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894A -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894A
KR20110024894A KR1020090083075A KR20090083075A KR20110024894A KR 20110024894 A KR20110024894 A KR 20110024894A KR 1020090083075 A KR1020090083075 A KR 1020090083075A KR 20090083075 A KR20090083075 A KR 20090083075A KR 20110024894 A KR20110024894 A KR 2011002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ice function
terminal device
specific group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413B1 (ko
Inventor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4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법인에서 기 사용하고 있는 코어장치, 그룹웨어와 법인용 어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연동하는 표준화된 연동기능의 게이트웨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 중 소정 단말장치 또는 상기 특정 그룹 외의 단말장치가 소정 서비스 기능을 요청하면, 해당 서비스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른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구내, 코어장치, 연동, 게이트웨이

Description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IN-PLANT COMMUNICATION SERVICE INTERWORKING SYSTEM AND IN-PLANT COMMUNICATION SERVICE INTERWORKING METHOD}
본 발명은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법인에서 기 사용하고 있는 코어장치, 그룹웨어와 법인용 어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연동하는 표준화된 연동기능의 게이트웨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게이트웨이장치 및 게이트웨이장치의 연동 방법,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법인 시장이 음성 위주의 기존 Legacy PBX시장에서 VoIP기반의 IP-PBX, IP-Centrex시장으로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장비가 시장에 나오고 있으며, 고객은 점점 더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고객의 서비스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법인용 서비스를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다.
헌데, 새로운 법인용 서비스를 위해 개발된 새로운 법인용 어플리케이션 출시마다 회사, 학교와 같은 그룹형태의 고객이 기 사용하는 코어장치, 그룹웨어 등과 같은 여러 장비와의 연동모듈을 개별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새로운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마다 새로운 법인용 어플리케이션과 고객이 기 사용하는 여러 장비와의 연동모듈을 추가 개발함에 따른 비용, 시간적 측면의 낭비와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규 개별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 중 소정 단말장치 또는 상기 특정 그룹 외의 단말장치가 소정 서비스 기능을 요청하면, 해당 서비스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른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을 제공하여, 법인에서 기 사용하고 있는 코어장치, 그룹웨어와 법인용 어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연동 하는 표준화된 연동기능의 게이트웨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로부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하여,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상기 서비스서버 간을 연동하여 상기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게이트웨이장치 및 게이트웨이장치의 연동 방법을 제공하여, 법인에서 기 사용하고 있는 코어장치, 그룹웨어와 법인용 어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연동하는 표준화된 연동기능의 게이트웨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상기 특정 그룹 내의 단말장치 또는 상기 특정 그룹 외의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및 상기 코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 스하는 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그룹 내의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어장치는,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는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소정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간의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코어장치연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상기 코어장치연동부를 제어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시도신호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의 전화연결요청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확인신호가 상기 통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주소록요청신호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주소록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그룹 내의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간의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그룹웨어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상기 그룹웨어연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의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관리정보요청신호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로부터 해당 관리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그룹의 구성원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접속상태정보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구성원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접속상태정보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도 록 처리하여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서비스서버는,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및 상기 요청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특정 그룹에 대응하는 코어장치와 통신 가능한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기능수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기능수행부는, 상기 요청수신부를 통해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시도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특정 단말장치 간의 통화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해 지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기능수행부는, 상기 요청수신부를 통해 특정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는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해당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획득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기능수행부는, 상기 요청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 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와 연동 가능한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 중 소정 단말장치 또는 상기 특정 그룹 외의 단말장치가 소정 서비스 기능을 요청하는 단계; 해당 서비스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른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서비스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는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의 연동 방법은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로부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상기 서비스서버 간을 연동하여 상기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시도신호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의 전화연결요청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확인신호가 상기 통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로부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그룹 내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상기 서비스서버 간을 연동하여 상기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특정 그룹에 대응하는 코어장치와 연동 가능한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시도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특정 단말장치 간의 통화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해 지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는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와 연동 가능한 상기 게이트웨이관리장치로 상기 그룹웨 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에 의하면, 회사, 학교 등과 같은 특정 그룹의 단말장치들 간 구내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설치된 코어장치 또는 특정 그룹의 단말장치들의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간의 통신을 연동하는 표준화된 연동기능의 게이트웨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에 의하면,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측면에서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고, 사업자 측면에서는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한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영업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개발자 참여도의 활성화를 이끌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특정 그룹(30)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1~9)에 접속되는 코어장치(100)와, 특정 그룹(30) 내의 단말장치 또는 특정 그룹(30) 외의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와, 코어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 사이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게이트웨이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 그룹(30)은, 회사나 학교, 단체 등과 같이 여러 단말장치들을 포함하여, 단말장치들 간의 구내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 법인을 의미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여기서, 특정 그룹(30)에 포함되도록 그룹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1~9)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PC단말 또는 스마트단말, 또는 VoIP전화통화가 가능한 IP전화단말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장치a(1)는 스마트단말이고, 단말장치b(2)는 IP전화단말이고, 단말장치n(9)은 PC단말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코어장치(100)는, 특정 그룹(30)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1~9)에 접속되는 특정 그룹(30) 내 단말장치들 간의 구내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설치된 교환장비에 해당한다. 이러한 코어장치(100)의 구성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IP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그룹(30) 내 단말장치 대 단말장치 간 구내 통신 서비스를 중계하는 IP-PBX(IP-Private Branch eXchange) 또는 IP-CENTREX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장치로서의 IP-PBX, IP-CENTREX, IMS는, 일반적으로 회사, 학교와 같은 그룹에서 구태 통신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므로,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을 생략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는, 인터넷망을 통해 소정 인증절차에 따라 접속된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이다. 즉,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는, 인터넷망을 통해 소정 인증절차에 따라 접속된 특정 그룹(30) 내의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특정 그룹(30) 외의 단말장치(20)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는, 메일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A(300a)),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 화상회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C(30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기능, 즉 해당 메일 서비스 기능, 메신저 서비스 기능, 화상회의 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탑재하고 있으며,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가입되는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단말장치(20))로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설치하도록 하여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단말장치(20))로 하여금 해 당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는,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적으로 탑재하여 새로운 법인용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 사이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한다.
즉,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들이 구비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를 위한 코어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간을 상호 인터페이스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들이 구비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를 위한 코어장치의 통신규격을 탑재하며,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규격을 탑재하고, 새롭게 개발되어 서비스서버(300)에 탑재될 법인용 어플리케이션 역시 게이트웨이장치(200)와 약속된 통신규격에 준하여 개발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그룹(30) 내의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를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룹웨어관리장치(10)는, 특정 그룹(30) 내의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즉 예를 들면 구내 메신저, 그룹계정 메일, 구내 조 직도, 구내 쪽지송/수신, 구내 공용서버 내 저장문서 등을 관리하는 그룹웨어의 관리자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 사이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통신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한다.
즉,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들이 구비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를 위한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간을 상호 인터페이스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들이 구비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의 통신규격(예 : Groupware API)을 탑재하며,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규격을 탑재하고, 새롭게 개발되어 서비스서버(300)에 탑재될 법인용 어플리케이션 역시 게이트웨이장치(200)와 약속된 통신규격에 준하여 개발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1~9)에 접속되는 코어장치(100) 및 소정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 간의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코어장치연동부(220)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 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에 대한 통신신호를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하는 연동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코어장치연동부(22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들이 구비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를 위한 코어장치의 통신규격을 탑재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규격을 탑재할 수 있다. 이에, 코어장치연동부(220)는, 연동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특정 그룹(30)의 복수의 단말장치(1~9)에 접속되는 코어장치(100) 즉,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 및 소정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 간의 통신신호를 상호 인터페이스한다.
이에, 코어장치연동부(220)를 통해 게이트웨이장치(200)는, 코어장치(100)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하거나 또는 Open API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동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에 대한 통신신호를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한다.
즉, 연동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 인터페이스하고, 코어장치(100)로 부터의 신호를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한다.
이에, 연동제어부(230)는,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특정 그룹(30)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가 코어장치연동부(22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통신신호를 파악하고, 수신된 통신신호를 해당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로 제공하고자 처리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하고, 처리된 통신신호 즉 코어장치(100)로의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처리된 통신신호를 코어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동제어부(230)는,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코어장치(100)로부터 이에 따른 정보 또는 통신신호가 코어장치연동부(22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통신신호를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고자 처리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하고, 처리된 통신신호 즉 서비스서버(300)로의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처리된 통신신호를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클릭콜 서비스 또는 전화 발신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동제어부(230)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메신저서비스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 부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로의 통화시도신호가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통화시도신호를 처리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하고, 처리된 통화시도신호 즉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로의 전화연결요청신호를 코어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코어장치(100)와 SIP 통신규격을 통해 접속되는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에 전화착신링이 울리게 되고, 착신자가 전화를 받으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는 코어장치(100) 및 전화망을 통해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 또는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 시 입력한 발신자 전화단말과의 통화 로가 설정되어 통화가 연결될 것이다.
한편,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상태 확인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동제어부(230)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메신저서비스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부터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확인신호가 통신호로서 수신되면,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상태확인신호를 처리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하고, 처리된 상태확인신호 즉 상태정보요청신호를 코어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한 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 각각 접속된 코어장치(100)는, 각 단말장치(1~9)의 현 상태(예 : 전원 오/오프, 전화통화가능 여부, 통화중 여부, 화상회의 중 여부 등)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정보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연동제어부(230)는, 상태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코어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처리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하고, 처리된 상태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주소록 요청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동제어부(230)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메신저서비스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부터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로의 주소록요청신호가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주소록요청신호를 처리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하고, 처리된 주소록요청신호 즉 주소록정보요청신호를 코어장 치(1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 각각 접속된 코어장치(100)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주소록정보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로부터 주소록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기 획득하여 저장하고 있는 주소록정보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연동제어부(230)는, 주소록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코어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에 대한 주소록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처리하도록 코어장치연동부(220)를 제어하고, 처리된 주소록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 내의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 간의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그룹웨어연동부(210)와, 그룹웨어관리장치(10)의 그룹웨어리소스를 저장하는 그룹웨어리소스저장부(2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그룹웨어리소스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의 통신규격에 근거가 되는 리소스를 의미한다.
그룹웨어연동부(21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들이 구비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의 통신규격을 탑재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규격을 탑재할 수 있다. 이에, 그룹웨어연동부(210)는, 연동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특정 그룹(30)의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 및 소정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 간의 통신신호를 상호 인터페이스한다.
이에, 그룹웨어연동부(210)를 통해 게이트웨이장치(200)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는 그룹웨어리소스저장부(240)의 그룹웨어리소스에 기초하여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 Groupware API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하거나 또는 Open API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연동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통신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그룹웨어연동부(210)를 제어한다.
즉, 연동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 인터페이스하고,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부터의 신호를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그룹웨어연동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연동제어부(230)는,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통신신호가 그룹웨어연동부(21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통신신호를 파악하고, 수신된 통신신호를 해당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하고자 처리하도록 그룹웨어연동부(210)를 제어하고, 처리된 통신신 호 즉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의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처리된 통신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동제어부(230)는,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부터 이에 따른 정보 또는 통신신호가 그룹웨어연동부(21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통신신호를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고자 처리하도록 그룹웨어연동부(210)를 제어하고, 처리된 통신신호 즉 서비스서버(300)로의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처리된 통신신호를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동제어부(230)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메신저서비스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부터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관리정보요청신호가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관리정보요청신호를 처리하도록 그룹웨어연동부(210)를 제어하고, 처리된 관리정보요청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관리정보요청신호에 의해 요청할 수 있는 그룹웨어의 관리정보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서 관리되는 메일, 구내 조직도, 구내 송/수신된 쪽지, 저 장문서, 문서통보알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작업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접속된 그룹웨어관리장치(10)는, 그룹 작업에 의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므로,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관리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관리정보(예 : 구내 조직도)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연동제어부(230)는, 관리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부터 회신되는 해당 관리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처리하도록 그룹웨어연동부(210)를 제어하고, 처리된 관리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동제어부(230)는,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메신저서비스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가 서비스 기능(예 :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부터 단말장치n(9)이 속하는 특정 그룹(30)의 구성원들 각각에 대하여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에 접속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특정 그룹의 구성원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접속상태정보가 수신되면,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접속상태정보를 처리하도록 그룹웨어연동부(210)를 제어하고, 처리된 접속상태정보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작업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접속된 그룹웨어관리장치(10)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접속상태정보를 활용하여 접속상태 기반의 여러 서비스(예 : 단체 메일링, 단체 대화초대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는,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310)와, 요청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기능수행부(3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300)에 전화 발신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요청수신부(310)를 통해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로의 통화시도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하여,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예 : 단 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와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 간의 통화를 게이트웨이장치(200)를 통해 지원한다.
이에, 전술하였듯이, 코어장치(100)와 SIP 통신규격을 통해 접속되는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에 전화착신링이 울리게 되고, 착신자가 전화를 받으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는 코어장치(100) 및 전화망을 통해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 또는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 시 입력한 발신자 전화단말과의 통화 로가 설정되어 통화가 연결될 것이다.
한편,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요청수신부(310)를 통해 특정 그룹(30)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는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하여 해당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320)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로 상기 획득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서버(300)에 상태 확인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요청수신부(310)를 통해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확인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한다.
이에,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상태확인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정보가 회신되면,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회신된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정보를 메모리부(320)에 저장하고,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서버(300)에 주소록 요청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요청수신부(310)를 통해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로의 주소록요청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한다.
이에,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주소록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에 대한 주소록정보가 회신되면,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회신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에 대한 주소록정보를 메모리부(320)에 저장하고,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 상기 획득한 주소록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의 사용자는,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예 : 전화 발신 서비스, 상태 확인 서비스, 주소록 요청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특 정 그룹(30)의 코어장치(100) 및 서비스서버(300) 간 연동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장치(200)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그룹(30) 내의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룹(30) 내의 특정 단말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요청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통신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 연동 가능한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서버(300)에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요청수신부(310)를 통해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관리정보요청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관리정보요청신호에 의해 요청할 수 있는 그룹웨어의 관리정보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서 관리되는 메일, 구내 조직도, 구내 송/수신된 쪽지, 저장문서, 문서통보알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에,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관리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관리정보(예 : 구내 조직도)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그룹웨 어관리장치(1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관리정보요청신호를 처리하도록 그룹웨어연동부(210)를 제어하고, 처리된 관리정보요청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서비스서버(300)에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을 요청함에 따라, 요청수신부(310)를 통해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단말장치n(9)이 속하거나 도는 서비스 기능 요청 시 선택된 특정 그룹(30)의 구성원들 각각에 대하여 서비스서버(300b)에 접속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특정 그룹의 구성원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접속상태정보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부(320)에는, 코어장치(100) 또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뿐 아니라, 연동하는 각 특정 그룹 별 각 구성원의 정보를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 시 이용하는 로그인 아이디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서비스기능수행부(330)는, 로그인된 가입자들의 로그인 아이디를 토대로 특정 그룹(30)의 구성원들 각각에 대하여 서비스서버(300b)에 접속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작업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접속된 그룹웨어관리장치(10)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접속상 태정보를 활용하여 접속상태 기반의 여러 서비스(예 : 단체 메일링, 단체 대화초대 등)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의 사용자는,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예 :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 및 서비스서버(300) 간 연동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장치(200)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그룹(30) 내의 그룹웨어 관련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회사, 학교 등과 같은 특정 그룹의 단말장치들 간 구내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설치된 코어장치 또는 특정 그룹의 단말장치들의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간의 통신을 연동하는 표준화된 연동기능의 게이트웨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측면에서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고, 사업자 측면에서는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한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영업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개발자 참여도의 활성화를 이끌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전화 발신 서비스, 상태 확인 서비스, 주소록 요청 서비스,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만을 언급하고 있지만, 서비스서버(300)에 새로이 추가될 수 있는 신규 개발된 다양한 종류의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지원을 통해 특정 그룹(30)과의 통신이 쉽게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의 전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정 그룹(30)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1~9) 중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특정 그룹(30) 외의 단말장치(20)가 인터넷망을 통해 소정 서비스 기능(예 :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한다(S10).
그리고, 접속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20))가 특정 그룹(30)과 관련되는 소정 서비스 기능을 서비스서버(300)에 요청한다(S20).
S20단계를 소정 서비스 기능을 요청받은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요청에 따른 서비스 기능에 따라 특정 그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한다(S30).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 접속되는 코어장치(100) 및 서비스서버(300) 사이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장치(200)는, S3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한다(S40,S50,S60,S80).
즉,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들이 구비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를 위한 코어장치 및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간을 상호 인터페이스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들이 구비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를 위한 코어장치의 통신규격을 탑재하며,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규격을 탑재하고, 새롭게 개발되어 서비스서버(300)에 탑재될 법인용 어플리케이션 역시 게이트웨이장치(200)와 약속된 통신규격에 준하여 개발될 것이다.
예를 들어, S2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경우라면, S3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는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로의 통화시도신호를 통신신호로서 게이트웨이장치(200)에 제공할 것이다.
이에,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통화시도신호를 처리하고(S42), 처리된 통화시도신호 즉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로의 전화연결요청신호를 코어장치(100)로 제공한다(S45).
이에, 코어장치(100)는 SIP 통신규격을 통해 접속되는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에 전화연결요청신호를 제공하고(S52), 해당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에서는 전화착신링이 울리게 되며, 착신자가 전화를 받으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는 코어장치(100) 및 전화망을 통해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 또는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 시 입력한 발신자 전화단말과의 통화 로가 설정되어 통화가 연결될 것이다(S55).
한편, S2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경우라면, S3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는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모든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확인신호를 통신신호로서 게이트웨이장치(200)에 제공할 것이다.
이에, 게이트웨이장치(200)는, S42단계에서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상태확인신호를 처리하고, S45단계에서는 처리된 상태확인신호 즉 상태정보요청신호를 코어장치(1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 각각 접속된 코어장치(100)는, 각 단말장치(1~9)의 현 상태(예 : 전원 오/오프, 전화통화가능 여부, 통화중 여부, 화상회의 중 여부 등)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 신된 상태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여(S62),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S65).
따라서, 게이트웨이장치(200)는, 상태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코어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처리하고, 처리된 상태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 제공한다(S70). 이에, 서비스서버(300)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회신되는 특정 그룹(30)의 상태정보를 S20단계에서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20)로 제공할 것이다(S75).
한편, S2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20))가 서비스 기능(예 :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경우라면, S3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는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에 대한 주소록요청신호를 통신신호로서 게이트웨이장치(200)에 제공할 것이다.
이에, 게이트웨이장치(200)는, S42단계에서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주소록요청신호를 처리하고, S45단계에서는 처리된 주소록요청신호 즉 주소록정보요청신호를 코어장치(1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 각각 접속된 코어장치(100)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주소록정보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로부터 주소록정보를 획득하거나(S82) 또는 기 획득하여 저장 하고 있는 주소록정보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S85).
따라서, 게이트웨이장치(200)는, 주소록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코어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의 주소록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처리하고, 처리된 주소록정보를 서비스서버(예 : 서비스서버B(300b))로 제공한다(S90). 이에, 서비스서버(300)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회신되는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의 주소록정보를 S20단계에서 주소록 요청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장치(20)로 제공할 것이다(S95).
한편,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을 비롯한 타 그룹에 대응하는 그룹웨이관리장치(10) 및 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간을 상호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이에, S2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20))가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경우라면, 서비스서버(300)는 S30단계에서 그룹웨어 관련된 통신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고, 이에, 특정 그룹(30) 의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 및 서비스서버(300) 사이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장치(200)는, S3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통신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한다(S100).
예를 들면, S2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20))가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예 : 그룹웨어 정보 제 공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경우라면, S3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는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에 따른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관리정보요청신호를 통신신호로서 게이트웨이장치(200)에 제공할 것이다.
이에, 게이트웨이장치(200)는,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관리정보요청신호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관리정보요청신호를 처리하고(S102), 처리된 관리정보요청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한다(S105). 여기서, 관리정보요청신호에 의해 요청할 수 있는 그룹웨어의 관리정보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서 관리되는 메일, 구내 조직도, 구내 송/수신된 쪽지, 저장문서, 문서통보알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작업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접속된 그룹웨어관리장치(10)는, 그룹 작업에 의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므로,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관리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관리정보(예 : 구내 조직도)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S110).
따라서, 게이트웨이장치(200)는, 관리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부터 회신되는 관리정보(예 : 구내 조직도)를 서비스서버(3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처리하고, 처리된 관리정보를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S120). 이에, 서비스서버(300)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회신되는 특정 그룹(30) 내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 관련된 관리정보를 S20단계에서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장치(20)로 제공할 것이다(S125).
한편, S2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에 로그인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 치(20))가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예 :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경우라면, S30단계에서 서비스서버(300)는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기능에 따른 단말장치(20)가 속하거나 서비스 기능 요청 시 선택된 특정 그룹(30)의 구성원들 각각에 대하여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특정 그룹의 구성원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접속상태정보를 통신신호로서 게이트웨이장치(200)에 제공할 것이다.
이에,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에서 작업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접속된 그룹웨어관리장치(10)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접속상태정보를 활용하여 접속상태 기반의 여러 서비스(예 : 단체 메일링, 단체 대화초대 등)에 이용할 수 있다(S13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특정 그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200).
판단 결과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특정 그룹(30)의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처리해야하는 통신신호인지 또는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여 처리해야 하는 통신신호인지를 판단한다(S210).
판단 결과, 특정 그룹(30)의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처리해야하는 통신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상기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100) 및 서비스서버(300) 간을 연동하여 통신신호를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한다(S220).
즉,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특정 그룹(30)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수신된 통신신호를 파악하고 수신된 통신신호를 해당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로 제공하고자 처리하고(S222), 처리된 통신신호 즉 코어장치(100)로의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처리된 통신신호를 코어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한다(S225).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그룹(30)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300)에 클릭콜 서비스 또는 전화 발신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 또는 상태 확인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 또는 주소록 요청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고려할 때, 통화시도신호 또는 상태확인신호 또는 주소록요청신호일 수 있다.
이에, S220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S222단계에서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 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통화시도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통화시도신호 즉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로의 전화연결요청신호를 S225단계에서 코어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S222단계에서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상태확인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상태확인신호 즉 상태정보요청신호를 S225단계에서 코어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고, S222단계에서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주소록요청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주소록요청신호 즉 주소록정보요청신호를 S225단계에서 코어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코어장치(100)로부터 이에 따른 정보 또는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 또는 통신신호를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고자 처리하고(S232), 처리된 정보 또는 통신신호 즉 서비스서버(300)로의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처리된 정보 또는 통신신호를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도록 한다(S235).
예를 들어,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코어장치(100)로부터 정보 또는 통신신호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어장치(100)로 제공한 상태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코어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정보, 또는 코어장치(100)로 제공한 주소록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코어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의 주소록정보일 수 있다.
한편, S210단계의 판단 결과,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 하여 처리해야하는 통신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상기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그룹(30) 내 복수의 단말장치(1~9)의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 및 서비스서버(300) 간을 연동하여 통신신호를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한다(S240).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통신신호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300)에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 또는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고려할 때, 관리정보요청신호 또는 접속상태정보일 수 있다.
이에, S240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S242단계에서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관리정보요청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관리정보요청신호를 S245단계에서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S242단계에서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접속상태정보를 처리하고, 처리된 접속상태정보를 S245단계에서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200)의 연동 방법은,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부터 이에 따른 정보 또는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수 신된 정보 또는 통신신호를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고자 처리하고(S252), 처리된 정보 또는 통신신호 즉 서비스서버(300)로의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처리된 정보 또는 통신신호를 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도록 한다(S255).
예를 들어,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부터 정보 또는 통신신호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 제공한 관리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그룹웨어관리장치(10)로부터 회신되는 회신되는 관리정보(예 : 구내 조직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 또는 로그인 접속된 소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300).
판단 결과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특정 그룹(30)의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처리해야하는 요청인지 또는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여 처리해야 하는 요청인지를 판단한다(S310).
판단 결과, 특정 그룹(30)의 코어장치(100)에 대응하여 처리해야하는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 연동 가능한 게이 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하여(S320),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300)에 클릭콜 서비스 또는 전화 발신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 또는 상태 확인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 또는 주소록 요청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고려할 때,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b(2))로의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특정 그룹(30) 내 모든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특정 그룹(30) 내 특정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에 대한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수신되는 서비스 기능 요청에 대응하여 통화시도신호, 정보요청신호(상태확인신호 또는 주소록요청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이에 따른 정보 또는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 또는 통신신호를 해당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 제공한다(S330).
예를 들어,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정보 또는 통신신호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한 상태확인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회신되는 복수의 단말장치(1~9)에 대한 상태정보, 또는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한 주소록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회신되는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a(1))의 주소록정보일 수 있다.
한편, S310단계의 판단 결과,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응하여 처리해야하는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30)의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 대한 통신신호를 특정 그룹(30)에 대응하는 코어장치(100)와 연동 가능한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하여(S340),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300)에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 또는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의 신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를 고려할 때,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 특정 그룹(30)에 대한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특정 그룹(30)에 대한 구성원 접속 상태 알림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수신되는 서비스 기능 요청에 대응하여 관리정보요청신호, 접속상태정보를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이에 따른 정보 또는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 또는 통신신호를 해당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단말장치(예 : 단말장치n(9) 또는 단말장치(20))로 제공한다(S350).
예를 들어, 통신신호를 제공받은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정보 또는 통신신호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장치(200)로 제공한 관리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웨이장치(200)로부터 회신되는 그룹웨어관리장치(10)의 관리정보(예 : 그룹웨어관리장치(10)에서 관리되는 메일, 구내 조직도, 구내 송/수신된 쪽지, 저장문서, 문서통보알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회사, 학교 등과 같은 특정 그룹의 단말장치들 간 구내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설치된 코어장치 또는 특정 그룹의 단말장치들의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간의 통신을 연동하는 표준화된 연동기능의 게이트웨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은,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측면에서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고, 사업자 측면에서는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한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영업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개발자 참여도의 활성화를 이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 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회사, 학교 등과 같은 특정 그룹의 단말장치들 간 구내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설치된 코어장치 또는 특정 그룹의 단말장치들의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간의 통신을 연동하는 표준화된 연동기능의 게이트웨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새롭게 개발된 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도입/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을 적용할 경우, 구내 통신 및 어플리케이션 간 통신의 효율성,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개발자 참여도의 활성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서버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의 제어 흐름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의 연동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 :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
30 : 특정 그룹
20 : 그룹 외 단말장치
100 : 코어장치 200 : 게이트웨이장치
300 :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Claims (24)

  1.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상기 특정 그룹 내의 단말장치 또는 상기 특정 그룹 외의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및
    상기 코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게이트웨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그룹 내의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어장치는,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3.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소정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간의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코어장치연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상기 코어장치연동부를 제어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시도신호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의 전화연결요청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를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확인신호가 상기 통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주소록 요청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주소록요청신호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주소록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그룹 내의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간의 통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그룹웨어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상기 그룹웨어연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그룹웨어 정보 제공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의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관리정보요청신호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로부터 해당 관리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그룹의 구성원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접속상태정보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구성원에 대응하는 단말장치의 접속상태정보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
  11.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및
    상기 요청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특정 그룹에 대응하는 코어장치와 통신 가능한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기능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기능수행부는,
    상기 요청수신부를 통해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시도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특정 단말장치 간의 통화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해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기능수행부는,
    상기 요청수신부를 통해 특정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는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해당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획득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기능수행부는,
    상기 요청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와 연동 가능한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15.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된 복수의 단말장치 중 소정 단말장치 또는 상기 특정 그룹 외의 단말장치가 소정 서비스 기능을 요청하는 단계;
    해당 서비스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른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해당 서비스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 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서버 사이를 연동하는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해당 서비스 기능에 따른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17.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로부터 특정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코어장치 및 상기 서비스서버 간을 연동하여 상기 통신신호를 상기 코어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의 연동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시도신호가 상기 통신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의 전화연결요청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를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의 연동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태 확인 서비스 기능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내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확인신호가 상기 통신호로서 수신되면, 상기 코어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의 연동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로부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특정 그룹 내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 및 상기 서비스서버 간을 연동하여 상기 통신신호를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장치의 연동 방법.
  21.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 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상기 특정 그룹에 대응하는 코어장치와 연동 가능한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특정 그룹 내 특정 단말장치로의 통화시도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화 발신 서비스 기능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특정 단말장치 간의 통화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해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는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기 능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그룹 내 복수의 단말장치에서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관리하는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서비스 기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와 연동 가능한 상기 게이트웨이관리장치로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한 통신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서비스 기능을 상기 그룹웨어관리장치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KR1020090083075A 2009-09-03 2009-09-03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KR10164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75A KR101645413B1 (ko) 2009-09-03 2009-09-03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75A KR101645413B1 (ko) 2009-09-03 2009-09-03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94A true KR20110024894A (ko) 2011-03-09
KR101645413B1 KR101645413B1 (ko) 2016-08-05

Family

ID=4393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075A KR101645413B1 (ko) 2009-09-03 2009-09-03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4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928A (ko) * 1999-12-13 2001-07-04 이계철 기업업무와 업무연계 지원을 위한 그룹웨어 어플리케이션제공방법
KR20030055697A (ko) * 2001-12-27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업공중사설망에 대한 통합망 서비스 관리시스템의관리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관리 게이트웨이 시스템과 그처리방법
KR20060002196A (ko) * 2004-07-01 2006-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업용 무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변환엔진 시스템 및운용방법
KR20090037614A (ko) * 2007-10-12 2009-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구내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내 유선망과이동통신망을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928A (ko) * 1999-12-13 2001-07-04 이계철 기업업무와 업무연계 지원을 위한 그룹웨어 어플리케이션제공방법
KR20030055697A (ko) * 2001-12-27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업공중사설망에 대한 통합망 서비스 관리시스템의관리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관리 게이트웨이 시스템과 그처리방법
KR20060002196A (ko) * 2004-07-01 2006-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업용 무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변환엔진 시스템 및운용방법
KR20090037614A (ko) * 2007-10-12 2009-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구내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내 유선망과이동통신망을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413B1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5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communications channel for telephone conference initiation and management
CN101515949B (zh) 便于用户设备间会话转移的方法和系统
CN101159901B (zh) 发起会议的方法、短信应用业务代理、会议服务器及系统
US9467562B2 (en) Method and unit used to determine useable services
US20100303061A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non-specific network protocols and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WO2002098075A1 (fr) Systeme de communication par internet, procede de communication par internet, serveur de commande de session, adaptateur de communication, serveur de relais de communication et programme
KR20120040231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1394294B (zh) 网络多媒体会议接入方法、系统及装置
US200701625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ing camp-on service
WO2007025209A9 (en) System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a single-number follow me service for videoconferencing
US8635275B2 (en) Session application records
US200701800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visual material for conference services
US20070153773A1 (en) Communication control unit
US926428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server
US20080192734A1 (en) Communication system
CN101848283A (zh) 呼叫拒接转移的方法、装置及系统和终端
JP5775034B2 (ja) 通信宛先解決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通信宛先解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1782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ausing a communication client to join a media-over-packet communication session
Penton et al. iLanga: A next generation VOIP-based, TDM-enabled PBX
KR101645413B1 (ko)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구내 통신 서비스 연동 방법
CN103222255B (zh) 自动启动用于文本通信的通信终端设备的方法和装置
CN102740168A (zh) 一种实现呼叫的方法及系统、办公系统、企业总机系统
EP4113930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ing information use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a calling end device and a called end device
KR20060018155A (ko) 웹 환경을 이용한 사설교환기의 서비스 기능 관리 시스템및 방법
KR100668362B1 (ko) 이기종 프리젠스 시스템간의 친구목록 정보를 교환할 수있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