방향지지부재(10)와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수직 지지부(12)(22)에 형성된 결착홈(19)(28)의 삽입에 의하여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을 보호하는 격자상의 식생용 보강구조에 있어서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수직 지지부(22)의 중간부에는 다수열의 보강 돌조(24)가, 그 하단부에는 받침 지지부(26)가 형성되어있고, 그리고 그 상단부는 수직 지지부(22) 그대로 형성되어있으며, 이에 결착되는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수직 지지부(12)의 상단부에는 배수공(18)이 형성된 급수관(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고, 그 중간부에는 다수열의 보강 돌조(14)가 형성되어있으며, 그리고 그 하단부는 수직 지지부(12)그대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이다.
본 발명은 발아 및 뿌리활착을 위한 통기성 및 보습성과, 그리고 자립이 어 려운 유동성을 개선함으로써 폐기처분되는 하상준설토를 하천 제방이나 호안법면의 식생토양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식생토양재의 구득이 용이할 뿐 아니라 막대한 처분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이 경제적이고,
가로방향지지부재의 수직 지지부 상단에 배수공이 형성된 급수관을 형성한 것이므로 수조를 통해 공급된 공급수에 의하여 하상준설토인 식생토양재의 식생보습을 항상 일정수준 유지하게 되어 극심한 가뭄 시에도 발아 및 뿌리착근이 가능하고 활성화되면서 하천 제방 및 호안법면이 보강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식생용 팰릿(pallet)구조, 가로방향지지부재, 보강 돌조, 급수관, 연결ㆍ체결관, 배수공, 조정링, 세로방향지지부재, 받침 지지부, 급수호스, 식생매트

Description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Pallet structure keeping the soil layer of planting and method reinforcing the bank by tree-planting}
본 발명은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실트(silt)』와 『점토』의 유동성의 문제와 보습성 및 통기성의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발아 및 뿌리활착이 가능하게 되어 폐기처분되는 하상준설토를 하천 제방이나 호안법면의 식생토양재로 재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폐기처분되는 하상준설토를 하천 제방이나 호안법면의 식생토양재로 재활용함으로써 막대한 폐기처분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천 및 호안법면을 보호하는 현장에서 바로 구득이 가능하므로 운반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에 의한 격자상구조의 조립이 용이하면서 하상준설토의 유동성을 억제하고, 또 가로방향지지부재에 급수관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하상준설토로 이루어진 식생토양재의 보습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가뭄 시에도 발아 및 뿌리활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급수관에 연결ㆍ체결관의 삽입에 의하여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의 연속연결조립이 가능한 기술이다.
요즘 하천 제방이나 호안법면은 친환경인 식생방식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식생방식은 뿌리의 활착에 의하여 법면을 보호하는 방식이므로 통상 발아 및 뿌리의 활착요건을 충족시키는 토양을 법면채움재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양질의 토양은 하천 및 호안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것이 보통이다.
하천이나 호안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란 고작 하상준설토 뿐이기 때문이다.
하상준설토는 하상에 퇴적된 퇴적물로서 통상 『모래 +실트(silt) + 점토』로 되어있다.
이중에서 모래는 선별해서 잔골재로 사용된다. 그러나 『실트(silt) + 점토』는 폐기물로 처리하고 있다. 하상준설토의 양이 대량이어서 『실트(silt) + 점토』를 폐기하기위해 드는 연간 경제적 비용손실역시 막대하다.
『실트(silt)』와 『점토(粘土)』는 입경이 아주 작은 것이 특징이다.
국제 토양학회법의 규정에 의하면 실트(silt)의 입경은 0.02~0.002mm이고, 점토의 입경은 0.002mm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정도의 크기는 먼지나 다름없기 때문에 육안으로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실트(silt)는 모래먼지이고 점토(粘土)는 모래먼지가 아니라는 점이 다르다. 점토(粘土)는 모래먼지가 아니기 때문에 소성성질을 띄고, 실트는 소성성질을 띄지 않는 성질상의 특징으로 양자를 구분하기도 한다. 실트(silt)를 미사(微砂)로 불리는 것도 이러한 성질에서 연유된 것이다.
실트(silt)나 점토는 그 입경이 아주 작기 때문에 투수계수가 아주 작다.
투수계수가 작기 때문에 식생과 관련하여 통기성이 없는 것이 문제이다.
통기성을 고려한 식생(植生)에 적합한 입경은 약 0.05㎜이라고 알려져 있다.
통기성이 없으면 씨앗의 발아 및 뿌리가 활착될 수가 없다. 통기성은 씨앗의 발아 및 뿌리의 활착에 중요한 요건이기 때문이다.
또한 실트나 점토는 쉽게 배수되므로 딱딱해지면서 단단해진다.
이렇게 딱딱하고 단단해진 실트나 점토라 할지라도 물과 접촉해서 젖게 되면 입자들 사이의 응집력이 2/3로 감소하게 되는 성질이 있다. 이는 입자간의 내부마찰각이 32°에서 20°로 감소되기 때문이다.
내부마찰각의 감소는 『실트(silt) + 점토』층을 유동되게 하고 완만한 경사 에서도 쉽게 흘러내리게 된다. 실트와 점토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함수된 상태에서의 유동성과, 그리고 쉽게 건조되는 것이 식생과 관련된 문제점이다.
실트(silt)와 점토로 이루어진 하상준설토를 법면채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과, 그리고 식생토양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법면채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
① 내부마찰각이 작아 쉽게 흘러내린다. 특히 함수되게 되면 유동성은 더욱 커진다.
② 지지해주지 않으면 자립이 어렵다.
③ 실트질의 하상 준설토는 쉽게 배수되어 건조되기 쉽다. 건조하게 되면 쉽게 딱딱해지고 표면이 갈라진다.
④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
⒝ 식생토양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
① 통기성이 나빠 발아 및 뿌리활착이 잘 안 된다. 심하게 되면 뿌리가 썩게 된다.
② 건조하게 되면 딱딱해져 발아 및 뿌리가 뻗어나갈 수 없다. 실트질의 하상 준설토는 쉽게 배수되기 때문에 보습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이다.
③ 이러한 건조상태에서는 발아 및 뿌리활착이 되지 않는다.
하상바닥의 준설은 하천의 통수단면적을 크게 하고 물을 깨끗하게 하기위해서다.
준설되는 양도 엄청나다. 이중 『실트(silt)』와 『점토』는 폐기처분해야한다. 『실트(silt)』와 『점토』는 폐기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식생요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만약 이를 하천이나 호안법면의 토양층으로 사용하게 된다면 폐기처분의 문제를 해결하게 되면서 경제적으로도 유익하게 될 것이다.
『실트(silt)』와 『점토』를 법면 토양층으로 사용하기위해서는 첫째, 법면에 안정되게 부착되어있어야 한다. 토양층이 유동되어 유실되게 되면 발아 및 뿌리착근의 기반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실트(silt)』와 『점토』가 갖는 유동성문제를 해결해야한다.
둘째, 발아 및 뿌리활착을 위해 보습성과 통기성이 있어야한다. 『실트(silt)』와 『점토』는 쉽게 건조되고 입자가 작아 통기성에 대한 문제를 해 결해야한다.
상기의 문제만 해결할 수 있다면 종래와 같이 양질의 식생토양을 구하기 위해 멀리 갈 필요도 없고, 이를 성토할 현장까지 운반할 필요도 없으며, 또 『실트(silt)』와 『점토』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어 막대한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실트(silt)』와 『점토』의 유동성의 문제와 보습성 및 통기성의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발아 및 뿌리활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폐기처분되는 하상준설토를 하천 제방이나 호안법면의 식생토양재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하상준설토를 식생토로 재활용함으로써 폐기처분하는데 드는 막대한 폐기처분비용을 절감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하상준설토의 유동성에 대한 자립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뭄 시는 물론이고 하상준설토의 표면이 딱딱하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생에 필요한 일정수준의 보습성이 유지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가로방향지지부재(10)와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수직 지지부(12)(22)에 형성된 결착홈(19)(28)의 삽입에 의하여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70)을 보호하는 격자상의 식생용 보강구조에 있어서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수직 지지부(22)의 중간부에는 다수열의 보강 돌조(24)가, 그 하단부에는 받침 지지부(26)가 형성되어있고, 그리고 그 상단부는 수직 지지부(22) 그대로 형성되어있으며, 이에 결착되는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수직 지지부(12)의 상단부에는 배수공(18)이 형성된 급수관(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고, 그 중간부에는 다수열의 보강 돌조(14)가 형성되어있으며, 그리고 그 하단부는 수직 지지부(12)그대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이다.
여기에다 급수관(16)에 연결ㆍ체결관(17)의 삽입에 의하여 가로방향지지부재(10)가 서로 연결ㆍ고정됨으로써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가 이루는 격자상의 구조가 일체로 거동되게 한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이다.
또한 급수관(16)의 배수공(18)에는 배수공(18)의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링(18a)을 삽입한 구성이다.
급수호스(50)의 상단에는 수조(60)와 연결되는 수조 결합관(54)이, 그리고 상단과 밀폐된 하단사이에는 분기 결합관(52)이 급수관(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가 이루는 격자상내에는 채움재로서 하상준설토를 충전시키는 곳이므로 하상준설토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어야한다.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의 수직 지지부(22)의 중간부에 다수열의 보강 돌조(14)(24)를 형성한 것은 하상준설토의 중량을 지지하기위하여 훰 강도를 보강 한 것이다. 채움재의 토압과 유수에 의한 법면(70)파괴에 견딜 수 있는 훰 강도 및 압축강도를 지닐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로 이루어진 격자상구조는 유동성의 하상준설토를 블록화하면서 이를 지지하고 있다.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의 재질은 합성수지제가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이미 사용된 PET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PET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인장강도 및 탄성율이 우수하며 물에 가라앉는 성질이 있으며 하천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 한다.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수직 지지부(22)하단부에 받침 지지부(26)를 형성한 것은 세로방향지지부재(20)가 자립으로 법면(70)에 서있도록 한 것이다. 세로방향지지부재(20)가 자립으로 서있어야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결착홈(19)을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결착홈(28)에 삽입하기가 용이하다.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에 의한 격자상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다.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수직 지지부(12)의 상단부에 급수관(16)을 형성한 것은 수조(60)의 급수호스(5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급수관(16)을 거쳐 배수공(18)을 통해 식생매트와 『실트(silt) + 점토』층인 하상준설토층에 배수되어 발아 및 뿌리착근에 필요한 보습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하기위해서다.
배수공(18)에 조정링(18a)을 삽입하여 물의 공급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은 급수호스(50)의 분기 결합관(52)과 서로 연결되어있지만 급수관(16)이 분기 결합관(52)에서 멀어질수록 물 공급이 잘 안될 수도 있다. 이점을 감안하여 분기 결합관(52)에 가까울수록 급수관(16)의 배수공(18)의 토출구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조정링(18a)의 삽입한다. 분기 결합관(52)에 가까울수록 수압이 크기 때문에 골고루 물 공급을 하기위해서다.
이때 조정링(18a)은 고무소재가 바람직하고 배수공(18)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삽입홈(18b)이 형성되어있다. 배수공(18)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서다.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을 통해 공급된 물은 가뭄 시에도 식생보습이 가능하여 하상준설토의 표면이 딱딱하게 건조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발아 및 뿌리활착이 가능하게 된다.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은 물 공급관이면서 가로방향지지부재(10)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이다.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체결은 파이프 형상의 연결ㆍ체결관(17)를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에 삽입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ㆍ체결관(17)에 의하여 가로방향지지부재(10)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가 격자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일체로 거동되게 된다.
본 발명은 『실트(silt)』와 『점토』의 유동성의 문제와 보습성 및 통기성의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발아 및 뿌리활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폐기처분되는 하상준설토를 하천 제방이나 호안법면의 식생토양재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막대한 폐기처분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가로방향지지부재의 수직 지지부 상단에 배수공이 형성된 급수관을 형성한 것이므로 수조를 통해 공급된 공급수가 하상준설토인 식생토양재의 식생보습을 항상 유지하게 되어 극심한 가뭄 시에도 발아 및 뿌리착근이 가능하고 활성화되면서 하천 제방 및 호안법면이 보강되게 된다.
세로방향지지부재의 수직 지지부하단부에 받침 지지부가 형성된 것이므로 세로방향지지부재의 자립이 가능하여 세로방향지지부재의 결착홈에 가로방향지지부재의 결착홈의 삽입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에 의한 격자상의 조립이 효율적이다.
가로방향지지부재의 급수관에 오로지 연결ㆍ체결관의 삽입에 의해 가로ㆍ세 로방향지지부재를 격자상의 구조로 일체로 거동되게 한 구성이므로 격자상의 조립이 간편하다.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의 수직 지지부의 중간부에 다수열의 보강 돌조를 형성하여 휨강도를 보강한 구성이므로 채움재의 토압과 유수압에 대한 지지력이 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식생용 팰릿(pallet)구조를 이용하여 하천제방 또는 호안법면(70)을 보강ㆍ녹화하는 공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70)을 보호하기위한 식생용 보강ㆍ녹화공법에 있어서
⒜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70)을 정리하는 단계;
⒝ 법면(70)에 세로방향지지부재(20)를 연속적으로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 상기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결착홈(28)에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결착홈(19)을 삽입하여 체결하는 단계;
⒟ ⒝단계 및 ⒞단계를 반복하면서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에 연결ㆍ체결관(17)을 삽입하여 가로방향지지부재(1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로 이루어진 격자상내부에 채움재로서 하 상준설토(30)를 채우고 법면(70)을 다짐하는 단계;
⒡ 다짐된 법면(70)위에 3차원 망상구조(42)와 목화솜(44)으로 형성되고 목화솜(44)에는 목 초류씨앗(46)과 고흡수성 수지(48)가 고르게 삽입ㆍ분포된 식생매트(40)를 포설하는 단계;
⒢ 수조 결합관(54)을 수조(60)에, 그리고 분기 결합관(52)을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에 급수호스(50)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팰릿(pallet)구조를 이용한 하천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이다.
여기서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로 이루어진 격자상내부에 채워진 하상준설토(30)위에 식생매트(40)를 포설하는데 이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에서와 같이 식생매트(40)는 나일론 필라멘트사로 형성된 3차원 망상구조(42)와 목화솜(44)으로 형성되어있다. 목화솜(44)의 내부에는 목 초류씨앗(46)과 고흡수성 수지(48)가 고르게 삽입ㆍ분포되어있다. 식생매트(40)는 본원 출원인이 이미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특허 제10-0698808호)로 특허 받은 것을 여기에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목화솜(44)은 통기성과 보습성의 역할을 한다. 목화솜(44) 내부에는 목 초류씨앗(46)이 삽입ㆍ분포되어있다. 목화솜(44)은 통기성과 보습성이 아주 좋은 재질이므로 목 초류씨앗(46)의 발아가 잘 되게 된다.
일단 발아되게 되면 뿌리는 3차원 망상구조(42)의 나일론 필라멘트사에 착근 및 활착되게 된다. 3차원 망상구조(42)는 식물의 뿌리와 유사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뿌리착근이 용이하고 뿌리의 결속력이 클 뿐만 아니라 뿌리형상의 입체구조로 뿌리의 결속력을 높여주게 된다.
하상준설토(30)나 목화솜(44)은 부드러운 재질이지만 3차원 망상구조(42)는 이러한 재질에 비하여 강한 재질로서 뼈대역할을 한다. 3차원 망상구조(42)가 하상준설토(30)와 약간 삽입된 상태로 포설되기 때문에 하상준설토(30)와 부착력이 강화되어 하상준설토(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목화솜(44) + 3차원 망상구조(42)』는 유수로 인하여 하상준설토(30)의 표층침식을 방지하고 소류력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식생매트(40)의 목화솜(44)에는 목 초류씨앗(46)뿐만 아니라 자기무게의 500~1000배까지 수분의 흡수가 가능한 분말형 고흡수성 수지(48)가 함께 충진 되어있다. 고흡수성 수지(48)는 수분을 흡수하면 겔상태가 되어 차단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극심한 가뭄에도 식생함수가 충분하기 때문에 목 초류씨앗(46)의 발아 및 뿌리착근이 가능하다.
[도1a] 본 발명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의 가로방향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1b] 본 발명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의 세로방향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1c] 가로방향지지부재와 세로방향지지부재가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a] 본 발명의 가로방향지지부재를 연결ㆍ체결관에 의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인 시시도
[도2b] 도2a의 분해사시도
[도3a] 하천 및 호안법면에 설치된 단면사시도
[도3b] 도3a에서 급수호스가 가로방향지지부재의 급수관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3c] 도3a의 A-A 단면도
[도4] 3차원 망상구조와 목화솜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의 사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식생용 팰릿(pallet)구조
10; 가로방향지지부재
12; 수직 지지부
14; 보강 돌조
16; 급수관
17; 연결ㆍ체결관
18; 배수공 18a; 조정링
19; 결착홈
20; 세로방향지지부재
22; 수직 지지부
24; 보강 돌조
26; 받침 지지부
28; 결착홈
30; 하상준설토
40; 식생매트
42; 3차원 망상구조
44; 목화솜
46; 목 초류씨앗
48; 고흡수성 수지
50; 급수호스
52; 분기 결합관
54; 수조 결합관
60; 수조
70; 법면

Claims (5)

  1. 가로방향지지부재(10)와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수직 지지부(12)(22)에 형성된 결착홈(19)(28)의 삽입에 의하여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70)을 보호하는 격자상의 식생용 보강구조에 있어서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수직 지지부(22)의 중간부에는 다수열의 보강 돌조(24)가, 그 하단부에는 받침 지지부(26)가 형성되어있고, 그리고 그 상단부는 수직 지지부(22) 그대로 형성되어있으며, 이에 결착되는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수직 지지부(12)의 상단부에는 배수공(18)이 형성된 급수관(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고, 그 중간부에는 다수열의 보강 돌조(14)가 형성되어있으며, 그리고 그 하단부는 수직 지지부(12)그대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팰릿(pallet)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급수관(16)에 연결ㆍ체결관(17)의 삽입에 의하여 가로방향지지부재(10)가 서로 연결ㆍ고정됨으로써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가 이루는 격자상의 구조가 일체로 거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식생용 팰릿(pallet)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급수관(16)의 배수공(18)에는 배수공(18)의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링(18a)을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팰릿(pallet)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급수호스(50)가 수조(60)와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에 연결되되 상단에는 수조 결합관(54)이, 그리고 상단과 밀폐된 하단사이에는 분기 결합관(52)이 급수관(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팰릿(pallet)구조
  5.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70)을 보호하기위한 식생용 보강ㆍ녹화공법에 있어서
    ⒜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70)을 정리하는 단계;
    ⒝ 법면(70)에 세로방향지지부재(20)를 연속적으로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 상기 세로방향지지부재(20)의 결착홈(28)에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결착홈(19)을 삽입하여 체결하는 단계;
    ⒟ ⒝단계 및 ⒞단계를 반복하면서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에 연결ㆍ체결관(17)을 삽입하여 가로방향지지부재(1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가로ㆍ세로방향지지부재(10)(20)로 이루어진 격자상내부에 채움재로서 하상준설토(30)를 채우고 법면(70)을 다짐하는 단계;
    ⒡ 다짐된 법면(70)위에 3차원 망상구조(42)와 목화솜(44)으로 형성되고 목 화솜(44)에는 목 초류씨앗(46)과 고흡수성 수지(48)가 고르게 삽입ㆍ분포된 식생매트(40)를 포설하는 단계;
    ⒢ 수조 결합관(54)을 수조(60)에, 그리고 분기 결합관(52)을 가로방향지지부재(10)의 급수관(16)에 급수호스(50)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팰릿(pallet)구조를 이용한 하천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
KR1020090083654A 2009-09-04 2009-09-04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 KR10107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654A KR101072684B1 (ko) 2009-09-04 2009-09-04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654A KR101072684B1 (ko) 2009-09-04 2009-09-04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542A true KR20110025542A (ko) 2011-03-10
KR101072684B1 KR101072684B1 (ko) 2011-10-11

Family

ID=4393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654A KR101072684B1 (ko) 2009-09-04 2009-09-04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6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7494A (zh) * 2015-11-24 2016-02-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城市富营养化河道生态修复方法
CN113431020A (zh) * 2021-06-04 2021-09-24 大连海事大学 一种基于疏浚土的滨海浅滩生态滩涂培育方法
CN114941306A (zh) * 2022-05-19 2022-08-26 华东师范大学 人工辅助构建适宜红树林宜林滩地的构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1292A (ja) 2007-08-10 2009-02-26 Panefuri Kogyo Kk 地面補強部材及び地面補強枠体並びに法面補強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7494A (zh) * 2015-11-24 2016-02-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城市富营养化河道生态修复方法
CN105347494B (zh) * 2015-11-24 2018-04-03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城市富营养化河道生态修复方法
CN113431020A (zh) * 2021-06-04 2021-09-24 大连海事大学 一种基于疏浚土的滨海浅滩生态滩涂培育方法
CN114941306A (zh) * 2022-05-19 2022-08-26 华东师范大学 人工辅助构建适宜红树林宜林滩地的构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684B1 (ko)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8870B (zh) 一种格宾网生态石笼河道护坡施工方法
CN211368589U (zh) 一种复合型生态护岸结构
CN101649608B (zh) 一种生态护坡结构
KR20050042110A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CN209872521U (zh) 一种防止花管及填料堵塞的垂直潜流湿地系统
KR101072684B1 (ko) 식생용 팰릿(pallet)구조와 이를 이용한 하천 제방 또는 호안법면의 보강ㆍ녹화공법
CN204475263U (zh) 一种适应于沙土区河道的生态护坡结构
CN212865470U (zh) 一种复合型地基结构
CN102726141A (zh) 盐碱地改良设施及其改良方法
CN108729409A (zh) 一种河道防渗重蓄生态恢复装置
CN111484278A (zh) 一种生态混凝土、生态防护坡及生态防护坡的施工方法
CN215165709U (zh) 一种用于生态护坡的植被混凝土结构
CN206625181U (zh) 河道土层防护结构
KR102334934B1 (ko)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CN213143094U (zh) 一种生态土工格栅加筋土边坡装置
CN210507312U (zh) 一种水利工程护坡结构
CN111501667B (zh) 一种水利工程用生态护坡结构
CN208346749U (zh) 一种河道弃渣岸坡生态修复结构
CN210507515U (zh) 一种绿化型重力式挡土墙
CN210621724U (zh) 干旱地区涵水护坡结构
CN111501652B (zh) 一种平原区砂床质河道综合治理方法
CN218116510U (zh) 一种海涂围垦区止水结构
CN216474588U (zh) 一种防渗墙与暗涵的垂直防渗体系组合
CN202440825U (zh) 具坡顶排水功能的公路路堑边坡柔性加筋支挡结构
CN218562232U (zh) 道路边坡的护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